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대한민국의 보물)] [Include(틀:대한민국의 보물)]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보물]] 중 제1801호부터 제2000호까지의 목록이 나열된 문서. 1962년 현행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 [[흥인지문]]부터 처음 보물로 지정된 지 약 56년만에 2000번재 보물이 탄생했다. == 목록 == ||<:><-2>'''호(號)'''||<:>'''이름/한문표기'''[* [[문화재청]]에 등재된 정식 명칭을 기준으로 한다.]||<:>'''지역'''||<:>'''시대'''||<:>'''지정년월일'''||<:>'''비고'''|| ||<:><-2>1801호||<:>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大邱 寶聖禪院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및 腹藏遺物)||<:>대구광역시수성구청호로321(황금동,국립대구박물관)||<:>[[조선]]||<:>2013년 4월 29일 지정||<:>|| ||<:><-2>1802호||<:>[[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大邱寶聖禪院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腹藏典籍)||<:>대구광역시달서구송현로8안길35(송현동)||<:>[[조선]]||<:>2013년 4월 29일 지정||<:>|| ||<:><-2>1803호||<:>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 (九里 太祖 健元陵 神道碑)||<:>경기도구리시동구릉로197(인창동)||<:>[[조선]]||<:>2013년 7월 16일 지정||<:>|| ||<:><-2>1804호||<:>[[서울 태종 헌릉 신도비]] (서울 太宗 獻陵 神道碑)||<:>서울특별시서초구헌인릉길34(내곡동,헌인능관리사무)||<:>[[조선]]||<:>2013년 7월 16일 지정||<:>|| ||<:><-2>1805호||<:>서울 세종 영릉 신도비 (서울 世宗 英陵 神道碑)||<:>서울특별시동대문구회기로56-||<:>[[조선]]||<:>2013년 7월 16일 지정||<:>|| ||<:><-2>1806호||<:>합천 해인사 내전수함음소 권490 목판 (陜川 海印寺 內典隨函音疏 卷四百九十 木板)||<:>경상남도합천군가야면치인리10-0||<:>[[고려]]||<:>2013년 7월 16일 지정||<:>|| ||<:><-2>1807호||<:>해남 대흥사 천불전 (海南 大興寺 千佛殿)||<:>전라남도해남군대흥사길400(삼산면,대흥사)/(지번)전남해남군삼산면구림리799||<:>[[조선]]||<:>2013년 8월 5일 지정||<:>|| ||<:><-2>1808호||<:>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南陽州 水鐘寺 八角五層石塔)||<:>경기도남양주시북한강로433번길186(조안면,수종사)/(지번)경기남양주시조안면송촌리1060||<:>[[조선]]||<:>2013년 9월 4일 지정||<:>|| ||<:><-2>1809호||<:>칠태부인경수연도 (七太夫人慶壽宴圖)||<:>부산광역시남구유엔평화로63-0(대연동,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조선]]||<:>2013년 11월 13일 지정||<:>|| ||<:><-2>1810호||<:>황리현명 청동북 (黃利縣銘靑 銅金鼓)||<:>부산광역시서구구덕로225-0(부민동2가,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고려]]||<:>2013년 11월 13일 지정||<:>|| ||<:><-2>1811호||<:>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平昌 上院寺 木造文殊菩薩坐像 및 腹藏遺物)||<:>강원도평창군오대산로1211-92(진부면,상원사)||<:>[[조선]]||<:>2014년 1월 20일 지정||<:>|| ||<:><-2>1812호||<:>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보살좌상 복장전적 (平昌 上院寺 木造文殊菩薩坐像 腹藏典籍)||<:>강원도평창군오대산로374-8(진부면,월정사)||<:>[[조선]]||<:>2014년 1월 20일 지정||<:>|| ||<:><-2>1813호||<:>대구 용연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大邱 龍淵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및 腹藏遺物)||<:>대구광역시달성군용연사길260(옥포읍,용연사)||<:>[[조선]]||<:>2014년 1월 20일 지정||<:>|| ||<:><-2>1814호||<:>대구 운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大邱 雲興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대구광역시달성군헐티로1068(가창면,운흥사)||<:>[[조선]]||<:>2014년 1월 20일 지정||<:>|| ||<:><-2>1815호||<:>홍가신 청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洪可臣 淸難功臣 敎書 및 關聯 古文書)||<:>충청남도아산시만전당길120번길3-20(염치읍)||<:>[[조선]]||<:>2014년 1월 20일 지정||<:>|| ||<:><-2>1816호||<:>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昌寧 觀龍寺 大雄殿 觀音菩薩 壁畵)||<:>경상남도창녕군창녕읍화왕산관룡사길171(옥천리)||<:>[[조선]]||<:>2014년 3월 11일 지정||<:>|| ||<:><-2>1817호||<:>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관음보살・달마대사 벽화 (淸道 雲門寺 大雄寶殿 觀音菩薩・達摩大師 壁畵)||<:>경상북도청도군운문면운문사길264(신원리,운문사)||<:>[[조선]]||<:>2014년 3월 11일 지정||<:>|| ||<:><-2>1818호||<:>서울 보타사 금동보살좌상 (서울 普陀寺 金銅菩薩坐像)||<:>서울특별시성북구개운사길60-46(안암동5가,보타사)||<:>[[조선]]||<:>2014년 3월 11일 지정||<:>|| ||<:><-2>1819호||<:>[[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서울 奉恩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서울특별시강남구봉은사로531(삼성동,봉은사)||<:>[[조선]]||<:>2014년 3월 11일 지정||<:>|| ||<:><-2>1820호||<:>서울 옥천암 마애보살좌상 (서울 玉泉庵 