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사건사고)] [[일본어]] : 大韓航空2708便エンジン火災事故 ||<-2> '''{{{#fff 항공 사건 사고 요약표}}}''' || || '''발생일''' ||[[2016년]] [[5월 27일]] || || '''유형''' ||엔진 화재 || || '''발생 위치''' ||[[도쿄 국제공항|도쿄 하네다 공항]] || || '''기종''' ||[[보잉 777-300|Boeing 777-3B5]][* ER(77W)이 아니다. 사고기종 773은 현재 대한항공이 중단거리 고밀도 대수송용으로 애용하는 기체.] || || '''항공사''' ||[[대한항공]] || || '''기체 등록번호''' ||HL7534[* 해당 항공기는 KE707~710편에 고정적으로 투입되고 있었다가. 2020년 12월부터 2022년 8월까지 김해국제공항에 주기되어 있었다, 그 이후 2022년 8월 2일 KE805(인천국제공항-톈진 빈하이 국제공항 행)으로 상업 운항을 시작해 현재는 인천국제공항 에서 볼 수 있다.] || || '''출발지''' ||[[일본]] [[도쿄도|도쿄]] [[하네다 공항]] || || '''도착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김포국제공항]] || ||<|2> '''탑승인원''' ||승객: 302명 || ||승무원: 17명 || || '''생존자''' ||'''탑승객 319명 전원 생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57htgeeth.png|width=100%]]}}}|| || 엔진 폭발 12일 전, [[하네다 공항]]에서 촬영된 사진. 뒤에서 [[루프트한자]] 소속 [[보잉 747-8]]이 택싱 중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cdn-www.airliners.net/2828231.jpg|width=100%]]}}}|| || ▲ '''사고 직후 하네다 공항에서 촬영된 사고기.'''[* 승객들은 이미 전부 대피하고 하네다공항과 대한항공 일본지사의 협력사 직원들이 와서 비상슬라이드를 제거하고 항공기를 견인하기위해 온 것이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980dca6de2a497d0c276c9bb50737d70834c466272db2e0ebcd20b46e0d476ee.jpg]] 2016년 5월 27일 [[도쿄 국제공항]]을 출발해 [[김포국제공항|서울 김포국제공항]]으로 가려던 [[대한항공]] 2708편이 이륙 중 왼쪽 날개 [[엔진]] 부근에서 화재가 발생한 사고.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r3Jzt1pplg)]}}}|| || 사건 재구성 영상 || [[http://www.mlit.go.jp/jtsb/eng-air_report/HL7534.pdf|JTSB HL7534 공식 사고 보고서]] - (일본 교통 안전위원회) == 사고 경위 == 2016년 5월 27일 낮 12시 40분 경 일본 [[도쿄 국제공항|하네다 공항]]을 출발해 2시 40분 경 [[김포국제공항|김포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던 [[대한항공]] KE2708편 왼쪽 날개에 있는 엔진에서 불이 났다. 당시 비행기는 34R(활주로 C)에서 이륙중이었으며 기장은 항공기를 급정지시키고 엔진에 소화액을 분사했지만[* 엔진에 소화액을 분사할 경우 해당 비행중 다시 엔진을 켤 수 없다.] 연기가 멈추지 않아 항공기 비상탈출 지시가 내려져 탑승객 전원이 슬라이드로 전원 대피했다.[* 엔진 소화기는 엔진 내부 화재만 진압 가능하다. 이 사고는 엔진 외부에도 불이 붙었던 터라 소화액을 터뜨려도 별 효과가 없었다.] 슬라이드는 화재로 인해 Door L1, R1~5[* 숫자는 작을 수록 기체의 앞쪽임을 의미하고, L은 기체 전진방향의 왼쪽, R은 오른쪽을 의미한다.]만 전개되었고 이중 R5는 슬라이드 결함이 발생하여 총 5개의 슬라이드 만으로 탈출이 약 3분 동안 진행되었다. 화재는 1시 10분 경 진압되었다. == 원인과 결과 == 일본 경시청은 의심물질이 발견되지 않은 만큼, 고의로 화재를 일으켰을 가능성(예: [[테러]])보다는[* 사건 발생 시점에 일본에서 G7 정상회담이 개최되었고, 한국 국적 항공사에서 발생한 화재여서 혹시나 [[북한]] 등의 항공기 테러 가능성에 긴장이 될만한 정황이었다.] 엔진의 기술적인 문제로 화재가 발생했을 것이라고 보고 구체적인 정황을 파악 중이다. 