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덕정역'''}}}[br](서정대학교) || ||<-3>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30]]]] || || [[소요산역|{{{#!html
소요산 방면}}}]] ||<|2> [[수도권 전철 1호선|{{{#!html
1호선
(105)
}}}]] ||<|2> [[인천역|{{{#!html인천}}}]] {{{#!html방면}}}[br][[덕계역|덕 계]][br]2.9 ㎞ → || ||<|2> [[지행역|지 행]][br]← 5.6 ㎞ || ||<|2> [[동두천급행|{{{#!html
1호선}}}]][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ff0000,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경원선 급행)] ||<|2> [[인천역|{{{#!html
인천 방면}}}]][[양주역|양 주]][br]8.2 ㎞ → || || [[동두천역|{{{#!html
동두천 방면}}}]] || ||<-3>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6px"|| ||<-3>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파일:GreatTraineXpress_C.svg|width=30]]]] || || {{{#!html
시종착}}}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html
GTX-C}}}]]{{{#ffffff (미개통)}}} || --[[수원역|{{{#!html수원}}}]]·[[상록수역|{{{#!html상록수 방면}}}]][br][[의정부역|의정부]]--[br]12.5 ㎞→ ||}}}}}} || ||<-3> {{{#!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덕정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Deokjeong || || [[한자]] ||<-2><|2> 德亭 || || [[간체자]] || || [[가나(문자)|가나]] ||<-2> [ruby(徳亭, ruby=トクチョン)] || ||<-3> '''주소''' || ||<-3> [[경기도]] [[양주시]] 화합로 1356 ([[덕정동(양주)|덕정동]] 350-14) || ||<-3> '''관리역 등급''' || ||<-3> [[보통역]] / 3급[br]([[의정부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서울본부]]) || ||<-3> '''운영 기관''' || || [[경원선]] ||<-2> [[한국철도공사]]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ffffff GTX-C}}}]] ||<-2> 미정 || ||<-3> '''개업일''' || || [[경원선]] ||<-2> 1912년 7월 25일 || || [[수도권 전철 1호선|{{{#ffffff 1호선}}}]] ||<-2> 2006년 12월 15일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ffffff GTX-C}}}]] ||<-2> 2028년 예정 || ||<-3> '''역사 구조''' || ||<-3> 지상 2층 || ||<-3> '''승강장 구조''' || ||<-3> 2면 8선 [[쌍섬식 승강장]] (횡단 가능) || ||<-3> '''철도거리표''' || || [[용산역|{{{#!html
용산 방면}}}]][[덕계역|덕 계]][br]← 2.9 ㎞ || '''[[경원선]]'''[br]덕 정 || [[백마고지역|{{{#!html
백마고지 방면}}}]][[지행역|지 행]][br]5.6 ㎞ → || || 이 역과 [[덕계역]] 사이에 [[회천중앙역]] 신설이 확정되었다. || || 이 역과 [[지행역]] 사이에 [[봉양역(경원선)|봉양역]] 신설이 계획되고 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attachment/deokjeong.png|width=800]] >'''1911년 경원선 보통역으로 출발, 인근 아파트단지 건설로 빠르게 성장''' >덕정역은 1911년 10월 경원선의 주요 역사로 처음 영업을 시작하였다. 한국전쟁 이후 군부대 주둔과 아파트단지 건설로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며 역사도 함께 성장하였다. 1958년 철로 변에 자리한 97.84㎡ 규모의 조그마한 부럭조 슬레이트 단층역사에 이어 1999년 급격한 이용객 증가로 신역사가 설립되었다가 2006년 12월 수도권 전철 개통으로 현재의 현대식 역사로 탈바꿈하였다. 