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덕수궁)] ---- ||<-3> [[파일:정부상징.svg|width=22]] '''[[대한민국의 사적|{{{#f39100 대한민국 사적 제124호 덕수궁}}}]]''' || ||<-3> {{{#683235 {{{+1 '''덕수궁 석어당'''}}}[br]{{{-1 德壽宮 昔御堂}}}}}}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덕수궁 석어당, 너비=100%, 높이=100%)]}}} || ||<-2> {{{#683235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세종대로]] 99 ([[중구(서울특별시)/행정#s-4|정동]] 5-1) || ||<-2> {{{#683235 '''건축시기'''}}} || 창건연대 미상 / [[1904년]] {{{-1 (중건)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덕수궁_석어당.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어당.png|width=100%]]}}} || ||<-2> {{{#683235 '''석어당[*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6415664&ccbaKdcd=13&ccbaAsno=01240000&ccbaCtcd=11|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br][[https://twitter.com/chlove_u/status/1108980771841171457/photo/2|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트위터.]]]'''}}} || [목차] [clearfix] == 개요 == [[덕수궁]]의 [[집|주거 건물]]이다. == 이름과 현판 == '석어(昔御)' 뜻은 '옛날(昔)에 임금(御)이 머물던 곳'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어당 2층 현판.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어당 고종 어필.png|width=100%]]}}} || ||<-2> {{{#683235 '''석어당 2층(왼쪽)과 1층(오른쪽)에 걸린 현판[*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heri/gungDetail/imgDetail.do?detail_code=11&gung_number=4&img_serial_number=481&imgGubun=1&language=|#]][[http://www.heritage.go.kr/heri/gungDetail/imgDetail.do?detail_code=11&gung_number=4&img_serial_number=482&imgGubun=1&language=|#]].]'''}}} || [[현판]]이 2개이다. 2층 바깥 면에 걸린 것은 [[궁내부]] 특진관이던 [[김성근(1835)|김성근(金聲根)]]이, 1층 내부에 있는 [[현판|편액]]은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썼다. 고종 현판을 보면 '석(昔)'자 옆엔 '어필(御筆)', '당(堂)' 자 옆에 '광무구년을사칠월 일(光武九年乙巳七月 日)'이란 작은 글씨가 있다. 1905년(을사년) 7월 어느 날에 썼다는 뜻이다.[* 이는 [[덕수궁 즉조당|즉조당]] [[현판]]도 마찬가지이다.] == 역사 == 1592년([[선조(조선)|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이 전부 불탔다. 1년 뒤인 1593년(선조 26년) [[한성부|한양]] 수복 후 환도[* 還都. [[임금]]이 [[수도(행정구역)|수도]]로 돌아오는 것.]한 선조는 지낼 곳이 없자 [[성종(조선)|성종]]의 [[형]] [[월산대군]]의 [[집]]과 주변 민가들을 [[궁|행궁]]으로 삼아 임시로 머물렀다. 처음엔 '정릉동 행궁(貞陵洞 行宮)'으로 부르다가 [[광해군]] 때 이름을 '경운궁(慶運宮)'으로 바꾸었다. 이후 [[광해군]]은 계모[* [[인목왕후]]는 의붓아들인 [[광해군]]보다도 9살이나 어렸다.] [[소성대비]]([[인목왕후]])와 이복여동생 [[정명공주]]를 이 [[궁]]에 유폐시켰고, 이름도 서궁(西宮)으로 바꾸었다.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이 쫓겨난 뒤 [[인조]]가 소성대비를 만나러 이 곳에 왔으며, 소성대비에게 인정받은 뒤 서궁에 있는 [[덕수궁 즉조당|선조가 머물던 전각]]에서 즉위했다. 그리고 궁의 이름도 경운궁으로 환원했다. 그러나 [[인조]]는 왕이 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경운궁]] [[건물]] 대부분을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어 경운궁을 사실상 해체했다. 하지만 정릉동 행궁 시절을 기억하기 위해 선조가 사용했던 [[건물]] 2채를 남겼다.