일본 소방방재청에서 승객 중 17명이 탈출 도중 연기를 마시는 등 부상당했다고 발표한 것으로 일본 언론이 보도했다. [[http://headlines.yahoo.co.jp/videonews/nnn?a=20160527-00000040-nnn-soci|#]] 사고의 원인은 결함이 있는 엔진 부품으로 제조했으나, 품질검사를 합격했고, 대한항공 정비팀도 이를 확인을 못하여 [[피로 파괴]]를 일으켜 화재가 발생한 것이라고 한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7/26/0200000000AKR20180726070200073.HTML?input=facebook|#]] 사고 기체는 1998년 2월 4일에 도입한 노후 항공기 기준인 20년 이상에는 도달하지 않은 사고 당시 기령 18년의 기체이다. 해당 항공기의 엔진은 2014년 11월에 [[http://www.nocutnews.co.kr/news/4599776|교체하였으며]] 사고 당시 화재가 발생한 좌측엔진은 2004년 제작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우측 엔진은 1997년 제작되었다. 기령이 다소 오래되어 스크랩 처리가 예상되기도 하였으나 현재 엔진 교체 후 복귀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aircraft&no=172128|#]] 해당 편명은 편명개정으로 708편으로 운항하다가 이후에 또 개정되어 2102편으로 운항중이다. == 여담 == * 실제 비행기에 탑승했던 승객이 다수의 사진을 업로드 했다. 승객 시점에서 사고 진행에 관해 자세히 서술 되어 있으니 참조 바람. 캐리어를 들고 내리는 일부 몰지각한 승객들이 있었다.[* 사고 발생 후 캐리어나 가방 등을 들고 내릴 경우 90초 내로 탈출해야 하는 과정에서 지연시간이 발생하게 되고, 최악의 경우 짐 때문에 슬라이드가 찢어져 기내 승객들이 탈출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게 되기 때문에 모든 짐을 버리고 탈출해야 한다. 이것을 지키지 않아서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잃은 사고가 [[아에로플로트 1492편 회항 사고]]. 물론 보상은 절차에 따라 적절히 받을 수 있다.] [[찰과상|팔꿈치 쓸려서]] 반창고 받으러 갔다가 졸지에 부상자로 판명받아 병원에 실려갔다는 웃지 못할 이야기도 있다. [[https://bbs.ruliweb.com/hobby/board/300100/read/30267827|링크]] * [[V-Speed#s-2.1|V1]] 즉, 이륙 결심 속도가 넘어간다면 RTO(Rejected Take-Off, 이륙 단념)을 하여도 활주로를 넘어가기 때문에 엔진이 고장나던 새가 날아들어 버드 스트라이크가 일어나건 어떠한 일이 있어도 이륙한다. 만약 V1을 넘기거나 이륙 후 비행 중에 화재가 발생했었다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었던 아찔한 사고였다. * 9개월 전에 발생한 [[영국항공 2276편 화재 사고]]와 사고 당시 상황이 비슷하다. 왼쪽 엔진에 화재가 난 것까지 비슷하다. 다만 BA2276의 경우 날개가 완전히 전소되었으나 KE2708은 엔진만 불타고 끝났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리고 이 사고 발생 2년 후와 5년 후에 사고기와 [[PW4000|동일한 엔진]]을 장착하고 있던 [[유나이티드 항공 1175편 엔진폭발 사고|UA1175편과]] [[유나이티드 항공 328편 엔진 폭발 사고|UA328편이 비행 중 엔진이 폭발해]] 비상착륙하는 사태가 벌어지자 결국 2021년에 PW4000을 장착한 보잉 777의 운항 중단 조치가 내려졌다. *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606132103001&code=920100|2015년 12월 이후로 대한항공에서 정비한 엔진의 고장 발생 건수가 4건이다.]] * 이후 2024년 1월에 [[CNN]]이 [[도쿄 국제공항 지상 충돌 사고]]를 보도할 때 해당 사고의 사진을 썸네일로 활용했다가 삭제하고 다시 업로드했다. [[https://naver.me/xXE6pDfd|#]] == 관련 문서 == * [[도쿄 국제공항 지상 충돌 사고]] * [[영국항공 2276편 화재 사고]] * [[아메리칸 항공 383편 화재 사고]] * [[항공 사건사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영국항공 2276편 화재 사고, version=64)] [[분류:2016년 화재]][[분류:항공기 화재]][[분류:2016년 항공사고]][[분류:헤이세이 시대/항공사고]][[분류:대한항공/사건 사고]][[분류:엔진 고장으로 인한 항공사고]][[분류:오타구의 사건사고]][[분류:보잉 777/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