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덕수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 ||<-3> {{{#683235 {{{+1 '''덕수궁 덕홍전'''}}}[br]{{{-1 德壽宮 德弘殿}}}}}}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덕수궁 덕홍전, 너비=100%, 높이=100%)]}}} || ||<-2> {{{#683235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99 ([[중구(서울특별시)/행정#s-4|정동]] 5-1) || ||<-2> {{{#683235 '''건축시기'''}}} ||[[1896년]] {{{-1 (창건) }}}[br][[1904년]] {{{-1 (중건) }}}[br][[1911년]] {{{-1 (덕홍전 개조)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홍전1.pn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궁_덕홍전.jpg|width=100%]]}}} || || {{{#683235 '''덕홍전[* [[https://twitter.com/DeokSuGungLoveU/status/1143780593890553856/photo/1|첫 번째 사진 출처 - 덕수궁 트위터.]][br][[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5663&ccbaKdcd=13&ccbaAsno=01240000&ccbaCtcd=11|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목차] [clearfix] == 개요 == [[덕수궁]]의 [[전각]]이다. [[덕수궁 함녕전|함녕전]] 서쪽에 있다. 덕수궁의 건물들 중 (현대에 세운 시설물을 제외하고) 가장 나중에 지었다. '덕홍(德弘)' 뜻은 '덕(德)이 넓고(弘) 크다'이다. == 역사 == 덕홍전은 [[일제강점기]]인 1912년에 처음 지었다. 즉, [[조선|조선왕조]] 시절에는 없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효전.png|width=100%]]}}} || || {{{#683235 '''덕홍전 자리에 있던 경효전[*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insu977&logNo=221256780196&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kr%2F|사진 출처.]]]'''}}} || 원래 덕홍전 자리에는 경소전이 있었다. [[경복궁]]에 있었는데 1896년([[건양]] 1년)에 [[덕수궁|경운궁(덕수궁)]]으로 옮긴 것.[* 당시 [[아관파천]]으로 [[고종(대한제국)|고종]]이 [[경복궁]]을 떠나고 [[경운궁]]을 환궁(궁으로 돌아가다)할 곳으로 정하면서 경복궁의 건물 일부를 경운궁으로 옮겨지었다.] 이후 [[명성황후]]의 빈전으로 사용했으나 [[국장]] 이후에는 '경효전'으로 이름을 바꾼 뒤 혼전으로 활용했다. 이 때는 [[담]], [[문]]으로 침전 [[덕수궁 함녕전|함녕전]]과 영역을 구분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경효전 의궤.png|width=100%]]}}} || || {{{#683235 '''《경운궁중건도감의궤》의 경효전 모습[* [[https://www.gogung.go.kr/ancientBooksView.do?bbsSeq=6157&bizDiv=2|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 1904년([[광무]] 8년) [[경운궁]] [[화재|대화재]]로 경효전은 불탔다. [[명성황후]]의 [[신주]]는 임시로 준명전 서행각에 봉안했다가 [[고종(대한제국)|고종]]이 머물던 [[덕수궁 중명전|중명전]] 근처의 수풍당으로 이전했다. 이후 옛 경소전 모습대로 재건했지만 명성황후의 신주를 다시 이곳으로 옮기지는 않았다.[* 수풍당에 계속 있다가 1919년 1월 [[고종(대한제국)|고종]] [[죽음|승하]] 후 1921년 3월에 [[종묘]]에 같이 모셔졌다.][* [[임금]]의 생전에 [[황후]], [[왕비]]가 죽은 경우에는 [[신주]]를 혼전에 계속 두고 있다가 임금이 죽은 다음에야 같이 [[종묘]]에 봉안할 수 있었다.] 이렇게 [[제례]]와 인연이 멀어지고, 또한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살던 [[덕수궁 함녕전|함녕전]]과 가까워서인지 [[일제강점기]]인 1912년에 경소전을 알현실로 고쳐 짓고 이름을 덕홍전으로 바꾸었다. 이 때, [[창덕궁]]의 알현실로 개조되었던 [[창덕궁 인정전|인정전]]을 참고했다고 한다. 주변도 크게 달라졌다. 우선 [[덕수궁 함녕전|함녕전]]과 영역을 구분하던 [[담]]과 [[문]]을 헐고 같은 영역으로 만들었다. 혼전 관련 시설들을 전부 없애고, 대신 [[덕수궁]] 내 이왕직 청사[* [[일제강점기]] [[이왕가]]([[대한제국/황사|옛 대한제국 황실]])을 담당하던 [[기구]].] 및 귀빈실과 찬시실 등을 새로 만들었다. 그리고 귀빈실 및 함녕전과 통하는 [[복도]]를 설치했다. 함녕전에 거주하던 [[고종(대한제국)|고종]]이 편하게 덕홍전을 오갈 수 있게 하기 위함이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일제강점기 덕홍전 실내1.png|width=100%]]}}} || || {{{#683235 '''1925년 12월 호 《조선과 건축》[* [[일제강점기]]에 있었던 건축 단체 조선건축회가 1922년 6월부터 1945년 2월까지 펴낸 기관지.]