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더스틴 메이)] [목차] == 개요 == [[더스틴 메이]]의 선수 경력을 담은 문서. == 아마추어 시절 == 고교 시절 90마일 초반의 직구를 구사했고 2015년 10월에 열린 World Wood Bat Association World Championships에서 가장 많은 회전수를 기록한 선수 중 하나로 뽑혀 가능성을 인정받았고, [[2016 MLB 신인드래프트|2016년 드래프트]]에서 3라운드 101순위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입단하였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A1BAAA9-E2FA-46A1-8594-4292ED733604.jpg|width=100%]]}}} || 빠르게 성장하며 단숨에 유망주 순위에서 팀 내 탑급까지 진입하였고, 2018년 7월, 20살의 나이로 더블A로 승격되었다. 2018년 들어 구단에서 메이에게 포심 대신 투심을 던질 것을 요구했고, 투심의 구속이 약 3마일 가량 증가하였다. 이 밖에도 슬라이더와 커브를 구사하는데 두 구종에서 별 차이를 보이지 않자, 다저스는 메이에게 커브에 집중할 것을 요구했다. 그 결과 메이의 커브는 우수한 세컨 구질이며 효과적인 땅볼 생산 능력을 보인다고 한다. 또 90마일 초반에 형성되는 커터를 추가하여 제 3의 구종으로 활용하고 있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19년|2019 시즌]] === 팀 내 3위이자 MLB 전체 유망주 56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7월 31일, 다저스는 트레이드 마감 시한을 앞두고 피츠버그 마무리 [[펠리페 바스케스]]를 영입하기 위한 무브를 보였고, 이에 따라 메이의 트레이드 설이 돌았지만 피츠버그에서 메이와 함께 다저스 내 최고 유망주인 [[개빈 럭스]]까지 요구하는 바람에 거절하며 다저스에 잔류하게 되었다.[* 이 트레이드가 불발 직후 펠리페 바스케스가 아동 성범죄 혐의로 칼같이 잡혀들어가며 이 무브는 신의 한수가 되었다.] 그리고 8월 2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홈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르게 되었다. 8월 2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다. 1회를 3타자로 막은 메이는 2회 1사 1루 상황에서 1루 땅볼을 유도했지만 1루수 [[타일러 화이트]]의 송구 실책으로 1,2루 위기에 몰렸고, 후속 타자에게 안타를 허용해 비자책 실점을 기록했다. 이후 5회까지 무실점으로 호투했으나, 6회 3타자 연속 안타를 맞아 실점하였고, 이어진 2사 1,3루 위기에서 2타점 2루타를 맞으며 강판되었다. 최종 5⅔이닝 9피안타 3탈삼진 4실점 3자책 패전. 마무리가 다소 아쉬웠지만 무브먼트 좋은 싱커를 바탕으로 2개의 병살타를 유도하는 등 가능성을 보인 경기였다. 8월 7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전에서 데뷔 두 번째 선발 등판을 가졌고, 낮은 코스에만 집착했던 지난 등판과 다르게 이번 등판에선 하이 패스트볼을 적극적으로 던지며 5회까지 7탈삼진 무실점으로 호투하였으나, 6회 1사에 [[마르셀 오즈나]]에게 솔로 홈런을 맞았고, 6회 2사에 강판되었다. 팀이 0:1로 뒤지는 상황에 내려갔기 때문에 패전 위기에 몰렸으나, 9회에 터진 [[러셀 마틴]]의 극적인 역전 끝내기 2타점 적시타로 패전 위기에서 벗어났다. 8월 13일 [[마이애미 말린스]]와의 시리즈 1차전에 선발로 나왔고, 5⅔이닝 3피안타 1볼넷 5탈삼진 1실점으로 호투했다. 타선이 대거 6홈런을 터뜨리며 넉넉한 득점 지원을 해준 덕분에 데뷔 첫 승을 올릴 수 있었다. 이제 앞으로 불펜으로 등판할 예정이다. 불펜이 헐거운 다저스의 특성상 포스트시즌에 던질 불펜 자원으로 적합한지 시험대에 오르는 것. 그러나 불펜 첫등판이었던 8월 18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경기에서 6회에 등판해 [[라파엘 오르테가]]에게 결승 만루 홈런을 허용하며 패전 투수가 됐다. 커브의 제구가 안되는 모습이었고 그러다보니 패스트볼의 비중이 높아진 것. 결국 홈런도 96마일 싱커가 가운데로 몰리며 맞았다. 데뷔 첫 해인 만큼 아직 경험을 더 쌓아야될 필요가 있다. 8월 26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와의 시리즈 1차전에 등판하여 5회까지 1실점으로 호투했지만 6회에 집중 3피안타를 맞았고, 결국 5⅓이닝 4실점으로 패전 투수가 됐다. 오늘 경기 전까지 6회 평균자책점이 22.80에 달할 정도로 6회에 얻어맞는 모습을 보였고, 오늘도 6회를 넘지 못했다. 수비 실책으로 2점을 주긴 했지만 5회까지 단 1피안타로 막았던 모습을 생각하면 아쉬운 모습. 9월 2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전에서 [[로스 스트리플링]]에 이어 4회에 등판했는데 1사 만루에서 [[제이크 램]]의 타구에 머리를 맞고 강판되었다.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2020년|2020 시즌]] === 마이너 리그에 있다가 [[클레이튼 커쇼]]의 부상으로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의 개막전 선발을 맡게 되었으며, 4⅓이닝 7피안타 4K 1실점의 준수한 피칭을 보여줬다. 이후에도 꾸준히 2점대 평균자책점을 유지하면서 [[내셔널 리그]] 신인왕 후보 중 한 명으로 언급되고 있다. 9월 23일 MLB.com에서 선정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All-Rookie 퍼스트 팀에 이름을 올렸다.