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 rd1=대덕구)]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대덕구/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대전광역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대덕구}}}}}}'''[br]{{{-1 {{{#fff 대덕구 일원[br]大德區[br]Daedeok}}}}}}}}}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대덕구.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51,336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대전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대덕구|{{{#000,#fff 대덕구}}}]] 일원'''[br]법1동, 법2동, 오정동, 대화동, 회덕동,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신탄진동 }}} || ||<-2> '''신설년도''' ||<-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1992년]]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박영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14대 총선]]부터 현재까지 쭉 [[대덕구]] 전역을 담당하는 선거구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박영순]]이다. 대전의 구시가지인 대덕구의 특성상 [[중구(대전광역시)|중구]], [[동구(대전광역시)|동구]]와 더불어 보수세가 강한 편이지만[* [[세종특별자치시]] 수정안으로 [[한나라당]]이 대전 지역에서 전멸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유일하게 한나라당 소속 구청장([[정용기]])를 배출한 바 있다.] 대화동과 신탄진동에 공업단지가 있어 진보세력의 세도 만만치 않다. 이 때문인지 탄핵 역풍으로 [[열린우리당]]이 충청권을 휩쓸었던 [[17대 총선]]이나, [[김원웅]]의 정계 은퇴 이후 민주당이 [[통진당]]에게 야권단일후보를 양보하면서 한나라당 박성효 후보가 압승한 [[19대 총선]]을 제외하면 1, 2위 간 후보 간의 격차가 크지 않은 경우가 많다. 수도권으로 치면 [[인천광역시]] 원도심과 투표 성향이 비슷하다. 21대 총선을 제외하고는 선거구 개설 이래 당선자들 모두가 [[정치]]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는 긍정적 의미로든 부정적 의미로든 널리 알려진 [[네임드]]들이다. 우선 14·16·17대 국회의원을 지낸 [[김원웅]]은 좌익 성향 발언으로 잦은 논란을 빚은 광복회장이며, 15대 국회의원 [[이인구(1932)|이인구]]는 대전에 기반을 둔 유명 건설사인 [[계룡건설산업]]의 창업주이다. 참고로 계룡건설은 [[선거구]] 내 송촌지구 택지개발사업에도 참여한 선비마을아파트 건설사 중 하나이다. 18대 국회의원 [[김창수(1955)|김창수]]는 前 [[KBS 대하드라마]] [[대조영(드라마)|대조영]]의 [[흑수돌]], [[야인시대]]의 [[조병옥(야인시대)|조병옥]] 역 등을 통해 잘 알려진 중견배우 [[김학철(배우)|김학철]]의 친형으로, 선거 기간 동안에도 형의 선거 운동을 위해 지역에 자주 방문하였다. 19대 국회의원 [[박성효]]는 [[대전광역시장]]을 지냈으며, 19·20대 국회의원 정용기는 자유한국당의 주요 당직자로서 전국적으로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이름이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또 당선되지는 못하였지만 출마한 후보자 중에서도 저명한 인물이 하나 있는데, 바로 16대 국회의원 선거 때 [[자유민주연합]]이 영입한 [[최환]] 전 검사이다. 그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밝혀낸 인물로 유명하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제13대 || [[이인구(1932)|이인구]]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 제14대 || [[김원웅]]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제15대 || [[이인구(1932)|이인구]]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제16대 ||<|2> [[김원웅]]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제17대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김창수(1955)|김창수]] || [include(틀:자유선진당)]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2> 제19대 || [[박성효]] ||<|3>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4년 5월 1일 || ||<|2> [[정용기]] || 2014년 7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박영순]]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20년 5월 30일 ~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대덕군·연기군'''}}}}}}[br][[대덕군|{{{#ffffff 대덕군 일원,}}}]] [[연기군|{{{#ffffff 연기군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천영성|{{{#000,#fff 천영성}}}]](千永星) || 16,170 || 3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18.49% || 낙선 || ||<|2> {{{#ffffff {{{+5 '''2'''}}}}}} || [[박희부|{{{#000,#fff 박희부}}}]](朴熙富) || 17,894 || 