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the national.jpg|height=45]] ||{{{#000 '''{{{+1 더 내셔널}}}'''[br]{{{-1 '''The National'''}}}}}}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thenatioanl.jpg|width=100%]]}}}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2> '''결성''' ||[[1999년]] ||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 || '''멤버''' ||맷 버닝어, 아론 데스너, 브라이스 데스너, 브라이언 데벤도프, 스콧 데벤도프 || || '''장르''' ||[[인디 록]], [[얼터너티브 록]],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 || '''레이블''' ||[[4AD]]|| || '''링크''' ||[[https://americanmary.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2]]]]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TheNational, 크기=22)] [[https://www.instagram.com/thenation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2]]]] [[https://www.facebook.com/thenational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2]]]] [[https://www.youtube.com/@thenational|[[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 [목차] [clearfix] == 개요 == >'''독창적이고 진중한 음악성으로 인정받는 미국 인디 록의 자존심''' >- [[Apple Music]] 1991년 미국 [[오하이오 주]] 출신 밴드이다. == 멤버 == 버닝어를 제외하고는 형제 두쌍으로 이뤄져 있다. 맷 버닝어(Matt Berninger, [[보컬]]) 아론 데스너(Aaron Dessner, [[기타]], [[키보드]]) 브라이스 데스너(Bryce Dessner, [[기타]]) 스콧 데벤도프(Bryan Devendorf, [[베이스]]) 브라이언 데벤도프(Scott Devendorf, [[드럼]]) == 음악 스타일 == '''미국 특유의 정서가 물씬 풍기는 포스트 펑크밴드'''[* 인터폴이 [[조이 디비전]]에 영향을 받아서 록적인 면이 강하다면, 내셔널은 인터폴보다 좀 더 컨트리적이면서 블루스적인 색채가 강하다. ] 초기에는 [[인터폴(밴드)|인터폴]]과 비슷한 [[포스트 펑크 리바이벌]] 스타일로 출발했다. 하지만 3집 를 기점으로 하여 블루스, 새드코어 등이 가미되면서 고유의 스타일을 만들어냈고, 이들을 세계에 널리 알린 4집 [* 이 앨범의 첫 곡인 'Fake Empire'는 버락 오바마의 대선 캠페인에 사용되면서 유명세를 탔다.]에 이르러 어둡지만 멜랑꼴리하고 따뜻한 스타일을 완성시켰다. 평론가들은 보통 인터폴, [[레너드 코헨]], [[디페시 모드]], [[닉 케이브]] 등에서 영향을 받은 그룹으로 평가한다. 동세대 뉴욕의 다른 인디 밴드들에 비해 진중한 음악이 특징인데, 이들이 포스트 펑크만이 아닌 새드코어, 컨트리 같은 좀 더 고전적이고 미국적인 음악들도 같이 수용했기 때문. 또한 보컬의 음색이 컨트리나 블루스 음악에 어울리는 스타일을 갖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특유의 우울한 분위기의 연주와 바리톤에 가까운 중저음의 보컬이 조화를 이뤄 매력을 보여준다. 이 스타일이 절정에 달했던 4~5집 시절의 곡들은 음이 너무 낮아 따라부르기 어려운 곡들도 있을 정도. 다만 최근의 7집부터는 이러한 경향성에서 탈피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8집에서는 알리시아 비칸데르와의 콜라보를 진행하는 등 다양한 시도를 이어나가는 중이다. == 음반 목록 == 총 7개의 정규 앨범을 냈다. [[파일:220px-The_National_(Front_Cover)_2001.png]] * The National (2001) [[파일:220px-TheNationalSadSongs.jpg]] * Sad Songs for Dirty Lovers (2003) [[파일:220px-TheNationalAlligator.gif]] * Alligator (2005) [[파일:TheNational-Boxer.jpg]] * Boxer (2007) [[파일:220px-Highviolet.jpg]] * High Violet (2010) [[파일:220px-Trouble_Will_Find_Me.jpg]] * Trouble Will Find Me (2013) [[파일:Sleep_Well_Beast.jpg]] * Sleep Well Beast (2017) [[파일:220px-The_National_-_I_Am_Easy_to_Find.jpg]] * I Am Easy To Find (2019) == 여담 == 밴드 멤버들이 게임 [[Portal(게임)|포탈]]을 즐겨 플레이하였다. 그래서인지 몰라도, [[포탈 2]]에는 이들의 음악이 [[이스터 에그]]로 추가되어 있다. 정확히는 해당곡(Exile Vilify)이 포탈2의 수록곡으로서 작곡되었다. 실제로 발매일자가 포탈2의 출시일과 정확히 일치한다. 비슷한 시기의 같은 장르 계열의 미국 [[인디 밴드]]로 '''The Walkmen'''이라는 밴드가 있다. 내셔널이 좀 더 차분하고 블루스적인 색채가 강하다면, 이 들은 좀 더 [[펑크]]적인 요소가 있다. 물론, 그럼에도 이 밴드 역시 블루스 색채가 강하다는 것을 부정하기 힘들다. 60회 [[그래미 어워드]]에서 7집 Sleep Well Beast로 베스트 얼터너티브 뮤직 앨범 어워드를 수상했다. 밴드 자체도 2000년대 미국 음악계에서 거물이지만 핵심 멤버인 데스너 형제는 외부 활동으로도 상당히 유명해졌다. 브라이스는 [[수프얀 스티븐스]]와 합작 앨범을 내기도 하고 영화음악 작곡가로 활동하며 [[레버넌트: 죽음에서 돌아온 자]] 등에 참여했으며, 애런은 2020년대 들어 [[테일러 스위프트]]와 [[에드 시런]]의 프로듀서로 활동하기도 했다. 맷 버닌저가 [[처치스]]의 곡 My Enemy를 피처링한 적이 있다. 드라마 [[퍼슨 오브 인터레스트]] 시즌 5 9화에서 Fake Empire이 사용된 바 있다. [[분류:미국의 록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