실제 2006년 12월 15일 덕정역 로비에서 전철개통을 축하하는 콘서트가 열렸을 만큼 지역주민들과 경기 북부지역이 오랫동안 소원해오던 일이었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1호선]] 105번. [[경기도]] [[양주시]] 화합로 1356 ([[덕정동(양주)|덕정동]] 350-14) 소재. == 역 정보 == === [[수도권 전철 1호선]]([[경원선]]) === 1911년에 개통된 역으로서 경원선이 연천역까지 우선 개통될 때 같이 개통된 유서깊은 역이다. 양주군 시절 회천읍에 속했다. 또한 [[배치간이역]]이었지만 한적한 시골 [[간이역]] 수준이었던 [[양주역|주내역]]보다 훨씬 크고, 의정부시 및 동두천시 분리 승격 후 양주군(양주시)의 실질적인 중심역이었다. || [[파일:구 덕정역.png|width=100%]] || || 1세대 역사 || || [[파일:attachment/96321.jpg|width=100%]] || || 1999년에 완공된 2세대 역사 || 경원선 복선전철 개통을 앞둔 2006년에 재건축되어 불과 7년 정도만 쓰고 철거되었다. 이 역사는 지금보다 약 100여 미터 지행역 방면으로 자리했다. 1999년에 지어진 역사의 규모와 시설이 간이역보다 조금 나은 수준이던 터라 전철역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었다. 승강장 맞은편이 군부대이다. 수도권 전철 연장 전에는 일반열차가 운행하던 저상홈 구조이어서 훈련 모습도 가끔 볼 수 있었다. 현재는 역 자체가 고가인 관계로 직접 볼 수는 없다. [[KB국민은행]] 출장소와 [[홍익회]] 매점, [[TMO]](국군 철도 수송 지원반) 사무실 등이 있었다. KB국민은행 출장소는 2001년에 덕정지구로 이전하여 영업하다가 2010년대 전후로 덕정역지구(독바위로 37, 스타벅스 양주덕정DT점 옆)로 옮기면서 덕정출장소에서 덕정지점으로 변경, 지점으로 승격되었다. 홍익회 매점은 현재 스토리웨이 덕정역점으로 변경되었다. TMO는 구 역사 철거 후 한동안 없었다가 2010년대 이후에 부활했다. 역 서쪽에 자리한 군 관련 설비와 그린벨트 등의 문제가 있어서 출구는 동쪽의 하나뿐이다. 추가 출구는 나중에 회천신도시 건설과 입주가 시작되면 개설될 듯하다. [[스토리웨이]], 분식집, [[던킨도너츠]], 그리고 [[화장실]]이 있다. 역사 바깥으로는 [[버스정류장]], 택시 승강장, [[공중전화]],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다. [[59쌀피자]]는 덕정역 맞은편으로 축소 이전했고, [[뚜레쥬르]], [[더페이스샵]] 등은 현재는 폐점했다. 2018년 9월 기준으로 뚜레쥬르 자리에 던킨도넛이 들어왔다. 던킨도넛 입구와 역무실 입구가 역 출입문을 두고 나란히 나있다. 새 역사는 상당히 큰 편이어서 가끔 역 광장에서 공연도 열리고, 역 내부에는 대형 TV를 비치하여 전철을 기다리는 승객들과 복귀까지 시간이 남은 군인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었다가 2013년 12월에 로비의 일반TV는 철거되었으며, 소리가 나오지 않고 양주시 홍보방송만 줄곧 나오는 TV 한 대만 남아있다. 내부에 어묵이 맛있는 [[분식점]], [[스토리웨이]], 화장품 로드샵, 빵집이 있고 또 바로 건너편에 음식점들이 있어 열차를 기다리는 시간을 때우기에는 괜찮은 편이다. 양주시에서 유일한 보통역이다. [[덕계역]], [[장흥역(교외선)|장흥역]], [[일영역]], [[송추역]]은 [[무배치간이역]], [[양주역]]은 [[배치간이역]], [[온릉역]]은 [[임시승강장]], [[마전역(경원선)|마전역]]은 [[신호장]]이다. 또한 [[장흥역(교외선)|장흥역]], [[일영역]], [[송추역]], [[온릉역]]은 영업중지했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는 모두 [[양주역]]에서 시종착하며 [[한국철도공사]] 소속 일부 열차는 [[의정부역]]까지만 가는 것도 있어서 수요가 꽤 많은 편임에도 출퇴근 시간을 뺀 평일 오전, 오후 시간에는 열차가 1시간에 3대, 즉 20분에 한 대씩 온다. 평일 낮이나 주말·공휴일에는 배차가 30분 이상 벌어지기도 한다. 그나마 2017년 말부터 의정부역 및 양주역 종착열차 가운데 10회를 동두천역까지 연장하여 덕정·덕계 등 양주구간 시격이 26.3분에서 21.2분으로 5분 단축되었다. 양주신도시 옥정지구 입주 초기 민원을 제기한 결과 이용객이 적다는 까닭으로 코레일이 거부했다고 한다. 2016년에 양주시의원(가선거구) 당선자들이 덕정행 연장을 목표로 했었으나 이마저도 계속 거부당한 적이 있어서 국토위 간사 및 예결위 위원인 [[정성호(정치인)|지역구 국회의원]]의 끈질긴 요구에 힘입은 결과라는 평가이다.[*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71128010014957|「경원선 전절 1호선 12월말부터 ‘10회 증회’ 최종 확정」]], 아시아투데이, 2017-11-28] 게다가 동두천/소요산행 배차 간격이 균등하지 못해 시간대에 따라서 다음 차가 5분 뒤에 오거나 30분 뒤에 올 수도 있다. 