2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20.46% || 낙선 || ||<|2> {{{#000000 {{{+5 '''3'''}}}}}} || 임창수(林彰洙) || 2,198 || 4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2.51% || 낙선 || ||<|2> {{{#ffffff {{{+5 '''4'''}}}}}} || '''[[이인구(1932)|{{{#000,#fff 이인구}}}]](李麟求)''' || '''49,114''' || '''1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56.17%''' || '''{{{#000000 당선}}}''' || ||<|2> {{{#ffffff {{{+5 '''5'''}}}}}} || [[김준회|{{{#000,#fff 김준회}}}]](金埈會) || 2,051 || 5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2.3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0,398 ||<|3> '''투표율'''[br]80.08% || || 투표수 || 88,411 || || 무효표수 || 984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대덕구'''}}}}}}[br]{{{#ffffff 대덕구 일원[*대덕 법1동, 법2동, 오정동, 대화동, 회덕동,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신탄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인구(1932)|{{{#000,#fff 이인구}}}]](李麟求) || 31,159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39.57% || 낙선 || ||<|2> {{{#ffffff {{{+5 '''2'''}}}}}} || '''[[김원웅|{{{#000,#fff 김원웅}}}]](金元雄)''' || '''33,393''' || '''1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42.41%'''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구자윤(具滋允) || 12,070 || 3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15.33% || 낙선 || ||<|2> {{{#ffffff {{{+5 '''4'''}}}}}} || 선재규(宣載奎) || 2,111 || 7위 ||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2.6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3,921 ||<|3> '''투표율'''[br]69.97% || || 투표수 || 79,714 || || 무효표수 || 981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대덕구'''}}}}}}[br]{{{#ffffff 대덕구 일원[*대덕 법1동, 법2동, 오정동, 대화동, 회덕동,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신탄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최상진|{{{#000,#fff 최상진}}}]](崔祥鎭) || 6,879 || 4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8.50% || 낙선 || ||<|2> {{{#ffffff {{{+5 '''2'''}}}}}} || 서윤관(徐允官) || 7,580 || 3위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9.37% || 낙선 || ||<|2> {{{#ffffff {{{+5 '''3'''}}}}}} || [[김원웅|{{{#000,#fff 김원웅}}}]](金元雄) || 26,090 || 2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32.25% || 낙선 || ||<|2> {{{#ffffff {{{+5 '''4'''}}}}}} || '''[[이인구(1932)|{{{#000,#fff 이인구}}}]](李麟求)''' || '''40,346''' || '''1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49.87%'''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31,677 ||<|3> '''투표율'''[br]62.91% || || '''투표 수''' || 82,844 || || '''무효표 수''' || 1,949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대덕구'''}}}}}}[br]{{{#ffffff 대덕구 일원[*대덕 법1동, 법2동, 오정동, 대화동, 회덕동,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신탄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원웅|{{{#000,#fff 김원웅}}}]](金元雄)''' || '''29,034'''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34.19%''' || '''당선''' || ||<|2> {{{#ffffff {{{+5 '''2'''}}}}}} || [[김창수(1955)|{{{#000,#fff 김창수}}}]](金昌洙) || 14,035 || 4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6.53% || 낙선 || ||<|2> {{{#ffffff {{{+5 '''3'''}}}}}} || [[최환|{{{#000,#fff 최환}}}]](崔桓) || 14,579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7.17% || 낙선 || ||<|2> {{{#ffffff {{{+5 '''4'''}}}}}} || 허윤범(許潤範) || 1,257 || 5위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1.48% || 낙선 || ||<|2> {{{#ffffff {{{+5 '''5'''}}}}}} || [[이인구(1932)|{{{#000,#fff 이인구}}}]](李麟求) || 26,012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30.6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4,054 ||<|3> '''투표율'''[br]55.65% || || '''투표 수''' || 85,730 || || '''무효표 수''' || 813 || 자민련이 이인구 의원 대신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당시 [[전두환]]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진상을 밝혀냈던 부장검사 출신 최환 후보를 공천했다. 