磨崖菩薩坐像)||<:>서울특별시서대문구홍지문길1-38(홍은동,옥천암)/(지번)서울서대문구홍은동8||<:>[[고려]]||<:>2014년 3월 11일 지정||<:>|| ||<:><-2>1821호||<:>서울 청룡사 석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靑龍寺 石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서울특별시종로구동망산길65(숭인동,청룡사)||<:>[[조선]]||<:>2014년 3월 11일 지정||<:>|| ||<:><-2>1822호||<:>서울 화계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서울 華溪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서울특별시강북구화계사길117(수유동,화계사)||<:>[[조선]]||<:>2014년 3월 11일 지정||<:>|| ||<:><-2>1823호||<:>농경문 청동기 (農耕文 靑銅器)||<:>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철기]]||<:>2014년 5월 8일 지정||<:>|| ||<:><-2>1824호||<:>[[장안사(부산)|기장 장안사 석조석가여래삼불좌상]] (機張 長安寺 石造釋迦如來三佛坐像)||<:>부산광역시기장군장안읍장안로482(장안리,장안사)||<:>[[조선]]||<:>2014년 5월 8일 지정||<:>|| ||<:><-2>1825호||<:>[[의성 만취당]] (義城 晩翠堂)||<:>경상북도의성군점곡면사촌리207||<:>[[조선]]||<:>2014년 6월 5일 지정||<:>|| ||<:><-2>1826호||<:>양산 통도사 영산전 (梁山 通度寺 靈山殿)||<:>||<:>[[조선]]||<:>2014년 6월 5일 지정||<:>|| ||<:><-2>1827호||<:>양산 통도사 대광명전 (梁山 通度寺 大光明殿)||<:>경상남도양산시하북면지산리583||<:>[[조선]]||<:>2014년 6월 5일 지정||<:>|| ||<:><-2>1828호||<:>[[서울 보타사 마애보살좌상]] (서울 普陀寺 磨崖菩薩坐像)||<:>서울특별시성북구개운사길60-46(안암동5가,보타사)/(지번)서울성북구안암동5가7||<:>[[]]||<:>2014년 7월 2일 지정||<:>|| ||<:><-2>1829호||<:>대전 비래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大田 飛來寺 木造毘盧遮那佛坐像)||<:>대전광역시대덕구비래골길47-74(비래동)||<:>[[조선]]||<:>2014년 7월 2일 지정||<:>|| ||<:><-2>1830호||<:>분청사기 상감‘정통4년명’ 김명리 묘지 (粉靑沙器 象嵌‘正統四年銘’ 金明理墓誌)||<:>경기도용인시기흥구상갈로6(상갈동,경기도박물관)||<:>[[조선]]||<:>2014년 7월 2일 지정||<:>|| ||<:><-2>1831호||<:>의성 대곡사 대웅전 (義城 大谷寺 大雄殿)||<:>경상북도의성군다인면봉정리894||<:>[[조선]]||<:>2014년 7월 3일 지정||<:>|| ||<:><-2>1832호||<:>인제 봉정암 오층석탑 (麟蹄 鳳頂庵 五層石塔)||<:>강원도인제군북면용대리산77||<:>[[고려]]||<:>2014년 7월 3일 지정||<:>|| ||<:><-2>1833호||<:>김제 청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 (金堤 靑龍寺 木造觀音菩薩坐像)||<:>전라북도김제시모악15길80-122(금산면,청룡사)||<:>[[조선]]||<:>2014년 9월 19일 지정||<:>|| ||<:><-2>1834호||<:>나주 다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소조십육나한좌상 (羅州 多寶寺 木造釋迦如來三尊像 및 塑造十六羅漢坐像)||<:>전라남도나주시금성산길83(경현동,다보사)||<:>[[조선]]||<:>2014년 9월 19일 지정||<:>|| ||<:><-2>1835호||<:>정종 적개공신 교서 및 관련 고문서 (鄭種 敵愾功臣 敎書 및 關聯 古文書)||<:>||<:>[[조선]]||<:>2014년 10월 20일 지정||<:>|| ||<:><-2>1836호||<:>초조본 불정최승다라니경 (初雕本 佛頂㝡勝陁羅尼經)||<:>서울특별시관악구남부순환로152길53(신림동,호림박물관)||<:>[[고려]]||<:>2014년 10월 20일 지정||<:>|| ||<:><-2>1837호||<:>초조본 불설문수사리일백팔명범찬 (初雕本 佛說文殊師利一百八名梵讚)||<:>서울특별시관악구남부순환로152길53(신림동,호림박물관)||<:>[[고려]]||<:>2014년 10월 20일 지정||<:>|| ||<:><-2>1838호||<:>초조본 법원주림 권82 (初雕本 法苑珠林 卷八十二)||<:>서울특별시관악구남부순환로152길53(신림동,호림박물관)||<:>[[고려]]||<:>2014년 10월 20일 지정||<:>|| ||<:><-2>1839호||<:>초조본 불설일체여래금강삼업최상비밀대교왕경 권4 (初雕本 佛說一切如來金剛三業最上秘密大敎王經 卷四)||<:>서울특별시관악구남부순환로152길53(신림동,호림박물관)||<:>[[고려]]||<:>2014년 10월 20일 지정||<:>|| ||<:><-2>1840호||<:>청송 보광사 극락전 (靑松 普光寺 極樂殿)||<:>||<:>[[조선]]||<:>2014년 12월 17일 지정||<:>|| ||<:><-2>1841호||<:>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 (康津 高聲寺 靑銅菩薩坐像)||<:>||<:>[[고려]]||<:>2014년 12월 31일 지정||<:>|| ||<:><-2>1842호||<:>익산 관음사 목조보살입상 (益山 觀音寺 木造菩薩立像)||<:>||<:>[[조선]]||<:>2014년 12월 31일 지정||<:>|| ||<:><-2>1843호||<:>강진 정수사 석가여래삼불좌상 (康津 淨水寺 釋迦如來三佛坐像)||<:>||<:>[[조선]]||<:>2014년 12월 31일 지정||<:>|| ||<:><-2>1844호||<:>[[경주 월지 금동초심지가위]] (慶州 月池 金銅燭鋏)||<:>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인왕동, 국립경주박물관)||<:>[[통일신라]]||<:>2014년 12월 31일 지정||<:>|| ||<:><-2>1845호||<:>[[부여 사택지적비]] (扶餘 砂宅智積碑)||<:>충청남도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백제]]||<:>2014년 12월 31일 지정||<:>|| ||<:><-2>1846호||<:>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8 (大方廣佛華嚴經 貞元本 卷八)||<:>||<:>[[고려]]||<:>2014년 12월 31일 지정||<:>|| ||<:><-2>1847호||<:>[[대방광불화엄경 주본#s-19|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4]]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三十四)||<:>||<:>[[고려]]||<:>2014년 