양주시에서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양주역 종착열차를 덕정역까지 연장하라는 요구를 하고 있다. 다만 화물운송용 건넘선 이외에는 회차설비가 없어서 여러모로 난항이 예상된다.[* [[http://www.joongboo.com/news/articleView.html?mod=news&act=articleView&idxno=1033394|「"전철 1호선 덕정·덕계역까지 연장운행 늘려주세요"」]], 중부일보, 2015-12-14] 단선 비전철 시절 경원선에서 완목신호기가 작동하는 역이었다.[* [[https://blog.naver.com/lovtrout/90001871378|관련 게시글]], 출처: 네이버 블로그] 수도권 안에서 가장 마지막까지 작동했으며, 복선전철 개통 직전인 2006년까지 남아 있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완목신호기를 사용하는 곳은 [[북평선]] [[삼화역]]이 유일하다. 연선수요가 적던 관계로 같은 경원선 구간인 동두천과 의정부에 견줘서 역간 거리가 긴 편이었다. 양주시 경원선 역이 [[양주역|주내역]]과 덕정역이 전부이던 시절에는 8.2km, 경인선으로 따지면 구로~소사 정도를 가지는 거리이다. 이 뒤에 [[덕계역]]과 [[마전역(경원선)|마전신호장]]이 열렸고, [[회천중앙역]]이 건설될 예정이라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전방에 자리하다 보니 매주 목요일 오후에 운행하는 병력수송열차가 이 역에도 선다. 주로 육군훈련소수료 혹은 상무대, 자운대에서 후반기교육을 받고 배출된 뒤에 의정부, 양주, 연천, 파주, 포천으로 자대배치를 받은 신병들이 이 역에서 내려서 각 자대로 이동한다. 하루에 한 번 화물취급이 이루어진다. 포대시멘트를 취급하며 #6121, #6122로 운행한다. 2023년 7월 기준으로 [[옥정포천선]] 옥정중앙~포천 구간 4량 셔틀 전철을 이 역까지 연장해서 운행하겠다는 계획이 있다. 경기도에서 검토 결과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와서 향후 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도록 건의할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별개의 차량과 차량기지로 운영되는 옥정~포천 구간은 사실상 별도 노선으로, 덕정~포천 구간을 운영하게 된다.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 한편, GTX C선 시종착역으로 거론되고 있다. 기존에 [[의정부역]]~[[금정역]]까지로 계획된 사업의 예비타당성평가의 결과로 경제적 타당성(B/C)이 0.66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사업타당성을 높이기 위해서 [[양주신도시]] 및 수원역 연장안을 기획재정부에 통보했다. 양주신도시의 회천지구예정지 안에 자리한 역이며 예비선로가 충분하여 가능성이 있다고 보인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11/18/2017111800114.html|「광역급행열차 C노선, 수원·양주까지 연장」]], 조선일보, 2017-11-18] 2018년 12월 11일 국토교통부 발표에 따르면 이 연장안이 한 발 먼저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착공을 앞둔 A노선을 상회하는 1.36, 종합평가(AHP) 0.616로 사업추진이 확정됐다고 한다.[* [[https://www.yna.co.kr/view/AKR20181211042000003|「GTX C노선 사업 탄력…예비 타당성 조사 통과」]], 연합뉴스, 2018-12-11] 2019년부터 양주시는 광역복합환승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아마도 GTX C노선과 1호선, 버스, 택시를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일 것이다. 2020년 상반기에 용역발주에 들어갈 예정이며, 2026년 완공을 목표로 한다. 환승 센터 부지가 1번 출구 기준으로 뒷쪽에 있다. GTX 노선 중 최북단에 자리한다. [[운정역(GTX)|GTX 운정역]]은 의정부역과 동위도이며 덕정역은 [[문산역]]과 동위도이다. 덕정역 주변에 GTX C선 차량기지를 짓는다는 이야기가 있다. 하지만 [[동두천시]]에서 공식적으로 GTX C선 연장을 요청하는 것과 동시에 차량기지까지 유치하겠다는 의사를 보였다. 게다가 [[국토교통부]]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라 상황이 변경될 수도 있다.