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대실역'''}}}[br](죽곡연합통증의학과) || ||<-3> [[대구 도시철도 2호선|[[파일:Daegu2.svg|width=30]]]] || || [[문양역|{{{#!html
문양 방면}}}]][[다사역|다 사]][br]← 1.0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html
2호선
(218)
}}}]] || [[영남대역|{{{#!html
영남대 방면}}}]][[강창역|강 창]][br]1.4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대실역, 너비=100%, 높이=100%)]}}} || ||<-3> '''역명 표기''' || || 2호선 ||<-2> {{{+3 '''대 실'''}}}[br]{{{-2 Daesil[br]대실 / 大希尔 / テシル}}} || ||<-3> '''주소''' || ||<-3>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달구벌대로]] 지하888[br](죽곡리) || ||<-3> '''관리역 및 고객센터''' || ||<-3> 강창관리역 / 2고객센터 || ||<-3> '''운영 기관'''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대구교통공사]] || ||<-3> '''개업일''' || || [[대구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2005년 10월 18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심도 21m)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218번,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달구벌대로]] 지하888 (죽곡리) 소재. == 역 정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attachment/대실역/station.jpg|width=100%]]}}} || || '''역 안내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대실역 2호선.jpg|width=100%]]}}} || || '''대합실''' || [[대구 도시철도]] 역 중 [[다사역]]과 더불어 최초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지하 1층과 지하 2층 사이의 일부가 반쯤 개방되어 있는 형태로 건설되었다. 대신 유리로 덮여 있어 완전히 밀폐되어 있다. 역명의 유래는 [[신라]]시대 [[가야]]의 침략을 막기 위해서 마을 뒷산에 개성이라는 성을 쌓고 그 아래에 '''화살'''로 사용하던 대나무가 많아서 대실이라 했다. 주변 지역의 이름인 죽곡(竹谷)은 이 '대실'을 한자로 옮긴 것이다. 1996년 2호선 초기 계획에선 이 역이 다사역, [[다사역]]은 매곡역이란 이름으로 계획되어 있었다.[[https://mnews.imaeil.com/page/view/1996080500052010027|#]] 이 역은 곡선 구간이 있어, 문양 방면에서 발빠짐 안내방송을 한다. 영남대 방면은 승차할 수 없는 맨 뒤쪽에 곡선 구간이 있어서 방송하지 않는다. == 역 주변 정보 == [[다사읍]]의 중심 [[상권]] 지역이다. [[읍내]] 격인데 사실 2천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조성된 신도시 지역이다보니 일반적인 읍 상권과 단순 비교하기엔 상당히 큰 규모와 깔끔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 다만 과거엔 논밖에 없던 지역이라 역사 북편에 조성된 죽곡1지구가 아니였으면 유동인구 거의 없는 역으로 전락할 뻔도 했다. 2010년대 들어선 역사 남편에 죽곡2지구도 조성되어 거주인구가 더 늘어났다. 관광지역인 [[강정고령보]]에서 가장 가까운 지하철이라 환승 수요도 좀 있는 모양.[* 환승시 [[대구 버스 성서2|성서2번]]을 타면 [[강정고령보]]까지 갈 수 있다.] 성서5차산업단지를 죽곡지구 뒷쪽의 세천리에 조성하면서 죽곡리 아파트 단지 뒤로 세천리로 나가는 길도 새로 정비되어 세천리에서도 오기 편하다.[* 매곡에서 세천으로 갈 때 본래는 강창동서타운 쪽의 경사길로 내려갔었다.] 본래 [[대구 버스 성서3|성서3번]]만이 대실역에서 세천교를 관통하여 세천리로 연계되는 유일한 시내버스 노선이었으나, 뒤이어 [[대구 버스 성서1, 성서1-1|성서1번]], [[대구 버스 달서1|달서1번]], [[대구 버스 425|425번]]이 연장 또는 조정의 과정을 거치게 되어 세천리와 연계되는 노선이 많이 늘었다. 2014년 3월 20일 [[달성군]] 최초의 군립 [[도서관]]인 달성군립도서관이 강창훼밀리타운 옆에 개관했다.