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만 관련 문서)] [include(틀:대만의 주요선거)] {{{+1 中華民國立法委員選舉 }}} [목차] ||[[파일:중화민국입법원선거.gif|width=100%]]|| || 역대 선거 결과 || == 개요 == [[대만]]의 [[선거]].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 대응하는 [[국회의원]] [[총선]]이다. == 역사 == 1948년에 중국 전역에서 첫 선거가 시행되었고 760명의 의원이 선출되었다. 이 선거는 1947년 [[국민대회]] 선거와 함께 전국에 걸쳐 벌어진 총선거이다.[* 중국 공산화 이후의 [[전인대]] 의원도 선거로 선출되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지방 인민대표대회 대표자(대부분 [[중국 공산당|공산당]] 당원)에 의한 간접선거로 선출되고 일반 인민들의 직접선거로 뽑히지는 않는다.] 다만 처음이자 마지막 총선이었다고는 해도 제1야당인 공산당은 불법정당으로 지정된데다가 국공내전 중이라서 당연히 선거에 불참했고 이외에도 민사당과 중국청년당을 제외한 대다수의 야당이 불참했고, 국민당은 [[국공내전]] 재개로 인한 경제파탄으로 민심을 잃어가고 있었을 때라서 투표율이 대략 30% 언저리 내외로 추정된다. 즉, 민주적인 환경에서 치러진 선거는 아니었다는 말이다.[* 중국에서 민주적인 환경에서 치러진 총선거는 1913년도에 있었지만 이 선거는 보통선거가 아닌 제한선거라 소수의 부유층과 중산층만이 참여할수있었다.] 당시 입법위원의 임기가 3년이었기 때문에 원래대로라면은 3년에 한번씩 선거가 치러져야 되지만 [[1949년]] [[국부천대]] 이후에 장제스가 본토수복 이전까지 선거를 연기하며 입법원 의원들을 종신직으로 만들었다. 거기에다가 처음으로 [[재보궐선거|보궐선거]]가 치러진것도 [[1969년]]이었고, [[1983년]] 선거때까지는 [[중국 국민당]]과 중국 민주사회당 등의 [[구색정당|위성야당]], [[무소속]] 후보만 출마가 가능했으며 일부 선거구([[타이완 지구]])에서만 선출되었다. 그러다 [[장징궈]] 말기때인 [[1986년]]부터 [[야당]] 후보의 출마가 시작되었고, [[1989년]] 선거때부터는 야당 후보들의 출마가 합법화 되었고 1991년의 개헌이 이뤄지면서 [[1992년]] 선거때부터 총선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1998년에 타이완 성의회 가 폐지되고 [[2000년]]에 국민대회 기능의 일부를 넘겨받음으로써 권한도 더욱 커졌고, 의원수도 224명(1998), 225명(2001, 2005)으로 늘어났다. [[2005년]]의 개헌에 따라 [[국민대회]]의 기능이 [[입법원]]으로 이전되면서 임기를 3년에서 4년으로 연장하고 선거제도도 [[중선거구제]]에서 [[소선거구제]]로 전환했으며 의원수도 225명에서 113명으로 축소했다. 상원 격인 국민대회도 있었고 직선제 전환 이후에도 입법원과 별도로 선거가 치러졌지만 2000년에 기능이 축소되면서 선거가 치러지지 않았고 [[2005년]]에 마지막 선거가 치러진 후에 개헌을 하여 입법원에 기능을 넘겨주고 사실상 폐지되었다. == 제도 == 유권자는 [[타이완 지구|대만지구]](타이완, 펑후, 진먼, 마쭈) 주민 중 20세 이상인 자로 규정된다. 입법위원 정수 113명 중 73명은 [[대만]]의 각 [[지역구]]에서 [[소선거구제]]로 선출된 의원들이며, 34석은 재외국민([[화교]])과 대만 국민에 의해 선출된 [[비례대표]]들이다. 나머지 6석은 [[대만 원주민]]으로 등록된 유권자들끼리만 선거를 치러 당선된 원주민 대표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소선거구제]]이지만 원주민 의원은 [[중선거구제]]로 평지원주민 유권자 사이에서 다득표 순으로 3명, 산지원주민 유권자 사이에서 3명이 선출된다. 