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팀 버튼 감독 장편 연출 작품)] [include(틀:디즈니 애니메이션 실사화 시리즈)] ||<-2> '''{{{+1 덤보}}}''' (2019)[br]''Dumb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dumbo poster.jpg|width=100%]]}}} || ||<-2> '''[[디즈니 작품|{{{#white 디즈니 실사 영화}}}]]''' || || '''장르''' ||[[판타지]]|| || '''감독''' ||[[팀 버튼]]|| || '''각본''' ||[[에런 크러거]]|| || '''원작''' ||디즈니 - 《[[덤보]]》[br]헬렌 에버슨 외 - 소설 《Dumbo, the Flying Elephant》|| || '''제작''' ||저스틴 스프링거[br]에런 크러거[br]데릭 프레이[br]카터리 프로엔펠더|| || '''주연''' ||[[콜린 파렐]][br][[마이클 키튼]][br][[대니 드비토]][br][[에바 그린]]|| || '''촬영''' ||벤 데이비스|| || '''편집''' ||크리스 레번즌|| || '''음악''' ||[[대니 엘프먼]]|| || '''미술''' ||릭 하인리히|| || '''의상''' ||콜린 애트우드|| ||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픽처스]][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팀 버튼 프로덕션[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인피니트 디텍디브 프로덕션[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시크릿 머신 엔터테인먼트|| ||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스 모션 픽처스]][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월트 디즈니 컴퍼니 코리아]]|| ||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2019년]] [[3월 29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19년]] [[3월 27일]]|| || '''상영 시간''' ||112분|| || '''제작비''' ||1억 7,000만 달러|| || '''월드 박스오피스''' ||$329,075,511 ^^([[2019년]] [[4월 30일]]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page=main&id=untitleddisneyfairytalela.htm|기준]])^^|| || '''북미 박스오피스''' ||$107,834,593 ^^([[2019년]] [[4월 30일]] 기준)^^|| || '''대한민국 총 관객수''' ||345,522명 ^^(최종)^^|| || '''스트리밍''' ||[[디즈니+|[[파일:Disney+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width=70&theme=dark]]]]|| || '''[[영상물 등급 제도|{{{#white 상영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width=3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ddd 전체 관람가}}}]]'''|| [목차] [clearfix] == 개요 == 2019년에 개봉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덤보]]를 원작으로 하는 실사 영화이다. [[팀 버튼]] 감독이 연출하며 [[콜린 패럴]], [[에바 그린]] 등이 출연한다. == 제작 == 2015년에 디즈니에서 실사 영화로 제작을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이 보도되었다.[[http://www.huffingtonpost.kr/2015/03/12/story_n_6852812.html|#]][[http://www.hrising.com/movie/?mode=view&no=2716|##]] 연출을 맡게 된 감독은 [[팀 버튼]] 감독. 우선 리메이크될 덤보는 원작의 이야기에 독특한 가족 이야기 설정을 더할 예정이며[* 그래서인지 공식 예고편을 보면 원작의 주역 중 하나였던 생쥐 티모시의 비중이 없다시피 하다. 대신 티모시와 같은 복장을 한 생쥐는 등장한다. 대신 서커스 단원의 두 자녀가 티모시의 역할을 대신 할 것으로 나온다. 마치 [[101 달마시안]]의 실사영화판처럼 진행할 확률이 높다. 심지어 까마귀들도 없다.] CG 기술과 실사 화면이 합쳐진 영상을 선보인다.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의 각본가 [[에런 크러거]]가 각본을 담당하고, [[트론: 새로운 시작|트론]]과 [[오블리비언]]의 저스틴 스프링거가 제작자로 참여한다. 앤드류 타루소프가 그린 [[http://extmovie.maxmovie.com/xe/movietalk/9928639|디즈니 작품의 팀 버튼 풍 패러디.]] 팀 버튼 감독이 디즈니 영화들의 감독을 맡았다면 어땠을까 하는 아이디어로 만든 작품인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 실제로 기자들을 대상으로 한 홍보용 내용이 유출 되었는데 트라우마(?)