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왕자/목조 ~ 연산군)] ---- [include(틀:조선 익대공신)] ---- ||<-3> {{{#gold '''조선 세조의 왕자'''[br]{{{+1 '''덕원군 | 德源君'''}}}}}} || ||<-2> '''[[봉호|{{{#gold 봉호}}}]]''' ||덕원군(德源君)[* 봉호는 [[함경남도]] [[문천군|문천]], [[원산시|원산]]의 옛 지명인 ‘덕원(德源)’에서 유래했다.] || ||<-2> '''[[시호|{{{#gold 시호}}}]]''' ||소간(昭簡) || ||<-2> '''[[본관|{{{#gold 본관}}}]]''' ||[[전주 이씨]] || ||<-2> '''[[이름|{{{#gold 이름}}}]]''' ||서(曙) || ||<-2> '''[[자(이름)|{{{#gold 자}}}]]''' ||정수(晶叟) || ||<-2> '''[[아호|{{{#gold 호}}}]]''' ||종덕암(宗德菴) || ||<-2> '''{{{#gold 부왕}}}''' ||[[세조(조선)|조선 세조]] || ||<-2> '''{{{#gold 생모}}}''' ||[[근빈 박씨]] || ||<-2> '''{{{#gold 부인}}}''' ||{{{-3 정실}}}임천군부인 [[경주 김씨]] (林川郡夫人 慶州 金氏) {{{-3 1계실}}}봉산군부인 [[함안 윤씨]] (鳳山郡夫人 咸安 尹氏) {{{-3 2계실}}}안성군부인 [[양(성씨)|청주 양씨]] (安城君夫人 淸州 楊氏) {{{-3 3계실}}}창녕군부인 [[창녕 성씨]] (昌寧郡夫人 昌寧 成氏) || ||<-2> '''{{{#gold 자녀}}}''' ||'''슬하 10남 11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적장남 - 연성군 이적(蓮城君 李□) {{{-3 김씨 소생}}} 적차남 - 덕진군 이활(德津君 李濊) {{{-3 김씨 소생}}} 적장녀 - [[여산 송씨|송유]](宋瑠)의 처 {{{-3 김씨 소생}}} 적3남 - 영천도정 이감(寧川都正 李淦) {{{-3 양씨 소생}}} 적4남 - 숭선군(嵩善君) {{{-3 성씨 소생}}} 적5남 - 동산도정 이심(東山都正 李□) {{{-3 양씨 소생}}} 적6남 - 순정수 이찬(順政守 李灒) {{{-3 윤씨 소생}}} 적7남 - 덕성수 이염(德城守 李灩) {{{-3 윤씨 소생}}} 적8남 - 풍창수 이한(豊昌守 李瀚) {{{-3 윤씨 소생}}} 적9남 - 기성도정 이란(箕城都正 李灡) {{{-3 성씨 소생}}} 적10남 - 청부군 이번(靑鳧君 李藩) 서장녀 - 이경지(李敬之) 서차녀 - 이영지(李榮之) 서3녀 - 이열지(李烈之) 서4녀 - 이신지(李愼之) 서5녀 - 이정지(李貞之) 서6녀 - 이혜지(李惠之) 서7녀 - 이계지(李桂之) 서8녀 - 이수지(李守之) 서9녀 - 이순지(李順之) 서10녀 - 이옥지(李玉之) }}} || ||<-2> '''{{{#gold 묘소}}}'''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송마리 || ||<|2> '''{{{#gold 생몰[br]기간}}}''' || '''[[음력|{{{#gold 음력}}}]]''' ||[[1449년]] [[3월 6일]] ~ [[1498년]] [[7월 22일]] || || '''[[태양력|{{{#gold 양력}}}]]''' ||[[1449년]] [[4월 7일]] ~ [[1498년]] [[8월 18일]] (향년 49세)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전기의 왕족. [[세조(조선)|세조]]의 차남으로 어머니 근빈 박씨에게는 [[장남]]이다. 