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표절, source=네이버 지식백과, version=전체)] || [[파일:djcastle.jpg|width=90%]] || || 덕정성당의 과거{{{-2 (1997~2009)}}}와 현재{{{-2 (2009~)}}} || ||<-2> [[천주교 의정부교구|'''{{{#FFFFFF 천주교 의정부교구}}}''']][br]'''{{{+1 {{{#FFFFFF 덕정성당}}}}}}''' || ||<-2> [[파일:덕정성당 로고.png]] || ||<-2> '''{{{#3C6BAE 기본 정보}}}''' || || '''{{{#FFFFFF 위치}}}''' ||[[경기도]] [[양주시]] 화합로 1457-17 {{{-2 ([[고암동(양주)|고암동]])}}}|| || '''{{{#FFFFFF 종교}}}''' ||[[가톨릭]]|| || '''{{{#FFFFFF 교구}}}''' ||[[천주교 의정부교구]]|| || '''{{{#FFFFFF 지위}}}''' ||지구장 성당{{{-2 (4지구)}}}|| || '''{{{#FFFFFF 관할 지역}}}''' ||양주시 고암동, 덕정동, 봉양동, 은현면 용암리, 선암리, 운암리, 하패리 일부|| || '''{{{#FFFFFF 주보성인}}}''' ||[[예수]]성탄, 하자 없으신 [[성모]]성심|| || '''{{{#FFFFFF 홈페이지}}}''' ||[[http://sd.uca.or.kr/deokjeong/|공식 홈페이지]][br][[https://cafe.daum.net/deokjeongopenschool|본당 카페]]|| [목차] == 개요 == [[대한민국]]의 [[가톨릭]] 성당이자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천주교 의정부교구]] 제4지구(양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지구장 성당이다.[* [[의정부교구]] 당시 초대 지구장 성당은 '''동두천성당'''이었다.] == 역사 및 특징 == 덕정성당 역사의 일부분은 [[의정부성당]]에서도 고스란히 거슬러 올라간다. 1900년 초 양주군 회천면 덕정리(현 양주시 덕정동) 등지에 [[천주교]] 박해를 피해 모여 옹기를 구우며 형성된 교우촌을 토대로 [[명동성당|종현본당]] 관할 덕정공소로 출발하여 1906년 개성본당, 1927년 신암리본당에 속하였다. 1934년 [[덕정역]] 근처[* 양주지역자활센터가 있는 자리가 덕정리성당의 시작으로 위치는 양주시 덕정5길 14-3(덕정동 122-6)]에 있는 신암리성당 관할 공소[* 신자 수가 줄어들면서 공소로 격하됨에 따라 덕정리성당의 공소가 된 적이 있다. 이후 의정부성당과 동두천성당의 관할 공소를 거쳐 100주년 기념성당으로 신축 후 2009년에 준본당으로 승격되었고, 2013년에 정식으로 성당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가 덕정리성당으로 승격되어 1945년 12월까지 무려 '''45년 동안''' 그 자리에서 신앙의 기초가 되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 부임한 피숑 레옹(한국명 송세흥) 초대 주임신부의 사목활동과 그의 한국 교회사 연구는 주로 이곳에서 빛을 발하였다. 당시 지역만 해도 현재 의정부교구의 양주[* 현재의 덕정, 옥정, 덕계동, 양주2동, 고읍동, 송추], 의정부[* 당시 의정부읍이기 전인 시둔면(시북면 + 둔야면)과 남양주시 별내면, 별내동(별비면 + 내동면)으로 현재의 의정부, 의정부1동, 녹양동, 호원동, 용현동, 송산, 민락동, 신곡1동, 신곡2동, 청학, 별내], 동두천[* 당시 동두천읍이기 전인 이담면으로 현재의 동두천과 송내동], 연천 일부[* 당시 양주군 영근면으로 현재의 전곡읍 간파리, 늘목리, 양원리], 신암리[* 당시 적성군 남면으로 현재의 신암리], 우골[* 현재의 광적, 양주백석], 북파주[* 현재의 적성면 일부와 법원읍으로 갈곡리, 법원리], 그리고 춘천교구의 포천, 가평까지 덕정리성당이 관할하였는데 경기북부의 대다수를 관장할 만큼 굉장히 넓었다. 