[[http://sillok.history.go.kr/id/kpa_10107012_003|#]]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영조어진.jpg|width=100%]]}}} || || {{{#683235 '''경운궁에 많은 관심을 보인 영조'''}}} || 비록 [[흔적]]만 남았으나, [[임진왜란]] 때 [[선조(조선)|선조]]가 [[개고생|고생]]한 것을 상기하려 [[조선시대|조선 후기]] [[임금]]들이 [[경운궁]]을 이따금씩 찾았다. 그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보인 왕은 [[영조]]였다. 1769년(영조 45년) 영조는 [[인조]]가 즉위한 건물에 [[덕수궁 즉조당|즉조당]]이란 이름을 붙였고[[http://sillok.history.go.kr/id/kua_14511002_003|#]] 1773년(영조 49년)에는 선조의 환어 3주갑[* [[임금]]이 [[서울]]로 돌아온 후 60[[갑자]]가 세 번째로 돌아왔다는 뜻. 1653년([[효종(조선)|효종]] 4년)이 1주갑, 1713년([[숙종(조선)|숙종]] 39년)이 2주갑, 1773년([[영조]] 49년)이 3주갑이다.]을 맞아 즉조당에 ‘예전(昔)에 임금(御)이 머물렀다는 뜻’의 '석어당(昔御堂)' [[현판]]을 써서 걸었다. [[기록]] 상으로 석어당 명칭은 이 때 처음 보이며 원래 즉조당을 달리 일컬었던 이름임을 알 수 있다.[[http://sillok.history.go.kr/id/kua_14911004_002|#]][[http://sjw.history.go.kr/id/SJW-F49110040-020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104CF37569DA0F7358A6A.jpg|width=100%]]}}} || || {{{#683235 '''경운궁을 중건한 고종황제'''}}} || 1896년([[건양]] 1년) [[아관파천]]으로 [[고종(대한제국)|고종]]은 [[경복궁]]을 떠나 [[주한러시아공사관|러시아공사관]]에 머물렀다. [[고종(대한제국)|고종]]은 장차 돌아갈 곳으로 [[경복궁]]이 아닌 [[경운궁]]을 선택했기 때문에 러시아공사관에 머물던 시기부터 경운궁을 [[궁궐]]답게 만드는 [[공사|대공사]]를 진행했다. 1897년([[건양]] 2년) 2월 [[고종(대한제국)|고종]]은 [[경운궁]]으로 환궁했다. [[덕수궁 즉조당|즉조당]]을 달리 부르던 명칭 '석어당'을, 현재 자리(즉조당 동남쪽)에 있는 2층 건물의 이름으로 삼은 것은 그 직후인 듯 하다. 그 근거로 1904년([[광무]] 8년) 경운궁 대화재 당시 고종이 ‘환궁할 당시 경운궁에는 즉조당 하나 뿐이었다’고 발언했다는 기록을 들 수 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4104014_003|#]][* 정말 말 그대로 즉조당만 달랑 있었다는 얘기가 아니고, 제대로 된 이름과 위상을 가진 건물이 즉조당 뿐이었다는 뜻이다.] 석어당이 별도로 존재했으면 같이 언급을 했을텐데 안한 걸로 보아, 환궁 당시까지 석어당 명칭은 즉조당의 별호였음을 유추할 수 있다. 그런데 저 2층 [[전각]]이 경운궁 대공사 때 처음 지은 것인지, 아니면 [[선조(조선)|선조]] 때부터 남아있던 건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러나 앞에 썼듯, [[인조]] 때 남긴 건물이 즉조당 외에도 1채 더 있었다는 점[[http://sillok.history.go.kr/id/kpa_10107012_003|#]], 건물 양식이 [[집|민가]]에 가까운 점, 그리고 옛날에 왕이 머물렀다는 뜻의 석어당 이름을 굳이 새 건물에 붙일 이유가 없다는 것을 볼 때, 정릉행궁 시절부터 존재했던 건물인 듯 하다. 1904년(광무 8년) 4월 27일 자 《[[황성신문]]》 기사에서는 '[[인목왕후|인목대비]]가 머물던 전각'이라 했다. 환궁 후 [[고종(대한제국)|고종]]은 정식 침전 [[덕수궁 함녕전|함녕전]] 공사가 끝날 때까지 새로운 석어당에서 머물렀다. 1899년([[광무]] 3년) 1월에는 고종의 친어머니 [[여흥부대부인]]의 1주기를 맞아 망곡례[* 빈소나 능묘를 바라보며 곡을 하는 의례.]를 석어당의 행각에서 행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za_13601027_001|#]] 1904년([[광무]] 8년) 앞서 언급한 [[화재|대화재]]로 불탔고[[http://sillok.history.go.kr/id/kza_14104014_001|#]], 직후 예전 모습 그대로 재건했다. 1933년 [[일본 제국|일제]]의 궁궐 공원화 계획으로 많은 [[덕수궁]]의 [[건물]]이 헐렸을 때에도 살아남아 오늘에 이른다. == 구조 == * 지금까지 남아있는 [[궁궐]] [[전각]] 중 [[누각]]을 제외하고 '''유일하게 2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건물이다.'''