비례대표 중 절반 이상은 여성 의원이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한국에서 홀수번째에 반드시 여성을 공천해야 하는 것과는 달리, 비례순번은 정당이 성별 상관 없이 공천할 수 있으되 당선시에 남성 절반이 채워지면 앞순번이라 하더라도 남성은 낙선하며, 뒷순번에 있는 여성이 당선된다. [[https://web.archive.org/web/20220712192338/http://vote2020.cec.gov.tw/pc/en/FR/16.html|제10대 선거 민진당 결과(영어, 대만 선관위, 아카이브)]] 이 선거에서, 민진당은 비례대표로 13명 당선되었으나, 남성 비율을 초과한 13, 14, 15번이 낙선하고, 대신 여성인 16번이 당선된 것을 볼 수 있다. 총 113석, 지역구 73석은 대만의 인구(2018년 기준, 2360만 명)을 생각해보면 굉장히 적은데, 2008년 의원정수가 절반으로 감축되었기 때문이다. 인구수가 약 2배를 살짝 넘는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국회]]가 총 300석, 지역구 253석인 것과 대비된다. 한편 선거구간 인구 비례가 2:1 안쪽이 되어야 하는 한국과 달리, 대만은 헌법에 따라 모든 현과 직할시에 최소 1석 이상을 배분하도록 규정되어 있어 [[펑후]], [[진먼]], [[롄장]], [[타이둥]] 등의 인구가 적은 현들도 선거구는 1석씩 배정받는다. [[제10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10대 입법위원 선거]] 기준, 인구 1.3만의 [[롄장]]과 인구 45만의 [[이란현|이란]]이 똑같이 현 전체가 단일 선거구로 1석씩 배정되어 있다. == 선거구 == === 지역구 === * 지룽시, 신주시, 자이시, 이란현, [[화롄현(선거구)|화롄현]], 타이둥현, 펑후현, 진먼현, 롄장현은 단일선거구로 1명만 뽑는다. ==== 타이베이시 ==== * [[타이베이시 제1선거구|제1선거구]] : 스린구 일부, 베이터우구 * [[타이베이시 제2선거구|제2선거구]] : 다퉁구, 스린구 일부 * [[타이베이시 제3선거구|제3선거구]] : 쑹산구 일부, 중산구 * [[타이베이시 제4선거구|제4선거구]] : 난강구, 네이후구 * [[타이베이시 제5선거구|제5선거구]] : 중정구 일부, 완화구 * [[타이베이시 제6선거구|제6선거구]] : 다안구 * [[타이베이시 제7선거구|제7선거구]] : 쑹산구 일부, 신이구 * [[타이베이시 제8선거구|제8선거구]] : 중정구 일부, 원산구 ==== 신베이시 ==== * [[신베이시 제1선거구|제1선거구]] : 단수이구, 타이산구, 린커우구, 싼쯔구, 시먼구, 바리구 * [[신베이시 제2선거구|제2선거구]] : 싼중구 일부, 루거우구, 우구구 * [[신베이시 제3선거구|제3선거구]] : 싼중구 일부 * 제4선거구 : 신좡구 일부 * 제5선거구 : 신좡구 일부, 쑤린구, 잉거구 * 제6, 7선거구 : 반차오구 * 제8선거구 : 중허구 일부 * 제9선거구 : 중허구 일부, 잉허구 * 제10선거구 : 싼샤구, 투청구 * [[신베이시 제11선거구|제11선거구]] : 신덴구, 선컹구, 스딩구, 핑린구, 우라이구 * [[신베이시 제12선거구|제12선거구]] : 시즈구, 루이팡구, 핑시구, 솽시구, 궁랴오구, 진산구, 완리구 ==== 타오위안시 ==== * [[타오위안시 제1선거구|제1선거구]] : 타오위안구 일부, 루주구, 구이산구 * [[타오위안시 제2선거구|제2선거구]] : 양메이구, 다위안구, 신우구, 관인구 * [[타오위안시 제3선거구|제3선거구]] : 중리구 일부 * 제4선거구 : 타오위안구 일부 * 제5선거구 : 룽탄구, 핑시구 * 제6선거구 : 중리구 일부, 다시구, 바더구, 푸싱구 ==== 타이중시 ==== * 제1선거구 : 다자구, 칭수이구, 우치구, 와이푸구, 다안구 * [[타이중시 제2선거구|제2선거구]] : 사루구, 우르구, 다두구, 룽징구, 우펑구 * 제3선거구 : 허우리구, 선강구, 탄쯔구, 다야구 * 제4선거구 : 시툰구, 난툰구 * [[타이중시 제5선거구|제5선거구]] : 베이구, 베이툰구 * 제6선거구 : 중구, 둥구, 시구, 난구 * 제7선거구 : 타이핑구, 다리구 * [[타이중시 제8선거구|제8선거구]] : 펑위안구, 둥스구, 신서구, 스강구, 허핑구 ==== 타이난시 ==== * 제1선거구 : 신잉구, 옌수이구, 바이허구, 류잉구, 허우비구, 둥산구, 샤잉구, 류자구, 쉐자구, 장쥔구, 베이먼구 * [[타이난시 제2선거구|제2선거구]] : 마더우구, 관톈구, 다네이구, 자리구, 