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大毘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義釋演蜜鈔. [[중국]] 요나라의 승려 각원(覺苑)이 1077년에 저술한 불경. 훗날 [[고려]]의 고승인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1055∼1101)이 고려속장경(高麗續藏經), 즉 [[교장]](敎藏)을 제작할 때 이 불경을 함께 수록하였다. 현재 [[조선]] [[세조(조선)|세조]]가 1462년에 복원한 책이 한 권 남아 있으며, [[일본]]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중국 요나라의 각원이 1077년에 저술한 불교논술 총 10권으로, 이후 [[동아시아]] 지역에서 진언종(眞言宗) 3부경(三部經) 중의 하나로 손꼽힌 경전이다. 한국에는 [[고려]] 전기에 대각국사 의천이 총 4800여 권에 이르는 고려속장경(高麗續藏經), 즉 [[교장]](敎藏)을 제작할 때 이 불경을 들여와 함께 수록한 것이 최초이다. 그러나 이 교장은 [[대몽항쟁|몽골의 침입]] 시기에 대부분이 불타 흩어졌다. 현재 전해지는 것은 일본판으로 총 10권의 분량 중 권7의 한 권만이 남았다. 연구 결과 '천순 6년 임오세(세조 8, 1462) 조선국 간경도감 봉교중수'라는 번각기록이 발견되어 과거 교장이 불타 사라지고 조선이 건국된 후 1462년에 당시 왕이었던 조선 세조가 간경도감에 명을 내려 과거 의천의 교장 일부를 복원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일본의 조선지도서관(朝鮮之図書館, 朝鮮図書館研究会)에서 1934년 발표한 '義天續藏の現存本に就て', '李朝刊經都監と其の刊行佛典'를 통해 [[수능엄경의소주경]](首楞嚴經義疏注經) 1권과 2권, [[화엄경론]](華嚴經論) 50권~56권, [[대반열반경의기원지초]](大般涅槃經義記圓旨鈔) 13권~14권과 함께 이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의석연밀초 7권이 [[일본]]에 있음이 밝혀졌으며, 상기의 불경들은 모두 고려 전기 의천의 교장을 조선 세조 때 간경도감에서 복원한 것이 확인되었다. 고려시대의 발전된 인쇄술 및 불교문화를 연구할 수 있는 자료이나, 현재 일본에 소장되어 있는 상기의 교장본 자료들은 한국 국내에 있지 않고 일본측에서도 일반에 공개하기를 꺼리므로 자세한 연구는 힘들다. == 외부 링크 == * [[http://contents.history.go.kr/mfront/nh/view.do?levelId=nh_016_0020_0020_0020_0030|우리역사넷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3) 속장경 전래본]]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57641&cid=46648&categoryId=46648|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간경도감]] [[분류:고려의 불경]][[분류:조선의 불경]][[분류:해외 소재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