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더 파이널스|설정]][[분류:게임 설정]] [include(틀:상위 문서, top1=더 파이널스)] [include(틀:더 파이널스 관련 정보)] [목차] == 팀 이름 == 더 파이널스에 참여하는 각 팀은 고유한 이름과 로고를 가진 임의의 팀에 배정된다. 이 로고는 각 팀의 총 캐시아웃 금액과 함께 왼쪽 상단에 표시된다. 해설자들은 팀의 고유 이름을 사용하여 팀이 전멸되거나 팀이 선전하는 경우 등의 다양한 상황에 맞는 멘트를 말한다. === 라이브 와이어스 === 팀 이름은 '''활선''' 이에 따라 아나운서가 신호가 끊어졌냐는 등의 드립을 날린다. === 레트로스 === 팀 이름은 과거로 돌아감음 의미하는 '''레트로''' === 마이티 === 팀 이름은 '''거대함''' 이에 따라 아나운서들이 거대한데도 지고 있다, 팀 이름을 마이티가 아닌 [[쫄튀|쫄티]]로 바꿔야 하지 않나는 등의 대사를 친다. === 바운드리스 === 팀 이름은 '''무한함''' 이에 따라 아나운서들은 무한하지 않았다는 등의 대사를 친다. === 보그스 === 팀 이름은 '''인기''' === 빅 스플래시 === 팀 이름은 큰 성공을 하다의 숙어인 '''빅 스플래시''' === 소셜라이츠 === 팀 이름은 '''사교계 명사''' 이에 따라 아나운서들이 파티하러 가냐는 등으로 대사한다. === 쇼크&오 === 팀 이름은 '''충격과 공포''' === 스팀롤러스 === 팀 이름은 로드롤러의 일종인 '''스팀 롤러''' === 오버독스 === ##오버독스의 뜻명을 찾지 못했기에 팀 로고로 해석합니다. 나중에 추가로 보완 바랍니다. 팀 이름은 '''늑대''' 이때문인지 대사도 늑대와 관련된 대사를 친다 === 울트라 레어스 === 팀 이름은 엄청나게 희귀하다는 뜻의 '''울트라 레어스''' 이때문인지 울트라 레어스가 ''울트라 레어''해졌다는 드립도 들을 수 있다. === 젯 세터스 === 팀 이름은 비행기를 타고 외국 여행을 자주 다니는 사람을 통칭하는 말인 '''젯 세터스''' === 킹피시 === 팀 이름은 '''대왕 물고기''' === 터프 셸스 === 팀 이름은 '''등껍질''' === 파워하우시스 === 팀 이름은 '''발전소''' === 하이 노츠 === 팀 로고는 '''2옥타브 솔''' 음악과 관련되서인지 팀원이 전멸하면 [[장송곡]]을 트냐는 등의 드립을 들을 수 있다. == 스폰서 == 스폰서는 현재 게임의 세계와 내러티브를 전달하는 주요 수단이므로 더 파이널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폰서는 자신의 브랜드와 제품 및 서비스가 게임 쇼의 대규모 청중에게 노출되기를 원하며, 스폰서 장비는 참가자들에게 성공의 신호이다. ||<-5> '''더 파이널스 스폰서''' || || [[Ospuze|[[파일:OSPUZE_Logo.svg.png|width=100%]][br]{{{#fff Ospuze}}}]] || [[Iseul-T|[[파일:ISEUL-T_Logo.svg.png|width=100%]][br]{{{#fff Iseul-T}}}]] || [[DXZ|[[파일:THE-FINALS_dxz-logo.png|width=100%]][br]{{{#fff DXZ}}}]] || [[YBS(더 파이널스)|[[파일:THE-FINALS_ybs-logo.png|width=100%]][br]{{{#fff YBS}}}]] || [[Volpe|[[파일:VOLPE_Logo.svg.png|width=100%]][br]{{{#fff Volpe}}}]] || == 캐릭터 == === 마스코트 === * '''나마타마''' (Nama Tama) || [[파일:나마타마.png|width=100%]] || 더 파이널스의 마스코트 캐릭터이다. 이름인 나마타마는 날달걀이라는 뜻의 일본어 단어 生卵(나마타마고)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계란]]에 얼굴이 있는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팔이 있을 때도 있고 없을 때도 있다. [[https://www.youtube.com/@namatamakorea|날계란]]이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계란이 왔어요'라는 [[딩고 Killing 시리즈|Shooting Voice]] 영상을 업로드하기도 했다. [[https://youtu.be/2Recj2oA-6g|#]] === 해설자 === ==== 스코티 & 준 ==== 게임쇼의 두 해설자로, 남성 해설자가 스코티, 여성 해설자가 준이다. 스코티의 경우 과거 본인이 직접 참가자로 뛰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게임 중 서로의 대사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도전과제 중에도 "스코티처럼" 이라는 이름의 도전과제[* 이 도전과제가 굉장히 골때리는 편인데 게임 중 '''단 한번도 처치되지 않고 게임 승리''' 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참가자 시절 스코티가 얼마나 대단한 플레이어였는지 알 수 있다.]가 있다. 준은 스코티의 파트너로, 데이터를 좋아하고 경기 중 스프레드시트와 통계 트래커를 사용하는 것을 즐긴다고 한다. === CNS === >HERE WE ARE 미스터리한 해커 혹은 해커 단체. 게임쇼와 여러 스폰서들, 단체들을 여러 번 해킹했다고 하며, 목적은 더 파이널스 게임쇼의 불안정화로 보인다. CNS에 대한 떡밥은 이스터에그로 상당히 오래 전부터 존재해왔는데, 무려 '''클로즈 베타 2 트레일러'''에서 떡밥이 처음 나왔다. 그 이후 클로즈 베타 2때 모나코 맵의 이스터에그 글귀를 통해 CNS가 점점 드러나기 시작했고, 시즌 1에서 업데이트 후 나오는 짤막한 동영상과 시즌2 트레일러를 통해 CNS가 공식적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 CEO === ==== 소피아 페트로넬 ==== 음료 회사 OSPUZE의 CEO. ==== 윤범석 ==== 패션 회사 ISEUL-T의 CEO. 한국인이다. ==== 매켄지 라피스 ==== ==== 퀘비 루틸 ==== === 네임드 참가자 === 의상 이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네임드 참가자들이다. ==== 오딜리아 더 트릭스터 ==== ==== 아리아드(C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