[목차] == 개요 == 한국어의 접촉 동사. 접촉하면 바로 떠오르는 동사는 아무래도 '닿다'인데, 이는 의지가 담기지 않은 접촉으로 좀 다르다. '닿다'로 '대다'의 의미를 나타내면 '닿게 하다' 정도로 쓸 수 있는데, 실제로 '대다'는 '닿다'에 사동접사 '-[[히|이]]-'가 붙은 것이다. '닿-+-이- → 다히 → 대' 식으로 줄어든 것. 이중모음을 어근으로 가진 동사 중에서 이런 식으로 파생된 것엔 '[[베다]]'가 있는데, 이쪽은 '벟다'가 소멸하고 '베이다'가 생겼다. 오늘날에 '대다'는 완전히 '닿다'와 독립돼, '닿다'로 해석할 수 없는 뜻들도 많이 지닌다. 하지만 여전히 '닿게 하다'의 의미로 쓰이는 것들도 있다. * 「…에」 정해진 시간에 닿거나 맞추다. '~ 시간에 대다' 꼴. 요즘엔 잘 안 쓰인다. *「…에/에게」(주로 ‘대고’ 꼴로 쓰여) 어떤 것을 목표로 삼거나 향하다. '하늘에 대고 하소연을 했다.' *「…에/에게 …을」 * 무엇을 어디에 닿게 하다. '수화기를 귀에 대다' * 어떤 물건을 사용해서 일을 하다.('접촉'이 '행동'으로 변화) '그림에 붓을 대다' * 탈것을 멈추게 하다.('접촉'이 '멈춤'으로 변화) '항구에 배를 대다' * 돈이나 물건, 판돈, 인력, 물 등을 끌어오다.('접촉'이 '거래'로 변화) '사식값을 제때제때 대다.' '판돈을 대다' '인부를 대다' '논에 물을 대다' * 무엇을 뒤에 받치다. '종이 뒤에 먹지를 대다' * 겨냥하다 '총부리를 대다' * 닿게 하다 '어깨를 대다' * 비교하다 '실력을 대보다' *「…에/에게 …을,…에/에게 -ㄴ지를,…에/에게 -고」 * 구실을 들다, 말하다. '핑계 대다' 위의 의미를 살펴보면 '닿다'란 의미에서 유추는 되지만, 그 의미의 비중은 꽤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반면 '닿다'는 수동적인 의미의 특성상 응용할 구석이 많지 않은지 여전히 '접촉'의 의미를 많이 지니고 있다. 오늘날엔 [[교통카드]]와 같이 완전히 닿지 않는 것도 '카드를 다시 대주세요.' 식으로 '대다'를 쓴다. 위의 '대다'의 폭넓은 의미 변화를 생각하면 이건 되려 '대다'의 원 의미에 충실한 편에 속한다. '총부리를 대다' 같은 것도 '대다'를 쓰니까. '[[찍다]]' 문서에도 나와있듯이, 교통카드에 관해선 약간 더 동세가 강한 '[[찍다]]'를 쓰기도 한다. == 본동사 외의 용법 == === 반복 보조 동사 '-어 대다' === 본동사 '대다'와 관련은 왠지 긴밀해보이진 않지만, 보조동사로도 쓰인다. 주로 반복의 의미를 나타낸다. '먹어 댄다'라고 하면 자꾸 반복적으로 먹는단 뜻. 비슷한 [[보조 용언]]으로 '-어 [[쌓다]]'가 있는데, '-어 쌓다'는 방언에서 주로 많이 활용된다. '-어 뜨리다'의 경우 '뜨리다'가 원래 '때리다'나 '치다' 등과 연관이 있었던 걸 생각해보면 '접촉'의 '대다'와 어느 정도 비슷하기도 하지만, '-어 뜨리다'는 '-어 대다'와 달리 강세를 더해주거나 아예 자동사에서 타동사로 통사적 기능을 바꾸는 적극적인 역할을 해서 크게 다르다. === 반복 접미사 '-대다' === 주로 의성어/의태어에 대해서, '건들건들대다'처럼 반복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그와 동시에 어근도 반복되는 경우도 있는데, 꼭 그렇진 않다.