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대한안전연합 CI.svg|width=100%]]|| || '''명칭''' ||<:>[[영어]]: Korea Safety Union[br][[한국어]]: 대한안전연합|| || '''설립''' ||<:>[[2008년]]|| || '''주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305 4층|| || '''링크''' ||<:>[[http://www.kshu.or.kr|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4]]]] [[https://youtube.com/channel/UCLNFddEAIO8xugChdNEq7L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4]]]] [[https://band.us/@ksu0841| [[파일:네이버 밴드 아이콘.svg|width=24]]]] [[https://www.facebook.com/www.kshu.or.kr|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 [[https://instagram.com/kshu2008|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목차] == 개요 == [[재해]]·[[재난]] 사고를 포함하여 국민의 각종 [[안전사고]]예방을 위한 협력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교육훈련과 대국민 홍보활동, 기술 · 제도 · 문화 연구개발, 재난·구급, 안전관리 대안제시 등 안전복지문화 향상을 통해 사회와 국가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2008년]]에 설립된 [[사단법인]]이다. == 비전 == ||
'''비전''' || || 안전한 세상, 행복한 삶 || || '''인재상''' || || 21세기 지식과 정보사회, 창조사회의 새로운 인재상으로 꿈과 끼, 열정을 가진 도전형 리더를 새로운 인재상이 될 것으로 판단한다. || || [[파일:인재상 5C.jpg|width=100%]] || == 연혁 == ||
'''연도''' || '''활동''' || || 2008년 || 대한안전연합 창립 || || 2009년 || 대국민 안전한 사회 만들기 캠페인 || ||<|2> 2010년 || 물놀이 안전을 위한 수상인명구조원 육성 캠페인 || || 전라남도지사 '2010 자원봉사 우수체험사례 모집' 장려장 || ||<|2> 2011년 || 수중인명구조원양성과정 교육 지원 및 후원 || ||전라남도지사 '2011 자원봉사 우수체험사례 모집' 장려장 || ||2012년 || 여수시 평생학습 프로그램 '심폐소생술 강사 양성과정' 지원 || ||<|3> 2013년 || 국민체육진흥공단 '청소년 스킨스쿠버 생활체육 활동' 지원 || ||안전행정부 '청소년 심폐소생술 및 응급처치 지원교육' 지원 || ||여성가족부 '청소년지도자 부문' 장관표창 || ||<|11> 2014년 || 광주광역시 교육청 '일상생활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교육' 지원 || ||광주광역시청 여성발전기금 "내 손안에서 시작되는 4분간의 기적" 사업 후원 || ||전라남도청 '생명의 파수꾼, 4분간의 기적을 만드는 사람들' 사업 후원 || ||전라남도청 '일상생활 안전보건 길라잡이 양성과정' 사업 후원 || ||나주교육지원청 '토요프로그램-웰스(Wells-S)' 사업 후원 || ||광주광역시청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교육을 통한 재해재난 예방활동' 후원 || ||'국민안전처 사단법인 대한안전연합' 비영리 법인 설립 || ||전라남도청 '민방위 실기강사 경진대회' 우수상 || ||광주광역시교육청 '평생교육 유공 분야' 교육감 표창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장 비행청소년 자립지원 지원감사패 || ||광주광역시교육청 '평생교육 유공 분야 민간단체부문 교육감' 표창 || ||<|11> 2015년 || 광주광역시 평생학습관 "일상생활 안전체험학습" 지정 운영 || ||광주광역시교육청, 안전복지 향상을 위한 교육기부 업무협약 체결 || ||전라남도 자원봉사 우수프로그램 "생명의 4분! 기적은 당신의 손에서 시작됩니다." 