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大明驛 / Daemyeong Station}}} ||<-3> {{{+2 '''대명역'''}}} || ||<-3> [[대구 도시철도 1호선|[[파일:Daegu1.svg|width=30]]]] || || [[설화명곡역|{{{#!html
설화명곡 방면}}}]][[서부정류장역|서부정류장]][br]← 0.8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html
1호선
(124)
}}}]] || [[안심역|{{{#!html
안심 방면}}}]][[안지랑역|안지랑]][br] 0.8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11px" [include(틀:지도, 장소=대명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Daemyeong || || [[한자]] ||<-2><|2> 大明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大明, ruby=テミョン)] || ||<-3> '''주소''' || ||<-3> [[대구광역시]] [[남구(대구광역시)|남구]] 대명로 지하71 ([[대명동(대구)|대명동]]) || ||<-3> '''관리역 및 고객센터''' || ||<-3> 송현관리역 / 1고객센터 || ||<-3> '''운영 기관'''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대구교통공사|[[파일:대구교통공사 로고.svg|width=180]]]] || ||<-3> '''개업일''' || || [[대구 도시철도 1호선|{{{#ffffff 1호선}}}]] ||<-2> 1997년 11월 26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심도 14.6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대명역.jpg|width=500]] 대명역 2번 출구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24번, [[대구광역시]] [[남구(대구광역시)|남구]] 대명로 지하71 ([[대명동(대구)|대명동]]) 소재. 역 주변은 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근에 남대구세무서,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대명초등학교가 있다. 그것들을 빼면 딱히 대표할 만한 건물이나 역세권이 발달하지 않은 편이라 승객 수는 저조한 편이다. 아파트도 있지만, 저층에다가 오래 된 것들이다. 하지만 [[대명역 센트럴 엘리프]]가 2022년 입주하여 수요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18년 1월 현재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이 역은 곡선 승강장이기 때문에 승강장과 열차 사이의 단차가 있으므로 내리거나 탈 때 주의해야 한다. 발빠짐 안내방송은 설화명곡 방면에서만 방송된다. 남대구세무서가 있기 때문에, 역 근처에 세무서가 있는 [[감삼역]] 및 [[북구청역]]같이 역 주변에 세무회계사무소가 많이 있다. == 명칭 유래 == 역명은 지명을 따라 제정되었다. [[임진왜란]]때 [[조선]]의 원병으로 왔던 [[명나라]]의 장수 [[두사충]]은 왜란이 끝난 후 귀국했다가 [[정유재란]]이 발발하자 다시 와서 정유재란을 평정했다. 난이 끝나고 나서는 조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두 아들과 함께 조선에 귀화했고 이에 조정은 현재 경상감영공원 일대를 주고 살도록 하였다. 그러나 타국에서 항상 고향에 두고 온 부인과 친척을 생각하다[* 두사충의 두 아들과 달리 두사충의 부인은 조선에 오기 싫다고 고국에 홀로 남았다.] 이 땅을 조정에 반납하고 대덕산 밑으로 집을 옮기고 고국인 명나라를 생각하고 잊지 않는다는 뜻에서 대명이라 하였다. 참고로 현재 두사충의 후손은 전국에 100여명이 있으며, 종손들은 모명재 주변에서 살고 있다. 참고로 대명이란 지명은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에도 있는데, 이 역시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들어와 귀화한 풍수가 시문용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붙인 지명이다. 시문용은 [[광해군]] 당시 실세 [[정인홍]]의 추천으로 한양에 올라가 궁궐터 소점에 관여한 풍수로 유명하다. 두사충의 무덤과 모명재는 [[만촌역]] 근처에 있다.[* 특이한 점은 두사충의 무덤 근처에 [[국가정보원]] 대구지부와 [[제2작전사령부|무열대]]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두사충의 후손인 두재규 씨는 '살아있을 때도 군대 속에서 살았는데 죽어서까지 군사들을 보초 세울 정도로 땅을 보는 안목이 뛰어났다'고 말하기도 했다.] == 일평균 이용객 == 대명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대구 도시철도 1호선|[[파일:Daegu1.