[[https://www.mlb.com/news/2020-all-rookie-team-mlb-pipeline|#]] 정규 리그 최종 성적은 12경기(10선발) 56이닝 44탈삼진 ERA 2.57 fWAR 0.4 bWAR 1.4이다. 이후 [[2020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는 1차전에서 구원 등판으로 2이닝 3K 무실점으로 퍼펙트 피칭을 했고, 3차전에서는 [[오프너]]로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며 팀의 챔피언십 시리즈 진출에 힘을 보탰다. 10월 12일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와의 [[2020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NLCS]] 1차전에서 1:1로 맞선 7회부터 나와 1⅔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았다. 10월 16일 NLCS 5차전에서 선발로 나와 2이닝 3피안타 2볼넷 3탈삼진 2실점 1자책으로 불안했다. 이틀 뒤 18일 NLCS 7차전에서 다시 한 번 선발로 나왔고 애틀랜타도 선발 투수로 신인 [[이안 앤더슨]]이 나오며 역대 최초 신인 투수들의 선발 맞대결로 치러진 포스트 시즌 승자 독식 경기가 되었다. '''시작하자마자 스트라이크 한 개도 못던지며''' 2타자 연속 볼넷을 내줬고, 3번 타자 오수나에게 좌전 적시타를 맞으며 실점했다. 이후 [[트래비스 다노]]를 병살, [[아지 알비스]]를 삼진 처리하며 1회만 던지고 내려갔다. 상대 선발 앤더슨은 3회 [[윌 스미스(1995)|윌 스미스]]에게 2타점 적시타를 맞으며 3이닝 2실점을 기록. 이후 투수전 끝에 다저스가 4:3으로 역전승을 거두며 월드 시리즈에 진출했다. 10월 21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2020년 월드 시리즈|WS]] 2차전에서 팀의 4번째 투수로 등판했으나 1⅓이닝 3실점으로 부진했다. 10월 25일 WS 5차전에서 커쇼의 뒤를 이어 등판했고 1⅔이닝 2K 무실점으로 호투하며 홀드를 챙겼다. 10월 27일 WS 6차전에서는 등판하지 않았고, 팀이 3:1로 승리하며 월드 시리즈 우승에 성공했다. 시즌 종료 후 신인왕 투표 5위에 올랐다. === [[더스틴 메이/선수 경력/2021년|2021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스틴 메이/선수 경력/2021년)] === [[더스틴 메이/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스틴 메이/선수 경력/2022년)] === [[더스틴 메이/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더스틴 메이/선수 경력/2023년)] == 정규시즌 기록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더스틴 메이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19 ||<|5>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14 || 2 || 3 || 0 || 4 || 34⅔ || 3.63 || 33 || 2 || 5 || 4 || 32 || 1.096 || 115 || 1.0 || 0.0 || || 2020 || 12 || 3 || 1 || 0 || 1 || 56 || 2.57 || 45 || 9 || 16 || 1 || 44 || 1.089 || 165 || 0.5 || 1.5 || || 2021 || 5 || 1 || 1 || 0 || 0 || 23 || 2.74 || 16 || 4 || 6 || 1 || 35 || 0.957 || 139 || 0.5 || 0.5 || || 2022 || 6 || 2 || 3 || 0 || 0 || 30 || 4.50 || 21 || 3 || 14 || 5 || 29 || 1.167 || 94 || 0.3 || -0.1 || || 2023 || 9 || 4 || 1 || 0 || 0 || 48 || 2.63 || 29 || 1 || 16 || 2 || 34 || 0.938 || 168 || 1.2 || 1.9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5시즌)''' || 46 || 12 || 9 || 0 || 5 || 191⅔ || 3.10 || 144 || 19 || 57 || 13 || 174 || 1.049 || 138 || 3.4 || 3.8 || == 포스트시즌 기록 == ||<-16>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더스틴 메이의 역대 MLB 포스트시즌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결과 || || 2019 ||<|2> [[로스앤젤레스 다저스|LAD]] || 2 || 0 || 0 || 0 || 0 || 3⅓ || 2.70 || 3 || 0 || 1 || 0 || 1 || 1.20 || '''DS 탈락''' || || 2020 || 7 || 1 || 0 || 0 || 1 || 10⅔ || 4.22 || 10 || 1 || 6 || 1 || 13 || 1.50 || '''WS 우승'''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9 || 1 || 0 || 0 || 1 || 14 || 3.86 || 13 || 1 || 7 || 1 || 14 || 1.43 || '''WS 1승[br]1DS''' || [[분류:더스틴 메이]][[분류:야구선수/커리어]][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더스틴 메이, version=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