후원 || ||전라남도 여성발전기금 "일상생활 안전보건 길라잡이 양성과정" 후원 || ||여성가족부 지역다문화프로그램 선정 '다문화가족 JOB(일자리) 네트워크 프로그램' 운영 || ||제11회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 '안전체험전' 체험부스 운영 || ||교육기부우수기관 지정(교육부) || ||제4회 대한민국교육기부행복박람회 체험부스 운영 || ||국민안전처 비영리민간단체 등록(제2015-1호) || ||광주교육기부유공기관(자) 개인부문(대표 정현민) 수상|| ||제4회 대한민국교육기부대상 기관부문, 개인부문(대표 정현민) 수상|| ||<|8>2016년||광주광역시 양성평등기금 "여성 안전보안관" 운영|| ||광주광역시 지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지원사업 "함께 참여하는 안전체험" 운영|| ||행정자치부 비영리민간단체 지원사업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재해재난 및 응급처치 안전교육 지원사업" 운영|| ||국민안전처 수상레저사업장 종사 인명구조요원 교육기관 지정||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자원개발원 농촌재능나눔 활동지원사업 "안전하고 건강한 마을만들기" 후원|| ||54주년 소방의 날 정부포상 표창 개인부문(대표 정현민)|| ||광주·전남 사회봉사 나눔 대상 단체부문 광주광역시장상 수상|| ||광주교육기부 단체부문 유공표창|| ||<|10>2017년||국가자격 수상구조사 양성기관 지정|| ||광주광역시 남구청 부엉이 안전마을 학교 사업선정운영|| ||응급처치분야 평가관 워크숍|| ||광주광역시 평생학습관 지정|| ||교육부 교육기부진로체험기관 선정|| ||기본소생술(BLS Provider) 교육동영상 제작배포|| ||안전보건공단 위탁사업선정|| ||비영리민간단체지원사업 선정|| ||농어촌공사 재능기부사업 선정|| ||전라남도 해양환경보호 및 안전사업 선정|| ||<|8>2018년||광주광역시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지원사업“함께 참여하는 안전체험”선정|| ||광주광역시교육청 평생학습관지정 운영 “청소년 안전보건교육 '도전! 안전요원' 선정|| ||행정안전부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지원사업“1가구 1안전요원 양성 및 안전문화 퀴즈대회”선정||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회원단체 협력활동 프로그램 "여기는 청소년들의 안전로" 선정|| ||광주평생교육진흥원 "2018년 수중체육활동 '스쿠버다이빙' 활성화 사업" 선정|| ||전라남도 해양환경보전분야 민간단체 보조금 지원 해양수상·수중정화활동 및 해양환경 보호 캠페인" 선정|| ||광주광역시교육청 공유단체(기업) 문화·예술·체육 등 문화관련 분야지정|| ||12월 1일자 건강복지타운 북구우산수영장 위탁 운영|| ||<|22>2019년||2019년 광주광역시교육청 평생학습관 지정 및 ‘일상생활 안전체험활동’ 운영|| ||광주광역시교육청 장애인 평생학습관 지정 및 ‘열려있는 장애인 평생학습, 함께하는 장애인 평생학습’ 운영(북구건강복지타운 우산수영장)||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기관 지정(제2019-41호)|| ||행정안전부 비영리민간단체 공익사업 ‘재난안전교육 및 전문가 양성과 안전 네트워크 구축’ 운영|| ||광주평생교육진흥원 장애인 평생학습 지원사업 「2019년 장애인 수중 체육활동 ‘생존 수영 활성화 사업’」 운영(북구건강복지타운 우산수영장)|| ||광주광역시 비영리민간단체 공익사업 ‘함께 참여하는 안전체험’ 운영|| ||광주광역시 선진교통문화 범시민 운동 보조사업 ‘어르신과 함께하는 찾아가는 교통안전교육’ 운영|| ||광주광역시 청소년육성기금 청소년지원사업 ‘위기청소년 자립지원 프로그램’ 운영|| ||국민체육진흥공단 「2019 학교 밖 청소년 스포츠 자격취득 과정」 지원사업 운영 (안전요원 2․3급 자격과정, 스킨스쿠버 오픈워터 자격과정)||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회원단체 협력활동 프로그램 지원사업 ‘청소년과 함께하는 생존수영’ 운영|| ||재단법인 4.16재단 「2019 시민참여형 안전정책 공모사업 ‘직접 찾아가는 