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한민국의 서비스 업체]][[분류:대한민국의 소프트웨어 기업]][[분류:대한민국의 광고회사]] ||<-2> {{{+1 '''(주)더리얼'''}}} || ||<-2> [[파일:더리얼 ci.png|width=75%]] || || '''기업명''' ||(주)더리얼|| || '''설립''' ||[[2011년]] [[5월]] || ||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506(재정빌딩) 7층|| || '''대표''' ||[[손종희(1975)|손종희]] || || '''업종''' ||전자영수증 서비스, 종합광고대행사 || || '''기업 분류''' ||중소 기업 || || '''연락처''' ||02-540-3111 || || '''전자영수증''' ||[[http://mpaper.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realzeroc/|[[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 '''종합광고대행사''' ||[[http://realmkt.co.kr/mkt.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instagram.com/therealmkt_officia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https://www.youtube.com/@user-cr6lo9fb5j|[[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https://blog.naver.com/the_realmkt|[[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0]]]]||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종합[[광고대행사]]이자 국내 최초의 [[전자영수증]] 개발 및 서비스 기업. == 종합광고대행사 == 더리얼은 2011년 설립된 종합광고대행사이다. 온오프라인 통합 마케팅, CF영상 제작 및 송출, 온오프라인 매체 집행, 유튜브 콘텐츠 제작, SNS 운영관리, 라이브커머스 등 다양한 종류의 매체를 활용한 마케팅을 기획하고 실행한다. == [[전자영수증]] == 더리얼은 국내 최초의 전자영수증 개발사로, 결제 현장에서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발급가능한 업계 유일의 비식별 방식 발행 가능 업체이다. 종이영수증을 전자영수증으로 대체하여 탄소 발생을 줄이고,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비전을 가지고 있다. === 연혁 === ==== 2011~2017년 ==== * ‘11년 ㈜더리얼 마케팅(현. ㈜더리얼)이 설립되었다. * ‘13년 미래창조과학부에 전자영수증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정부의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NIPA(정보통신산업진흥원)를 통한 연구 보고서를 제출했다. 보고서에는 종이 영수증의 탄소배출 문제, 환경호르몬 문제 제기 및 전자영수증 시스템 설계 방안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있다. 해당 보고서는 현재까지 다양한 종이영수증과 전자영수증 관련 연구와 보도의 근거 자료로써 활용되고 있다. * ‘14년 전자영수증이 대통령 규제혁신 안전에 상정되었다. * ‘14~’15년 전자영수증 R&D 및 시범사업을 진행하였다. * ‘17년가맹점 핀테크 융합 서비스 R&D에 선정되어 연구를 진행했다. ==== 2018~2020년 ==== * ‘19년 전자영수증 관련 부가가치세법 개정 국회 토론회에 초청되었으며, 토론회 문서를 담당하여 작성하였다. * ‘19년 환경공단(환경부)에 전자영수증 “탄소포인트” 제도 제안 및 연구 내용을 제출했다. * ‘19~’20년 특허청 IP사업에 선정(특허 15종 추가 출원)했다. * ‘20년 중소벤처기업부 AI&빅데이터(결제) R&D에 2년간 선정되었다. * ‘20년 서울산업진흥원(SBA) 스마트 주차 APP R&D에 선정되었다. * ‘20년 중소기업벤처부 장관상, 중소기업중앙회상을 수상하였다. ==== 2021~2023년 ==== * ‘21년 스마트 주차 app을 런칭했다. * ‘21년 Kt, TOSS 전자영수증 서비스 계약 체결했다. * ‘22년 폴바셋, 카카오 플러스홈 전자영수증 런칭했다. * ‘23년 국민은행 스타뱅킹 app 내에 전자영수증 서비스를 런칭했다. === 클라이언트 및 POS 네트워크 === ==== 클라이언트 ==== * 국내 최초, 글로벌 프랜차이즈사(피자헛)에 전자영수증 서비스 도입하였다. * [[SKT]], [[LGU+]] 및 [[KT]] 통신 3사와 제휴를 맺고 있다. * 뿐만 아니라 매일유업 [[폴바셋]], [[탐앤탐스]], [[신전떡볶이]], [[삼성전자]], JDC면세점, S-Oil, [[예스24]], [[아이비클럽]], [[KB국민은행]] 등의 다양한 업종(외식, 유통, 주유 등) 대형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 중이다. ==== POS 네트워크 ==== * 국내 60% 이상의 POS기에 시스템 탑재가 완료된 상태이다. 