를 안겨 줄 수 있는 팀버튼 감독 특유의 비주얼로 공포심을 유발한다고 한다. 구글에서 얻을 수 있는 사진이나 영상을 보면 절대 과장이 아니다. 팀 버튼 감독이 연출을 맡은 것에 대해 영화가 완성되기도 전에 팬들 사이에서 여러가지 이야기가 많았다. 팀 버튼 감독이 이전에 연출한 디즈니 실사영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영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개봉 이후 상당히 호불호가 갈렸던 것을 보며 원작파괴가 될 것이라거나 어둡고 기괴한 작품이 나올 것이라는 등 우려하는 시선이 있었다. 물론 팀 버튼 감독이 작품의 모든 장면들을 다 어둡고 기괴스럽게 만드는 것은 아니지만 앞서 논란이 되었던 원작의 [[분홍 코끼리]]는 감독 특성상 실사 영화에도 나올 가능성이 있다는 추측도 있을 정도다. --사실 분홍 코끼리 때문에 감독을 맡은것일지도 모른다-- [* 2018년 6월 14일 공개된 티저예고편과 이후 공개된 정식 예고편에서 비누방울로 만들어진 거대한 [[분홍 코끼리]]가 등장한다. 다행히 정신나간 분위기는 아니며, 서커스에서 공연하는 비누방울 쇼로 각색되었고 공포감도 느껴지지 않는 장면으로 변화하였다.] 예고편 조차 나오지 않은 상황인데 불구하고 팀 버튼 감독이 제작했던 영화들의 모습을 보며 작품이 어떻게 만들어질 것인가에 대한 추측과 우려가 많았다. 하지만 이러한 우려에 동의하지 않는 주장도 있었는데, 제작 계획에 가족 이야기에 대한 설정이 있기도 하고 팀 버튼 감독이 자신의 영화에 그의 특징으로 알려진 기괴한 분위기 만을 연출해오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팀 버튼]] 감독은 과거 영화 [[빅 피쉬(영화)|빅 피쉬]]를 통해 자신의 아들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해주기 위해 끊임없이 거짓말을 지어내는 암에 걸린 아버지와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아들의 이야기를 그려내었다. 이러한 영화는 팀 버튼 감독이 흔히 알려진 몽환적이고 기괴한 분위기 외에도 따뜻하고 눈물나게 훈훈한 스토리도 잘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이야기되었다. 예고편에 원작 애니메이션의 슬픈 장면에서 등장했던 노래 Baby Mine이 삽입된 것에서 볼 수 있듯 팀 버튼 감독이 덤보의 슬프면서도 애잔한 감동을 잘 표현해 낼 것이라 기대하는 이들도 있다. 2017년 봄 촬영을 앞두고 캐스팅이 진행되었다. 메인 인간 캐릭터 네 명이며, 에바 그린과 대니 드비토가 현재 협상중에 있다고 한다.[[http://deadline.com/2017/03/eva-green-tim-burton-dumbo-disney-miss-peregrines-home-for-peculiar-children-ehren-kruger-1202038656/|#]][* 넷 중 한 명의 남자 주인공 역할에 윌 스미스와 크리스 파인에게 제의가 갔으나 둘 다 거절했다.] 그리고 마이클 키튼, 대니 드비토,[* 이로써 팀 버튼 감독에 마이클 키튼과 대니 드비토 출연이라는 [[배트맨 2|배트맨 리턴즈]] 3인방의 조합이 27년만에 재현됐다. ~~두 배우가 이번에도 '기업가'와 '서커스 단장' 역을 각각 맡은 건 덤.~~] 에바 그린, 콜린 파렐로의 캐스팅 확정되었다.[[http://screenrant.com/michael-keaton-confirms-role-tim-burton-live-action-dumbo/|#]] [[D23]] 엑스포에서 개봉일을 2019년 3월 29일로 확정지었다. == 등장인물 == * 홀트 패리어 - [[콜린 파렐]] ([[정재헌]]) * 콜레트 마르샹 - [[에바 그린]] ([[이지현(성우)|이지현]]) * V. A. 밴더미어 - [[마이클 키튼]] ([[홍시호]]) * 맥스 메디치 - [[대니 드비토]][* 동 감독의 빅피쉬에서 서커스 단장이 직업인 아모스 캘로웨이를 맡았다.] ([[장광]])[* 동 감독의 배트맨 리턴즈 KBS 더빙판에서 동 배우가 연기한 펭귄을 맡았다.] * 밀리 패리어 - 니코 파커[* [[탠디 뉴턴]]의 딸로 이 영화에서 상당한 발연기를 선보여서 몰입감을 깨는 주범 중 하나(...)] (이나경) * 조 패리어 - 핀리 호빈스 (이창현) * 롱고 - 데오비아 오파레이 ([[이현(성우)|이현]]) * J. 그리핀 레밍턴 - [[알란 아킨]] ([[안종국]]) * 닐스 스켈리그 - 조셉 갯 ([[곽윤상]]) * 소더비 - 더글라스 리스 ([[오인성]]) * 루퍼스 - 필립 짐머만 ([[강구한]]) * 바리톤 베이츠 - [[마이클 버퍼]] ([[유동균(성우)|유동균]]) == 예고편 == ||[youtube(CRbVOUHL6JE)]|| || {{{#white '''티저 예고편'''}}} || ||
[youtube(drdiqpP8OSo)]|| || {{{#white '''메인 예고편[* 참고로 예고편의 1분 30초 경부터 나오는 배경음악은 1941년 원작 애니메이션의 사운드트랙인 [[Baby Mine]]을 리메이크한 것이다. 예고편에 삽입된 버전을 부른 가수는 노르웨이의 싱어송라이터 [[AURORA|오로라]]이다. Baby Mine은 디즈니 애니메이션 역사상 가장 슬픈 장면 중 하나로 꼽히는 장면에 등장하는 곡으로, 이번 예고편에서도 많은 디즈니 팬들이 이 장면을 보고 [[https://m.youtube.com/watch?v=-W9miANwsTk|매우 감격하는 반응]]을 보였다.]'''}}} || ||