친형제로 남동생 [[창원군]]이 있다. [[전주 이씨]] 덕원군파의 파시조이다.[[http://www.rfo.co.kr/view_party.php?refnum=064|대동종약원 덕원군파 약사]] == 생애 == 아버지 [[세조(조선)|세조]]가 즉위한 후인 1458년(세조 4년) 8월에 덕원군에 봉해졌다. 14세에 혼인하면서 세조에게 사저 60여 칸을 하사받고 건천동에서[* 현재의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충무로]] 일대.] 거주했다. 아버지 세조를 지극정성으로 모셨으며 세조가 거둥할 때는 항상 함께 했다. [[이복동생]] [[예종(조선)|예종]]이 즉위한 뒤, [[남이]]의 옥사를 평정한 공으로 ‘수충보사정란익대공신(輸忠保社定難翊戴功臣)’에 책록되었다. 조카 [[성종(조선)|성종]]이 왕이 된 후에는 종부시도제조에 임명되어 왕실 족보인 《선원보》를 관장하고 선대 왕들의 제향소를 관리했다. == 사망 == 1498년(연산군 4년) 8월 9일에[* 음력 7월 22일.] 건천동 자택에서 사망했다. 향년 49세.[* [[세는나이]] 50세.] [[묘]]는 원래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당현리에 있었으며 부인 경주 김씨와 함께 합장한 형태였다. 원래 [[왕자]]가 죽으면 나라에서 예장을 내렸는데 덕원군은 생전에 남긴 유지를 따라 어떤 예장도 받지 않아 다른 왕자들의 묘소보다 초라했다. 현재는 후손들이 비석과 석물을 갖추어 놓았으며[[http://www.rfo.co.kr/view_party.php?refnum=064|#]] 묘도 경기도 김포시 대곶면 송마리로 이장했다. 세조의 4남 1녀 중에서 제일 오래 살았다. 유난히 20세를 넘기지 못하고 일찍 [[요절]]했던 이복형제들인 세조의 적자들[* [[덕종(조선)|덕종]], [[예종(조선)|예종]].]과 비교하면 더욱 두드러지는 부분. == 여담 == * 1471년(성종 2년) 행호선사 극유가 [[전라도]] [[고창군]]에 있는 [[선운사]]를 중건할 것을 청하자 이에 찬성하며 직접 발원문과 선가혼기를 써주고 후원해주었다. 이후 [[정유재란]]으로 선운사의 많은 건물과 물품들이 불탔으나 덕원군이 쓴 글들은 남아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다. * [[세조(조선)|세조]]가 [[온양행궁|온양온천]]에 가다가 경기도 진위군 종덕면 막금리에 들렀을 때 덕원군이 세조에게 이 땅을 자신에게 내려줄 것을 청하여 허락을 받았다. 이 땅이 지금의 경기도 평택시 고덕면 당현리로, 덕원군의 묘가 자리한 곳이다. 덕원군의 호인 ‘종덕암(宗德菴)’도 여기서 유래했다. * 동복동생 [[창원군]]과 더불어 [[한국 사극|사극]]에 한 번도 나오지 못했으며[* 다만, 창원군은 2021년 KBS2 드라마 〈[[연모]]〉에서 창운군이란 인물로 각색되어 등장하긴 했다.], 하다못해 언급조차 된 적이 아예 없다. 