[* [[https://v.daum.net/v/20210317060112137|「"차량기지 싫고, 규제 속에 살겠다".. GTX 최대수혜 양주 덕정에 무슨 일?」]], 뉴스1, 2021-03-17][*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20510580122|「양주 “GTX-C 연장…덕정역 차량기지도 이전해야”」]], 경기일보, 2022-05-10] == 역 주변 정보 == [[양주시]]에서 가장 번화한 곳 가운데 하나이다. 가는 날이 장날인 경우 5일장(2, 7일 덕정시장)이 열리는 것을 볼 수 있다. 남쪽에 기존택지지구인 덕정지구와 2기 신도시 계획에 따른 [[양주신도시]]의 [[옥정지구]]가 자리하며, 회천지구를 개발하고 있다. 부역명인 '[[서정대학교]]'는 인근에 있어서 붙인 이름이지만 은현면이어서 3㎞ 거리이다. [[예원예술대학교]] 경기드림캠퍼스보다 조금 더 멀다. 역에서 건너면 덕정초등학교, [[덕정중학교]], 회천1동행정복지센터, 회천농협 본점, 양주덕정동우체국, 양주시덕정도서관, [[이마트 양주점]] 등이 인접해 있다. [[덕정고등학교]]는 덕정지구 고암동에 있어서 더 멀다. 회천1동행정복지센터는 덕정길 67의 초창기 청사의 노후로 신축 중에 있어 현재는 덕정초등학교 근처에서 임시 청사로 사용 중이다. 덕정사거리에서 고개를 넘어 [[서정대학교]]로 가기 전에 [[국군양주병원]]이라는 군병원이 있다. 그 건너편에 [[예원예술대학교]] 경기드림캠퍼스가 있으며, 고암동에는 2014년 3월에 개교한 [[경동대학교]] 양주 METROPOL캠퍼스도 있다. 이는 [[덕계역]]의 부역명이 되었으나 얼마 안 지나서 [[양주역]]의 부역명으로 바뀐다. 이 역 주변에는 [[이단]] [[사이비]]인 [[덕정사랑교회]]가 있다. [[양주신도시]] [[옥정지구]]의 북쪽 관문역이다. 버스환승이 강제되기는 하지만, 옥정지구에는 철도시설이 없는데다가 지리로 가장 가까운 [[덕계역]]까지의 직통로는 회천지구에 속해 건설이 지연되어 2019년에 개통했다. 의존도는 낮아졌지만, 급행이 서는데다가 GTX-C 노선 종점으로 예정되어 있어 그 중요도는 다시금 높아질 예정이다. [[의정부시]]에 사는 [[예비역]]들에게 애증의 역인데, 의정부시 [[예비군훈련장]] 훈련통지서에는 걸어도 금방 도착할 수 있는 것처럼 써놨지만 실상은 30분 이상 걸리기 때문이다. 도보 이용 시 차라리 [[덕계역]]부터 이동하는 게 더 빠르며, 버스 이용 시 역 앞 정류장에서 [[양주 버스 118]]을 타면 된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수도권 전철 1호선|[[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06년 || 6,614명 || [* 개통일인 12월 15일부터 12월 31일까지 17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07년 || 9,974명 || || || 2008년 || 11,850명 || || || 2009년 || 12,828명 || || || 2010년 || 13,168명 || || || 2011년 || 13,816명 || || || 2012년 || 14,139명 || || || 2013년 || 13,897명 || || || 2014년 || 14,131명 || || || 2015년 || {{{#0052a4 14,253명}}} || || || 2016년 || 14,188명 || || || 2017년 || 14,098명 || || || 2018년 || 13,693명 || || || 2019년 || 13,548명 || || || 2020년 || 9,326명 || || || 2021년 || 9,333명 || || || 2022년 || 10,682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 [[경원선]] 의정부역 이북 구간에서 [[양주역]], [[지행역]] 다음으로 승하차객이 많다. 하루 평균 이용객은 14,098명(2017년 기준)으로 1호선 및 경원선 구간 평균에도 못 미치지만 근처 주민들의 의존도는 꽤 높은 편이다. * 버스환승객 비중이 상당히 높은데, 이는 [[양주역]]과 더불어 수도권 전철역 가운데 압도적이다.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2018년 버스환승객 수는 8,359명으로, 전체 이용객의 61.7%에 달한다. 덕정동, 고암동주거지로 인한 자체수요가 있어서 주변에 아무것도 없는 [[양주역]]보다는 다소 낮다. 이 때문에 경원선 연선에서는 보기가 힘든 대형정차장구조물이 설치되었고, 2019년에 양주시의 광역버스정차장설비 개선으로 더 고규격의 정차장설비를 갖췄다. * [[양주신도시]] [[옥정지구]]의 관문이어서 옥정지구 입주가 시작되면 빠르게 이용객이 증가할 것이라 예측되었으나 실제로는 오히려 소폭 줄었다. 옥정지구까지 버스를 타고 한참 가야 하는 데다가 서울방면으로는 역방향이기 때문에 전철 이용률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회천신도시개발로 상가 및 주거지가 갖춰진다면 큰 폭으로 이용객이 늘 가능성이 높다. 