12월 31일 지정||<:>|| ||<:><-2>1848호||<:>[[목우자수심결언해|목우자수심결(언해)]] (牧牛子修心訣(諺解))||<:>||<:>[[조선]]||<:>2014년 12월 31일 지정||<:>|| ||<:><-2>1849호||<:>남해 용문사 대웅전 (南海 龍門寺 大雄殿)||<:>경상남도남해군용문사길166-11(이동면)||<:>[[조선]]||<:>2014년 12월 29일 지정||<:>|| ||<:><-2>1850호||<:>대구 파계사 원통전 (大邱 把溪寺 圓通殿)||<:>대구광역시동구파계로741(중대동)||<:>[[조선]]||<:>2014년 12월 29일 지정||<:>|| ||<:><-2>1851호||<:>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論山 雙溪寺 塑造釋迦如來三佛坐像)||<:>||<:>[[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52호||<:>남원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소조시왕상 일괄 (南原 禪院寺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塑造十王像 一括)||<:>||<:>[[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53호||<:>완주 정수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完州 淨水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54호||<:>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 (金泉 古方寺 阿彌陀如來說法圖)||<:>||<:>[[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55호||<:>원주 구룡사 삼장보살도 (原州 龜龍寺 三藏菩薩圖)||<:>||<:>[[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56호||<:>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 (大邱 瑞鳳寺 地藏十王圖)||<:>||<:>[[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57호||<:>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永川 銀海寺 念佛往生捷徑圖)||<:>||<:>[[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58호||<:>보은 법주사 동종 (報恩 法住寺 銅鍾)||<:>||<:>[[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59호||<:>김천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 (金泉 直指寺 大雄殿 須彌壇)||<:>||<:>[[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60호||<:>부여 무량사 삼전패 (扶餘 無量寺 三殿牌)||<:>||<:>[[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61호||<:>보성 대원사 극락전 관음보살 달마대사 벽화 (寶城 大原寺 極樂殿 觀音菩薩 達摩大師 壁畵)||<:>||<:>[[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62호||<:>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 (麗水 興國寺 大雄殿 觀音菩薩 壁畵)||<:>||<:>[[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63호||<:>해남 대흥사 석가여래삼불좌상 (海南 大興寺 釋迦如來三佛坐像)||<:>||<:>[[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64호||<:>소상팔경도 (瀟湘八景圖)||<:>경상남도진주시남강로626-35(남성동,국립진주박물관)||<:>[[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1865호||<:>[[대방광불화엄경 주본#s-20|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2]] (大方廣佛華嚴經周本 卷七十二)||<:>||<:>[[고려]]||<:>2015년 3월 4일 지정||<:>|| ||<:><-2>--1866호--||<:>--[[삼국유사]] 권1~2-- --(三國遺事 卷一~二)--||<:>||<:>[[조선]]||<:>2015년 3월 4일 지정||<:>[* 2018년 2월 22일 해제, 국보 제306-3호로 승격]|| ||<:><-2>1867호||<:>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 (慶州 南山 昌林寺址 三層石塔)||<:>||<:>[[신라]]||<:>2015년 3월 9일 지정||<:>|| ||<:><-2>1868호||<:>포항 보경사 적광전 (浦項 寶鏡寺 寂光殿)||<:>경상북도포항시북구보경로523(송라면)||<:>[[조선]]||<:>2015년 3월30일 지정||<:>|| ||<:><-2>1869호||<:>[[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 象嵌雲鶴文 梅甁)||<:>||<:>[[고려]]||<:>2015년 4월 22일 지정||<:>|| ||<:><-2>1870호||<:>[[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금동찰주본기]] (慶州 皇龍寺 九層木塔 金銅刹柱本記)||<:>||<:>[[신라]]||<:>2015년 4월 22일 지정||<:>|| ||<:><-2>1871호||<:>[[동제염거화상탑지]] (銅製廉巨和尙塔誌)||강원도 춘천시 우석로 70(국립춘천박물관)||<:>[[통일신라]]||<:>2015년 4월 22일 지정||<:>|| ||<:><-2>1872호||<:>전 회양 장연리 금동관음보살좌상 (傳 淮陽 長淵里 金銅觀音菩薩坐像)||<:>||<:>[[기타]]||<:>2015년 4월 22일 지정||<:>|| ||<:><-2>1873호||<:>원주 학성동 철조약사여래좌상 (原州 鶴城洞 鐵造藥師如來坐像)||<:>||<:>[[기타]]||<:>2015년 4월 22일 지정||<:>|| ||<:><-2>1874호||<:>[[순천 매곡동 석탑 청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삼존좌상]] (順天 梅谷洞 石塔 靑銅佛龕 및 金銅阿彌陀如來三尊坐像)||<:>||<:>[[조선]]||<:>2015년 4월 22일 지정||<:>|| ||<:><-2>1875호||<:>[[정선필 풍악도첩]] (鄭敾筆 楓嶽圖帖)||<:>||<:>[[조선]]||<:>2015년 4월 22일 