재난안전교육’」|| ||‘제15회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 안전체험 부스 운영|| ||‘제6회 광주평생학습박람회’ 안전체험 부스 운영|| ||‘제8회 대한민국교육기부박람회’ 안전체험 부스 운영|| ||‘안전문화 333운동 생활화’ 안전체험 부스 운영(광주광역시 후원)|| ||‘제2회 안전문화 동요대회’ 운영(광주광역시 후원)|| ||대한안전연합 북구건강복지타운 우산수영장 ‘회원한마당 및 비전선포식’(꿈나무사회복지관 공동주관)|| ||대한안전연합 북구건강복지타운 우산수영장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한마음 효잔치’」|| ||‘제11회 광주․전남 교통․사회 안전대축전’ 광남일보 사회안전 부문 우수상 수상(개인부문)|| ||행정안전부 안전문화대상 수상 기관부문/유공자 부문 장관표창|| ||목포지방해양수산청 수중레저사업(임대업, 교육업) 등록(제<목포>2019-4호)|| ||행정안전부 안전교육기관 지정-2개 분야, 5개 영역(제2019-12호)|| ||<|14>2020년||2020년 행정안전부 안전교육기관 운영|| ||광주평생교육진흥원 평생학습형 일자리 '안전 분야 활동가 양성 프로젝트'운영|| ||광주광역시 청소년육성기금 청소년지원사업 '안전교육, 수상교육, 화재교육' 운영|| ||한국청소년단체협의회 회원단체 협력활동 프로그램 공모지원사업 '생존수영' 운영|| ||광주보건대 '안전교육지도사과정' 운영|| ||남구청 국제안전도시 분과위원회 후원 '대한안전연합과 함께 하는 안전우산 나눔 캠페인'|| ||청소년활동진흥센터 '비대면청소년활동안전프로그램' 모델개발|| ||제10회 세계인권도시포럼 '안전도시' 진행|| ||광주광역시 교육청 평생학습관 '일상생활 안전체험활동' 운영|| ||광주광역시 비영리민간단체 공익사업 '함께 참여하는 안전체험', '움직이는 안전 체험관'운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연계사업 '꿈드림' 전국 30곳 '안전요원'자격증 과정운영|| ||2020년 전라남도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 위탁사업|| ||2020년 전라남도 ‘민,관,군이 함께하는 수변 및 수계 정화활동'|| ||2020년 제1회 제주 국제해양레저박람회 '국내 해양레저스포츠 안전문화 활성화 방안 '회의 참여|| ||<|10>2021년||광주평생교육진흥원 광주평생학습형 일자리 공모사업 '안전요원' 전문가 양성과정|| ||보성군 청소년수련원 위탁운영|| ||행정안전부 제 2021-32호 어린이안전교육전문기관 지정|| ||학교생활기록부 등재 청소년단체 확정|| ||해양환경 보전분야 민간단체 보조금 지원사업「2021 해양수상수중정화활동 및 해양환경보호 캠페인」운영|| ||환경분야 비영리민간단체 지방보조금 지원사업「2021 민, 관, 군이 함께하는 수변 및 수계 환경정화활동」운영|| ||광주광역시 교육청 평생학습관 운영 「일상생활 안전체험활동」|| ||전라남도「응급처치 교육 위탁 사업」 운영|| ||행정안전부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지원사업 「수상·수중·재난안전교육 전문인력 및 주민안전교육」|| ||제2회 제주 국제해양레저박람회 '국내 해양레저스포츠 안전문화 활성화 방안 '회의 참여|| ||<|28>2022년||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안전요원 자격과정' 자격증 취득 프로그램 운영|| ||광주평생교육진흥원 장애인 평생교육 지원사업 ‘장애인재난안전체험’|| ||청소년육성기금지원사업 ‘안전자립! 본투비 안전요원 프로젝트‘|| ||행정안전부 비영리민간단체 공익사업 ‘국민안전을 위한 재난안전교육’|| ||한국청소년회원단체 협력활동 프로그램 ‘청소년 생활체육활동 프로그램 물아일체’|| ||대한민국 교육기부 박람회 ‘구해줘요 가드즈’ 안전요원 자격과정 프로그램 운영|| ||제5회 광주광역시 평생교육 진흥원 평생학습박람회‘ 내일을채우는 평생학습’ 안전체험부스운영|| ||제18회 대한민국청소년박람회‘메타버스로 즐기는 체험활동’|| ||어린이 이용시설 안전교육 운영|| ||광주광역시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지원사업 ' 시민이 만드는 안전하고 행복한 광주' 운영|| ||광주광역시 교육청 평생학습관 운영 ' 보고 듣고 느끼는 안전체험 