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진주시의 면]] [Include(틀:진주시의 읍면동)] ||<-2> '''[[파일:진주시 CI.svg|height=15]] [[진주시|{{{#000000,#dddddd 진주시}}}]]의 [[면(행정구역)|{{{#000000,#dddddd 면}}}]]'''[br]'''{{{+1 대평면}}}'''[br]大坪面 | Daepyeong-myeon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진주시 대평면,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 진주시 || || '''행정표준코드''' || 5310064 || || '''관할 법정리''' || 6리 || || '''하위 행정구역''' || 10행정리 21반 || || '''면적''' || 41.05㎢ || || '''인구''' || 1,006명[* 2022년 12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24.51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진주시 갑'''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대출]] ,,(3선),, || ||<-2> '''경상남도의원 | 제2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박성도(1957)|박성도]] ,,(초선),, || ||<-2> '''진주시의원 | 나 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신현국 ,,(초선),,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전종현 ,,(초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한들길 44 (대평리 517-16) || || [[https://www.jinju.go.kr/00135/01113/01584.web|대평면사무소]] || [목차] [[파일:진양호_대평면.jpg|width=400]] >'''[[진양호]]''' [[파일:진양호의 벚꽃.jpg|width=400]] >'''[[진양호]]에 봄이 오면...''' [[파일:대평코스모스.gif|width=400]] >'''대평 코스모스 축제 (10월)''' == 개요 == [[경상남도]] [[진주시]]의 [[면(행정구역)|면]]. 면소재지는 대평리이며, 대평면 면적의 70% 정도가 [[진양호]]에 해당된다. 진양호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곳으로, 대평리를 제외하면 마을이 거의 없다. 1969년 [[남강댐]] 공사로 대부분 수몰됐기 때문. 1049번 지방도가 대평면을 지나며, 내동면과 산청군 단성면을 잇는다.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이 있다. 대평면사무소가 있는 대평리 시가지는 수몰 이주민들을 위해 지어졌는데, 반듯하게 구획되어 있고 건물이 밀집해있어 시골 동네같지 않게 꽉 차있다는 느낌이 들지만 역시 시골 동네인 지라 조용한 편. 다만 대평 코스모스 축제 기간에는 외지인들도 와서 제법 복잡하다. 수몰로 인해 신풍리, 대평리 일부, 상촌리 일부는 면내에서 직접 육로로 이어지지 못 하고 남강(진양호) 건너편에 떨어져 있다.[* 명석면 오미리와 가화리를 거쳐야 연결된다.] 심지어 신풍리 동쪽은 중간에 명석면 가화리로 이어지는 호수 유역으로 인해 한 번 더 끊겨 있다. 즉, 이들은 모두 [[월경지|실질월경지]]. 이들 중 신풍리 본토를 제외한 나머지 리에는 거주민괴 마을이 없다. == 주요 시설 == === 교육 === * 경상남도교육연수원 서부별관 (나눔관) === 문화 === * 진주청동기문화박물관 * 대평 일대 청동기시대 마을 발굴지 * 별의정원 문화예술공간 == 교통 == === 도로 === * [[1049번 지방도]] ([[호반로(진주)|호반로]]) == 기타 == [[문세광]]의 본적이 대평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