역사 속에서 비중이 공기이다보니 어쩔 수 없는 부분. == 가족 관계 == * 부 : [[세조(조선)|세조]](世祖, 1417 ~ 1468) * 모 : [[근빈 박씨]](謹嬪 朴氏, 1425 ~ ? ) * 동생 : [[창원군]](昌原君, 1458 ~ 1484) * 정실 : 임천군부인 [[경주 김씨]](林川郡夫人 慶州金氏, 1447 ~ 1481) - 증좌찬성 김종직(贈左贊成 金宗直)의 딸 * 적장남 : 연성군 이적(蓮城君 李𤁰, 1464 ~ 1525) * 며느리 : [[강릉 김씨]](江陵 金氏) - 김유악(金由岳)의 딸 * 손녀 : 주부 [[의령 남씨|남숭원]](主簿 南崇元)의 처 * 손녀 : 응교 증 참판 [[덕수 장씨|장옥]](應敎 贈參判 張玉)의 처 * 며느리(첩) : 성씨 미상 * 손자 : 인원정 이정(仁原正 李禎) * 손자 : 인성부수 이완(仁城副守 李梡) * 손자 : 인평부수 이장(仁平副守 李樟) * 손자 : 인양부수 이원(仁陽副守 李榞) * 손자 : 인산부수 이원(仁山副守 李𣗼) * 손자 : 인천부수 이군(仁川副守 李桾) * 손자 : 인강부수 이량(仁江副守 李樑) * 손녀 : 배수양(裵守楊)의 처 * 손녀 : 이장국(李長國)의 처 * 손녀 : [[연안 인씨|인지공]](印之公)의 처 * 손녀 : 이이옹(李而顒)의 처 * 손녀 : 김홍(金洪)의 처 * 손녀 : [[고령 박씨|박세례]](朴世禮)의 처 * 손녀 : 손숙근(孫叔謹)의 처 * 손녀 : [[남양 홍씨|홍인로]](洪仁老)의 처 * 손녀 : [[선산 김씨|김윤]](金潤)의 처 * 손녀 : [[전주 최씨|최준]](崔濬)의 처 * 손녀 : [[한양 조씨|조광준]](趙光俊)의 처 * 손녀 : [[원주 원씨|원수량]](元遂良)의 처 * 손녀 : [[안동 권씨|권림]](權霖)의 처 * 손녀 : [[순흥 안씨|안국언]](安國彦)의 처 * 적차남 : 덕진군 이활(德津君 李濊) - [[창원군]](昌原君)의 양자로 출계 * 적장녀 : 현감 [[여산 송씨|송유]](縣監 宋瑠)에게 출가 * 1계실 : 봉산군부인 [[함안 윤씨]](繼配鳳山郡夫人 咸安尹氏, 1450 ~ ?) - 함안군 윤말손(咸安君 尹末孫)의 딸 * 적6남 : 순정수 이찬(順政守 李灒, 1416 ~ ?) * 며느리 : [[안동 김씨]](安東 金氏) - 김선손(金善孫)의 딸 * 손자 : 광천부수 이경(廣川副守 李鏡) * 적7남 : 덕성수 이염(德城守 李灩, 1424 ~ ?) * 며느리 : [[변(성씨)|원주 변씨]](原州 邉氏) - 변희원(邉希遠)의 딸 * 손녀 : 오대방(呉大防)의 처 * 며느리(첩) : 성씨 미상 * 손자 : 은성부령 이장(銀城副令 李鏘) * 적8남 : 풍창수 이한(豊昌守 李瀚, 1421 ~ ?) * 며느리 : [[진주 강씨]](晉州 姜氏) - 강제(姜濟)의 딸 * 손녀 : 김정직(金廷直)의 처 * 2계실 : 안성군부인 [[양(성씨)|청주 양씨]](配安城君夫人 淸州楊氏, 1451 ~ 1504) - 참지 증찬성 양일원(參知 贈贊成 楊逸源)의 딸 * 적3남 : 영천도정 이감(寧川都正, 1478 ~ 1534) * 며느리 : [[대구 서씨]](大邱 徐氏) - 서복경(徐福慶)의 딸 * 손자 : 금강부수 이주(錦江副守 李鑄) * 손자 : 옥강부수 이주(玉江副守 李儔) * 손자 : 진강부수 이도(鎭江副守 李壔) * 손자 : 영강부정 이도(永江副正 李禱) * 손자 : 운강부수 이건(雲江副守 李鍵) * 손자 : 여강부수 이균(驪江副守 李匀) * 손자 : 춘강부수 이현(春江副守 李鉉) * 손녀 : [[순흥 안씨|안경호]](安景豪)의 처 * 적5남 : 동산도정 이심(東山都正, 1489 ~ 1521) * 며느리 : [[고성 