[youtube(IBz7FUlZPXI)]|| || {{{#white '''영국 예고편'''}}} || ||
[youtube(fOJ9YhY9v0Q)]|| || {{{#white '''스니크 픽'''}}} || ||
[youtube(rhOdvnyqkuE)]|| || {{{#white '''하늘을 날다 예고편'''}}} || ||
[youtube(h_E1QRoSOkE)]|| || {{{#white '''덤보의 비상 예고편'''}}} || ||
[youtube(3FuLEoXKRps)]|| || {{{#white '''덤보의 특별함 예고편'''}}} || == 줄거리 == == [[덤보(영화)/사운드트랙|사운드트랙]]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덤보(영화)/사운드트랙)] == 평가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 code=dumbo, critic=51, user=5.7)]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dumbo_2019, tomato=46, popcorn=48)] [include(틀:평가/IMDb, code=tt3861390, user=6.3)]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dumbo-2019, user=2.7)]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841636, user=6.8)]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365489, user=3.8)]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222039, user=6.8)]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25924056, user=6.5)] [include(틀:평가/왓챠, code=mdRLEer, user=3.0)]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68206, light=51.70)]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63787, expert=6.00, audience=9.17, user=9.05)]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92703, expert=없음, user=8.0)] [include(틀:평가/CGV, code=81608, egg=92)] [include(틀:평가/시네마스코어, score=A-)] > '''<배트맨 리턴즈> 뒤집기, 혹은 자기비판도 즐기는 디즈니의 경지''' > - 이용철 (★★★) > '''‘다름’을 다뤘던 원작에, 기업 합병(디즈니가?)과 동물권 문제를 얹어''' > - 임수연 (★★★) > '''디즈니와 팀 버튼, 양쪽 모두에게 안전하고 익숙하고 교활한 다시 쓰기''' > - 송경원 (★★★) > '''결핍을 극복하고 마침내 날아 오르다''' > - 심규한 (★★★) > '''디즈니 라이브 액션의 야심찬 모험''' > - 정유미 (★★★) 영화의 완성도 자체는 준수하지만, 사실상 팀 버튼 고유의 색은 거의 없는 영화라는 평이 많다. 디즈니 영화답게 어린이 관객들이 마음 편하게 보기 좋다는 의견. 디즈니의 따뜻한 감성을 기대하고 편안한 작품을 기대한 관객은 호평했지만 팀 버튼 감독 특유의 괴짜스럽고 블랙코미디 느낌--디즈니인데??--을 기대한 관객들 사이에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있다. 특히 그로테스크함으로 악명 높은 원작의 [[Pink Elephants on Parade]] 장면을 팀 버튼식으로 재치있게 재현한 것이 아니라 그냥 귀엽고 평범한 장면으로 순화시켜 아쉽다는 평가를 받았다. 우리에게는 [[Nostalgia Critic]]으로도 유명한 [[더그 워커]]도 자신의 유투브 채널 코너 중 하나인 Disneycember에서 이번 [[https://m.youtube.com/watch?v=UXTeIkxiLcc&index=124&list=LLAyH2Sra-pauyWRSpdSNOtw|덤보 리메이크를 리뷰]]했는데, 실사 리메이크를 하면서 새롭게 이야기를 쓰려다보니 생겨난 조금 갸우뚱하게 되는 전개가 단점으로 꼽히지만 그 단점들을 커버할 만큼 사람 캐릭터들 뿐만 아니라 동물 캐릭터인 덤보의 풍부한 감정표현과 표정연기, [[팀 버튼]] 감독이 하드캐리해가며 그만의 특유의 몽환적인 표현과 휼륭한 음악 등 장점도 많아서, 디즈니 실사 리메이크에 항상 부정적이었던 평소와는 달리 이것이야말로 진짜 훌륭한 디즈니 리메이크라고 할 수 있다며 꽤 괜찮은 평가를 내리기도 했다. == 흥행 == ||<-7> 출처: [[https://www.boxofficemojo.com/movies/?page=main&id=untitleddisneyfairytalela.htm|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 '''전 세계''' || [[2019년]] [[3월 27일]] || '''$327,605,558''' || '''[[2019년]] [[4월 28일]]''' || ||<-4>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2019년]] [[3월 29일]] || '''$107,005,558''' || [[2019년]] [[4월 28일]] || || '''[[중국]]''' || [[2019년]] [[3월 29일]] || '''$21,731,213''' || [[2019년]] [[4월 21일]] || 광고비를 포함한 손익분기점이 약 4억 달러로 예상된다. 그러나 6월 18일 현재 3억 5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사실상 흥행에 실패했다고 봐야한다. === [[북미]] === ||<-5>