지정||<:>|| ||<:><-2>1876호||<:>완산부지도 (完山府地圖)||<:>||<:>[[조선]]||<:>2015년 4월 22일 지정||<:>|| ||<:><-2>1877호||<:>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奉化 太子寺 朗空大師塔碑)||<:>||<:>[[고려]]||<:>2015년 4월 22일 지정||<:>|| ||<:><-2>1878호||<:>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慶州 壺杅塚 出土 靑銅 ‘廣開土大王’銘 壺杅)||<:>||<:>[[고구려]]||<:>2015년 9월 2일 지정||<:>|| ||<:><-2>1879호||<:>[[희경루]]방회도 (喜慶樓榜會圖)||<:>||<:>[[조선]]||<:>2015년 9월 2일 지정||<:>|| ||<:><-2>1880호||<:>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 (淸州 明岩洞 出土 ‘丹山烏玉’銘 高麗 墨)||<:>||<:>[[고려]]||<:>2015년 10월 23일 지정||<:>|| ||<:><-2>1881호||<:>서울 [[창의문]] (서울 彰義門)||<:>서울특별시 종로구||<:>[[조선]]||<:>2015년 12월 2일 지정||<:>|| ||<:><-2>1882-1호||<:>고려 십육나한도(제7가리가존자) (高麗 十六羅漢圖(第七迦理迦尊者))||<:>부산광역시 수영구||<:>[[고려]]||<:>2016년 1월 7일 지정||<:>|| ||<:><-2>1882-2호||<:>고려 십육나한도(제15아벌다존자) (高麗 十六羅漢圖(第十五阿伐多尊者))||<:>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고려]]||<:>2016년 1월 7일 지정||<:>|| ||<:><-2>1883호||<:>고려 오백나한도 (高麗 五百羅漢圖)||<:>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고려]]||<:>2016년 1월 7일 지정||<:>|| ||<:><-2>1884호||<:>신묘삼월 문무과전시방목 (辛卯三月 文武科殿試榜目)||<:>서울특별시 서초구||<:>[[조선]]||<:>2016년 1월 7일 지정||<:>|| ||<:><-2>1885호||<:>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서울특별시 서초구||<:>[[고려]]||<:>2016년 1월 7일 지정||<:>|| ||<:><-2>1886호||<:>재조본 유가사지론 권20 (再雕本 瑜伽師地論 巻二十)||<:>서울특별시 용산구||<:>[[고려]]||<:>2016년 1월 7일 지정||<:>|| ||<:><-2>1887호||<:>노영 필 아미타여래구존도 및 고려 태조 담무갈보살 예배도 (魯英 筆 阿彌陀如來九尊圖 및 高麗 太祖曇無竭菩薩 禮拜圖)||<:>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고려]]||<:>2016년 2월 22일 지정||<:>|| ||<:><-2>1888호||<:>구례 천은사 삼장보살도 (求禮 泉隱寺 三藏菩薩圖)||<:>전라남도구례군노고단로209(광의면,천은사)||<:>[[조선]]||<:>2016년 2월 22일 지정||<:>|| ||<:><-2>1889호||<:>구례 천은사 목조관세음보살좌상 및 대세지보살좌상 (求禮 泉隱寺 木造觀世音菩薩坐像 및 大勢至菩薩坐像)||<:>전라남도구례군노고단로209(광의면,천은사)||<:>[[조선]]||<:>2016년 2월 22일 지정||<:>|| ||<:><-2>1890호||<:>[[익산 심곡사 칠층석탑|익산 심곡사 칠층석탑 출토 금동불감 및 금동아미타여래칠존좌상]] (益山 深谷寺 七層石塔 出土 金銅佛龕 및 金銅阿彌陀如來七尊坐像)||<:>전라북도익산시궁성로666(왕궁면,왕궁리유적전시관)||<:>[[기타]]||<:>2016년 2월 22일 지정||<:>|| ||<:><-2>1891호||<:>서울 흥천사 금동천수관음보살좌상 (서울 興天寺 金銅千手觀音菩薩坐像)||<:>서울특별시성북구흥천사길29(돈암동,흥천사)||<:>[[기타]]||<:>2016년 2월 22일 지정||<:>|| ||<:><-2>1892호||<:>[[익재난고|익재난고 권6~7]] (益齋亂藁卷 六~七)||<:>대구광역시달서구달구벌대로1095(신당동,계명대학교동산도서관)||<:>[[조선]]||<:>2016년 2월 22일 지정||<:>|| ||<:><-2>1893호||<:>[[역옹패설]] (櫟翁稗說)||<:>대구광역시달서구달구벌대로1095(신당동,계명대학교성서캠퍼스)||<:>[[조선]]||<:>2016년 2월 22일 지정||<:>|| ||<:><-2>1894호||<:>[[퇴계선생문집]] (退溪先生文集)||<:>대구광역시달서구달구벌대로1095(신당동,계명대학교동산도서관)||<:>[[조선]]||<:>2016년 2월 22일 지정||<:>|| ||<:><-2>1895호||<:>[[퇴계선생문집]]목판 (退溪先生文集木板)||<:>경상북도안동시퇴계로1997(도산면,한국국학진흥원)||<:>[[조선]]||<:>2016년 2월 22일 지정||<:>|| ||<:><-2>1896호||<:>부산 운수사 대웅전 (釜山 雲水寺 大雄殿)||<:>부산광역시사상구모라로219번길173(모라동,운수사)||<:>[[조선]]||<:>2016년 3월 2일 지정||<:>|| ||<:><-2>1897호||<:>서경우 초상 및 함 (徐景雨 肖像 및 函)||<:>경기도 포천시||<:>[[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2>1898호||<:>서문중 초상 및 함 (徐文重 肖像 및 函)||<:>경기도 포천시||<:>[[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2>1899호||<:>은제도금화형탁잔 (銀製鍍金花形托盞)||<:>서울특별시용산구서빙고로137(용산동6가,국립중앙박물관)||<:>[[고려]]||<:>2016년 5월 3일 지정||<:>|| ||<:><-2>1900호||<:>주역참동계 (周易參同契)||<:>서울특별시양천구목동서로100(목동,목동신시가지아파트3단지)303동501호||<:>[[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12>1901호||<:>1901-1호||<:>[[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1901-2호||<:>[[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1901-3호||<:>[[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세종로, 국립고궁박물관)||<:>[[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1901-4호||<:>[[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경상남도 사천시 시청로 77(용현면, 사천시청)||<:>[[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1901-5호||<:>[[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반포동, 