또한 GTX-C선이라는 대형 호재도 있다. * 양주시민들이 모두 내리고 동두천으로 가려는 승객들만 남기 때문에 이북 구간은 차내가 꽤 한산해진다. 반대로 ([[경원선]] [[도봉산역]] 이북구간이 공통점으로 해당되는 사항이기는 하지만) 덕정역부터는 군인들의 수요가 눈에 띄게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 승강장 == [[파일:attachment/Deokjeong1.jpg|width=500]] ||<-13> ↑ [[지행역|지행]] || || ㅣ |||| ㅣ || ㅣ || ㅣ || {{{#ffffff 1}}} || {{{#ffffff 2}}} || ㅣ || ㅣ || {{{#ffffff 3}}} || {{{#ffffff 4}}} || ㅣ || ㅣ || ||<-13> [[덕계역|덕계]] ↓ || || {{{#ffffff 1·2}}} ||<|2>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지행역|지행]]·[[동두천중앙역|동두천중앙]]·[[동두천역|동두천]]·[[소요산역|소요산]] 방면|| || {{{#ffffff 3·4}}} ||[[의정부역|의정부]]·[[광운대역|광운대]]·[[구로역|구로]]·[[인천역|인천]] 방면|| 2017년 11월부터 2, 3번선 스크린도어가 가동중이며, 2020년 3월부터 1, 4번선 스크린도어를 설치해 2020년 10월부터 가동했다. 회차선이 존재하며, 덕계 방면으로 2퍼밀 상구배가 있다. == 사건사고 == [include(틀:사건사고)] 2020년 9월 4일에 한 중학생이 멈춰 있던 화물열차에 무단으로 올라가다가 고압전류선에 닿아서 3도 화상을 입어 계속 수술을 받게 되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81/0003123714?sid=103|「화물열차 올라간 중학생 감전사고 책임논란 [이슈픽]」]], 서울신문, 2020-09-14] == 연계 교통 == [[양주신도시]]용 [[직행좌석버스]] 차고지기 인근에 자리한 데다가 [[동두천시|동두천]] 방면 버스도 [[동두천 버스 53#s-2.3|53-5번]] 등 53번 계열 노선의 배차가 나쁘지 않아 타지방면으로 연계 가능한 버스 노선이 풍부하다. 정작 양주시 동단위 지역연계는 부실한데, 그나마 덕정지구(고암동 북부)방면은 동두천 방면 버스와 마을버스도 함께 운행되어 이동하기에 나쁘지 않으나 양주신도시 북부 방면은 타지노선인 [[서울 버스 108|108번]] 버스에 연계를 일임해 두다가 2021년 8월에 이 노선이 폐선된 영향으로 다소 부실해졌다. [[옥정지구]] 방면으로의 대체 환승편으로 [[양주 버스 80|80번]]이 추천되며 [[고읍지구]] 방면으로는 [[양주 버스 81|81번]] 내지는 [[양주 버스 118|118번]]이 추천된다. 은현면 방면 마을버스의 환승거점 역할도 수행한다. 넓게는 백석읍, 광적면, 남면, 파주시 적성면도 포함된다. 은현교통의 2-2번(남면), 2-3번(백석읍, 광적면)이 그 예이며 일반버스로 넓히면 명진여객의 25-1번(남면, 파주시 적성면)도 해당된다. === 상행 정류소 - 덕정역(39521·68019) === * [[양주시|양주]] 방면 * 동지역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118|{{{#ffffff 118(덕정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31|{{{#ffffff 31(봉양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75|{{{#ffffff 75(칠봉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76|{{{#ffffff 76(회암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78|{{{#ffffff 78(충성A)}}}]]}}}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80|{{{#ffffff 80(양주역,,(덕계,고읍경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81|{{{#ffffff 81(충성A)}}}]]}}}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87|{{{#ffffff 87(충성A)}}}]]}}}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마을버스|{{{#000000,#ffffff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11|{{{#000000,#ffffff 11(율정2통)}}}]]}}} * 은현면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91|{{{#ffffff 