현재 협업 중인 POS사로는 OKPOS, NICE, 메타시티(METACITY), 포스마스터(POS master), 미래일렉트로닉스(Mirae electronics), 우주피엔씨㈜ 등이 있다. * POS사뿐만 아니라, 예스24(Yes24), 피자헛(Pizzahut) 등 자체 POS시스템을 사용하는 업체에도 전자영수증을 탑재하여 운영 중이다. === 특허 현황 === ㈜더리얼은 전자 영수증 관련 기술에 대하여 17종 이상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 서비스 특장점 === ==== 비식별 방식 ==== * ㈜더리얼은 국내 유일 비식별방식 전자영수증 발급 업체이다. * ㈜더리얼은 KB 스타뱅킹 앱 내에 있는 ‘국민 지갑’에 전자영수증 기능을 탑재하였다. 스타 뱅킹 이용 고객은 전자영수증 제공 업체에서 등록카드로 결제 시, 스타뱅킹 앱에서 전자영수증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영수증 미제공 업체에서 결제한 내역은 결제 금액, 일시 등 간략한 내용을 담은 카드 영수증으로 확인 가능하다. ==== 식별 방식 ==== * 사업 목적, 상황에 따른 전자영수증 발급 채널을 선택하여 도입할 수 있다. * 브랜드 전용 app 브랜드 전용 앱을 개발하였으나, 고객의 이용률이 저조한 매장에 추천하는 방식이다. API, App In App 솔루션을 통해 기존 앱에 빠르게 도입 가능하다 * 카카오톡 알림톡 자사 카카오 채널에 유입량을 늘리고 활성화 하고 싶은 매장에 추천하는 방식이다. 매장/브랜드별 홍보채널을 통한 전자영수증 발급으로 별도의 앱 없이도 브랜드 마케팅 효과를 볼 수 있다. * 국민은행 App 자체 매장/브랜드 App이 없거나, 큰 추가비용 없이 전자영수증 서비스를 도입하고 싶은 매장에 추천하는 방식이다. 별도의 App 개발이나 연동이 불필요하다는 것이 장점이며, 소상공인들도 도입 가능하다. 현재는 국민은행에서 운영하는 KB 스타뱅킹 앱을 통해 발급 중이다. ==== 빠르고 안정적인 POS 적용 ==== * 국내 60% 이상의 POS기에 시스템 탑재가 완료되어 있어 해당 POS기 사용시, 가맹점 또는 프랜차이즈의 동의 시, 즉시 도입이 가능하다. * 다양한 운영체제와 언어 적용이 가능하여 제휴 포스가 아니어도 신규 개발에 어려움이 없다. * 안정적인 API를 통해 대대적인 개발 없이도 2주 이내 신규 개발&런칭이 가능하다. === 사업 확장 방안 === 전자영수증 기술과 전자영수증을 통해 취합한 데이터를 활용한 사업 확장 방안은 다음과 같다. * 가계부 서비스 사업 전자영수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세한 소비 내역을 자동으로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비자게에 실시간으로 해당 월의 지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소비가 가능하다 * 쿠폰 서비스 사업 - 마케팅 수단으로 많이 사용하는 할인 쿠폰 혹은 종이 스탬프를 전자영수증에 추가하여 마케팅 활동이 가능하다. 종이 영수증을 발급 후 폐기하는 경우가 많지만, 전자 영수증을 열람율이 높다. 발급 직후 보지 않더라도, 언젠가 확인하는 비율이 높다는 의미이다. - 전자영수증 하단에 스탬프 혹은 할인 쿠폰 제공 시, 분실 위험이 적어 고객은 혜택을 제대로 누릴 수 있고, 매장은 지속적으로 고객에게 상기될 수 있다. * 빅데이터 기반 유용 정보제공 서비스 - 전자 영수증에는 100여종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사업적 뿐만이 아니라 국가적 통계자료로써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다.(ex. 코로나 대란 때, 약국, 편의점, 마트 등의 마스크나 감기약의 재고 현황을 파악할 수 없어서 발생한 사재기 대란 같은 상황 대처에 유용함) - 개별 소비자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소비성향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른 개인 맞춤형 마케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품 구매 주기를 파악하여 일정 기간이 지나면 구매 알림을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 단순 마케팅 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영역까지 확장 가능하다. 약국에서 속쓰림 약을 자주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위내시경을 제안 한다던가, 알러지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면 알러지 성분이 함유된 제품에 대한 알림을 전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