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윈난성의 자치주]][[분류:중국의 도시]] [include(틀:윈난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000,#ddd 윈난성}}}]]의 자치주'''}}} || ||<-3> {{{#ff0 '''{{{+1 [ruby(德宏, ruby=Déhóng)][ruby(傣族, ruby=Dǎizú)][ruby(景颇族, ruby=Jǐngpōzú)][ruby(自治州, ruby=Zìzhìzhōu)]}}}[br]ᥟᥪᥒᥱ ᥙᥪᥴ ᥓᥝᥲ ᥙᥩᥒ ᥛᥥᥝᥰ ᥖᥭᥰ ᥓᥤᥒ ᥚᥨᥲ ᥖᥬᥲ ᥑᥨᥒᥰ[br]Sakhkung Sam Jinghpo Amyu Madu Uphkang Mungdo'''[br]{{{-1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br]ehong Dai and Jingpo Autonomous Prefecture}}}}}}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德宏傣族景颇族自治州,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주정부 소재지}}}''' || [[윈난성]]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br]망시 융한제3호[br]云南省德宏傣族景颇族自治州[br]芒市勇罕街3号 || ||<-2> '''{{{#ffff00 지역}}}''' || [[시난]] || ||<-2> '''{{{#ffff00 면적}}}''' || 11,172.24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2현급시 3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北京时间)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전체인구}}}''' || 1,315,709명^^(2020)^^ || ||<-2> '''{{{#ffff00 인구밀도}}}''' || 118명/km² || ||<-2> '''{{{#ffff00 민족 구성}}}''' || [[한족]] 54.24% | [[태족]] 27.16%[br][[경파족]] 10.18% | [[율속족]] 2.59%[br][[아창족]] 2.35% | [[덕앙족]] 1.09%[br]기타 민족 2.39% ^^(2020)^^ || ||<-2> '''{{{#ffff00 서기}}}''' || 장산(姜山) || ||<-2> '''{{{#ffff00 주장}}}''' || 웨이강(卫岗)^^([[태족]])^^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83억 4,400만 ^^(2020)^^ || || '''{{{#ffff00 1인당}}}''' || $6,353 ^^(2020)^^ || ||<|2> '''{{{#ffff00 상징}}}''' || '''{{{#ffff00 주화}}}''' || 삼각매 || || '''{{{#ffff00 주목}}}''' || 없음 || ||<-2> '''{{{#ffff00 차량번호}}}''' || '''云N''' || ||<-2> '''{{{#ffff00 약칭}}}''' || '''德宏州'''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53'''31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692''' || ||<-2> '''{{{#ffff00 우편번호}}}''' || '''6784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YN-31''' ||}}}}}}}}} || ||<-3> [[http://www.dh.gov.cn/|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윈난성]]의 자치주. 윈난성 최서단 행정구역으로, 동쪽으로 [[바오산시]]와 접하며 삼면이 [[미얀마]]에 둘러싸여있다. 더훙의 인구 과반은 한족이며, 자치구의 중심민족인 태족과 경파족이 각각 28.88%와 19.01%를 차지하여 제2, 제3민족의 위치를 가진다. 더훙이라는 이름은 이름만 들어보면 중국식 명칭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다이어의 음차로, 뜻은 안눙강의 하류라는 뜻이다. 여담으로, 안눙강은 미얀마를 흐르는 강인 [[살윈강]]의 상류를 별도로 부르는 명칭이다. 그도 그럴게, 더훙은 한나라, 원나라, 명나라 이후를 제외하면 전부 미얀마 쪽 민족들과 역사를 공유하였기에 한족식 이름이 붙을 정도로 한족에 섞여살지 않았던 지역이기 때문이다. == 역사 == [[태국인]]의 조상격 되는 민족이 거주하였던 지역으로, [[한나라]] [[광무제]]가 정복한 이후 애뢰현(哀牢县)을 설치하여 통치하였다. 그러다가 [[76년]], 현지 민족이 독립하여 샨 왕국을 세웠으며, [[576년]]에 샨 왕국의 멸망 이후 세워진 잔비 왕국의 수도로 작용하였다. 그러다가 [[남조(왕국)|남조]] 산하로 들어가며, [[954년]]에 잔비 왕국을 다시 부흥시킨다. 이후 잠시동안 [[원나라]]가 장악하여 통치하였으며, [[1312년]]에 독립하여 몽마오 왕국 건국되었고, 더훙은 이 몽마오 산하로 들어간다. [[1441년]] [[명나라]]의 원정으로 쇠퇴하여 버마계열 국가인 [[따웅우 왕조]] 및 [[잉와 왕국]], 명나라 등에게 분할되었고 당시 더훙은 명나라 산하로 들어간 지역이었다. 이후 명나라부터 청나라 때 까지는 토사정치를 하여 통치하였다. [[1949년]] 바오산전구(保山专区) 산하였으며, [[1952년]]에 량허셴 다이족 징포족 자치구(梁河县傣族景颇族自治区)가 설치되고 [[1956년]]에 현 명칭으로 변경된다. == 교통 == 관내에 더훙 망스 공항(德宏芒市机场) 및 룽촨 광쑹 공항(陇川广宋机场)이 존재하며, 더훙 망스 공항은 [[만달레이 국제공항]] 및 [[양곤 국제공항]]행 국제선이 존재하고 룽촨 광쑹 공항은 국내선만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