이인구는 이에 반발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했고, 자민련에 갈 표의 분산으로 한나라당 김원웅 후보가 어부지리로 당선된다.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000000 {{{+1 '''대덕구'''}}}}}}[br]{{{#000000 대덕구 일원[*대덕 법1동, 법2동, 오정동, 대화동, 회덕동,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신탄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용기|{{{#000,#fff 정용기}}}]](鄭容基) || 12,775 || 3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13.78% || 낙선 || ||<|2> {{{#ffffff {{{+5 '''2'''}}}}}} || 강희재(姜熙在) || 1,769 || 5위 ||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1.91% || 낙선 || ||<|2> {{{#000000 {{{+5 '''3'''}}}}}} || '''[[김원웅|{{{#000,#fff 김원웅}}}]](金元雄)''' || '''47,062''' || '''1위''' || || [include(틀: 열린우리당)] || '''50.76%''' || '''{{{#000000 당선}}}''' || ||<|2> {{{#ffffff {{{+5 '''4'''}}}}}} || [[오희중|{{{#000,#fff 오희중}}}]](吳熙重) || 26,585 || 2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28.67% || 낙선 || ||<|2> {{{#ffffff {{{+5 '''5'''}}}}}} || 신문휴(申文休) || 444 || 6위 || || [include(틀: 녹색사회민주당)] || 0.48% || 낙선 || ||<|2> {{{#ffffff {{{+5 '''6'''}}}}}} || 선재규(宣載奎) || 4,081 || 4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4.4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0,033 ||<|3> '''투표율'''[br]58.47% || || '''투표 수''' || 93,573 || || '''무효표 수''' || 857 || 본래 한나라당이였다가 열린우리당으로 이적했고, 3만 표에 달하는 탄탄한 고정표에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까지 등에 업은 김원웅 의원을 당해낼 경쟁 후보는 아무도 없었다. 민선 대덕구청장직을 3연임하며 잘 나가다가 이 선거에서 김원웅에게 참패한 자민련 오희중 후보는 그 충격 때문인지 같은 해 11월 [[뇌졸중]]으로 세상을 떠난다. 한편 향후 재선 구청장, 재선 국회의원을 지내게 되는 당직자 출신의 한나라당 정용기 후보는 이 선거가 첫 출마였는데, 강력한 현역 의원과 3선 구청장 출신 후보에 밀려 15%도 득표하지 못하며 학수고대에 들어가게 된다.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대덕구'''}}}}}}[br]{{{#ffffff 대덕구 일원[*대덕 법1동, 법2동, 오정동, 대화동, 회덕동,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신탄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원웅|{{{#000,#fff 김원웅}}}]](金元雄) || 21,331 || 3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30.05% || 낙선 || ||<|2> {{{#ffffff {{{+5 '''2'''}}}}}} || [[이창섭|{{{#000,#fff 이창섭}}}]](李昌燮) || 22,083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1.11% || 낙선 || ||<|2> {{{#ffffff {{{+5 '''3'''}}}}}} || '''[[김창수(1955)|{{{#000,#fff 김창수}}}]](金昌洙)''' || '''24,079''' || '''1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33.93%''' || '''{{{#000000 당선}}}''' || ||<|2> {{{#ffffff {{{+5 '''4'''}}}}}} || 김영덕(金榮德) || 2,058 || 4위 ||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90% || 낙선 || ||<|2> {{{#ffffff {{{+5 '''6'''}}}}}} || 최효정(崔孝禎) || 1,113 || 5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0.9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7,060 ||<|3> '''투표율'''[br]45.46% || || '''투표 수''' || 71,411 || || '''무효표 수''' || 447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대덕구'''}}}}}}[br]{{{#ffffff 대덕구 일원[*대덕 법1동, 법2동, 오정동, 대화동, 회덕동,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신탄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성효|{{{#000,#fff 