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1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1년 || 5,402명 || || || 2002년 || 5,548명 || || || 2003년 || 3,316명 || || || 2004년 || 5,220명 || || || 2005년 || 5,376명 || || || 2006년 || 6,636명 || || || 2007년 || 6,336명 || || || 2008년 || 6,338명 || || || 2009년 || 6,105명 || ||}}}}}}}}} || || 2010년 || 5,939명 || || || 2011년 || 6,741명 || || || 2012년 || 7,220명 || || || 2013년 || 7,659명 || || || 2014년 || 7,828명 || || || 2015년 || 8,063명 || || || 2016년 || 8,783명 || || || 2017년 || 9,340명 || || || 2018년 || 9,887명 || || || 2019년 || {{{#d93f5c 10,516명}}} || || || 2020년 || 4,895명 || || || 2021년 || 4,958명 || || || 2022년 || 5,429명 || || ||<-3> {{{#ffffff '''출처'''}}}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www.dtro.or.kr/index.do?menu_link=/icms/bbs/selectBoardList.do|대구교통공사[br]사전정보 공개게시판]]}}} ||}}} * [[2000년]] 이전의 승객 수 자료 없음 이 역의 승하차 인원은 하루 평균 5천 명 남짓으로 비교적 적은 수의 사람들이 찾는다. '''[[행정동]] 11동'''까지 있는 거대 동인 [[대명동(대구)|대명동]]의 이름을 딴 역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수요가 저조한데, 이는 같은 노선의 [[월배역]]과 비슷하다. 역 이름의 인지도가 대구 내에서 굉장히 높지만, 정작 이들의 이름을 가져온 역들은 주변에 비해 수요가 적다는 공통점이 있다. 대명역의 수요가 저조한 이유로는, 역세권의 범위가 좁고 주변 역과 거리가 가깝다는 점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하필이면 대구 서남부의 교통 요충지인 [[서부정류장역|성당네거리]]와 700m 떨어져 있는데, 여기까지는 걸어서 10분이면 충분히 갈 수 있는 정도이다. 또한 [[두류공원로]]와 합쳐지며 [[막창]]골목으로 유명한 [[안지랑역]]과도 800m 거리로 상당히 가까워서, 두 역 사이에서 상당수의 역세권 파이를 빼앗기는 것이 단점으로 꼽힌다. 역 간격이 좁으면 [[인구 밀도]]가 높냐, 그렇지도 않다. 이 역 주변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회계사무소 등의 소규모 업무지구가 조성되어 있지만, 몇몇 오피스를 제외하면 모든 구역이 저층의 낡은 주거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대명역의 역세권 지역은 [[대명동(대구)|대명6동]] 및 [[대명동(대구)|대명10동]]인데, [[1970년대|1970]]~[[1980년대]]에 조성된 4층 이하의 저층 주거단지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고, 한국의 도심 치고는 인구 밀도가 낮은 편이다. 하지만 역세권의 개발이 차차 진행되면서 보잘 것 없던 역세권에 상당수의 사업체가 들어오면서 [[2011년]] 이후로 빠른 속도로 이용객 수가 증가하고 있다. [[대구 지하철 참사]]의 여파가 있었던 [[2003년]]을 제외하면 2011년까지 하루 평균 5~6천 명 수준의 저조한 이용률을 보여왔는데, [[2010년대]]의 고유가 시대 개막과 더불어 역세권에 기업들이 하나 둘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차츰 이용객이 늘어나 [[2017년]]에는 사상 최초로 하루 평균 9천 명을 돌파하였다. [[2019년]] 기준 하루 평균 1만 명을 돌파해 과거에는 [[안지랑역]]에 비해 수요가 다소 열세를 보였는데, 이제는 [[안지랑역]]을 뛰어넘었으나 2020년 이후로 다시 안지랑역에 한참 열세한 수준으로 전락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대유행으로 인한 타격을 크게 받았다. 2020년 초 [[신천지 대구교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집단 감염 사건|대구 지역 코로나 대유행을 일으킨]] '''신천지 대구교회'''가 이 역 4번 출구 앞에 존재했기에 대명역을 포함한 인근 지역이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인근 골안지구가 29층, 1,051세대 규모의 [[대명역 센트럴 엘리프]]라는 아파트로 [[재건축]]되면서, 아파트 입주가 완료되면 이용객은 지금보다 더 늘어날 것이다. 