이씨]](固城 李氏) - 이수(李陲)의 처 * 손자 : 진강부수 이도(鎭江副守 李壔) * 3계실 : 창녕군부인 [[창녕 성씨]](配昌寧郡夫人 昌寧成氏, 1453 ~ 1515) - 수찬 성노풍(修撰 成魯風)의 딸 * 적4남 : 숭선군 이총(嵩善君 李灇, 1428 ~ 1544) * 며느리 : [[진주 강씨]](晉州 姜氏) - 반성위 강자순[* [[경순옹주]]의 남편](班城尉 姜子順)의 딸 * 손자 : 연창군 이학수(延昌君 李鶴壽) * 손자 : 연성부수 이미수(延城副守 李眉壽) * 손녀 : [[청풍 김씨|김덕순]](金德純)의 처 * 손녀 : [[남양 홍씨|홍수기]](洪守紀)의 처 * 며느리(첩) : 성씨 미상 * 손자 : 연광정 이영수(延光正 李永壽) * 손자 : 연원부수 이억수(延原副守 李億壽) * 손자 : 연풍령 이의수(延豐令 李宐壽) * 손자 : 괴산정 이만수(槐山正 李萬壽) * 손녀 : [[진주 강씨|강문주]](姜文周)의 처 * 손녀 : 이잠(李潜)의 처 * 적9남 : 기성도정 이란(箕城都正 李灡, 1400 ~ ?) * 며느리 : [[노(성씨)|교하 노씨]](交河 盧氏) - 노찬(盧燦)의 딸 * 손자 : 옥천수 이석(沃川守 李碩) * 손자 : 영천부수 이린(榮川副守 李磷) * 며느리(첩) : 성씨 미상 * 손자 : 완천령 이질(完川令 李礩) * 손자 : 명천부령 이적(明川副令 李磧) * 손녀 : [[안동 권씨|권유]](權柚)의 처 * 적10남 : 청부군 이번(靑鳧君 李藩, 1494 ~ 1545) * 며느리 : [[경주 김씨]](慶州 金氏) - 김징(金瀓)의 딸 * 손자 : 금천부수 이용(琴川副守 李鏞) * 손자 : 기천부수 이종(基川副守 李鐘) * 손녀 : 민전(閔荃)의 처 * 며느리(첩) : 성씨 미상 * 손자 : 운천부령 이봉(雲川副令 李鋒) * 손자 : 임천부령 이광(臨川副令 李鑛) * 손녀 : [[경주 김씨|김경룡]](金慶龍)의 처 * 첩부인 : 양민 출신 * 서장녀 : 이경지(李敬之, 1417 ~ ?) - 현감 [[초계 정씨|정숭년]](縣監 鄭崇年)에게 출가 * 서3녀 : 이열지(李烈之, 1423 ~ ?) - [[칠원 윤씨|윤사형]](尹師衡)에게 출가 * 서4녀 : 이신지(李愼之, 1425 ~ ?) - 군수 [[평산 신씨|신빈]](郡守 申濱)에게 출가 * 서6녀 : 이혜지(李惠之, 1428 ~ ?) - 전적 [[진주 강씨|강은]](典籍 姜㶏)에게 출가 * 서8녀 : 이탁문(李托文, 1434 ~ ?) - 군수 [[죽산 안씨|안수금]](郡守 安秀嶔)에게 출가 * 첩부인 : 노비 출신 * 서차녀 : 이영지(李榮之, 1419 ~ ?) - 첨지 [[청풍 김씨|김담]](僉知 金潭)에게 출가 * 서5녀 : 이정지(李貞之, 1426 ~ ?) - 참봉 [[신평 이씨|이시정]](㕘奉 李時挺)에게 출가 * 서7녀 : 이계지(李桂之, 1430 ~ ?) - 참봉 [[안동 권씨|권수균]](㕘奉 權守均)에게 출가 * 서8녀 : 이수지(李守之, 1432 ~ ?) - 현감 [[광주 노씨|노식]](縣監 盧植)에게 출가 * 서9녀 : 이순지(李順之, 1434 ~ ?) - 봉교 [[해주 오씨|오팽세]](奉敎 吳彭世)에게 출가 * 서10녀 : 이옥지(李玉之, 1437 ~ ?) - 현감 [[죽산 최씨|최충좌]](縣監 崔忠佐)에게 출가 [[분류:조선의 왕자군]] [[분류:서출]] [[분류:1449년 출생]] [[분류:1498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