[* 이전 달성군 관내에는 도서관이라곤 현풍읍 부리의 현풍읍사무소 근처에 있는 대구광역시립 달성도서관(달성3번 경유), [[논공읍]] 금포리에 있는 달성군청도서관, 달성군 각 읍면 지역에 있는 "작은 도서관" 정도밖에 없었다.] 이 도서관은 대실역 2번 출구에서 나와서 300m 정도 직진하여 강창훼밀리타운 골목 쪽으로 들어가면 된다. 매곡리 종점으로 들어가는 시내버스를 타고 오거나 환승해도 되지만 강창훼밀리타운 바로 앞에 시내버스 정류장이 없기 때문에 어차피 대실역이나 다사고등학교에서 내려도 똑같이 걸어와야 된다. 개관 이후 달성군 내 "작은 도서관"들은 당연히 달성군립도서관의 분관으로 개편되었으며, 공공도서관 통합도서 서비스 회원증은 개관 때부터 서비스를 시작해 대구광역시 관내의 모든 시립/구립/군립도서관에서 호환이 가능하다. 2015년 7월, 3번 출구에서 강창교 방향에 [[강서소방서(대구)|대구강서소방서]]가 개소했다. 행정구역은 달성군 다사읍이지만 달서구 [[성서(대구)|성서]]와 다사읍, 성서산단의 소방 수요를 위해 [[대구성서경찰서]]처럼 1개의 구나 군을 대상으로 분구를 못하는 대신 관내 기관을 늘리는 목적으로 신설된 것.[* 이곳은 달서구 죽전, 감삼, 용산동 소방 업무까지 수행하게 되었는데, 아이러니한 건 거리상 지금도 이 세 동네는 여전히 [[달서소방서]]가 출동한다. 구급차는 [[강서소방서(대구)|강서소방서]] 119 구급대라고 나오지만 119 구조대의 차량은 달서구조대.][* [[대구광역시]] [[북구(대구광역시)|북구]] [[칠곡(대구)|강북 지역]] [[강북소방서(대구)|대구강북소방서]]는 2023년 개서했다.] 여담으로 이 때 명칭을 두고 성서소방서와 다사소방서 경쟁이 있기도 했는데, 결국 [[금호강]] 서쪽에 있어서 강서소방서라는 제3의 명칭으로 정해졌다. 혹은 '강'창+성'서'가 합쳐졌다는 말도 있다. 4번 출구 쪽에는 [[대구은행]]이 있어 대경교통카드 충전이 가능하고 [[신한은행]]도 있어서 [[티머니]]의 충전도 가능하다. [[KB국민은행]]과 [[농협]]도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대실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대구 도시철도 2호선|[[파일:Daegu2.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2005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2005년 || 2,452명 || [* 2005년도 자료는 개통일인 10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6년 || 2,676명 || || || 2007년 || 3,090명 || || || 2008년 || 4,850명 || || || 2009년 || 7,810명 || ||}}}}}}}}} || || 2010년 || 8,418명 || || || 2011년 || 9,209명 || || || 2012년 || 10,820명 || || || 2013년 || 11,692명 || || || 2014년 || 12,018명 || || || 2015년 || 12,342명 || || || 2016년 || 12,776명 || || || 2017년 || 13,090명 || || || 2018년 || 13,285명 || || || 2019년 || {{{#00aa80 13,896명}}} || || || 2020년 || 9,583명 || || || 2021년 || 10,759명 || || || 2022년 || 11,662명 || || || 2023년 || 12,567명 || || ||<-3> {{{#ffffff '''출처'''}}} || ||<-3> {{{#!wiki style="margin: -0px -10px" [[https://www.dtro.or.kr/index.do?menu_link=/icms/bbs/selectBoardList.do|대구교통공사[br]사전정보 공개게시판]]}}} ||}}} 대실역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12,567명([[2023년]] 기준)으로 2호선 전체 평균을 넘는 것은 물론, 전체의 열 손가락 안에 들어가는 수요를 보이고 있다. 놀라운 사실은 이곳이 [[읍(행정구역)|읍]]에 위치한 역이라는 점인데, [[동(행정구역)|동]] 지역에 위치한 상당수의 역들이 이 역보다 낮은 수요를 기록한다는 점이 다소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많은 수요를 가진 곳은 아니었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각산역]]과 마찬가지로 영업 시작 후 시행된 지역 개발로 승객이 늘어난 역이다. [[2005년]]에 처음 영업을 시작했을 때에는 하루 평균 2,500~3,000명 정도밖에 이용하지 않았고, 이웃한 [[다사역]]과 수요가 비슷했다. 