박성효}}}]](朴城孝)''' || '''40,425''' || '''1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50.19%''' || {{{#000000 '''당선'''}}} || ||<|2> {{{#ffffff {{{+5 '''3'''}}}}}} || 이현(李賢) || 15,146 || 3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18.80% || 낙선 || ||<|2> {{{#ffffff {{{+5 '''4'''}}}}}} || 김창근(金昌根) || 24,957 || 2위 || || [include(틀: 통합진보당)] || 30.9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9,106 ||<|3> '''투표율'''[br]51.18% || || '''투표 수''' || 81,427 || || '''무효표 수''' || 899 || === [[2014년 재보궐선거]] === ||<-4> {{{#ffffff {{{+1 '''대덕구'''}}}}}}[br]{{{#ffffff 대덕구 일원[*대덕 법1동, 법2동, 오정동, 대화동, 회덕동,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신탄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용기|{{{#000,#fff 정용기}}}]](鄭容基)''' || '''30,241'''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7.41%''' || '''당선''' || ||<|2> {{{#ffffff {{{+5 '''2'''}}}}}} || [[박영순|{{{#000,#fff 박영순}}}]](朴英淳) || 22,434 || 2위 || || [include(틀:새정치민주연합)] || 42.5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1,571 ||<|3> '''투표율'''[br]32.75% || || '''투표 수''' || 52,914 || || '''무효표 수''' || 239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대덕구'''}}}}}}[br]{{{#ffffff 대덕구 일원[*대덕 법1동, 법2동, 오정동, 대화동, 회덕동,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신탄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용기|{{{#000,#fff 정용기}}}]](鄭容起)''' || '''40,340''' || '''1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45.46%'''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박영순|{{{#000,#fff 박영순}}}]](朴英淳) || 29,777 || 2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33.56% || 낙선 || ||<|2> {{{#ffffff {{{+5 '''3'''}}}}}} || [[김창수(1955)|{{{#000,#fff 김창수}}}]](金昌洙) || 16,753 || 3위 || || [include(틀: 국민의당(2016년))] || 18.88% || 낙선 || ||<|2> {{{#ffffff {{{+5 '''5'''}}}}}} || [[F-35 도입 반대 운동 간첩 개입 사건#손종표|{{{#000,#fff 손종표}}}]](孫鍾表) || 1,853 || 4위 || || [include(틀: 무소속)] || 2.0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8,903 ||<|3> '''투표율'''[br]56.51% || || '''투표 수''' || 89,803 || || '''무효표 수''' || 1,080 || 이번엔 국민의당과의 표가 갈라진 덕분에 정용기 후보가 12% 차이로 낙승했다. 여기서 최하위로 낙선한 기호 5번 무소속 손종표 후보는 2021년 7월 29일에 [[F-35 도입 반대 운동 간첩 개입 사건]]에 연루된 간첩 중 한 명이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대덕구(선거구)|{{{#ffffff {{{+1 '''대덕구'''}}}}}}]][br]{{{#ffffff 대덕구 일원[*대덕 법1동, 법2동, 오정동, 대화동, 회덕동,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신탄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4 '''1'''}}}}}} || '''[[박영순|{{{#000,#fff 박영순}}}]](朴英淳)''' || '''47,562'''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9.39%''' || '''당선''' || ||<|2> {{{#ffffff {{{+4 '''2'''}}}}}} || [[정용기|{{{#000,#fff 정용기}}}]](鄭容起) || 44,617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6.24% || 낙선 || ||<|2> {{{#ffffff {{{+4 '''7'''}}}}}} || 강휘찬(康煇瓚) || 792 || 4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82% || 낙선 || ||<|2> {{{#ffffff {{{+4 '''8'''}}}}}} || 김근식(金根植) || 2,913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3.01% || 낙선 || ||<|2> {{{#ffffff {{{+4 '''9'''}}}}}} || 김낙천(金洛天) || 496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0.5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1,336 ||<|3> '''투표율'''[br]64.5% || || '''투표 수''' || 97,617 || || '''무효표 수''' || 1,147 || ||<-5> {{{#FFFFFF '''21대 총선 대전 