활동'|| ||전라남도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치 교육 위탁 사업」 100건 진행|| ||제6회 구조 및 응급처치 평가관 세미나 진행|| ||광주광역시 비영리민간단체 공익활동 '안전문화 시민 공모전' 참여|| ||광주광역시 시민 안전체험 한마당 참여 3회 운영|| ||광주광역시 자원봉사 박람회 '재난부스운영’|| ||2022 대한민국 통합의학박람회 부스 운영|| ||‘2022 제25차 세계 및 제10차 아시아 국제안전도시 연차대회’ 홍보 부스 운영|| ||탄소중립 실천 방안 디지털 카드(E카드)발급·조회 서비스 시행|| ||해양환경 보전분야 민간단체 보조금 지원사업 ‘해양 수상수중 정화 활동 및 해양환경보호 캠페인’ 진행|| ||환경분야 비영리민간단체 지방보조금 지원사업 ‘전라남도 민,관,군이 함께하는 수변 및 수계 환경정화 활동’ 진행|| ||제3회 제주 국제 해양레저 박람회 포럼 참여 및 부스 운영|| ||KSU IDEA-ASIA 스쿠버다이빙, 프리다이빙교육|| ||학교보건법 최초반응자 교육 운영|| ||인명구조요원 및 강사 교육 및 수상구조사 사전, 보수교육 위탁 운영|| ||생존수영 강사 및 트레이너 워크샵 진행|| ||한국형안전요원 강사 및 평가관 워크샵 진행|| ||한국형안전요원1,2,3급 교육 운영|| == 본부 == ||
[[파일:대한안전연합 전국지사 위치.png|width=100%]] || *'''지역본부 주소 및 연락처''' ||<#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명칭''' || '''주소''' || '''번호''' || ||<-3> 중앙본부 || || 법인사무국 ||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305, 4층 || 062-222-0841 || || 보성군청소년수련원 천문과학관 || 전남 보성군 보성읍 녹차로 771 || 61-888-7020 || ||<-3> 경상북도 || || 경북중앙본부 || 경상북도 울진군 금남면 울진북로 148 근남우체국 || 054-783-1734 || || 경북북부지역본부 || 경상북도 안동시 합전4길 1 || 054-843-8090 || || 포항지역본부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양덕로 30번길 5 || 054-274-8575 || ||<-3> 광주광역시 || || 광주남구지역본부 || 광주광역시 남구 포충로 600-32 || 062-374-3639 || || 광주전남빛가람 중앙본부 || 전라남도 나주시 산포면 매화1길 27 || 061-337-7881 || ||<-3> 대구광역시 || || 대구경북본부 ||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123길 3 || 053-425-5415 || ||<-3> 대전광역시 || || 대전중앙본부 || 대전광역시 중구 산성로 16번길 87 || 042-586-6660 || || 대전지역본부 || 대전광역시 서구 계룡로 571번길 23-19 파인오르미에 B2층 천마하이파이브 수영장 || 042-486-6662/5 || ||<-3> 부산광역시 || || 영남중앙본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서전로 9번길 27, 순흥빌딩 4층 511호 || 051-802-7333 || || 부산미르지역본부 || 부산광역시 동래구 시실로 135번길 14 || ||<-3> 서울특별시 || || 서울중앙본부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사로 116-1, 한양빌딩 5층 || 02-6951-1144 || ||<-3> 전라남도 || || 전남서부중앙본부 || 전라남도 목포시 산정로 87-3 2층, 4층 || 061-273-1999 || ||<-3> 전라북도 || || 전북지역본부 || 전라북도 군산시 하나운로 122, 세영상가 A동 302호 || 063-468-1170 || ||<-3> 제주특별자치도 || || 제주지역본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화순해안로 106번길 13-7 아쿠아스쿠바 || - || ||<-3> 충청북도 || || 충북중앙본부 ||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공항로61, 우진빌딩 2층 || 043-253-3119 ||}}}|| == 주요사업 및 활동/업무 == ||
