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0047a0 {{{+1 '''대동 분기점'''}}}[br]{{{-2 '''大東 分岐點'''}}}[br]{{{-2 '''Daedong Junction'''}}}}}} || || [[삼락IC|{{{#!html
부산 방면}}}]][[대감JC]][br]← 1.7 km || [[중앙고속도로|[[파일:Expressway_kor_55.svg|height=23]]{{{#!html
중앙선}}}]] {{{#ffffff '''{{{+1 3}}}'''}}} || [[춘천IC|{{{#!html
춘천 방면}}}]][[상동IC]][br] 6.2 km → || ||<-3> {{{-2 해당 나들목과 [[상동IC|{{{#000000,#ffffff 상동IC}}}]] 사이에 [[김해부산TG|{{{#000000,#ffffff 김해부산 요금소}}}]]가 있었다.[* 원톨링 시스템으로 무정차 통과]}}} || || [[김해JC|{{{#!html
김해 방면}}}]][[김해JC]][br]← 10.0 km || [[중앙고속도로지선|[[파일:Expressway_kor_551.svg|height=23]]{{{#!html
중앙지선}}}]] {{{#ffffff '''{{{+1 1}}}'''}}} || [[양산JC|{{{#!html
양산 방면}}}]][[물금IC]][br] 4.2 km → || ||<-3> [include(틀:지도, 장소=대동JC, 너비=100%, 높이=225px)] || ||<-3> {{{#fff '''주소'''}}} || ||<-3>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김해)|대동면]] 덕산리 || ||<-3> {{{#fff '''관리기관'''}}} || || [[중앙고속도로|{{{#fff 중앙선}}}]] ||<-2><|2>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양산지사 || || [[중앙고속도로지선|{{{#fff 중앙지선}}}]] || ||<-3> {{{#fff '''개통'''}}} || ||<-3> [[1996년]] [[6월 28일]]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앙고속도로]] 3번, [[중앙고속도로지선]] 1번.'''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김해)|대동면]] 덕산리에 있는 [[중앙고속도로]]와 [[중앙고속도로지선]]의 [[분기점]]이자 [[중앙고속도로지선]]의 원래 시점이다. 본 분기점부터 북쪽은 대구부산고속도로(민자구간)이며 남쪽은 중앙고속도로(한국도로공사) 구간이 나뉜다. 명칭은 소재지인 [[대동면(김해)|대동면]]에서 유래했다. == 특징 == 2방향 분기점[* 중앙선 부산방면,중앙선지선 양산방면]으로 시작하여 3방향 분기점[* 중앙선 춘천/부산방면, 중앙선지선 양산방면], 4방향 분기점[* 중앙선 춘천/부산방면, 중앙선지선 양산/김해방면]으로 바뀐 역사가 있다. 기획단계부터 중앙고속도로 [[동대구JC]]~[[대동JC]]구간의 추후개통을 전제로 설계되어, 중앙고속도로의 대동JC~대저JC구간과 중앙고속도로지선의 대동JC~양산JC구간의 개통[* 엄밀히 나누면 남양산IC~양산JC 개통이 한 달 여 빨랐다.]과 함께 통행이 시작되었다. 2006년 동대구~대동 구간이 개통되기 전까지 해당 진출입로가 사실상 본선이었던 관계로 본선 규격에 맞게 각각 편도 2차선으로 건설되었고, 이는 몇 차례 개량을 거친 2020년 현재까지도 유효하다. 이후 2014년 중앙고속도로지선이 김해JC 방면으로 연장되면서 해당구간 접속도로 건설을 위해 중앙고속도로 춘천방향→중앙고속도로지선 양산방향의 이설이 있었다.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 이전까지는 울산·양산과 김해·창원을 잇는 사실상 유일한 경로였던지라[* [[http://theme.archives.go.kr/next/common/viewEbook.do?singleData=N&archiveEventId=0028363948#85|건설교통부공고 제1996-190호]]에 따른 우회경로는 [[35번 국도]]([[양산대로]]~[[금곡대로]])인데, 해당 구간의 기존 교통량 역시 만만치 않다.], 개통 이후 꾸준히 상습정체지역이었다. 거기다 2006년 동대구~대동 구간이 개통되면서 병목현상이 심해져 2008년 [[갓길차로제]]까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194397|시행]]되었지만 정체현상은 끊이질 않았다. 그나마 2014년 양산IC~대동JC 확장과, 대동JC~김해JC 구간 개통으로 예전보다는 정체 강도가 덜해졌다. 앞에서 서술하였듯 본선 대저~대동과 지선 대동~양산이 연계되어 본선 역할을 꽤 오랫동안 했던지라, [[동대구JC]]~[[대동JC]] 개통 극초기에는 대구/양산 진출시 이에 대한 혼선이 있기도 했다. 또한 2018년 개통된 부산외곽선 [[대감JC]]와의 거리가 지나치게 짧아서 다른 의미로 다시금 정체구간이 되었다. 엇갈림구간 길이가 500m 남짓에 불과하기 때문. 원래 분기점형태는 [[입체교차로 #s-2.2|Y자형]] 이었으나, [[2014년]] 대동~[[김해JC|김해]] 구간 개통으로, 직결형 램프가 추가되어 일부 구조물이 없는 터빈형교차로가 되었다.[* [[서평택JC]]도 똑같은 경우이며, 똑같은 형태이다.] == 구조 == === [[중앙고속도로|중앙선]] === ==== [[춘천IC|춘천]] 방향 ==== * 진출 가능: [[중앙고속도로지선]] [[양산JC|양산]]방향 * 진입 가능: [[중앙고속도로지선]] 양방향 ==== [[삼락IC|부산]] 방향 ==== * 진출 가능: [[중앙고속도로지선]] 양방향 * 진입 가능: [[중앙고속도로지선]] [[양산JC|양산]]방향 === [[중앙고속도로지선|중앙지선]] === ==== [[양산JC|양산]] 방향 ==== * 진출 가능: [[중앙고속도로]] [[춘천IC|춘천]]방향 * 진입 가능: [[중앙고속도로]] 양방향 ==== [[김해JC|김해]] 방향 ==== * 진출 가능: [[중앙고속도로]] 양방향 * 진입 가능: [[중앙고속도로]] [[춘천IC|춘천]]방향 ==# 둘러보기 #== [include(틀:중앙고속도로의 구간)] [include(틀:중앙고속도로지선의 구간)] [[분류: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분기점]][[분류:중앙고속도로]][[분류:중앙고속도로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