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4> '''[[파일:충청남도 휘장(~1998).png|height=15]] [[충청남도|{{{#000000,#dddddd 충청남도}}}]]의 [[군(행정구역)/대한민국|{{{#000000,#dddddd 폐지된 군}}}]]'''[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파일:대덕군기.svg|height=65]]}}}||{{{#!wiki style="margin: -5px 0;" '''{{{+1 대덕군}}}'''[br]大德郡[br]{{{-1 Taedŏk-gun}}}}}}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대전시, 너비=100%, 높이=100%)]}}} || ||<-2> '''군청 소재지''' ||<-2> [[충청남도]] [[대전시]] [[동구(대전광역시)|동구]] [[오정동(대전)|오정동]] 280[* 현 대전광역시 대덕구 오정동 500] || ||<-2> '''상위 행정구역''' ||<-2> [[충청남도]] || ||<-2> '''하위 행정구역''' ||<-2> 1[[읍(행정구역)|읍]] 6[[면(행정구역)|면]] || ||<-2> '''면적''' ||<-2> 335.43㎢ || ||<-2> '''인구''' ||<-2> 82,531명(1987년) || ||<-2> '''현재 인구''' ||<-2> 141,211명(2022년 10월) || ||<-2> '''인구밀도''' ||<-2> 246.05/㎢ || || [[파일:대덕군기.svg|width=100%]] || || 충청남도 대덕군 군기 || [목차] {{{+1 大德郡}}} == 개요 == [[1914년]] [[4월 1일]]에 '''대전군'''이라는 명칭으로 설치되어 [[1935년]] [[10월 1일]]에 '''대덕군'''으로 개칭하고 [[1989년]] [[1월 1일]]을 기해 해체된 [[충청남도]]의 옛 행정구역. [[1989년]] [[대전직할시]] 승격으로 대전시에 전역이 편입되면서 폐지됐다. 법적으로 대덕군의 지위를 승계받은 것은 아니지만[* 행정구역의 경계를 조정하는 것이 아닌 한, 행정구역 개편은 기존 행정구역을 폐지한 뒤 새로운 행정구역을 설치하는 형식으로 이뤄진다.], [[대덕구|대덕군에서 이름을 딴 자치구]]를 설치하고 기존 대덕군청사를 [[대덕구청]]사로 변경해 현재에 이른다. '대덕'이라는 이름은 [[1935년]] 대전읍의 [[부(행정구역)|부]] 승격 당시에 대전과 옛 군 명칭 회덕을 한 글자씩 합쳐서 지은 것이다. [[군청]]은 과거에는 [[중구(대전광역시)|중구]] [[선화동(대전)|선화동]] 226번지[* 현 [[대전테크노파크]] 사옥(구 [[삼성생명]] 선화동빌딩)]에, [[1982년]] 즈음부터 [[1988년]]까지는 [[대덕구]] [[오정동(대전)|오정동]] 500번지[* 당시 주소는 [[동구(대전)|동구]] 오정동 280번지. 1989년 대덕군 편입 즈음 이 지역은 홍도동으로 편입되었다가(홍도동 252번지), 1990년 다시 오정동에 편입되면서 현재의 주소가 되었다.]에 있었다. 