국립중앙도서관)||<:>[[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1901-6호||<:>[[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부산광역시 금정구 오륜대로 106-1(부곡동)||<:>[[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1901-7호||<:>[[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1901-8호||<:>[[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세로 50(신촌동, 연세대학교)||<:>[[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1901-9호||<:>[[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강원도 삼척시 엑스포로 54(성남동, 삼척시립박물관)||<:>[[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1901-10호||<:>[[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신문로2가)||<:>[[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1901-11호||<:>[[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직지대로 713(운천동, 청주고인쇄박물관)||<:>[[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1901-12호||<:>[[조선왕조의궤]] (朝鮮王朝儀軌)||<:>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대현동, 이화여자대학교)||<:>[[조선]]||<:>2016년 5월 3일 지정||<:>|| ||<:><-2>1902호||<:>제주향교 대성전 (濟州鄕校 大成殿)||<:>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문로 43(용담일동, 제주향교)||<:>[[조선]]||<:>2016년 6월 13일 지정||<:>|| ||<:><-2>1903호||<:>[[수월관음도#s-1.4|고려 수월관음보살도]] (高麗 水月觀音菩薩圖)||<:>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152길 53(신림동, 호림박물관)||<:>[[고려]]||<:>2016년 7월 1일 지정||<:>|| ||<:><-2>1904호||<:>[[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출토 사리장엄구]] (金泉 葛項寺址 東·西 三層石塔 出土 舍利莊嚴具)||<:>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황금동, 국립대구박물관)||<:>[[통일신라]]||<:>2016년 7월 1일 지정||<:>|| ||<:><-2>1905호||<:>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서울 淸進洞 出土 白磁壺)||<:>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55(신문로2가, 서울역사박물관)||<:>[[조선]]||<:>2016년 7월 1일 지정||<:>|| ||<:><-2>1906호||<:>[[대명률]] (大明律)||<:>경상북도영천시상계로165(고경면)||<:>[[조선]]||<:>2016년 7월 1일 지정||<:>|| ||<:><-2>1907호||<:>[[함통6년명 청동북]]||<:>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통일신라]]||<:>2016년 9월 1일 지정||<:>|| ||<:><-2>1908호||<:>[[묘법연화경]] 목판||<:>인천 강화군||<:>[[조선]]||<:>2016년 9월 1일 지정||<:>|| ||<:><-2>1909호||<:>대방광불화엄경소 목판||<:>전남 순천시||<:>[[조선]]||<:>2016년 9월 1일 지정||<:>|| ||<:><-2>1910호||<:>[[계초심학인문언해|계초심학인문(언해)]] 목판||<:>전남 순천시||<:>[[조선]]||<:>2016년 9월 1일 지정||<:>|| ||<:><-2>1911호||<:>인천안목 목판||<:>전남 순천시||<:>[[조선]]||<:>2016년 9월 1일 지정||<:>|| ||<:><-2>1912호||<:>종경촬요 목판||<:>전남 순천시||<:>[[조선]]||<:>2016년 9월 1일 지정||<:>|| ||<:><-2>1913호||<:>청량답순종심요법문 목판||<:>전남 순천시||<:>[[조선]]||<:>2016년 9월 1일 지정||<:>|| ||<:><-2>1914호||<:>[[천지명양수륙잡문]] 목판||<:>전남 순천시||<:>[[조선]]||<:>2016년 9월 1일 지정||<:>|| ||<:><-2>1915호||<:>달마대사관심론 목판 (達磨大師觀心論 木板)||<:>충남 서산시||<:>[[조선]]||<:>2016년 9월 1일 지정||<:>|| ||<:><-2>1916호||<:>달마대사혈맥론 목판||<:>충남 서산시||<:>[[조선]]||<:>2016년 9월 1일 지정||<:>|| ||<:><-2>1917호||<:>예천 야옹정||<:>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맛질길 55||<:>[[조선]]||<:>2016년 9월 9일 지정||<:>|| ||<:><-2>1918호||<:>고창 문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高敞 文殊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칠성길 135(문수사)||<:>[[조선]]||<:>2016년 11월 16일 지정||<:>|| ||<:><-2>1919호||<:>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奉化 淸凉寺 乾漆藥師如來坐像 및 腹藏遺物)||<:>경상북도 봉화군 명호면 청량로 255(청량사)||<:>[[고려]]||<:>2016년 11월 16일 지정||<:>|| ||<:><-2>1920호||<:>고창 문수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및 시왕상 일괄 (高敞 文殊寺 木造地藏菩薩坐像 및 十王像 一括)||<:>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칠성길 135(문수사)||<:>[[조선]]||<:>2016년 11월 16일 지정||<:>|| ||<:><-2>1921호||<:>[[양산 금조총 출토 유물 일괄]] (梁山 金鳥塚 出土 遺物 一括)||<:>경상남도 양산시 북정동(동아대학교 박물관)||<:>[[신라]]||<:>2016년 