[[파일:2020 대안연 주요사업.jpg|width=100%]] || == 자격 및 인정증 발급현황 == * 2015-2022년 발급현황 ||<#ffffff> ||
'''번호''' || '''연도''' || '''현황''' || '''과정''' || || 1 || 2015년 || 2,701건 || 13개 || || 2 || 2016년 || 2,292건 || 17개 || || 3 || 2017년 || 5,702건 || 16개 || || 4 || 2018년 || 9,587건 || 17개 || || 5 || 2019년 || 13,322건 || 17개 || || 6 || 2020년 || 3,995건 || 17개 || || 7 || 2021년 || 4,222건 || 17개 || || 8 || 2022년 || 17,112건 || 17개 || * 2017년 발급현황 ||<#ffffff> ||
'''번호''' || '''연도''' || '''현황''' || '''번호''' || '''연도''' || '''현황''' || || 1 || 평가관 || 20건 || 9 || 안전교육사 || 39건 || || 2 || 안전요원 || 1,839건 || 10 || 인명구조요원 || 93건 || || 3 || 심폐소생술 || 84건 || 11 || 인명구조강사 || 42건 || || 4 || 기본소생술 || 164건 || 12 || 생존수영강사 || 41건 || || 5 || 응급처치요원 || 14건 || 13 || 스쿠버다이빙 || 116건 || || 6 || 기본소생술강사 || 133건 || 14 || 교통안전지도사 || 13건 || || 7 || 응급처치강사 || 184건 || 15 || 최초반응자 || 2,785건 || || 8 || 안전교육지도사 || 135건 ||<-2> 합계 || 5,702건 || * 2018년 발급현황 ||<#ffffff> ||
'''번호''' || '''과정''' || '''현황''' || '''번호''' || '''과정''' || '''현황''' || || 1 || 평가관 || 213 || 9 || 인명구조요원 || 39건 || || 2 || 안전요원 || 1,545건 || 10 || 인명구조강사 || 93건 || || 3 || 기본소생술 || 136건 || 11 || 인명구조강사트레이너 || 42건 || || 4 || 응급처치요원 || 100건 || 12 || 생존수영 || 41건 || || 5 || 기본소생술강사 || 60건 || 13 || 스쿠버다이빙 || 116건 || || 6 || 응급처치강사 || 286건 || 14 || 한국형 안전요원 || 13건 || || 7 || 안전교육지도사 || 83건 || 15 || 스포츠테이핑지도사 || 2,785건 || || 8 || 안전교육사 || 22건 || 16 || 최초반응자 || 6,405건 || ||<-3> 합계 ||<-3> 9,587건 || * 2019년 발급현황 ||<#ffffff> ||
'''번호''' || '''과정''' || '''현황''' || '''번호''' || '''과정''' || '''현황''' || || 1 || 평가관 || 16 || 9 || 인명구조요원 || 25건 || || 2 || 안전요원 || 1,475건 || 10 || 인명구조강사 || 20건 || || 3 || 기본소생술 || 182건 || 11 || 인명구조강사트레이너 || 8건 || || 4 || 응급처치요원 || 144건 || 12 || 생존수영 || 337건 || || 5 || 기본소생술강사 || 98건 || 13 || 스쿠버다이빙 || 54건 || || 6 || 응급처치강사 || 85건 || 14 || 한국형 안전요원 || 682건 || || 7 || 안전교육지도사 || 20건 || 15 || 스포츠테이핑지도사 || 0건 || || 8 || 안전교육사 || 10건 || 16 || 최초반응자 || 10,166건 || ||<-3> 합계 ||<-3> 13,322건 || * 2020년 발급현황 ||<#ffffff> ||
'''번호''' || '''과정''' || '''현황''' || '''번호''' || '''과정''' || '''현황''' || || 1 || 평가관 || 19 || 9 || 인명구조요원 || 169건 || || 2 || 안전요원 || 575건 || 10 || 인명구조강사 || 20건 || || 3 || 기본소생술 || 258건 || 11 || 인명구조강사트레이너 || 8건 || || 4 || 응급처치요원 || 79건 || 12 || 생존수영 || 157건 || || 5 || 기본소생술강사 || 38건 || 13 || 스쿠버다이빙 || 4건 || || 6 || 응급처치강사 || 74건 || 14 || 한국형 안전요원 || 477건 || || 7 || 안전교육지도사 || 65건 || 15 || 재난안전관리사 || 72건 || || 8 || 재난안전교육사 || 42건 || 16 || 최초반응자 || 1,938건 || ||<-3> 합계 ||<-3> 3,995건 || * 2021년 발급현황 ||<#ffffff> ||