후자가 바로 현 [[대덕구청]]이다. == 역사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대전광역시/역사)] * [[백제]]: 우술(雨述)/황등야(黃等也)→황산(黃山) 일부 [[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C%9E%A0%EB%8F%99#/media/File:%EA%B3%A0%EB%8C%80_%EB%8C%80%EC%A0%84.jpg|#1]] [[https://ko.wikipedia.org/wiki/%ED%95%9C%EA%B5%AD%EC%9D%98_%EC%82%BC%EA%B5%AD_%EC%8B%9C%EB%8C%80%EC%9D%98_%ED%96%89%EC%A0%95_%EA%B5%AC%EC%97%AD|#2]] [[https://books.google.co.kr/books?id=RnVvBgAAQBAJ&pg=PA194&lpg=PA194&dq=%EB%B9%84%ED%92%8D%EA%B5%B0+%EC%96%91%EA%B4%91%EB%8F%84&source=bl&ots=UDd0HuirxY&sig=IL_uiuLGZV7WgqyDQjrOTcz8eaY&hl=ko&sa=X&ved=2ahUKEwiQ97aIpYbeAhWGc3AKHTihDYIQ6AEwAXoECAgQAQ#v=onepage&q=%EB%B9%84%ED%92%8D%EA%B5%B0%20%EC%96%91%EA%B4%91%EB%8F%84&f=false|#3]] * [[통일신라]]: 비풍(比豊)[* '비수리'라는 동일한 지명을 雨述과 比豊로 다르게 표기한 것이다. [[雨]]는 [[훈차]]하여 '비'를 적은 것이고, '수리'는 '봉우리'를 의미하기에 당대에 '봉'과 유사한 한자음이었을 [[豊]]으로 적었으리라는 추측이다.] [[http://m.blog.daum.net/sannasdas/13390216|#]] * [[고려시대]]([[현종(고려)|1000년]]): 회덕/[[진잠동|진잠]] (혹은 오천(朽淺), [[고려사]])[[http://ddcc.or.kr/htm/sub01_013.htm|#]] * [[조선시대]]: [[충청남도|충청우도]] 회덕/진잠 * [[1895년]]: [[충청남도]] 회덕군/진잠군/공주군 (현 폐지) * [[1914년]] [[4월 1일]]: [[부군면 통폐합|대전군으로 통폐합]], 14면.[* 대전면(大田面)([[1931년]] 대전읍 승격), 외남면(外南面), 동면(東面), 산내면(山內面), 유천면(柳川面), 기성면(杞城面), 진잠면(鎭岑面), 유성면(儒城面), 탄동면(炭洞面), 구즉면(九卽面), 내남면(內南面), 북면(北面)] * [[1917년]]: 내남(內南)면→회덕면(懷德)면으로 개칭[* [[부군면 통폐합]] 이후 역사적인 지명이 많이 사라지자 해당 군의 주요 지역의 면이 과거 상위 군의 이름을 따오는 일이 종종 있다. [[청풍군]]이 [[제천군]]과의 통합으로 사라지자 청풍면으로 개칭된 비봉면 등.] * [[1935년]] [[10월 1일]]: 대전읍의 부 승격, 남은 대전군이 '대전+회덕'의 의미인 대덕군으로 개칭 * [[1940년]]: 외남면 8개리[* 홍도리, 가양리, 소제리, 연효리, 산소리, 용방리, 석교리, 중촌리], 유천면 5개리[* 유천리, 과례리, 당대리, 평리, 용두리 일부]의 대전읍 편입, 외남면 남부 5개리[* 삼정리, 가오리, 호동리, 옥계리, 대성리]의 산내면 이동 * [[1963년]]: 일부 지역 [[대전시]] 편입 (당시엔 분구되어있지 않았음)[* 대전시가 분구된 것은 [[1977년]]이다.] * 유천면 일원(현 [[중구(대전광역시)|중구]] [[유천동(대전)|유천동]]) * 회덕면 대화리, 오정리, 용전리 * 산내면 가오리, 삼정리[* 당시 대덕군에는 북면 삼정리, 산내면 삼정리로 두 개의 삼정리가 있었다. [[1963년]] 편입된 것은 남쪽의 산내면 삼정리이며, 북면 삼정리는 북면 삼정리 → 신탄진읍 삼정리 → 신탄진동 삼정동으로 대덕 지역에서 분리된 적이 없다.](이상 현 동구), 호동리, 옥계리(이상 현 중구)[* 4개 리는 모두 1940년 외남면에서 산내면으로 이동한 리이다. 