('까불대다') 이 형태는 '어근'+'-되다'하고 발음이 조금 비슷해서 헷갈리기도 한다. [['-되다'와 '-대다'의 구별]] 참조. '-되다'도 그렇고 대체로 자동사를 만든다는 게 특징이다. 본 용언 '대다'와의 관계는 보조 용언 '-어 대다'보다도 더 먼 기분이지만, 일단 '반복'의 의미는 보조 용언 '-어 대다'와 비슷해 상관이 있어 보인다. 비슷한 접미사로 '-거리다'가 있다. 이쪽은 '거리다'란 단독 형태는 없다. == 그 밖의 접촉 동사 == '닿다'는 수동적이라 사람 몸의 대부분에 대해 사용 가능하지만, '대다'는 능동적이다 보니 인체를 사용해 직접 '대려면' 주로 [[손]]을 활용한다. 그래서 '손대다'는 아예 하나의 합성어로 인정됐다. 이 단어는 여전히 정말로 '대기만' 하는 것도 의미에 포함하지만, '성적 행위를 하다', '때리다', '고치다' 등 더 적극적인 뜻도 지닌다. 똑같이 손으로 대는 것이지만 좀 더 '접촉'의 본래 의미를 살린 표현으론 '만지다'가 있다. '만지다' 역시 '손'의 다양한 은유적 의미로 인해 좀 더 넓은 뜻을 지니고 있지만, '접촉'의 의미로도 굉장히 많이 쓰인다. 더 나아가서 비비거나 누르면 '문지르다'가 된다. '만지다'와 '문지르다'는 음이 비슷해보이긴 하는데 직접적으로 분석되진 않는 듯하다. 닿게 하는 대상을 좀 더 신경 쓰이게 만들면 '건드리다'가 된다. '문지르다'와 비슷한 표현으로는 '문대다'도 있다. 사전에 실려있는 [[표준어]]이기는 한데 지방에서 많이 쓴다는 인식도 어느 정도 있는 모양이다.[[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744/read/37257216|#]] == 발음이 비슷한 동사 == 앞서 접사에서 소개한 '[[되다]]'와 발음이 비슷하다. 또한, '화상을 입다'란 뜻인 '데다'와도 간혹 혼동된다. '불에 데었다'를 '불에 대었다'라고 잘못 쓰는 경우도 많다. 이는 [['ㅐ'와 'ㅔ'의 구별]]이 힘들기 때문이다. --불에 손을 대면 손이 데긴 하겠지-- [[베다]] 문서에도 나오지만, '데다'는 '화상을 입다'로 원래 의미 자체가 수동적이라 '데었다'라고 써야 한다. '데였다'가 아니다. == 다른 언어에서 == || [[영어]] || touch || || [[일본어]] || 触(ふ)れる || 원래의 의미가 조금 희박해지고 여러 일상 면면에서 쓰여서, 정확히 대응되는 단어를 찾긴 어렵다. 건들지 말란 뜻에서 'No touch'라고 한 게 [[노다지]]가 됐단 설이 있지만, 요즘엔 부정된다. 한국어 '대다'와 달리 'touch'는 그 자체로 수동적인 의미도 있어서 '닿다' 역시 된다. 일본어 역시 정확히 대응되는 걸 찾긴 힘들지만, '닿을 촉(觸)'을 쓰는 표현을 찾아보면 触れる가 있다. 영어의 'touch'처럼 '-를 대다'라고 타동사도 되고 '-가 닿다'처럼 자동사도 된다. 똑같은 한자를 쓰지만 다르게 읽으면 '만지다'란 뜻의 触(さわ)る가 된다. 그 밖에 접촉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当(あ)てる, 付(つ)ける 등이 있다. == '대다'가 제목에 포함된 문서 == * [[어디에다 대고 신성한 우리 영해에 불질이야]] * [[쪼아대기]] * [[찍찍대는 숙주]] [[분류:한국어 용언]][[분류:순우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