11월 16일 지정||<:>|| ||<:><-2>1922호||<:>[[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 (釜山 福泉洞 出土 金銅冠)||<:>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로 66(복천동, 복천박물관)||<:>[[신라]]||<:>2016년 11월 16일 지정||<:>|| ||<:><-2>1923호||<:>[[정조 어찰첩]] (正祖 御札牒)||<:>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 25-2(명륜3가, 성균관대학교)||<:>[[조선]]||<:>2016년 11월 16일 지정||<:>|| ||<:><-2>1924호||<:>[[조선경국전]] (朝鮮經國典)||<:>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은산길 51(은산 2리)||<:>[[조선]]||<:>2016년 11월 16일 지정||<:>|| ||<:><-2>1925호||<:>금강산 출토 이성계 발원 사리장엄구 일괄 (金剛山 出土 李成桂 發願 舍利莊嚴具 一括)||<:>강원도 춘천시 우석로 70(석사동 95-3, 국립춘천박물관)||<:>[[고려]]||<:>2017년 1월 03일 지정||<:>|| ||<:><-2>1926호||<:>[[협주명현십초시]] (夾注名賢十抄詩)||<:>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신림동 산56-1, 서울대 규장각)||<:>[[통일신라]]||<:>2017년 1월 03일 지정||<:>|| ||<:><-2>1927호||<:>박동형 초상 및 함 (朴東亨 肖像 및 函)||<:>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운중동 490-8,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2017년 1월 03일 지정||<:>|| ||<:><-2>1928호||<:>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 (慶州 味呑寺址 三層石塔)||<:>경북 경주시 구황동 433-4 외 2필지||<:>[[통일신라]]||<:>2017년 1월 11일 지정||<:>|| ||<:><-2>1929호||<:>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金允謙 筆 嶺南紀行畵帖)||<:>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2가 동아대학교 박물관||<:>[[조선]]||<:>2017년 3월 8일 지정||<:>|| ||<:><-2>1930호||<:>청자 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 (靑磁 堆花草花文 瓢形 注子 및 承盤)||<:>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고려]]||<:>2017년 3월 8일 지정||<:>|| ||<:><-2>1931호||<:>청자 죽순모양 주전자||<:>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고려]]||<:>2017년 3월 8일 지정||<:>|| ||<:><-2>1932호||<:>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고려]]||<:>2017년 3월 8일 지정||<:>|| ||<:><-2>1933호||<:>경주 [[불국사]] 삼장보살도||<:>경북 경주시 불국사||<:>[[조선]]||<:>2017년 3월 8일 지정||<:>|| ||<:><-2>1934호||<:>곡성 도림사 아미타여래설법도||<:>전라남도 곡성군 도림사||<:>[[조선]]||<:>2017년 3월 8일 지정||<:>|| ||<:><-2>1935호||<:>경주 남산 용장계 지곡 제3사지 삼층석탑||<:>경상북도 경주시 남산동 산 36-4||<:>[[통일신라]]||<:>2017년 4월 7일 지정||<:>|| ||<:><-2>1936호||<:>최석정 초상 및 함(崔錫鼎 肖像 및 函)||<:>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 (명암동, 국립청주박물관)||<:>[[조선]]||<:>2017년 5월 8일 지정||<:>|| ||<:><-2>1937호||<:>신여량 상가교서(申汝樑賞加敎書)||<:>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국립광주박물관)||<:>[[조선]]||<:>2017년 5월 8일 지정||<:>|| ||<:><-2>1938호||<:>신여량 밀부유서(申汝樑密符諭書)||<:>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국립광주박물관)||<:>[[조선]]||<:>2017년 5월 8일 지정||<:>|| ||<:><-2>1939호||<:>[[능엄경언해#s-5.15|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大佛頂如來密因脩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경상북도 경산시||<:>[[조선]]||<:>2017년 5월 8일 지정||<:>|| ||<:><-2>1940호||<:>[[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s-9|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41]] (初雕本 大方廣佛華嚴經 周本 卷41)||<:>경상북도 경산시||<:>[[고려]]||<:>2017년 5월 8일 지정||<:>|| ||<:><-2>1941호||<:>청주 비중리 석조여래삼존상 및 석조여래입상 (淸州 飛中里 石造如來三尊像 및 石造如來立像)||<:>충청북도 청주시||<:>[[삼국시대]]||<:>2017년 6월 23일 지정||<:>|| ||<:><-2>1942호||<:>화성 용주사 대웅보전 (華城 龍珠寺 大雄寶殿)||<:>경기도 화성시 용주로 136(송산동, 용주사)||<:>[[조선]]||<:>2017년 8월 14일 지정||<:>|| ||<:><-2>1943호||<:>[[재조본 사분율 권47~50]] (再雕本 四分律 卷四十七~五十)||<:>부산광역시 서구||<:>[[고려]]||<:>2017년 8월 31일 지정||<:>|| ||<:><-2>1944호||<:>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출토 유물 일괄 (密陽 表忠寺 三層石塔 出土 遺物 一括)||<:>경상남도 밀양시||<:>[[통일신라]]||<:>2017년 10월 31일 지정||<:>|| ||<:><-2>1945호||<:>구미 대둔사 대웅전 (龜尾 大芚寺 大雄殿)||<:>경상북도 구미시 산촌옥관로 691-78(옥성면, 대둔사)||<:>[[조선]]||<:>2017년 11월 28일 지정||<:>|| ||<:><-2>1946호||<:>[[신한첩#s-4|신한첩 곤]] (宸翰帖 坤)||<:>대구광역시 달서구||<:>[[조선]]||<:>2010년 