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 '''{{{+2 더 와이프}}}''' (2017)[br]''The Wif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27530f8e944b436c945f70521197d75d.jpg|width=100%]]}}} || || '''{{{#000 장르}}}''' ||[[드라마]] || || '''{{{#000 감독}}}''' ||비욘 룬게 || || '''{{{#000 각본}}}''' ||제인 앤더슨 || || '''{{{#000 원작}}}''' ||메그 울리처 || || '''{{{#000 제작}}}''' ||클라우디아 블룸허버, 피터 구스타프손 || || '''{{{#000 출연}}}''' ||[[글렌 클로즈]], [[조나단 프라이스]] 외 || || '''{{{#000 촬영}}}''' ||울프 브런터스 || || '''{{{#000 음악}}}''' ||조슬린 푹 || || '''{{{#000 제작사}}}'''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Silver Reel [br] Tempo Productions Limited [br] Embankment Films [br] Creative Scotland [br] [[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20]] Meta Film [br]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Anonymous Content [br] [[파일:스웨덴 국기.svg|width=20]] Spark Film & TV || || '''{{{#000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그린나래미디어]] || || '''{{{#000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소니 픽처스 클래식]]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팝엔터테인먼트]] || || '''{{{#000 개봉일}}}''' ||[[파일:영국 국기.svg|width=20]] [[2018년]] [[9월 28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2월 27일]] || || '''{{{#000 화면비}}}''' ||2.35:1 || || '''{{{#000 상영 시간}}}''' ||100분 || || '''{{{#000 제작비}}}''' || || || '''{{{#000 월드 박스오피스}}}''' ||'''$19,978,189''' ([[2019년]] [[4월 14일]]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id=thewife.htm|기준]]) || || '''{{{#000 북미 박스오피스}}}''' ||'''$9,601,092''' ([[2019년]] [[4월 14일]] 기준) || || '''{{{#000 대한민국 총 관객수}}}''' ||41,638명 ||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000 상영 등급}}}]]''' ||[[15세 이상 관람가|[[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width=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fff 15세 이상 관람가}}}]]''' || || '''{{{#000 홈페이지}}}''' ||[[http://www.silver-reel.com/movie/the-wif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2017년]]에 제작한 [[영국 영화|영국]], [[미국 영화|미국]], [[스웨덴 영화|스웨덴]], [[덴마크 영화|덴마크]] 4개국 합작 영화로, [[대한민국]]에는 [[2019년]]에 개봉하였다. 2017년 [[캐나다]] [[토론토 국제 영화제]]에서 최초로 공개했으며, [[스위스]] 취리히 국제 영화제에서도 2017년 [[11월]]에 상영했다. == 예고편 == [youtube(d81IM0loH7o)] == 시놉시스 == * 출처: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작가 남편의 성공을 위해 평생을 바친 아내 ‘조안’, 마침내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이 전해지고 ‘킹메이커’로서 모든 걸 이뤘다고 생각한 순간, 두 사람의 충격적인 비밀이 밝혀지는데… == 출연진 == * 조안 캐슬먼 역 - [[글렌 클로즈]] * 조셉 캐슬먼 역 - [[조나단 프라이스]] * 나다니엘 본 역 - [[크리스찬 슬레이터]] == 줄거리 == 조셉 캐슬먼([[조나단 프라이스]])은 당대의 위대한 소설가로, 조안([[글렌 클로즈]])의 헌신적인 내조로 작가로 성공할 수 있었다. 그는 [[노벨 문학상]]의 수상자로 선정되어 아내, 아들 데이빗과 함께 [[스웨덴]]의 [[스톡홀름]]으로 간다. 딸 수잔나는 출산이 임박한 탓에 미국에 머문다. 스웨덴 행 비행기[* 지금은 없어진 [[콩코드]]다.] 안에서 그의 전기 작가가 되고 싶은 나다니엘([[크리스찬 슬레이터]])의 집요한 질문을 받지만 무시한다. 