대덕구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박영순|{{{#FFFFFF '''박영순'''}}}]] ||<:> [[정용기|{{{#FFFFFF '''정용기'''}}}]]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47,562 [br] (49.39%)'''}}} ||<:> '''44,617 [br] (46.24%)''' ||<:> '''+2,945 [br] (△3.15)''' ||<:> '''64.5%''' || || '''오정동''' ||<:> 45.49% ||<:> {{{#ef426f '''51.59%'''}}} ||<:> {{{#808080 ▼6.10}}} ||<:> 59.28 || || '''대화동''' ||<:> 44.64% ||<:> {{{#ef426f 51.08%}}} ||<:> {{{#808080 ▼'''6.44'''}}} ||<:> 59.12 || || '''회덕동''' ||<:> 46.29% ||<:> {{{#ef426f 50.45%}}} ||<:> {{{#808080 ▼4.16}}} ||<:> 63.54 || || '''비래동''' ||<:> {{{#004EA2 48.67%}}} ||<:> 46.85% ||<:> △1.82 ||<:> 61.75 || || '''송촌동''' ||<:> {{{#004EA2 52.50%}}} ||<:> 41.64% ||<:> △10.86 ||<:> 65.86 || || '''중리동''' ||<:> 46.99% ||<:> {{{#ef426f 49.15%}}} ||<:> {{{#808080 ▼2.16}}} ||<:> 57.31 || || '''법1동''' ||<:> {{{#004EA2 48.05%}}} ||<:> 47.17% ||<:> △0.88 ||<:> 65.21 || || '''법2동''' ||<:> 45.93% ||<:> {{{#ef426f 48.24%}}} ||<:> {{{#808080 ▼2.31}}} ||<:> 69.17 || || '''신탄진동''' ||<:> 46.03% ||<:> {{{#ef426f 49.68%}}} ||<:> {{{#808080 ▼3.65}}} ||<:> 62.64 || || '''석봉동''' ||<:> {{{#004EA2 50.93%}}} ||<:> 45.81% ||<:> △5.12 ||<:> 61.93 || || '''덕암동''' ||<:> {{{#004EA2 49.74%}}} ||<:> 47.52% ||<:> △2.22 ||<:> 59.31 || || '''목상동''' ||<:> {{{#004EA2 '''54.99%'''}}} ||<:> 42.03% ||<:> △12.96 ||<:> 58.45 || || '''후보''' ||<:> [[박영순|{{{#004EA2 '''박영순'''}}}]] ||<:> [[정용기|{{{#ef426f '''정용기'''}}}]]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8.43%}}} ||<:> 43.90% ||<-2> △4.53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9.03%}}} ||<:> 35.77% ||<-2> △13.26 || || '''국외부재자투표''' ||<:> {{{#004EA2 '''73.53%'''}}} ||<:> 26.47% ||<-2> △'''46.06''' || 현역 정용기 의원은 3선에 도전한다. 더불어민주당에선 [[박영순]] 전 대전시 정무부시장, [[박종래]] 전 대덕구의회 의원, 최동식 전 청와대 행정관이 예비후보로 등록하고 경선 끝에 박영순이 공천을 받으면서 또[* 국회의원 도전은 2014년 7.24 재보궐선거, 20대 총선이고 구청장 도전까지 합치면 도합 대덕구에서만 6번째, 이 중에서 5번이 정용기과 매치다.] 출마를 함으로써 정용기 vs 박영순의 5번째 리턴매치가 성립되었다. 대전 내에서도 보수세가 두드러지는 지역이고, 통진당 단일화 후유증 등으로 민주당의 조직력도 시원찮아서 정용기 의원이 어렵지 않게 3선에 성공할 거라는 관측이 많았지만,[* 민주당 자체 판세분석에서도 대덕구는 경합지로조차 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예상을 깨고 출구조사에서는 정용기의 근소한 우세로 나왔다가, 개표 결과 민주당 박영순이 3.15% 차이로 현역인 정용기를 꺾음으로써 과거 네 차례 패배의 복수는 물론, 5전 6기의 도전이 마침내 빛을 보게 되었다. 송촌동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500표 미만의 초접전이 펼쳐졌지만, 박영순이 송촌동에서 약 1,500표, 관외사전투표에서 약 2,000표 정도로 크게 앞서면서 당선되었다. 선거 결과가 이렇게 된 이유는 박영순 후보가 그동안 열심히 노력을 한 것도 있지만, [[차명진 막말 파동]]과 더불어 정용기 의원이 좌파 해방구 발언[* 박원순 서울시장이 [[김어준]]이나 [[김미화]] 같은 친 민주당 성향 인사들을 TBS에 고정적으로 출연시켜서 서울시민들의 세금으로 좌파 인사들의 밥을 먹여준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당시에는 정용기 의원이 TBS 이강택 사장을 좌파로 몰아 공격하고 이강택 사장의 항변에 국회의원 질의를 건방지게 끊어먹는다는 식으로 아랫사람 대하듯 해서 논란이 되었었다. 다만 총선 이후 [[박원순 성폭력 사건]]과 [[2021년 재보궐선거]]를 통해 서울시정이 교체되고 [[오세훈]] 서울시장이 TBS의 정치적 편향성과 교육방송으로의 전환 필요성 등을 꾸준히 언급하면서 재평가되고 있다.] 등으로 비호감을 샀고 결정적으로 당 내 행사에서 '''"[[김정은]]이 [[문재인]]보다 나은 지도자"'''라는 발언을 하여 이미지를 깎아먹은 게 컸다.[* 더 가관인 건 저런 말을 해놓고도 적반하장식으로 본질흐리기라며 역정을 냈었다. 심지어 정용기는 이 발언을 할 당시 단순한 국회의원 한 명 수준이 아니라 자유한국당의 정책을 총괄하는 정책위원회 의장 신분이였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대덕구(선거구)|{{{#ffffff {{{+1 '''대덕구'''}}}}}}]][br]{{{#ffffff 대덕구 일원[*대덕 법1동, 법2동, 오정동, 대화동, 회덕동, 비래동, 송촌동, 중리동, 석봉동, 덕암동, 목상동, 신탄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대전광역시의 정치]][[분류:대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