그러나 1945년 2월, 피숑 신부가 병자성사[* 병자성사의 옛말을 종부성사라 하였다.]를 집전하기 위해 덕정리 관할 지역을 순회하던 도중 갈곡리에서 열병을 얻어 같은 달 25일에 선종하였고, 이후에 2대 신부이자 의정부성당의 초대 주임신부가 되는 김피득(베드로) 신부에 의해 1946년 2월에 덕정리성당이 당시 시둔면 의정부리[* 현재의 신흥로265번길 27(의정부동 429-6)]에 성당을 이전하고 당시 덕정리성당 터는 매각함에 따라 다시 의정부성당 관할의 공소로 격하되었다. 이후 의정부성당, 의정부4동성당[* 현재의 의정부1동성당]을 거쳐 녹양동성당의 관할 공소로 있었으나 1997년 10월에 덕정성당으로 재승격되면서 초대 주임신부로 장경원(세례자 요한) 신부가 부임하게 된다. 그리고 다음 해 9월에 회천읍 회정리[* 현 양주시 회정동] 406-3[* 당시 도로명 주소는 회정로에 속했으나 2009년 회천지구 조성으로 인하여 도로명 자체가 완전히 소실되었다.]에 성전을 봉헌하여 2009년 3월까지 유지하였다. 이후 [[서울대교구]] 경기북부지구에 속해 있다가 2004년 7월에 [[의정부교구]]가 신설됨에 따라 양주시[* 단, 양주1동 일부(남방동, 마전동, 어둔동, 유양동)와 장흥면 제외. 이쪽은 애초에 의정부권이어서 3지구에 속해 있다. 4지구에 속한 지역은 고읍동성당 관할인 산북동만이 유일하다.], [[동두천시]], [[연천군]]과 함께 4지구에 속하게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회정동의 성당 터가 [[양주신도시|회천지구]] 개발로 인하여 수용됨에 따라 성당 신축을 해야 하는 고민에 빠지게 되었는데, 이는 제3대 주임신부인 추교윤(시몬) 신부의 주도 하에 2007년 10월에 덕정성당의 현 위치인 고암동 181-10[* 현재의 화합로 1457-17.] 일대에 터를 잡게 되었고, 이때 [[의정부교구]] 초대 교구장인 [[이한택]](요셉) 前 주교의 집전 하에 신축기공[[미사]]가 봉헌되었다. 여담으로, 이곳에 큰 느티나무가 있었는데 어느 날 폭우가 쏟아지는 바람에 산사태로 이 느티나무가 무너졌다는 이야기가 있었다. 이후 2009년 3월경에 덕정성당 부지가 현 위치인 고암동으로 옮겨졌고, 그 해 5월 10일에 이한택(요셉) 前 주교 집전 하에 성전 봉헌식이 이루어졌다. 덕정성당의 현재 관할지역은 덕정동, 봉양동[* 회천1동계 덕정동과 봉양동 전체를 맡고 있으며 일성트루엘과 서희 스타힐스 신설로 둘 다 덕정구역에서 분가되었다.], 덕정지구(덕정동, 고암동 일부)[* 주공1~8구역, 중흥구역으로 나뉘어졌으나 현재 중흥구역도 8구역에 통합되었다.], 고암동[* 덕정지구를 제외한 농촌지역 전부], 은현면 일부[* 은현구역이라 불리는데, __용암리, 선암리, 운암리, 하패리__가 이쪽에 속해 있으며 도하리, 봉암리는 동두천성당 관할 공소였던 '''신암리성당'''에 속해 있다.]이다. 덕정에서 분가하기 전에 덕계동, 회정동[* 신자 수가 가장 많았다. 나머지는 덕계동성당 문단에서 후술.], 양주2동(고읍동, 광사동, 만송동, 삼숭동)[* 양주2동성당, 고읍동성당 문단에서 후술.], 회천4동(옥정동, 율정동, 회암동)[* 옥정성당 문단에서 후술.]이 있었다. 특이한 점이 있다면, 두 분의 주보성인을 모시고 있다는 것.[* 주보성인을 두 분 이상 모시는 성당은 모든 성당을 통틀어서 몇 안되는데, 의정부교구는 여기가 유일하다. 반대의 사례로 신설 초기인 2004년에 예수성심을 모시다가 2006년에 성 남종삼 요한으로 바꾼 광적성당이 있다.] >첫째, '''[[예수]]성탄'''[* 성탄의 아기 예수님이라 불리기도 한다.]은 1997년 10월에 녹양동성당 관할 공소에서 덕정성당으로 재승격되면서 사용 >둘째, '''하자 없으신 [[성모]]성심'''[* 의정부성당 사적지 성전 정문 옆에 "하자 없으신 [[성모]]성심"이라는 표기가 실제로 있다. 이는 당시 덕정리성당을 매각하고 의정부성당으로 옮겼을 때에도 주보성인을 그대로 모셨던 흔적이 역력하기 때문이다.]