91(서정대)}}}]]}}}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마을버스|{{{#000000,#ffffff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20|{{{#000000,#ffffff 20(은현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20|{{{#000000,#ffffff 20(운암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28|{{{#000000,#ffffff 28(봉암리)}}}]]}}} * 남면 · 적성면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의정부 버스 25-1|{{{#ffffff 25-1(적성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의정부 버스 25-2|{{{#ffffff 출근25-2(남면)(1회)}}}]]}}}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마을버스|{{{#000000,#ffffff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2-2|{{{#000000,#ffffff 2-2(신암리)}}}]]}}} * 백석읍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마을버스|{{{#000000,#ffffff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2-3|{{{#000000,#ffffff 2-3(백석읍)}}}]]}}} * [[동두천시|동두천]] · [[연천군|연천]]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s-2.3|{{{#ffffff 53-5(전곡TR)}}}]]}}}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s-2.4|{{{#ffffff 53-8(전곡TR_저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s-2.6|{{{#ffffff 53-13(전곡TR_새벽)}}}]]}}}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마을버스|{{{#000000,#ffffff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2-1|{{{#000000,#ffffff 2-1(지행역)}}}]]}}} * 종착 노선 * 실제로는 [[덕정동영업소|덕정차고지]]까지 운행하지만, 이 곳에서 모두 하차하여야 한다. 차고지 방면 대체 노선은 [[양주 버스 118|118번]]이 있다. 이 때 1100, G1200, G1300번은 환승하지 않는다면 단일요금제가 적용되는 노선이고, 8906번은 단독 통행시 요금 상한선이 있는 노선이라 환승하여 차고지 방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통합요금제로 전환되면서 30km 초과거리에 대한 금액이 징수된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경기순환버스|{{{#ffffff 경기순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8906|{{{#ffffff 8906}}}]]}}}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직행좌석버스(경기도)|{{{#ffffff 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1100|{{{#ffffff 11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1101|{{{#ffffff 110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G1200|{{{#ffffff G12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G1300|{{{#ffffff G1300}}}]]}}} === 하행 정류소 - 덕정역(39520·68020) === * [[양주시|양주]]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s-2.3|{{{#ffffff 53-5(덕정주공)}}}]]}}}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s-2.4|{{{#ffffff 53-8(덕정주공_저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동두천 버스 53#s-2.6|{{{#ffffff 53-13(덕정주공_새벽)}}}]]}}}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75|{{{#ffffff 75(약사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76|{{{#ffffff 