'''번호''' || '''과정''' || '''현황''' || '''번호''' || '''과정''' || '''현황''' || || 1 || 평가관 || 18 || 9 || 인명구조요원 || 169건 || || 2 || 안전요원 || 527건 || 10 || 인명구조강사 || 20건 || || 3 || 기본소생술 || 236건 || 11 || 인명구조강사트레이너 || 8건 || || 4 || 응급처치요원 || 114건 || 12 || 생존수영 || 337건 || || 5 || 기본소생술강사 || 86건 || 13 || 스쿠버다이빙 || 54건 || || 6 || 응급처치강사 || 88건 || 14 || 한국형 안전요원 || 477건 || || 7 || 안전교육지도사 || 61건 || 15 || 안전교육사 || 11건 || || 8 || 재난안전교육사 || 62건 || 16 || 최초반응자 || 1,957건 || ||<-3> 합계 ||<-3> 4,222건 || * 2022년 발급현황 ||<#ffffff> ||
'''번호''' || '''과정''' || '''현황''' || '''번호''' || '''과정''' || '''현황''' || || 1 || 평가관 || 34 || 9 || 인명구조요원 || 243건 || || 2 || 안전요원 || 527건 || 10 || 인명구조강사 || 22건 || || 3 || 기본소생술 || 258건 || 11 || 인명구조강사트레이너 || 10건 || || 4 || 응급처치요원 || 79건 || 12 || 생존수영 || 161건 || || 5 || 기본소생술강사 || 38건 || 13 || 프리다이빙*스쿠버다이빙 || 174건 || || 6 || 응급처치강사 || 74건 || 14 || 한국형 안전요원 || 367건 || || 7 || 안전교육지도사 || 65건 || 15 || 재난안전관리사 || 72건 || || 8 || 재난안전교육사 || 42건 || 16 || 최초반응자 || 14,946건 || ||<-3> 합계 ||<-3> 17,112건 || == 과정별 등록 및 교육안내 == * 구조 및 응급처치교육 ||<#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과정''' || '''내용''' || '''시간''' || '''대상''' || || 최초반응자 || 응급상황 대처요령[br]심폐소생술 || 3시간 || 일반인, 관공서, 학교, 어린이집, 유치원, 강사 등 || || 기본소생술 || 심폐소생술, 자동제세동기, 기도폐쇄 || 8시간 || 심폐소생술 자격증 취득자, 간호사, 응급구조사, 의료종사자, 기타 교육을 희망하는 사람 등 || || 응급처치요원 || 응급처치 || 8시간 || 기본소생술 자격증 취득자 이외 동등한 자격을 가졌다고 본 회에서 인정하는 자 || || 기본소생술 강사 || 기본소생술, 정책교육, 창의적 교수법 || 16시간 || 응급처치원 자격과정을 이수한 자[br]이와 동등한 자격을 가졌다고 본 회에서 인정하는 자 || || 응급처치강사 || 기본소생술, 응급처치, 정책교육 || 40시간 || 강사 자격과정을 모두 이수한 자[br]이와 동등한 자격을 가졌다고 본 회에서 인정하는 자 || || 평가관 || 평가관 과정 이수 || 96시간 이상 || 대한안전연합 교육기관에서 응급처치강사 자격증을 취득한 자 3년 이내 25회 이상 응급처치 교육 업무에 참여한 실적이 있는자 ||}}}|| * 안전보건교육 ||<#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과정''' || '''내용''' || '''시간''' || '''대상''' || || 안전교육사 || 안전문화, 안전교육, 안전심리 || 32시간 이상 || 20세 이상 || || 안전요원 || 응급상황 행동요령, 수상·수중안전, 심폐소생술, 자동심장충격기, 기도폐쇄 || 8시간 이상 || 만 14세 이상[br]교사, 헬스장, 수영장, 청원경찰, 경호경비 종사자, 기타 교육을 희망하는 사람 등 || || 안전교육지도사 || 학교안전, 재해재난, 가정안전, 기본인명구조, 생활안전, 