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덕수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 ||<-3> {{{#683235 {{{+1 '''덕수궁 생양문'''}}}[br]{{{-1 德壽宮 生陽門}}}}}}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덕수궁, 너비=100%, 높이=100%)]}}} || ||<-2> {{{#683235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99 ([[중구(서울특별시)/행정#s-4|정동]] 5-1) || ||<-2> {{{#683235 '''건축시기'''}}} || [[1896년]] {{{-1 (창건) }}} / [[2019년]] {{{-1 (복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궁 생양문.png|width=100%]]}}} || || {{{#683235 '''생양문'''}}} || [목차] [clearfix] == 개요 == [[덕수궁]]의 북쪽 궁문이다. [[주한영국공사관|영국공사관]](현재 [[주한영국대사관]])과 마주하고 있었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사라졌다가, 2019년에 다시 복원되었다. == 역사 == 원래 [[임진왜란]] 당시 임시 행궁이었던 [[경운궁]]([[덕수궁]]의 원래 [[이름]])은 [[인조]] 연간 이후 [[덕수궁 즉조당|즉조당]]과 주변 별당 몇 채 빼고는 아무 것도 없던 [[궁]]이었다. 그러다 1896년([[건양]] 원년) [[아관파천]]으로 [[주한러시아공사관|러시아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겼던 [[고종(대한제국)|고종]]이 1년 뒤 1897년(건양 2년) 궁으로 돌아갈 때 기존의 [[경복궁]], [[창덕궁]]이 아닌, 근처의 경운궁을 선택했다. 고종은 애초부터 환궁을 경운궁으로 하려고 했는지, 러시아공사관에 머물면서 경운궁 공사를 실시했다.[* 하지만 몇 백 년을 버려진 곳을 [[임금]]이 거처로 삼으려니 [[공사|대공사]]가 필요했고, 명목상으로는 중건이라 했지만 사실상 새 [[궁궐]] 하나를 새로 짓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이 때 생양문도 지은 듯 하다. 확실한 건립 연대는 모르나, 1896년 9월 17일[* 음력 8월 11일.]에 윤정구를 생양문현판서사관으로 임명했다는 《[[승정원일기]]》 기사를 보아 그 무렵 완공한 듯 하다.[[http://sjw.history.go.kr/id/SJW-K33080110-00300|#]] 1906년([[광무]] 10년) 7월에 있었던 황태자비 초간택과[[http://sjw.history.go.kr/id/SJW-K43050030-00600|#]] 1907년(광무 11년) 3월에 있었던 [[영친왕]] 부인 초간택 때 궁으로 드나드는 문으로 쓰였다.[[http://sjw.history.go.kr/id/SJW-K44010220-00500|#]] 일제강점기 즈음에 헐린 듯 하나 철거 시기는 모른다. 2019년에 복원되었다.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덕수궁 인화문, version=35)] [[분류:덕수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