스웨덴에 도착하여 노벨상 수상식 준비와 각종 연회 등으로 분주한 시간을 보내는 부부의 이야기 사이로 그들의 과거가 삽입된다. 1960년대, 그들은 대학교수와 학생의 관계로 만난다. 조안의 뛰어난 글쓰기 능력을 알아본 조셉은 그녀를 특별히 아껴 점차 가까워진다. 조안은 조셉의 소개로 만난 한 여성 작가로부터 '글을 쓰지 마라'는 조언- 즉 당시 문학계에 만연한 여성 작가 차별로 인해 여자는 결코 작가로 성공할 수 없기 때문에 애초에 창작을 시작하지 말라는 -을 듣고 크게 동요한다. 스웨덴에서 조셉은 전담 사진 작가인 젊은 여성에게 추파를 던지는 등 부부의 사이는 점차 예민해지는 한편, 조안은 왠지 노벨상과 관련된 상황 자체에 불편한 기색을 보인다. 수상식 리허설 당일, 조셉의 강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조안은 리허설을 참관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여 스톡홀름에서 홀로 목적없는 시간을 보낸다. 이때 나다니엘이 접근하여 자신은 이미 출판사로부터 조셉의 전기를 쓰도록 허락받았다고 말하며 조안과 대화를 시작한다. 가볍게 시작한 대화는 점점 매서운 신경전으로 변해 나다니엘은 '진실'을 추궁한다. 다시 1960년대로 전환되어, 조셉은 아내 캐롤과 이혼하고 조안과 결혼한다. 조셉은 소설가로 성공하기 위해 매진하며, 조안은 글쓰기를 포기하고 출판사의 사무원으로 일한다. 아이디어와 설정 능력은 좋지만 정작 글 쓰는 재능은 부족한 그는 출판사에서 퇴짜를 당하자 절망한다. 남편을 맹목적으로 사랑하고 지지하는 아내 조안은 그를 다독이며 그의 소설엔 분명 뛰어난 점이 있지만 부족한 점 또한 있으며, 그 부분을 자신이 채우겠다고 말한다. 그녀가 개작한 소설 '호두'는 결국 출판해 큰 성공을 거둔다. 즉, 조셉의 성공 뒤에는 대필 작가 조안이 있었던 것이다. 처음에는 개작으로 시작했지만 곧 조안이 글을 쓰고, 조셉은 편집만 하는 수준까지 다다른다. 리허설 당일 밤, 늦게 호텔로 돌아온 조안에게 화를 내는 조셉으로 인해 부부는 작은 다툼을 벌이자 아들이 들어온다. 소설가로 데뷔했지만 아직 큰 성과를 얻지 못해 초조한 아들 데이빗은 나다니엘로부터 가설, 즉 어머니가 아버지의 소설을 대필했다는 얘기를 듣고 조셉과 조안에게 분노하며 그것이 진짜냐고 따진다. 이에 조셉은 말도 안되는 소리라며 일축한다. 노벨상 시상식 날, 조셉은 '시상식 연설에서 자신을 언급하지 말라'는 조안의 말을 무시하고, 아내 덕에 모든 것을 성취할 수 있었다고 말한다. 시상식 후 만찬에서 크게 상심한 조안은 자리를 뜨고, 조셉도 아내를 따라 호텔로 돌아온다. 리무진 안에서부터 벌어진 다툼은 점차 커지고, 호텔에서 그동안 쌓은 울분을 토해내는 조안에게 조셉은 자신도 힘들었다고 화를 낸다. 그럼 대체 그동안 모든 것을 감내했냐고 묻는 조셉에게 조안은 흐느끼며 이젠 자신도 모르겠다고 말한다. 조안은 결국 모든 것이 지긋지긋하다며 이별을 통보하고, 미국으로 돌아가면 변호사를 선임하겠다고 소리친다. 이때 그동안 고혈압을 앓아온 조셉에게 심장마비가 와, 부부는 서로 뒤늦은 화해를 하지만 조셉은 결국 사망한다. 미국으로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조안은 나다니엘에게 조셉은 훌륭한 작가이며 만약 대필에 관한 의혹 제기로 조셉의 명예를 실추시킨다면 법정에서 보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자, 그는 씁쓸한 표정으로 받아들인다. 조안은 아들 데이빗에게 돌아가면 모든 것을 이야기해주겠다고 하며 영화가 끝난다.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the-wife, critic=77, user=7.3)]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the_wife_2018, tomato=86, popcorn=76)] [include(틀:평가/IMDb, code=tt3750872, user=7.2)]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the-wife-2017, user=3.4)]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891414, user=7.0)]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5483, user=3.60)]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20799, user=7.4)]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6315728, user=7.2)] [include(틀:평가/왓챠, code=mWqJ1La, user=3.5)]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68492, light=95.00)]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67054, expert=6.75, audience=8.61, user=8.52)]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14356, expert=없음, user=8.4)] [include(틀:평가/CGV, code=81630, egg=96)] == 흥행 ==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2> 2,926명 || 미집계 ||<-2> 25,617,500원 || ||<|7> {{{#ffffff 1주차}}} ||2019-02-27. 