01월 04일 지정||<:>[* 보물 제1629-2호 신한첩-신한첩 곤 으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서첩의 전래상황과 수록 자료의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각 서첩의 성격과 내용에 맞게 별도 명칭과 번호로 변경]|| ||<:><-2>1947호||<:>[[신한첩#s-5|숙명신한첩]] (淑明宸翰帖)||<:>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43(명암동, 국립청주박물관)||<:>[[조선]]||<:>2010년 01월 04일 지정||<:>[* 보물 제1629-1호 신한첩-신한첩 건 으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서첩의 전래상황과 수록 자료의 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 각 서첩의 성격과 내용에 맞게 별도 명칭과 번호로 변경]|| ||<:><-2>1948호||<:>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 (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경기도 시흥시||<:>[[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49호||<:>정선 필 해악전신첩 (鄭敾 筆 海嶽傳神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50호||<:>정선 필 경교명승첩 (鄭敾 筆 京郊名勝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51호||<:>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鄭敾 筆 楓嶽內山總覽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52호||<:>정선 필 청풍계도 (鄭敾 筆 淸風溪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53호||<:>정선 필 여산초당도 (鄭敾 筆 廬山草堂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54호||<:>청자 음각환문 병 (靑磁 陰刻環文 甁)||<:>서울특별시 성북구||<:>[[고려]]||<:>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55호||<:>청자 양각도철문 정형 향로 (靑磁 陽刻饕餮文 鼎形 香爐)||<:>서울특별시 성북구||<:>[[고려]]||<:>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56호||<:>청도 용천사 영산회상도 (淸道 湧泉寺 靈山會上圖)||<:>경상북도 청도군||<:>[[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57호||<:>청도 대비사 영산회상도 (淸道 大悲寺 靈山會上圖)||<:>경상북도 청도군||<:>[[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58호||<:>예천 보문사 삼장보살도 (醴泉 普門寺 三藏菩薩圖)||<:>경상북도 예천군||<:>[[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59호||<:>묘법연화경 목판 (妙法蓮華經 木板)||<:>전라남도 해남군||<:>[[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60호||<:>불설대보부모은중경(언해) 목판 (佛說大報父母恩重經(諺解) 木板)||<:>충청남도 아산시||<:>[[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61호||<:>묘법연화경 목판 (妙法蓮華經 木板)||<:>충청남도 서산시||<:>[[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62호||<:>계초심학인문 목판 (誡初心學人文 木板)||<:>충청남도 서산시||<:>[[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63호||<:>도가논변모자리혹론 목판 (道家論辨牟子理惑論 木板)||<:>충청남도 서산시||<:>[[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64호||<:>몽산화상육도보설 목판 (蒙山和尙六道普說 木板)||<:>충청남도 서산시||<:>[[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65호||<:>예수시왕생칠재의찬요 목판 (豫修十王生七齋儀纂要 木板)||<:>충청남도 서산시||<:>[[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66호||<:>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 목판 (聖觀自在求修六字禪定 木板)||<:>충청남도 서산시||<:>[[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67호||<:>오대진언 목판 (五大眞言 木板)||<:>충청남도 서산시||<:>[[조선]]||<:>2017년 12월 26일 지정||<:>|| ||<:><-2>1968호||<:>금강반야바라밀경 및 제경 (金剛般若波羅蜜經 및 諸經)||<:>경상북도 군위군||<:>[[고려]]||<:>2018년 02월 22일 지정||<:>|| ||<:><-2>1969호||<:>이광사 필 서결 (李匡師 筆 書訣)||<:>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2월 22일 지정||<:>|| ||<:><-2>1970호||<:>김홍도 필 마상청앵도 (金弘道 筆 馬上聽鶯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2월 22일 지정||<:>|| ||<:><-2>1971호||<:>김홍도 필 고사인물도 (金弘道 筆 故事人物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2월 22일 지정||<:>|| ||<:><-2>1972호||<:>김홍도 필 과로도기도 (金弘道 筆 果老倒騎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2월 22일 지정||<:>|| ||<:><-2>1973호||<:>신윤복 필 미인도 (申潤福 筆 美人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2월 22일 지정||<:>|| ||<:><-2>1974호||<:>백자 [[사옹원]]인 (白磁 司饔院印)||<:>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2월 22일 지정||<:>|| ||<:><-2>1975호||<:>나전경함 (螺鈿經函)||<:>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고려]]||<:>2018년 