교통안전 || 16시간 이상 || 만 18세 이상[br]일반인, 교사·예비교사, 평생교육·청소년·사회복지관련 관계자 등 || || 교통안전지도사 || 어린이교통안전, 성인·고령자 교통안전 || 16시간 이상 || 만 18세 이상[br]교통안전 관련 학과 재학생, 아동·청소년 관련기관 종사자 등 || || 항공안전관리사 || 항공안전관리, 항공안전 관련 법령, 응급조치 메뉴얼 || 16시간 이상 || 만 18세 이상[br]항공관련 학과 재학생·종사자 등 || || 학교폭력예방지도사 || 학교폭력의 정의, 청소년의 심리, 학교폭력 유형별 학생, 학교폭력 개입방법, 학교폭력 사례, 학교폭력관련법, 대인관계 능력 향상 || 16시간 이상 || 만 18세 이상[br]일반인, 교사·예비교사, 학교안전관련·상담 종사자 등 || || 아동안전관리지도사 || 학교안전사고예방, 활안전사고예방교육, 성폭력, 아동학대예방교육 등 || 16시간 이상 || 만 13세 이상의 일반인 || || 가정안전보건지도사 || 생활, 가정안전사고예방, 정신건강관리, 질병예방, 중독예방 및 지도 등 || 16시간 이상 || 만 13세 이상의 일반인 || || 병원코디네이터 || 코디네이터의 이해, 병원행정·마케팅, 의료서비스 마인드, 고객응대·관리, 병원 서비스 기본매너·실무 || 이론 30시간 || 만 18세 이상,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 || || 개인정보관리사 || 개인정보보호,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과 제도 등 || 16시간 이상 || 만 18세 이상 ||}}}|| * 수상안전교육 ||<#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과정''' || '''내용''' || '''시간''' || '''대상''' || || 국가지정자격 인명구조(요원·강사) || 수상 안전·응급처치법, 인명구조법 || 40시간 이상 || 자유형, 평형 각 50m 이상 가능자[br]잠영 15m 이상 가능자[br]입영 1분 이상 가능자 || || 국가지정자격 수상구조사 || 수상구조사의 자세, 수난사고의 이해, 관련 법령, 응급처치, 구조기술, 종합구조 || 64시간(이론 16시간+실습 48시간) 이상 || 자유형, 평형 각 50m 이상 가능자[br]잠영 15m 이상 가능자[br]입영 1분 이상 가능자 || || 래프팅가이드(요원·강사) || 수상안전·응급처치법, 인명구조법·래프트 조종술 등 || 40시간 이상 || 만 18세 이상 || || 생존수영 일반과정 || 생존수영강사 메뉴얼, 생존수영 입문~상급 || - || 만 7세 ~ 만 13세 이상[br]안전요원LIFE 양성과정 40시간 이상 이수자 || || 생존수영강사(1급·2급) || 맴몸생존·수영·구조·응급처치 || 8시간 || 만 18세 이상 관련 자격증 소지자 ||}}}|| * 스쿠버다이버교육 ||<#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파일:스킨스쿠버 교육과정.jpg|width=100%]] ||}}}|| * 단체강습 및 특강 ||<#ffffff>{{{#!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청소년프로그램 ||
'''제목''' || '''목적''' || '''내용''' || || 안전체험활동 ||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안전사고 대처방법 숙지 및 안전의식 향상 || 청소년 가상 음주 체험, 일상생활 안전체험, 건강한 손씻기 체험 || || 응급처치 완전정복 ||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사용법 교육을 통한 심정지 대비 및 안전보건의식 고취 || 응급상황 대처요령, 대상자별 심폐소생술 교육, 자동제세동기 교육 || || 퐁당! 스노클링(중등) || 청소년들의 스노클링 체험을 통한 물놀이 사고예방 및 무중력 상태의 탐구심과 창의력 증진 || 물 적응 활동, 스노클링 착용한 스킨다이빙, 지친 다이버 도움 방법 || || 퐁당! 스노클링(고등) || 청소년들의 스노클링 체험을 통한 물놀이 사고예방 기여 및 건강증진 || 물 적응 활동, 스노클링 착용한 스킨다이빙, 지친 다이버 도움 방법, 물놀이 안전사고 예방법 || * 찾아가는 안전교육 ||