{{{#ffffff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어스(영화)|어스]] || {{{#ffffff '''덤보''' }}} || [[샤잠!]] || ||<-5> [[http://www.boxofficemojo.com/weekend/chart/|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대한민국]] === ||<-7>
'''{{{#ffffff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 '''{{{#ffffff 주차}}}''' || '''{{{#ffffff 날짜}}}''' || '''{{{#ffffff 일일 관람 인원}}}''' || '''{{{#ffffff 주간 합계 인원}}}''' || '''{{{#ffffff 순위}}}''' || '''{{{#ffffff 일일 매출액}}}''' || '''{{{#ffffff 주간 합계 매출액}}}''' || || {{{#ffffff 개봉 전}}} || || 192명 || 192명 || 미집계 || 1,728,000원 || 1,728,000원 || ||<|7> {{{#ffffff 1주차}}} ||2019-03-27. 1일차(수) || 24,835명 ||<|7> -명 || 5위 || 143,508,030원 ||<|7> -원 || ||2019-03-28. 2일차(목) || 11,990명 || 5위 || 96,581,130원 || ||2019-03-29. 3일차(금) || 16,537명 || 5위 || 146,237,293원 || ||2019-03-30. 4일차(토) || 78,695명 || 3위 || 660,853,559원 || ||2019-03-31. 5일차(일) || 80,588명 || 3위 || 668,065,240원 || ||2019-04-01. 6일차(월) || 11,698명 || 5위 || 91,770,550원 || ||2019-04-02. 7일차(화) || 8,960명 || 5위 || 72,749,740원 || ||<|7> {{{#ffffff 2주차}}} ||2019-04-03. 8일차(수) || 2,863명 ||<|7> -명 || 8위 || 22,696,080원 ||<|7> -원 || ||2019-04-04. 9일차(목) || 3,036명 || 8위 || 22,547,720원 || ||2019-04-05. 10일차(금) || 3,380명 || 8위 || 27,821,330원 || ||2019-04-06. 11일차(토) || 27,043명 || 6위 || 219,028,530원 || ||2019-04-07. 12일차(일) || 26,437명 || 6위 || 213,653,020원 || ||2019-04-08. 13일차(월) || 1,842명 || 8위 || 14,248,480원 || ||2019-04-09. 14일차(화) || 2,000명 || 8위 || 14,984,400원 || ||<|7> {{{#ffffff 3주차}}} ||2019-04-10. 15일차(수) || 1,385명 ||<|7> -명 || 12위 || 10,688,980원 ||<|7> -원 || ||2019-04-11. 16일차(목) || 938명 || 18위 || 6,950,300원 || ||2019-04-12. 17일차(금) || 1,389명 || 13위 || 11,102,550원 || ||2019-04-13. 18일차(토) || 10,479명 || 12위 || 84,014,430원 || ||2019-04-14. 19일차(일) || 15,405명 || 11위 || 125,429,200원 || ||2019-04-15. 20일차(월) || 639명 || 16위 || 4,778,700원 || ||2019-04-16. 21일차(화) || 750명 || 18위 || 5,205,030원 || ||<|7> {{{#ffffff 4주차}}} ||2019-04-17. 22일차(수) || 496명 ||<|7> -명 || 24위 || 3,293,050원 ||<|7> -원 || ||2019-04-18. 23일차(목) || 479명 || 28위 || 3,201,600원 || ||2019-04-19. 24일차(금) || 386명 || 33위 || 3,140,100원 || ||2019-04-20. 25일차(토) || 5,262명 || 13위 || 42,170,620원 || ||2019-04-21. 26일차(일) || 5,406명 || 13위 || 43,339,150원 || ||2019-04-22. 27일차(월) || 281명 || 30위 || 2,104,700원 || ||2019-04-23. 28일차(화) || 531명 || 27위 || 3,683,700원 || || '''{{{#ffffff 합계 }}}''' ||<-6> '''누적관객수 344,351명, 누적매출액 2,768,515,512원'''[* ~ 2019/04/28 기준] || *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 ## 1위를 차지할 시 순위에 볼드체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울프 SWAT]](이상 [[2019년]] [[3월 25일]]), [[시베리아(2018)|시베리아]], [[쿵푸 워리어]](이상 [[2019년]] [[3월 26일]]), [[강변호텔]], [[내 완벽한 남사친의 비밀]], [[더 길티]], 덤보, [[방문객]], [[선희와 슬기]], [[썬키스 패밀리]], [[아틱]], [[어스(영화)|어스]], [[장난스런 키스(2018)|장난스런 키스]], [[케이: 여배우 살인 사건의 비밀]], [[콜레트]](이상 [[2019년]] [[3월 27일]]), [[루스 베이더 긴즈버그: 나는 반대한다]], [[무서운 이야기: 오두막의 악마]], [[심장소리]], [[유에프오: 지구 침공]], [[출동! 