1일차(수) || 2,259명 ||<|7> 16,828명 || 17위 || 14,547,050원 ||<|7> 130,825,227원 || ||2019-02-28. 2일차(목) || 2,543명 || 16위 || 18,228,900원 || ||2019-03-01. 3일차(금) || 3,509명 || 15위 || 29,366,333원 || ||2019-03-02. 4일차(토) || 3,013명 || 16위 || 26,061,874원 || ||2019-03-03. 5일차(일) || 2,627명 || 16위 || 21,565,600원 || ||2019-03-04. 6일차(월) || 1,318명 || 15위 || 9,648,780원 || ||2019-03-05. 7일차(화) || 1,559명 || 13위 || 11,406,690원 || ||<|7> {{{#ffffff 2주차}}} ||2019-03-06. 8일차(수) || 1,138명 ||<|7> 9,248명 || 10위 || 8,283,430원 ||<|7> 71,924,440원 || ||2019-03-07. 9일차(목) || 1,074명 || 11위 || 7,642,500원 || ||2019-03-08. 10일차(금) || 1,271명 || 9위 || 10,284,850원 || ||2019-03-09. 11일차(토) || 1,804명 || 10위 || 15,554,160원 || ||2019-03-10. 12일차(일) || 1,843명 || 10위 || 14,865,900원 || ||2019-03-11. 13일차(월) || 1,055명 || 11위 || 7,582,000원 || ||2019-03-12. 14일차(화) || 1,063명 || 11위 || 7,711,600원 || ||<|7> {{{#ffffff 3주차}}} ||2019-03-13. 15일차(수) || 1,122명 ||<|7> 6,288명 || 11위 || 8,012,900원 ||<|7> 46,977,224원 || ||2019-03-14. 16일차(목) || 769명 || 17위 || 5,411,800원 || ||2019-03-15. 17일차(금) || 789명 || 14위 || 5,896,811원 || ||2019-03-16. 18일차(토) || 1,276명 || 15위 || 9,916,113원 || ||2019-03-17. 19일차(일) || 959명 || 15위 || 7,748,500원 || ||2019-03-18. 20일차(월) || 735명 || 16위 || 5,476,600원 || ||2019-03-19. 21일차(화) || 638명 || 17위 || 4,514,500원 || ||<|7> {{{#ffffff 4주차}}} ||2019-03-20. 22일차(수) || 655명 ||<|7> 3,705명 || 15위 || 4,591,200원 ||<|7> 27,367,160원 || ||2019-03-21. 23일차(목) || 507명 || 20위 || 3,596,200원 || ||2019-03-22. 24일차(금) || 400명 || 19위 || 3,058,600원 || ||2019-03-23. 25일차(토) || 815명 || 17위 || 6,262,380원 || ||2019-03-24. 26일차(일) || 601명 || 19위 || 4,817,700원 || ||2019-03-25. 27일차(월) || 359명 || 22위 || 2,433,980원 || ||2019-03-26. 28일차(화) || 368명 || 25위 || 2,607,100원 || || '''{{{#ffffff 합계 }}}''' ||<-6> '''누적 관객수 41,638명, 누적 매출액 320,778,451원'''[* ~ 2022/09/17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엽문 외전]]([[2019년]] [[2월 25일]]), [[래미의 초특급 시간여행]], [[빠삐용(2017)|빠삐용]], [[슈퍼미니 2]], [[어쩌다, 결혼]], [[옷코는 초등학생 사장님!]], [[자전차왕 엄복동]], [[칠곡 가시나들]], [[퍼미션(2017)|퍼미션]], [[포항(2014)|포항]], [[항거: 유관순 이야기]](이상 [[2019년]] [[2월 27일]]), [[국경의 왕]], [[보어 살인 멧돼지]], [[블레이드 소울]], [[실화: 숨겨진 비밀]], [[욜로 유 온리 리브 원스]](이상 [[2019년]] [[2월 28일]])까지 총 17편이다. === [[북미]] === $9,601,092를 벌었다. == 기타 == [[글렌 클로즈]]는 이 영화로 생애 최초 [[골든 글로브]]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제91회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주연상 후보로도 올라갔지만 수상에는 실패했다. 노벨 시상식과 만찬 장면의 고증이 상당히 잘 되었다. [[분류:2017년 영화]][[분류:영국의 드라마 영화]][[분류:미국의 드라마 영화]][[분류:스웨덴의 드라마 영화]][[분류:덴마크의 드라마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