시강구, 치구구, 산화구, 안딩구, 산상구, 위징구, 난시구, 난화구, 쭤전구 * 제3선거구 : 베이구, 안난구 * 제4선거구 : 신화구, 신스구, 융캉구 * 제5선거구 : 둥구 일부, 난구, 안핑구, 중시구 * 제6선거구 : 런더구, 구이런구, 관먀오구, 룽치구, 둥구 일부 ==== 가오슝시 ==== * [[가오슝시 제1선거구|제1선거구]] : 다수구, 다서구, 옌차오구, 톈랴오구, 아롄구, 치산구, 메이눙구, 류구이구, 자셴구, 산린구, 네이먼구, 마오린구, 타오위안구, 나마샤구 * [[가오슝시 제2선거구|제2선거구]] : 강산구, 차오터우구, 루주구, 후네이구, 체딩구, 융안구, 미퉈구, 쯔관구 * [[가오슝시 제3선거구|제3선거구]] : 쭤잉구, 난쯔구 * 제4선거구 : 린위안구, 다랴오구, 런우구, 냐오쑹구 * 제5선거구 : 싼민구, 링야구 일부 * 제6선거구 : 옌청구, 구산구, 신싱구, 첸진구, 링야구 일부 * 제7선거구 : 펑산구 * 제8선거구 : 첸전구, 치진구, 샤오강구 ==== 신주현 ==== * 제1선거구 : [[주베이시]] 일부, 신푸진, 관시진, 후커우향, 신펑향, 충린향, 젠스향 * 제2선거구 : [[주베이시]] 일부, 주둥진, 헝산향, 베이푸향, 바오산향, 어메이향, 우펑향 ==== 먀오리현 ==== * 제1선거구 : 위안리진, 퉁샤오진, 주난진, 허우룽진, 퉁뤄향, 싼이향, 시후향, 짜오차오향 * 제2선거구 : 먀오리시, 터우펀시, 줘란진, 다후향, 궁관향, 난좡향, 터우우향, 싼완향, 쓰탄향, 타이안향 ==== 장화현 ==== * 제1선거구 : 루강진, 허메이진, 선강향, 푸싱향, 슈수이향, 셴시향 * 제2선거구 : 장화시, 화탄향, 펀위안향 * 제3선거구 : 시후진, 푸옌향, 푸신향, 베이터우진, 얼린진, 피터우향, 팡위안향, 다청향, 주탕향, 시저우향 * 제4선거구 : 위안린시, 톈중진, 다춘향, 융징향, 서터우향, 얼수이향, 톈웨이향 ==== 난터우현 ==== * 제1선거구 : 푸리진, 차오툰진, 중랴오향, 위츠향, 궈싱향, 런아이향 * 제2선거구 : 난터우시, 주산진, 지지진, 밍젠향, 루구향, 수이리향, 신이향 ==== 윈린현 ==== * 제1선거구 : 후웨이진, 후쿠진, 베이강진, 마이랴오향, 둥스향, 타이시향, 바오중향, 위안창향, 쓰후향, 커우후향, 수이린향 * 제2선거구 : 더우류시, 더우난진, 시뤄진, 구컹향, 다피향, 치퉁향, 린네이향, 얼룬향, 룬베이향 ==== 자이현 ==== * 제1선거구 : 타이바오시, 푸쯔시, 부다이진, 류자오향, 둥스향, 이주향, 루차오향, 수이샹향 * 제2선거구 : 다린진, 민슝향, 시커우향, 신강향, 중푸향, 주치향, 메이산향, 판루향, 다푸향, 아리산향 ==== 핑둥현 ==== * 제1선거구 : 핑둥시, 창즈향, 린뤄향, 리강향, 주루향, 옌푸향, 가오수향, 네이푸향, 산디먼향, 우타이향, 마자향 * [[핑둥현 제2선거구|제2선거구]] : 차오저우진, 둥강진, 헝춘진, 완단향, 완롼향, 주톈향, 신피향, 팡랴오향, 신위안향, 컨딩향, 린볜향, 난저우향, 류추향, 자둥향, 처청향, 만저우향, 팡샨향, 타이우향, 라이이향, 춘르향, 쓰쯔향, 무단향 === 원주민 선거구 === * 산지 원주민 선거구 : 대만 광복(1945년 10월 25일) 이전의 본적이 산지행정구역[* 山地行政區域, 원주민이 다수 거주하는 지역으로 등록된 지역. 행정구역으로는 산지향(山地鄉) 및 직할시산지원주민구(直轄市山地原住民區)로 지정된 곳을 말한다.]이고 직계 존속이 원주민으로 등록된 유권자. 이 선거구는 [[중선거구제|중선거구]]로, 득표순에 따라 3명을 선출한다. * 평지 원주민 선거구 : 대만 광복(1945년 10월 25일) 이전의 본적이 산지행정구역이 아니면서 직계 존속이 원주민으로 등록된 사람 중 자신이 원주민임을 등록한 유권자. 이 선거구는 [[중선거구제|중선거구]]로, 득표순에 따라 3명을 선출한다. == 선거 이력 == * [[2016년]] [[1월 16일]]: [[제9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 * [[2020년]] [[1월 11일]]: [[제10대 대만 입법위원 선거]] == 관련 문서 == * [[입법원]] [[분류:대만의 선거]][[분류:대만 입법위원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