그러나 [[2008년]]부터 죽곡1지구의 입주가 시작되면서 이용객들이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1천 명 이상의 가파른 승객 증가를 기록했다. [[대구 도시철도]] 1, 2호선 통틀어 이용객 증가율이 가장 높은 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2005년 대비 10년만에 이용객 409% 증가라는 압도적인 기록을 만들어내며 1위를 차지한 것이다. 이용객 증가 수로 봐도 [[반월당역]]에 이은 2위이다(5,019명 증가). 이 역이 있는 죽곡1지구의 개발로 인하여 [[다사읍]]의 인구가 [[화원읍]]의 인구를 추월하여 [[달성군]] 내 1위를 가져가고 있다. 주된 수요처는 역이 위치하는 죽곡리, 매곡리의 [[아파트]] 단지이며, 이밖에도 소수의 [[성주군]] 및 [[하빈면]] 주민들이 250번이나 [[대구 버스 성서2|성서2번]]을 통해 [[문양역]]이 아닌 이 역에서 환승을 하기도 한다. [[금호강]] 건너 세천리에서 넘어오는 주민들도 일부 있지만 이들은 대체로 [[계명대역]]에서 갈아타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5권역의 메이저급 간선 노선인 [[대구 버스 425|425번]]이 [[계명대역]]을 끼고 있는 신당네거리에서 계명대동문을 거쳐 세천리로 올라갔다가 세천교를 건너 죽곡리로 들어오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됨에 따라 환승률이 높아진 것을 이유로 볼 수 있다. [[2021년]], 기존 [[남구(대구광역시)|남구]] [[대명동(대구)|대명동]]에 위치해 있던 [[심인중학교]], [[심인고등학교]]가 [[대구대실초등학교]] 옆으로 이전하였다. 심인중·고등학교의 이전 등 교육 환경의 개선이 대실역 주변에 계속해서 이루어짐에 따라, 이 역의 수요의 증가를 기대해볼만 하다. == 승강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파일:대실역 승강장.jpg|width=100%]]}}} || || '''승강장''' || ||<-4> [[다사역|다사]]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강창역|강창]] || [[상대식 승강장]] 구조이며, 대합실을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 {{{#ffffff 상}}} ||<|2>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다사역|다사]]·[[문양역|문양]] 방면|| || {{{#ffffff 하}}} ||[[청라언덕역|청라언덕]]·[[반월당역|반월당]]·[[범어역|범어]]·[[영남대역|영남대]] 방면|| == 연계 교통 == || 정류소(ID) || 시내버스 || || 대실역(1번출구)[br](01196) || {{{#dc2323 ●}}} [[대구 버스 급행1|급행1]] {{{#1c78cf ●}}} [[대구 버스 425|425]], [[대구 버스 524|524]], [[대구 버스 527|527]], [[대구 버스 564|564]], [[대구 버스 655|655]] {{{#ffcd12 ●}}} [[대구 버스 달서1|달서1]], [[대구 버스 성서1, 성서1-1|성서1, 성서1-1]], [[대구 버스 성서2|성서2]], [[대구 버스 성서3|성서3]](세천리행 한정) {{{#1ddb16 ●}}} [[성주, 칠곡 버스 250|250(성주)]] || || 대실역(2번출구)[br](02594) || {{{#dc2323 ●}}} [[대구 버스 급행1|급행1]] {{{#1c78cf ●}}} [[대구 버스 524|524]], [[대구 버스 527|527]], [[대구 버스 564|564]], [[대구 버스 655|655]] {{{#ffcd12 ●}}} [[대구 버스 성서1, 성서1-1|성서1-1]], [[대구 버스 성서2|성서2]] {{{#1ddb16 ●}}} [[성주, 칠곡 버스 250|250(성주)]] || || 대실역1[br](03152) || {{{#ffcd12 ●}}} [[대구 버스 성서1, 성서1-1|성서1-1]], [[대구 버스 성서2|성서2]] || || 대실역2[br](03155) || {{{#ffcd12 ●}}} [[대구 버스 성서1, 성서1-1|성서1]], [[대구 버스 성서2|성서2]] || || 대실역(4번출구)[br](01916) || {{{#1c78cf ●}}} [[대구 버스 425|425]] {{{#ffcd12 ●}}} [[대구 버스 달서1|달서1]], [[대구 버스 성서1, 성서1-1|성서1]], [[대구 버스 성서3|성서3]](세천리행 한정) ||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대구 도시철도 2호선의 역 목록)] [[분류:2005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달구벌대로]][[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대구광역시의 지하철역]][[분류:대구 도시철도 2호선]][[분류:순우리말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