'''제목''' || '''내용''' || '''시간''' || '''대상''' || || 유아교육 || 성폭력안전, 유괴·실종안전, 교통안전, 약물안전, 화재안전, 재난안전, 응급처치, 놀이안전 || 30분 || 유아 || || 초등교육 || 교통안전, 화재안전, 재난안전, 성폭력안전, 유괴안전, 학교안전, 응급처치, 약물안전, 응급처치 || 40분 || 초등학생 || || 중등교육 || 교통안전, 화재안전, 신변안전, 학교안전, 응급처치, 응급처치 || 45분 || 중학생, 고등학생 || || 부모교육 || 신변안전, 가정에서의 안전, 아동학대예방교육, 응급처치 || 1시간 30분 || 학부모 || || 교사교육 || 아동학대예방교육, 안전교육의 이론과 실제, 생활안전, 유아교육기관의 안전관리, 성폭력안전, 응급처치 || 2시간 || 교사 || || 산업체안전교육 || 안전교육, 안전관리, 생활안전, 응급처치 || 2시간 || 산업체, 기업 직원 등 || || 기타교육 ||<-3> 인명구조, 수상구조, 스킨스쿠버, 응급처치 자격인정, 재난안전교육 등 || * 교직원연수 프로그램 ||
'''과정''' || '''내용''' || '''시간''' || '''대상''' || || 학교안전 보건법에 의한 응급처치 교육 || 응급상황 대처요령, 응급처치 시 주의사항, 응급의료 관련 법령 등 || 이론+실습 포함 최소 3시간~ || 학생 및 교직원 || || 교원양성기관 응급처치교육 || 응급처치 및 심폐소생술 실습 || 재학중 2회 이상 || 교원양성기관(대학 및 대학원)의 입학생 및 재학생(편입생 포함) || || 특수분야직무연수 응급처치 || 관련법규, 기준과 절차, 기본소생술, 응급처치, 창의적 교수법, 코스지도하기, 활용하기, 자격검정(평가) || - || 만 18세 이상인 자 중 아래 응시자격에 해당되는 자[br{'''가.''' BLS, 응급처치요원 및 기본소생술 강사 자격 취득자[br]'''나.''' 기타 본 법인에서 위와 동등한 자격이 있다고 인정하는 자 || || 특수분야직무연수 스킨스쿠버 || 물놀이 안전교육 및 스쿠버다이빙 기초과정, 스킨스쿠버 체험 교수법 || 45시간 || 교육전문직원 || || 특수분야직무연수 생존수영 || 도전정신 및 심폐기능 향상, 물놀이 사고 및 위급상황 시 대처능력 향상, 물에 대한 무한한 창조력을 키우고 신체적·정신적 재충전 및 스트레스 해소 || 45시간 || 유치원·초·중등교원 등 교육전문직원 ||}}}|| == 자격증 및 이수증 안내 == ||
'''번호''' || '''명칭''' || '''번호''' || '''명칭''' || || 1 || 재난안전 자격증 || 14 || 안전교육사 자격증 || || 2 || 재난인명구조 인정증 || 15 || 안전교육지도사 자격증 || || 3 || 응급처치요원 인정증 || 16 || 아동안전관리지도사 자격증 || || 4 || 응급처치강사 인정증 || 17 || 가정안전보건지도사 자격증 || || 5 || 응급처치평가관 인정증 || 18 || 교통안전지도사 자격증 || || 6 || 최초반응자 이수증 || 19 || 항공안전관리사 자격증 || || 7 || 기본소생술 인정증 || 20 || 학교폭력예방지도사 자격증 || || 8 || 기본소생술강사 인정증 || 21 || 학교안전지도사 자격증 || || 9 || 심폐소생술 인정증 || 22 || 스쿠버다이빙 자격증 || || 10 || 생존수영 자격증 || 23 || 병원코디네이터 자격증 || || 11 || 인명구조요원 자격증 || 24 || 스포츠테이핑 자격증 || || 12 || 인명구조강사 자격증 || 25 || 래프팅가이드 자격증 || || 13 || 안전요원 자격증 || 26 || 개인정보관리사 자격증 || == 유관기관 == * [[건양사이버대학교]] * [[부산디지털대학교]] * [[한국수영장경영자협회]] * [[대한민국 소방청]] * [[대한민국 해양경찰청]] *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 [[행정안전부]] * [[스포츠안전재단]] *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문화체육관광부]] * [[여성가족부]]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보건복지부]] * [[질병관리청]]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대한민국 교육부]] * [[중앙응급의료센터]] [각주][[분류:사단법인]][[분류:2008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