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양구청이 있는 역, rd1=화정역(고양))] || '''{{{#ffffff {{{-1 폐역}}}}}}''' || [[율촌역|{{{#000000,#ffffff 율촌}}}]] - --[[신풍역(전라선)|[ruby(신풍, ruby=~2011)]]]-- - '''덕양''' || ||<-3> {{{+2 '''덕양역'''}}} || ||<-3>{{{#!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34.812116 127.627459,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Deogyang || || [[한자]] ||<-2> 德陽 || || [[간체자]] ||<-2> 德阳 || || [[가나(문자)|가나]] ||<-2> [ruby(徳陽, ruby=トギャン)] || ||<-3> '''주소''' || ||<-3>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여순로 56[br](舊 덕양리 1489-6) || ||<-3>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br]([[여수엑스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 ||<-3> '''운영 기관''' || || [[전라선]] ||<-2> [[한국철도공사|[[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100]]]] || ||<-3> '''개업일''' || || [[전라선]] ||<-2> 1930년 12월 25일 || || [[여천선]] ||<-2> 1969년 5월 1일 || ||<-3> '''철도거리표''' || || [[익산역|{{{#585858 {{{#!html
익산 방면
}}}}}}]][[율촌역|율 촌]][br]← 8.6 ㎞ || '''[[전라선]]'''[br]덕 양 || [[여수엑스포역|{{{#585858 {{{#!html
여수엑스포 방면
}}}}}}]][[여천역|여 천]][br]5.3 ㎞ → || || {{{#585858 {{{#!html
기점
}}}}}} || '''[[여천선]]'''[br]덕 양 || [[적량역|{{{#585858 {{{#!html
적량 방면
}}}}}}]][[흥국사역|흥국사]][br]6.2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덕양역.jpg|width=100%]]|| [[전라선]]과 [[여천선]]의 [[철도역]]. 신 역사는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여순로 56(舊 덕양리 1489-6) 소재. 구 역사는 소라면 소재지 인근인 하세동길 17-12(舊 덕양리 1412-24번지)에 있었다. == 역사 == * [[1930년]] [[12월 25일]]: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69년]] [[5월 1일]]: 덕양기점으로 여천선 개통 * [[1969년]] [[10월 5일]]: 역사 신축 완공 * [[1990년]] [[10월 11일]]: 역사 증축 * [[1991년]] [[1월 1일]]: 소화물 취급 중지 * [[2005년]] [[9월 30일]]: 화물 취급 중지 * [[2011년]] [[4월 5일]]: 순천 - 여수 구간 선로 이설로 신 역사 이전과 동시에 여객 취급 중지 * [[2019년]] [[5월 15일]]: 화물취급 중지 == 승강장 == 승강장이 조성되어 있으나 여객취급이 아직 재개되지 않은 관계로 이용할 수 없다. 그러나 가끔가다 자전거 라이더를 위한 특별관광열차인 에코레일 자전거열차 등 부정기 관광열차가 이 역에 편성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때 역사가 개방되고 승강장 이용이 가능해진다. ||<-8> ↑ [[순천역|순천]]·[[율촌역|율촌]] || || ㅣ || {{{#ffffff 1}}} || {{{#ffffff 2}}} || ㅣ || ㅣ || {{{#ffffff 3}}} || {{{#ffffff 4}}} || ㅣ || ||<-8> [[여천역|여천]] ↓ || || {{{#ffffff 1}}} ||<|4> [[전라선]] ||<|4> 미사용 ||<|2>~~[[순천역|순천]]·[[익산역|익산]]·[[용산역|용산]] 방면~~|| || {{{#ffffff 2}}} || || {{{#ffffff 3}}} ||<|2>~~[[여천역|여천]]·[[여수엑스포역|여수엑스포]] 방면~~|| || {{{#ffffff 4}}} || == 기타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와 [[한자]]가 같지만 당연히 관련은 없다. 과거 전성기에는 당시 우등 [[무궁화호]] 선택정차, [[통일호]]가 전부 정차했다. 그러나 열차 운행체계 개편과 수요 감소로 이설 직전에는 무궁화호 상행 6회, 하행 4회만 정차하고 있다가, 역사 이전과 동시에 여객 취급을 중지했다. 수요도 적었던 와중에 역사가 소라면 시내지역과도 멀어진 탓에 없는 수요가 더 빠져나갈 상황이기도 했다. 하지만 여객취급을 하지 않음에도 여천산업단지에 들어가는 [[여천선]]이 분기되어 운전취급상 중요한 점 때문에 3급 [[보통역]]을 달고 있다. 여객 취급 중단이 확정된 채로 역을 옮겼지만 다른 여객열차 정차역들 못지 않은 큰 규모로 역사를 짓고 주차장도 널찍하게 갖춰놨다. 들어가 보면 아직 사용할 일은 없지만 타는 곳 안내판과 매표창구까지 있는 등 장래에 여객취급을 재개할 것을 염두에 두고 내부 시설이 조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2012 여수 엑스포]] 기간에 일시적으로 여객취급을 재개할 것이라는 말이 있었으나-- 접근성이 거지같아서인지-- 이 역 말고 옆의 [[율촌역]]만 임시로 여객취급이 재개됐다. 소라면이 여수 시내에서 바로 바깥쪽이고 여천산단과도 인접하다보니 장래에 역세권을 개발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금방이라도 여객취급을 재개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듯 하다. 구 덕양역 부근은 소라면 소재지로 [[곱창]] 골목으로 유명하다. 예전에 이곳에서 도축장이 있어서 신선한 곱창을 공급받기 쉬웠기 때문에 곱창 요리가 발달하고 여기에 덕양역 때문에 교통이 편리하고 유동인구가 제법 되었기 때문에 곱창 식당들이 많이 들어섰다. 도축장과 덕양역이 이전한 뒤에는 유동인구가 줄긴 했지만 그래도 곱창 요리를 찾는 손님들이 아직도 제법 많아서 명맥을 잇고 있다. 이 역부터 KTX열차는 성산역까지 230km/h로 주행한다. 길게는 순천역까지도 빠르게 주행하나 성산~순천 구간은 커브의 존재로 그렇게 빨리 가지는 못하는 편. 이 역에 현대로템이 제작한 [[MTR]] [[동철선]] [[MTR 현대로템 R형 전동차|현대로템 R형 전동차]]들이 2020년까지 주박되어 있었다. 여객 미취급 역 중 [[역명코드]] 숫자가 두 번째로 작다(052). 첫 번째는 [[영동선]]의 [[망상역]](038). == 사건 및 사고 == * [[2022년]] 9월 3일 덕양역과 율촌역 사이에서 행인이 여수엑스포발 용산행 [[무궁화호]] 1508에 치여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전라선의 역 목록)] [include(틀:여천선의 역 목록)] [[분류:1930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철도역]][[분류:전라선]][[분류:여천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분기역]][[분류:여수시의 철도역]][[분류:여수시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