또한 1번 출구 북서쪽에는 아직도 [[20세기]] 말인 듯한 주택가가 있는데, [[2027년]] 재건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그 후 이용객 수가 급증할 것이다. == 승강장 == [[파일:대명승강장.jpg|width=100%]] 대명역 승강장 [[파일:대명역 안내도.png]] [br] 역 안내도(성당못역이 서부정류장역으로 바뀌기 이전) ||<-4> [[서부정류장역|서부정류장]]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안지랑역|안지랑]] || || {{{#ffffff 상}}} ||<|2> [[파일:Daegu1.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서부정류장역|서부정류장]]·[[상인역|상인]]·[[대곡역(대구)|대곡]]·[[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 || {{{#ffffff 하}}} ||[[반월당역|반월당]]·[[중앙로역(대구)|중앙로]]·[[동대구역(도시철도)|동대구]]·[[안심역|안심]] 방면|| == 출구 정보 == * 1번 출구: [[남대구세무서]],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삼아맨션, 스카이파크, 우방코스모스아파트 * 2번 출구: 우방뉴코스모스아파트, 대명빌라, 대명동교회, [[대명역 센트럴 엘리프]] * 3번 출구: 베이징빌라, 국민건강보험공단 대구남부지사, 대명어린이집, 대명초등학교, [[홈플러스 남대구점]] * 4번 출구: 나나바루아아파트, 안지랑우체국, 기아오토큐, 대명10동행정복지센터 == 역 주변 정보 == * [[대명송현지구]] * [[남대구세무서]] *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원래는 대구시설공단이었지만, 2022년 10월 1일 사명 변경 및 대구환경공단과 통합되었다.] * [[홈플러스 남대구점]] * [[대구대명초등학교]] * 안지랑우체국 * 중앙시장 == 연계 버스 == ||<-2>
{{{+1 {{{#373A3C,#dddddd '''대명역(1번출구) (02178)'''}}}}}} {{{#!wiki style="text-align: left" }}}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306|{{{#ffffff 30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518|{{{#ffffff 51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564|{{{#ffffff 56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00|{{{#ffffff 6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23|{{{#ffffff 62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49|{{{#ffffff 64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51|{{{#ffffff 651}}}]]}}}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95em"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ffffff 서구1}}}]]}}} || ||<-2>
{{{+1 {{{#373A3C,#dddddd '''대명역(2번출구) (05188)'''}}}}}} {{{#!wiki style="text-align: left" }}}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간선|{{{#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306|{{{#ffffff 306}}}]]}}}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518|{{{#ffffff 518}}}]]}}}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564|{{{#ffffff 564}}}]]}}}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00|{{{#ffffff 600}}}]]}}}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23|{{{#ffffff 623}}}]]}}}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49|{{{#ffffff 649}}}]]}}}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b3ed; font-size: .95em" [[대구 버스 651|{{{#ffffff 651}}}]]}}} || ||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지선|{{{#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6af30; font-size: .95em" [[대구 버스 서구1, 서구1-1|{{{#ffffff 서구1-1}}}]]}}} ||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 [[분류:1997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구광역시의 지하철역]][[분류:대구 도시철도 1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