당시에 이동한 5개리 중에서 대성리만이 대전에 편입되지 않았다가 1989년 [[동구(대전광역시)|동구]]에 편입된다.] * [[1973년]]: 대덕군 북면이 신탄진읍으로, 유성면이 유성읍으로 승격 * [[1983년]]: * [[대전시]] [[중구(대전광역시)|중구]] 편입: 아래 일대는 모두 [[1988년]] 신설된 [[서구(대전광역시)|서구]]로 분리된다. 이후 [[관저동]] 일대만을 제외하고 모두 [[유성구]]로 분리된다. * 유성읍 * 구즉면 원촌리·문지리·전민리(현 [[전민동]](행정동)) 및 용산리(현 [[관평동]]) 일부 ([[https://ko.wikipedia.org/wiki/%EA%B5%AC%EC%A6%89%EB%8F%99|대덕군 구즉면의 과거 리와 현재 동]]) * 탄동면 신성리·가정리·도룡리·장동리·내동리·화암리·덕진리·하기리(현 [[신성동(대전)|신성동]](행정동)) * 기성면 관저리·도안리·가수원리(현 [[관저동]]) * 진잠면 내동리·교촌리·대정리·용계리·학하리(현 [[진잠동]]) * [[대전시]] [[동구(대전광역시)|동구]] 편입 * 회덕면 일원 * [[1987년]] [[1월 1일]]: 진잠면 계산리 중구 편입 * [[1989년]] [[1월 1일]]: [[충청남도]] 대덕군이 충청남도 대전시와 함께 [[대전직할시]]로 승격, 대덕군 해체 [[http://theme.archives.go.kr/next/common/viewEbook.do?singleData=N&archiveEventId=0035356374#10|법률 제4049호 대전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 [[논산군]] 두마면 편입: 진잠면 남선리 (→[[2003년]] [[계룡시]] 신도안면) * [[중구(대전광역시)|중구]] 편입: 산내면 서쪽 7개리[* 무수리, 구완리, 침산리, 목달리, 정생리, 어남리, 금동리] * [[동구(대전광역시)|동구]] 편입: 산내면 동쪽 10개리[* 낭월리, 대별리, 이사리, 대성리, 장척리, 소호리, 구도리, 삼괴리, 상소리, 하소리], 동면 일원 15개리[* 내탑리, 마산리, 비룡리, 사성리, 세천리, 신상리, 신촌리, 신하리, 오동리, 용계리, 주산리, 주촌리, 직동리, 추동리, 효평리] * [[서구(대전광역시)|서구]] 편입: 기성면 일원 * 신설 [[유성구]] 편입: 구즉면[* 행정동 상 관평동+구즉동], 탄동면 7개리[* 반석리, 백운리, 수남리, 신봉리, 안산리, 외삼리, 추목리. 지금의 행정동 기준으로 [[노은동]], [[신성동(대전)|신성동]] 일대. ], 진잠면 4개리[* 성북리, 세동리, 송정리, 계산리. 지금의 원내동, 세동, 송정동, 계산동 등 계룡, 논산시 경계지역] * 신설 [[대덕구]] 편입: 1963년/1983년 편입된 회덕면 일대 10개동[* 오정동, 대화동, 읍내동, 연축동, 신대동, 와동, 송촌동, 법동, 중리동, 비래동] , 신탄진읍[* 현재의 신탄진동,목상동,덕암동 일대. 여긴 대전시로 들어가면서 별다른 구역 조정 없이 그대로 동으로 승격되었다. ] 일원 [[1935년]] 대전군 대전읍이 대전부로 승격하면서, 대전군의 나머지 부분은 대전군의 "대"와 [[1914년]] 이전의 명칭인 회덕군의 "덕"을 따와 대덕군으로 개칭되었다. 대전시가 시세를 확장함에 따라 점차 대전시로 편입되다가, [[1989년]] [[1월 1일]]에 대전시가 [[직할시]]로 승격하면서 [[대전직할시]]로 통폐합되었다. 다만 진잠면 남선리[* 현 [[계룡시]] 신도안면]는 [[논산시|논산군]] [[계룡시|두마면]]에 편입되었다. [[진잠동]], [[기성동]] 일대는 진잠현으로 다른 군현으로 있던 역사가 길었다. 통합된 것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의 일. 