에 실린 일제강점기 덕홍전 실내[* [[https://www.gogung.go.kr/issueCultureView.do?pageIndex=1&bbsSeq=6489&searchGubun=ALL&searchText=|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사진 아래 설명에는 [[덕수궁 석조전|석조전(石造殿)]]으로 적어두었으나 잘못 쓴 것이다.]'''}}} || 1919년 [[고종(대한제국)|고종]] [[죽음|승하]] 이후 [[덕수궁]]은 비었고 그 후 1933년 [[일본 제국|일제]]는 [[덕수궁]]을 [[공원|공원화]]하면서 많은 [[전각]]들을 허물었다. 그럼에도 덕홍전은 살아남아 오늘에 이른다. == 구조 == * 장대석을 네 벌을 쌓아 [[기단]]을 만들었으며 기단 앞에 장대석 세 벌을 쌓은 대를 추가로 설치했다. 기단 상판은 전돌로 마감했고, 대 위는 박석을 깔았다. 그 앞에 소맷돌이 있는 [[계단]]을 두었고 측면에는 대 자체를 계단식으로 쌓았다. 그리고 건물의 서북쪽에 소맷돌 없는 3단의 계단을 놓았다.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이고 [[기둥]]은 사각형,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는 이익공 양식이다.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는 양상바름을 하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올렸다. * 정면 3칸, 측면 4칸의 총 12칸이다. [[문|출입문]]은 정면 가운데 칸과 동쪽 측면의 남쪽에서 3번째 칸, 그리고 서쪽의 남쪽에서 2번째 칸에 달려있다. 나머지는 전부 중방 위에 교창을 둔 [[창문]]이며 교창의 창호는 빗살로, 창의 창호는 띠살로 꾸몄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홍전 정면 출입문.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홍전 측면 출입문.png|width=100%]]}}} || || {{{#683235 '''파일:덕홍전 정면 출입문'''}}} || {{{#683235 '''파일:덕홍전 측면 출입문'''}}} || [[문]]은, (문이 있는)각 칸마다 중인방 가운데에 문선을 두고 가운데에 [[나무]]로 만든 [[양식|서양식]] 당판문을 달았다. 정면과 측면의 모습이 약간 다른데, 정면 문짝에는 [[판]] 사이에 정자 모양의 구멍을 뚫어놓았으나 측면의 문짝은 판이다. 나머지 남은 면의 경우, 정면에는 띠살 문짝과 머름을 설치했으나 측면은 [[벽]]으로 메꾸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홍전 내부.png|width=100%]]}}} || || {{{#683235 '''덕홍전 내부[* 사진 출처 - 카카오맵.]'''}}} || 실내는 전부 1칸으로 뚫려 있으며 바닥은 [[벽돌|전돌]]이다. 사실 원래는 [[카페트]]를 깔았는데 나중에 치운 것. [[천장]]은 우물반자로 하고 반자청판에 구름 속을 날고 있는 두 마리의 봉황을 그려넣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홍전 샹들리에.png|width=100%]]}}} || || {{{#683235 '''덕홍전 샹들리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홍전 커튼박스.png|width=100%]]}}} || || {{{#683235 '''덕홍전 커튼박스'''}}} || [[근대]] 이후에 지어서 그런지, 내부 [[장식]]에 [[양식|서양식]]을 가미했다. 천장에는 샹들리에를 달았고, 교창에는 [[커튼]][[박스]]를 설치했다. 커튼박스는 양 가장자리에 날개를 문 듯한 모양의 봉황머리가 있고, 가운데에 금색 [[이화문|오얏꽃]] [[조각]]이 달린 형태이다. == 여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홍전 션샤인 1.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홍전 션샤인 2.png|width=100%]]}}} || ||<-2> {{{#683235 '''덕홍전에서 열린 덕수궁 션샤인 프로젝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트위터[[https://twitter.com/chlove_u/status/1068138999875698688/photo/3|#]][[https://twitter.com/chlove_u/status/1068138999875698688/photo/4|#]].]'''}}} || 2018년 tVN에서 방영한 [[시대극]] 《[[미스터 션샤인]]》의 [[인기]]를 바탕으로, [[문화재청]]과 한국문화재재단이 같은 해 11월 23일부터 12월 12일까지 덕홍전에서 극 중 나왔던 [[한복]]과 [[근대]] [[옷|의복]]을 전시했다. [[프로젝트]]의 정식 이름은 '덕수궁 션샤인 – 근대, 그날의 기억을 입다'. 특히 [[드라마]]에 직접 참여한 [[디자이너]]들이 준비해 [[화제]]를 모았다.[* 총괄 디렉터는 서영희.][[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1122000029|#]][[http://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28793|#]] [각주] ---- [[분류:덕수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