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항아리(유희왕))] [목차]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속공 마법 카드. == 설명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818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대욕의 항아리, 일어판명칭=大欲(たいよく)(つぼ), 영어판명칭=Pot of Acquisitiveness,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제외 상태인 몬스터를 합계 3장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 3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셔플한다. 그 후\, 자신은 1장 드로우한다.)] 제외 덱 버전 항아리 시리즈로, 근 10년만에 나온 속공 마법 항아리.[* 최초의 속공 마법 항아리는 [[욕망의 항아리#항아리 도둑|항아리 도둑]]. 욕망의 항아리가 금지당한 지 오래인 요즘에는 아예 쓰지도 못 하는 카드다.] '대욕'이라는 말은 큰 욕심이라는 뜻이다. 한국에서는 불교계에서 가끔 사용되는 듯. 저 속공 마법이라는 점이 여러 모로 도움이 될 수 있는데, 가령 내 에이스나 패를 털고 제외 존에서 대기하고 있는 PSY프레임로드 제타나 [[PSY프레임로드 Ω]]를 덱에 쑤셔넣어 엿먹여주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물론 그 [[PSY프레임]] 덱에 투입하는 경우에도 싱크로 소재가 되지 못하고 제외된 파츠들을 덱으로 되돌려 재활용할 수 있으니 상성이 좋다. 소환 조건상 몬스터를 와장창 제외하는 [[인페르노이드]]에 넣어도 그럭저럭 괜찮은 궁합을 보여주고, 묘지에서 제외해 덱에서 자기 자신을 리크루트하는 [[데스티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와도 호궁합. [[후완다리즈]]는 제외된 하급 몬스터로 서치를 하기에 상대가 후완이면 이걸로 엿먹이기 딱 좋다. 물론 제외된 몬스터 카드가 최소 3장 필요하니, 주로 중후반에 사용될 것이다. 초반엔 사용 못할 가능성이 높으니 투입 수는 알아서 적절히 정하자. 다만 빨라진 듀얼 환경에서는 제외를 코스트로 전개를 이어가는 테마가 많으므로 첫 턴 전개 중에도 충분히 3장 정도는 쌓을 수 있고, 정 안 되면 지명자 시리즈로 제외된 패트랩을 이용할 수도 있다. 넣을 여유만 되면 충분한 가치가 있는 카드. [[부유벚꽃]]의 채용 분기에서는 이 카드를 카운터로 사이드에 채용하기도 한다. 엑스트라 덱 에이스 카드나 전개 주요 파츠가 전부 제외되면 손 쓸 겨를이 없는 덱에서 이 카드로 에이스를 엑덱으로 복귀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1장을 드로우하는 것은 덤. [[어둠의 유혹]]과 병행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데 어둠의 유혹을 쓰면 6장 드로우에 3장 제외라는 결과가 벌어지지만 대욕의 항아리로 그 3장을 덱으로 돌리고 다시 카드 1장을 드로우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는 어둠 속성 몬스터 3장을 덱으로 돌리고 7장을 드로우하게 된다. 다만 어둠의 유혹 3장과 대욕의 항아리를 전부 패에 잡고 드로우까지 순탄하게 성공하는 것은 현실성이 매우 떨어지는 입듀얼에 불과하다. 묘지에서 제외하고 묘지의 카드를 덱으로 되돌리는 [[숙신상 켈도]], [[검신관 무도라]]와 병행한다면 이론상 제외된 마법/함정을 제외한 모든 몬스터를 덱으로 회수할 수 있었으나, 두 카드 모두 제한이 되며 성공률이 급락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j60WVtVEAAFfv3.jpg|width=100%]]}}} || || [[https://mobile.twitter.com/YuGiOh_OCG_INFO/status/1603359222783254528|설정화]] || [[욕망과 겸허의 항아리]]를 시작으로 항아리들의 합체 변형 버전 카드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유일하게 합체 버전이 등장하지 않았다. 카드를 제외하는 무거운 코스트로 강력한 드로우/서치 효과를 가진 항아리 카드가 존재하기에 대욕의 항아리의 강화판[* 뒷면으로 제외된 카드를 되돌리고 드로우한다는 효과라든지...]이 나올 수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인베이전 오브 베놈|INVASION OF VENOM]] || INOV-JP065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마스터 링크|マスター・リンク]]- || INOV-JP065 || [[노멀]] || 일본 || || || 壺COLLECTION || TBC1-JP006 || [[패러렐 레어|패러렐]] [[울트라 레어]] || 일본 || || || [[인베이전 오브 베놈|Invasion: Vengeance]] || INOV-EN065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인베이전 오브 베놈]] || INOV-JP065 || [[슈퍼 레어]][br][[시크릿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마스터 링크]]- || INOV-JP065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탐욕의 단지]] === === [[이차원에서의 매장]] === [[분류:유희왕/OCG/속공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