02월 22일 지정||<:>|| ||<:><-2>1976호||<:>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瑞山 明宗大王 胎室 및 碑)||<:>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산 6-2||<:>[[조선]]||<:>2018년 03월 26일 지정||<:>|| ||<:><-2>1977호||<:>[[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 (慶州 方形臺座 石造如來坐像)||<:>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와대로 1(세종로)||<:>[[통일 신라]]||<:>2018년 04월 20일 지정||<:>|| ||<:><-2>1978호||<:>김정희 필 대팽고회 (金正喜 筆 大烹高會)||<:>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4월 20일 지정||<:>|| ||<:><-2>1979호||<:>김정희 필 차호호공 (金正喜 筆 且呼好共)||<:>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4월 20일 지정||<:>|| ||<:><-2>1980호||<:>김정희 필 침계 (金正喜 筆 梣溪)||<:>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4월 20일 지정||<:>|| ||<:><-2>1981호||<:>[[신흥사#s-3.4|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束草 神興寺 極樂寶殿)||<:>강원도 속초시 설악산로 1137(설악동, 신흥사)||<:>[[조선]]||<:>2018년 06월 04일 지정||<:>|| ||<:><-2>1982호||<:>김정희 필 서원교필결후 (金正喜 筆 書員嶠筆訣後)||<:>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6월 27일 지정||<:>|| ||<:><-2>1983호||<:>김정희 필 난맹첩 (金正喜 筆 蘭盟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6월 27일 지정||<:>|| ||<:><-2>1984호||<:>이정 필 삼청첩 (李霆 筆 三淸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6월 27일 지정||<:>|| ||<:><-2>1984호||<:>이징 필 산수화조도첩 (李澄 筆 山水花鳥圖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6월 27일 지정||<:>|| ||<:><-2>1986호||<:>심사정 필 촉잔도권 (沈師正 筆 蜀棧圖卷)||<:>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6월 27일 지정||<:>|| ||<:><-2>1987호||<:>[[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 (金得臣 筆 風俗圖 畵帖)||<:>서울특별시 성북구||<:>[[조선]]||<:>2018년 06월 27일 지정||<:>|| ||<:><-2>1988호||<:>감지은니범망경보살계품 (紺紙銀泥梵網經菩薩戒品)||<:>서울특별시 용산구||<:>[[조선]]||<:>2018년 06월 27일 지정||<:>|| ||<:><-2>1989호||<:>송조표전총류 권6~11 (宋朝表箋總類 卷6~11)||<:>서울특별시 용산구||<:>[[조선]]||<:>2018년 06월 27일 지정||<:>|| ||<:><-2>1990호||<:>대곡사명 감로왕도 (大谷寺銘 甘露王圖)||<:>전라북도 익산시||<:>[[조선]]||<:>2018년 06월 27일 지정||<:>|| ||<:><-2>--1991호--||<:>--[[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益山 彌勒寺址 西塔 出土 舍利莊嚴具)--||<:>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사지로 362(금마면,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백제]]||<:>2018년 06월 27일 지정||<:>[* 2022년 12월 28일 해제, 국보로 승격]|| ||<:><-2>1992호||<:>이숙기 좌리공신교서 (李淑琦 佐理功臣敎書)||<:>경상북도 김천시||<:>[[조선]]||<:>2018년 06월 27일 지정||<:>|| ||<:><-2>1993호||<:>분청사기 상감 ‘경태5년명’ 이선제 묘지 (粉靑沙器 象嵌 ‘景泰5年銘’ 李先齊 墓誌)||<:>광주광역시 북구 하서로 110(매곡동, 국립광주박물관)||<:>[[조선]]||<:>2018년 06월 27일 지정||<:>|| ||<:><-2>1994호||<:>지장시왕도 (地藏十王圖)||<:>서울특별시 관악구||<:>[[조선]]||<:>2018년 06월 27일 지정||<:>|| ||<:><-2>1995호||<:>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平昌 五臺山 中臺 寂滅寶宮)||<:>강원도 평창군 오대산로 1211-92(진부면, 월정사 적멸보궁)||<:>[[조선]]||<:>2018년 07월 04일 지정||<:>|| ||<:><-2>1996호||<:>포항 보경사 비로자나불도 (浦項 寶鏡寺 毘盧遮那佛圖)||<:>경상북도 포항시||<:>[[조선]]||<:>2018년 08월 21일 지정||<:>|| ||<:><-2>1997호||<:>평양성도 병풍 (平壤城圖 屛風)||<:>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비류대로55번길 68(학익동, 송암미술관)||<:>[[조선]]||<:>2018년 08월 21일 지정||<:>|| ||<:><-2>1998호||<:>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珍島 雙溪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전라남도 진도군||<:>[[조선]]||<:>2018년 10월 04일 지정||<:>|| ||<:><-2>1999호||<:>대구 동화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大邱 桐華寺 木造阿彌陀如來三尊像)||<:>대구광역시 동구||<:>[[조선]]||<:>2018년 10월 04일 지정||<:>|| ||<:><-2>2000호||<:>[[삼공불환도|김홍도 필 삼공불환도]] (金弘道 筆 三公不換圖)||<:>서울특별시 용산구||<:>[[조선]]||<:>2018년 10월 04일 지정||<:>|| ||<-7><:>[[대한민국의 보물/1601~1800호|◀ 이전 목록으로]] '''대한민국의 보물/1801~2000호''' [[대한민국의 보물/2001~2200호|다음 목록으로 ▶]] || [[분류:대한민국의 보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