부군면 통폐합 당시 이름을 한 글자씩 따오는 일이 많고 [[1935년]] 분리 시에도 그런 사례가 있었으나 이 지역에서는 진잠 지역의 이름이 들어가지 않고 '대전'이라는 새로운 명칭을 지었다. == 하위 행정구역(1읍 6면) == [[파일:대덕군 행정(1988.12.31.).png]] 대전직할시 승격 직전인 [[1988년]] [[12월 31일]] 시점의 [[행정구역]]이다. * 신탄진읍 - 현 [[대덕구]] 신탄진동, 석봉동, 목상동, 덕암동, 회덕동 일부(장동) * 산내면 - 현 [[동구(대전광역시)|동구]] 산내동, [[중구(대전광역시)|중구]] 산성동 일부(침산동, 무수동, 구완동, 목달동, 정생동, 금동, 어남동) * 기성면 - 현 [[서구(대전광역시)|서구]] 도안동, 가수원동, 관저동[*A 1983년 대전시 편입.], 기성동 * 동면 - 현 [[동구(대전광역시)|동구]] 대청동 * 진잠면 - 현 [[유성구]] 진잠동[* [[1983년]] 원내동, 교촌동, 대정동, 용계동, 학하동 대전시 편입, [[1987년]] 계산동 편입, 1989년 잔여지역(방동, 성북동, 세동, 송정동) 편입.], [[계룡시]] 신도안면 일부(남선리) * 탄동면 - 현 [[유성구]] 신성동[*A], 노은2·3동 일부(반석동, 외삼동, 안산동, 수남동, 하기동 일부) * 구즉면 - 현 [[유성구]] 전민동[*A], 구즉동, 관평동 === 1983년 이전 === [[파일:대덕군 행정(1983.2.14.).png]] 대전시 확장 직전인 [[1983년]] [[2월 14일]] 기준 행정구역 지도 1983년 이전 대전시에 편입되어 사라진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 * 외남면 - 1940년 대전부 편입 * 유천면 - 1963년 대전시 편입 * 회덕면 - 1963년(대화동, 오정동, 용전동), 1983년(읍내동, 법동, 중리동, 송촌동, 비래동, 연축동, 신대동, 와동) 두 번에 걸쳐 대전시 편입 * 유성읍 - 1983년 대전시 편입 == 기타 == * 왜 [[대덕연구개발특구]]가 대덕구에 없고 [[유성구]]에 있냐며 외지인이나 대전에 사는 젊은 세대들이 의문을 가지는데, 대덕연구단지의 대덕은 원래 대덕군에서 따온 명칭이다. 설립당시의 행정구역은 충청남도 대덕군 유성읍, 탄동면, 구즉면 일대. * 존속 당시엔 대전시를 [[도넛]]처럼 감싸고 있는 모양으로, [[2014년]]에 [[청주시]] 출범으로 사라진 [[청원군]]과 현재 [[전주시]]와 [[완주군]]과 비슷한 모양이었다. * 사라진 지 30여년 가까이된 행정구역이지만, 아직까지 여러 명칭에서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대덕군 폐지 및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설치된 [[대덕구]], 앞서 언급한 대덕연구단지, 대전광역시 남북을 가르는 [[대덕대로]], 전문대학 [[대덕대학교]] 등이다. * 대전 편입 이전부터 대전의 시외전화 [[지역번호]]인 042를 사용했다. 통화권 체계가 시읍면 단위였던 [[1970년대]]에도 대덕군이 이미 대전시내전화에 편입된 상태였다. * 배우 [[온주완]], [[송중기]]가 엄밀하게는 대전 편입 이전의 구 대덕군 출신이다. * 1935년 대전시 분리 이래 1989년 폐지시까지 군청사가 관할구역 내에 없었다. 군청이 쭉 대전시계 내에 소재했기 때문이다. == 관련 문서 == * [[대전광역시]] * [[대덕구]] * [[충청남도]] [[분류:충청남도의 폐지된 행정구역]][[분류:1989년 폐지된 행정구역]][[분류:대전광역시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