[* [[경복궁 근정전]]과 [[창덕궁 인정전]]도 2층이지만, 실내는 [[층]] 구분 없이 뚫려있다.][* 조선시대 중기까지 석어당처럼 침루로 불리는 2층 건물이 상당히 있었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창덕궁]]에 있었던 [[창덕궁 경훈각|경훈각]]의 2층인 징광루이다.] * 장대석을 3벌대로 쌓아 [[기단]]을 구성하고 기단의 상부는 [[벽돌|전돌]]로 마감했으며, 정면에 4벌짜리 [[계단]]을 2세트 두었다. 그리고 그 위에 네모난 [[초석|주춧돌]]과 [[기둥]]을 쌓아 [[건물]]을 올렸다.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로, 1층의 경우 초익공 양식의 [[공포(동음이의어)#s-2|공포]]를 두었으나 2층에는 공포가 없다.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기와]]를 쌓아 마감했다. [[용두]], [[잡상]], 취두를 일체 올리지 않고 [[단청]]도 칠하지 않았다. * 뒷면 외관은 앞면과 꽤 차이가 있다. [[기단]]부터 다른데 지형의 특성 상 뒷면 기단은 장대석 1벌대이다. 그리고 뒤에서 볼 때 기준으로 2, 3, 5, 7, 8칸에 각각 가퇴를 설치했고 가퇴의 측면에는 4벌의 [[계단]]을 두어 출입가능하게 했다. 또한 양 가퇴 사이에 [[마루|쪽마루]]를 설치했고 마루의 가장자리엔 [[난간]]을 두었다. 이 난간은 중간 부분을 아(亞)자 형태로 장식하고 돌림띠대에 하엽동자[* 荷葉童子. [[연꽃]] [[잎]] 모양의 짧은 [[기둥]].]를 세워 돌난대를 받치는 모습으로 동쪽에 2개, 서쪽에 9개이다. 난간 사이에 사람 한 명이 지나다닐만한 빈 공간이 있는데 이 앞에 댓돌이나 계단이 없다. 원래 그런 건 아니었고 나중에 사라진 것. * 바깥 면의 창호를 살펴보면, 정면 기준 2, 3, 6, 7칸과 뒷면의 가퇴 부분 창호는 정(井)자 살이다. 이를 제외하고는 2층을 포함하여 전부 띠살로 되어있다. 실내 창호의 경우 대청에서 뒷 툇간으로 나가는 문짝은 아(亞)자 살로 화려하게 만들었고, 동온돌에서 측면의 툇간과 연결되는 창의 경우 정(井)자 살이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어당 대청.png|width=100%]]}}} || || {{{#683235 '''대청[*A 사진 출처 - 네이버 지도.]'''}}} || 1층은 정면 8칸, 측면 3칸의 총 24칸이고 2층은 정면 6칸, 측면 1칸의 총 6칸이다. 1층 내부는 가운데 2칸을 [[대청]]으로, 앞면과 대청 뒷면의 가장자리 칸에 [[마루|툇마루]]를 깔았으며 대청을 중심으로 양 옆에 [[온돌|온돌방]]을 두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어당 동온돌.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어당 서온돌.png|width=100%]]}}} || || {{{#683235 '''동온돌[*A]'''}}} || {{{#683235 '''서온돌[*A]'''}}} || 동쪽 [[온돌|온돌방]]은 이론 상으로 정면 2칸, 측면 2칸의 총 4칸이나 모든 공간을 1칸으로 터서 방을 넓게 만들었다. 서쪽 온돌방은 약간 다르다. 기본 구조는 동온돌과 같으나, 대청 쪽 칸은 다른 칸과 [[기둥]] 및 문지방으로 나누었고, 나머지 칸은 서로 구분 없이 텄다. 서온돌의 서편에는 2층으로 올라갈 수 있는 [[나무]] [[계단]]이 있다. [[방]]에서 측면의 툇간과 연결되는 [[창문]]의 모습도 차이가 있는데, 동온돌쪽 창은 [[전통]] [[양식]]이나 서온돌쪽 창은 [[서양|서양식]] 문짝이다. 이는 [[근대화]] 영향을 받은 것을 보여준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어당 2층.pn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어당 용 그림.png|width=100%]]}}} || || {{{#683235 '''석어당 2층 내부[*A]'''}}} || {{{#683235 '''석어당 용 그림[*A]'''}}} || 2층 내부는 칸마다 구분 없이 전부 텄고 바닥은 [[마루]]로 마감한 모습이다. [[천장]]은 서까래가 바로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만들었으며 4번째 칸 위의 종도리에는 [[용]] 그림과 [[무늬]]를 화려하게 그려넣었다. 단, [[색]]을 입히진 않았다. * [[http://103.55.188.117/exterior/|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덕수궁관리소에서 제작한 사이버 전각전시관을 통해 더욱 생동감있게 내부를 볼 수 있다.]] === 일제강점기 이전 === 현재 석어당 외관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조금 변형된 것이다. [[대한제국]] 시기에 그린 그림과 일제강점기 초에 촬영한 사진을 보면, 현재 모습과 크게 다르지는 않으나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신축진찬의궤 - 명례궁지.png|width=100%]]}}} || || {{{#683235 '''《임인진연의궤》에 실린 관명전, 즉조당, 석어당의 모습. 