은 1934년 덕정리성당으로 승격되면서 처음으로 쓰였다가 2009년 5월 10일 현재의 새 성전을 봉헌함에 따라 재사용 현 위치의 성당 자체가 태봉산 옆에 위치해 있어서 경사도가 매우 가파르기로 유명하다. --골고타 언덕-- --가파른 언덕배기를 간신히 다 올라가면 마주치는 계단의 압박-- --힝 속았지?-- 그래서 어르신들이 성당으로 올라갈 때 힘겨울 수 있어서 매 주일 11:00 교중[[미사]] 전에 맞은 편에 있는 칠봉초등학교 근처에서 승용차를 함께 타도록 주임신부가 독려하고 있다. 또한 2010년 8월에 [[의정부교구]]에서 열렸던 KYD(한국청년대회) 홈스테이 거점으로 지정되어 미사가 진행되기도 했으며, 2011년에는 교구 설정 초기부터 지구장 성당이었던 동두천성당에서 덕정성당이 지구장 성당을 이어받게 되었다. 2017년에 성당 재승격 20주년을 맞았으며, 2022년 기준으로 25주년이 되었다. 정확히는 1946년 2월에 공소로 격하하면서 본거지를 이전한 의정부성당과의 역사가 같기 때문에 1934년까지 합치면 무려 '''88주년'''이 된다. == 역대 본당 [[신부(종교)|신부]] == === 역대 주임신부 === || '''{{{#FFFFFF 순서}}}''' ||<:> '''{{{#FFFFFF 이름 및 세례명}}}''' ||<:> '''{{{#FFFFFF 재임기간}}}''' ||<:> '''{{{#FFFFFF 비고}}}''' || ||초대[*덕 1934년 전신인 덕정리성당 시절]||피숑(레옹)[* [[파리외방전교회]] 소속으로 한국명은 송세흥]||1934~1945||사망|| ||2대[*덕 1934년 전신인 덕정리성당 시절][* 2대 이후 덕정리성당 매각 후 의정부로 이전하면서 의정부성당의 초대 주임으로 변경]||김피득(베드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1945~1946||사망|| ||초대[*현 1997년 덕정성당으로의 재승격 이후]||장경원(세례자 요한)||2000~2004||교하성당 주임|| ||2대||남궁은(바오로)[*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1989~1994||[[천주교 서울대교구|서울대교구]] 수유1동성당 주임|| ||3대||추교윤(시몬)||2004~2009||평내성당 주임|| ||4대||김성길(마르티노)||2009~2013||화정동성당 주임|| ||5대||원재현(프란치스코 살레시오)||2013~2015||덕소성당 주임|| ||6대||이승익(아우구스티노)||2015~2018||후곡성당 주임|| ||7대||이원희(사도 요한)||2018~2023.2||국내연수|| ||8대||최중복(베드로줄리앙)||2023.2~현재|||| === 역대 협력사목신부 === || '''{{{#FFFFFF 순서}}}''' ||<:> '''{{{#FFFFFF 이름 및 세례명}}}''' ||<:> '''{{{#FFFFFF 재임기간}}}''' ||<:> '''{{{#FFFFFF 비고}}}''' || ||초대||이한수(안토니오)||2014~2016||수동성당 주임|| ||2대||백병훈(요셉)||2023~|||| === 역대 부주임신부 === || '''{{{#FFFFFF 순서}}}''' ||<:> '''{{{#FFFFFF 이름 및 세례명}}}''' ||<:> '''{{{#FFFFFF 재임기간}}}''' ||<:> '''{{{#FFFFFF 비고}}}''' || ||초대||김용석(아우구스티노)||2004~2005||행신2동성당 주임|| ||2대||박성욱(엘리야)||2005~2006||사회사목국 국장|| ||3대||조지훈(힐라리오)||2006~2008||진접성당 협력|| ||4대||김승범(사도요한)||2008~2010||안식년|| ||5대||유경재(요셉)||2010~2012||봉일천성당 주임|| ||6대||하정호(안드레아)||2012~2014||천마성당 주임|| ||7대||양종석(베다)||2017~2019||광적성당 주임|| ||8대||이용호(안드레아)||2019~2021||청소년사목국 차장|| ||9대||정호영(요셉)||2021~ 