76(율정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80|{{{#ffffff 80(율정마을,,(옥정경유),,)}}}]]}}}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81|{{{#ffffff 81(양주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87|{{{#ffffff 87(양주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88|{{{#ffffff 88(덕정주공)}}}]]}}}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91|{{{#ffffff 91(덕정주공)}}}]]}}}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마을버스|{{{#000000,#ffffff 마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11|{{{#000000,#ffffff 11(고암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20|{{{#000000,#ffffff 20(덕정주공)}}}]]}}}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20|{{{#000000,#ffffff 20(덕정주공)}}}]]}}}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2-1|{{{#000000,#ffffff 2-1(덕정주공)}}}]]}}}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2-2|{{{#000000,#ffffff 2-2(덕정주공)}}}]]}}}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2-3|{{{#000000,#ffffff 2-3(덕정주공)}}}]]}}}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28|{{{#000000,#ffffff 28(덕정주공)}}}]]}}} * [[포천시|포천]]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78|{{{#ffffff 78(송우리)}}}]]}}} * [[의정부시|의정부]]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의정부 버스 25-1|{{{#ffffff 25-1(도교육청북부청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31|{{{#ffffff 31(의정부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의정부 버스 25-2|{{{#ffffff 출근25-2(도교육청북부청사)(1회)}}}]]}}}## * [[서울특별시|서울]] / 경기도 남부 방면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경기순환버스|{{{#ffffff 경기순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8906|{{{#ffffff 8906(부천터미널소풍)}}}]]}}}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직행좌석버스(경기도)|{{{#ffffff 직행좌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1100|{{{#ffffff 1100(노원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1101|{{{#ffffff 1101(서울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G1200|{{{#ffffff G1200(상봉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양주 버스 G1300|{{{#ffffff G1300(잠실광역환승센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시내버스|{{{#ffffff 시내일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양주 버스 118|{{{#ffffff 118(수유역)}}}]]}}}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목록)] [include(틀:경원선의 역 목록)] [[분류:1912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양주시의 도시철도역]][[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분류:경원선의 도시철도역]][[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