오른쪽 밑부분의 전각이 석어당이다.'''}}} || 이 그림은 1902년(광무 6년)에 펴낸《임인진연의궤》[* 고종 즉위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열린 잔치에 관한 전말을 기록한 책이다.]에 실린 석어당(오른쪽 밑부분 전각) 일대의 그림이다. 그림 속 석어당 모습은, 지금과 달리 1층 좌측의 툇간과 우측에 덧댄 한 칸이 남쪽 행랑채와 붙어있었으며, 좌측으로 [[덕수궁 즉조당|즉조당]]과도 복도각으로 통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어당 의궤.png|width=100%]]}}} || || {{{#683235 '''《경운궁중건도감의궤》의 석어당 모습[* [[https://www.gogung.go.kr/ancientBooksView.do?bbsSeq=6157&bizDiv=2|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 || 이 그림은 1904년(광무 8년)에 불탄 후 재건할 때 펴낸 공사보고서 《경운궁중건도감의궤》에 실린 석어당 그림이다. 용마루 끄트머리에 [[용두]]가 달려있고, 1층 좌측의 툇간 남쪽으로 행랑을 이었으며 2층에 벽돌로 마감한 칸을 덧대었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일제강점기 석어당.png|width=100%]]}}} || || {{{#683235 '''일제강점기의 석어당 모습[*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2585|사진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 이 사진은 [[일제강점기]] 초반에 [[일본 제국|일제]]가 [[조선]] 고적과 명소를 조사할 때 촬영한 것이다.[[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2585|#]][[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chive_5950|#]] 건물의 남면이 아니라 북면에서 찍은 것으로, 상술한 석어당 2층에 덧댄 칸이 보인다. 오른쪽 끄트머리의 꺾인 부분 1층은 [[덕수궁 즉조당|즉조당]]과 이어지는 [[복도]]로, 대한제국 시절과 일제강점기 초까지는 두 건물이 이어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과 모습이 달라서 윗 사진을 1904년([[광무]] 8년) 경운궁 대화재 이전 석어당을 찍은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 여담 == * 석어당 앞에 [[살구나무]] 한 그루가 있다. [[봄]]이 오면 예쁘게 핀 살구꽃을 보러 많은 사람들이 이 앞을 찾는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어당 2층에서 바라본 풍경.png|width=100%]]}}} || || {{{#683235 '''석어당 2층에서 바라 본 풍경[*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1286§ionId=b_sec_1&mn=NS_01_02|사진 출처 - 문화재청.]]]'''}}} || [[문화재청]]에서 2016년 이후 봄마다 3월 말 ~ 4월 초의 1주일 가량을 '''석어당'''과 [[덕수궁 준명당|준명당]], [[덕수궁 중화전|중화전]], [[덕수궁 함녕전|함녕전]] 등 덕수궁의 주요 전각 내부를 개방했다. 해설자의 인솔 하에 단체관람을 했으며 덕수궁 홈페이지에서 예약을 하고 가야했다. 하루에 2번, 1회 당 소요 시간은 1시간 20분 정도였다. 석어당 2층도 개방했는데 2층에 올라서 [[개화|꽃 핀]] [[덕수궁]]의 아름다운 모습을 바라보는 것이 이 관람의 가장 큰 매력이었다고 한다. 2020년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 19]] 사태로 진행하지 않았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어당 AR.png|width=100%]]}}} || || {{{#683235 '''석어당 AR 안내 표지판'''}}} || 2020년 3월 [[SK텔레콤]]이 덕수궁관리소와 함께 덕수궁을 3차원 입체 표현한 [[어플]] 'AR(증강현실) 덕수궁'을 시범운영한다고 24일 밝혔다. 그 중 '''석어당'''과 [[덕수궁 대한문]], [[덕수궁 중화전|중화전]]과 [[덕수궁 석조전|석조전]] 등 네 곳을, AR로 재현한 [[판다]] · [[고양이]] · [[웰시코기]] 등과 인증샷을 찍을 수 있게 만든 AR 포토존으로 지정했다. 자세한 내용은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2003241052001&code=920100|기사]] 참조. [[분류:덕수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