2023.2 ||송내동성당 주임|| == 본당 출신 신부 == ||<:> '''{{{#FFFFFF 이름 및 세례명}}}''' ||<:> '''{{{#FFFFFF 사제서품}}}''' ||<:> '''{{{#FFFFFF 비고}}}''' || ||곽준영(유스티노)||2014.02.05||대화동성당 협력|| ||박인수(요셉)||2015.02.06||지축동요한성당 주임|| == 덕정성당 관할 옛 공소 및 분리된 성당 == === 양주2동성당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DSC01094.jpg|width=70%]] 소재지는 경기도 양주시 삼숭로58번길 258-5(삼숭동 104-6) 옛 명칭은 만송리공소였으며 2000년 11월 18일에 설립되었다. 2003년 9월 4일에 양주읍 만송리(현 만송동) 268-4에 만송리성당으로 승격되었고, 동년 10월 19일에 양주군이 시로 승격된 이후 만송성당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2004년 11월에는 현재의 '''양주2동성당'''으로 바뀌었고, 2005년 3월에 만송동에서 삼숭동 산36-1 현 위치로 옮겨졌다.[* 2008년 12월에 신축 성전의 사용 승인이 이루어져 주소지가 산에서 번지로 바뀌었다.] 이후 삼숭동 전체, 만송동(회만동, 중말, 오리골 등의 일부 자연부락 한정)이 양주2동에 남게 되었고, 고읍동, 만송동 일부, 광사동은 전부 후술할 고읍동성당으로, 삼가대 경계의 율정동은 옥정성당으로 분가하였다. 2017년 2월 2일부터 [[새터민|북한 이탈주민]] 특성화 본당으로 지정되었다. ==== 고읍동성당 ====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DSC00983.jpg|width=70%]] 소재지는 경기도 양주시 고읍로 56(고읍동 453) 양주2동성당에서 고읍지구의 대부분이 분가한 성당으로 고읍동(전체), 만송동(양주2동 행정복지센터 근교, 은빛마을 한정), 광사동, 산북동, 덕계동 일부(현진에버빌, 고덕배수지 근교 지역)을 맡고 있다. ===== 마전동공소[* 녹양동성당 소속 공소로, 추후 소속이 이전될 수 있다.] ===== 소재지는 경기도 양주시 마전로113번길 98(마전동 283-1) 고읍동성당의 성전이 완공되는 동안에 이곳에서 미사를 집전하였다. 관할 지역은 어둔동, 남방동, 마전동으로, 이들은 3지구 녹양동성당에서 관할하고 있다. 여담으로 [[의정부교구]] 직속 우리농촌살리기운동본부가 이곳에 있다. === 덕계동성당 === 소재지는 경기도 양주시 평화로1429번길 131-9(덕계동 582-16) 소재지 내 회합실이 덕정에서 분가하기 전까지 공소, 분가 후 성당으로 사용되었으나 대성전 건립 후 현재에 이른다. 덕정성당 재승격 당시 신자 수가 가장 많았던 곳으로[* 다음으로 많은 곳은 주공아파트와 중흥 S클래스가 존재하는 '''덕정지구'''.] 덕정에서 분가 후 덕계동 대부분과 회정동 전체를 맡고 있다. === 옥정성당 === 소재지는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 1032-2로, 율정마을 8단지 근처에 위치해 있다. 본래는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 소재의 자연부락인 마라니에 위치했던 공소[* 공소 옆에는 양주시 면허의 택시회사인 '''양주상운'''이 은현면 용암리 통합 개선청사로 돌아오기 전까지 임시로 이곳에 있었다.]였으나 2006년 이후 [[양주신도시|옥정지구]] 개발로 인하여 사라졌었다. 2020년 2월 6일자 인사발령에 의거 본당 신설이 결정되었다. 회천4동 일대(덕정성당에 속했던 율정동 대다수와 옥정동, 회암동, 그리고 양주2동에 속했던 삼가대 경계의 율정동)를 관할구역으로 한다. [[분류:한국 천주교 성당]][[분류:천주교 의정부교구]][[분류:1934년 설립]][[분류:1997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