도토리 구조대]], [[캐시디 레드]], [[탱크: 무적의 T34]], [[호랑이는 겁이 없지]](이상 [[2019년]] [[3월 28일]]) 총 24편이다. === [[중국]] === [[http://cbooo.cn/m/684230|덤보 중국 실시간 박스오피스(단위: 위안)]] [[2019년]] [[3월 29일]] 개봉하였다. === [[일본]] === [[2019년]] [[3월 29일]] 개봉하였다. ||{{{#!folding[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wef234fwefjiu88we.png]]}}} || 개봉 첫주차에는 [[노비타의 월면탐사기|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달 탐사기]]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2위에 그쳤다. ||{{{#!folding[  개봉 2주차 순위  ] [[파일:sxcwsdcvwefwsdv.png]]}}} || 개봉 2주차에도 [[노비타의 월면탐사기|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달 탐사기]]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2위에 그쳤다. ||{{{#!folding[  개봉 3주차 순위  ] [[파일:sdfwefsdfwefsdnfkmsflgmofjmbvsmf.png]]}}} || 개봉 3주차에는 [[명탐정 코난: 감청의 권]], [[노비타의 월면탐사기|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달 탐사기]], [[헌터 킬러(2018)|헌터 킬러]]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4위로 내려 앉았다. ||{{{#!folding[  개봉 4주차 순위  ] [[파일:sdfvwefvsdvs5415415dvwe.png]]}}} || 개봉 4주차에는 [[명탐정 코난: 감청의 주먹]], [[킹덤(2019년 영화)|킹덤]], [[신혼여행 허리케인 ~잃어버린 히로시~|극장판 짱구는 못말려: 신혼여행 허리케인 ~잃어버린 신형만~]], [[샤잠!]], [[극장판 울려라! 유포니엄: 맹세의 피날레]], [[노비타의 월면탐사기|극장판 도라에몽: 진구의 달 탐사기]], [[날아라 사이타마]], [[헌터 킬러(2018)|헌터 킬러]],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에 밀려서 [[일본]] [[박스오피스]] 10위로 내려 앉았다. === [[대만]] === ||<-5>
{{{#ffffff '''중화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ffffff '''덤보'''}}} || [[샤잠!]] || ||<-5> [[http://tw.dorama.info/drama/d_box_idx.php|대만 박스오피스]] || === [[홍콩]] === ||<-5>
{{{#ffffff '''홍콩 흥행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de2408 '''덤보''' }}} || [[샤잠!]]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hongkong/|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홍콩 주말 흥행 집계 기준]] || === [[영국]] === ||<-5>
{{{#ffffff '''영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ffffff '''덤보''' }}} || [[샤잠!]] || || 2019년 14주차 ||<|2> → || '''2019년 15주차''' ||<|2> → || 2019년 16주차 || || [[샤잠!]] || {{{#ffffff '''덤보''' }}} || [[샤잠!]]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uk/|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영국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프랑스]] === ||<-5>
{{{#ffffff '''프랑스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ffffff '''덤보''' }}} || 덤보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2> → || 2019년 15주차 || || 덤보 || {{{#ffffff '''덤보''' }}} || [[탕기의 귀환]]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france/|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프랑스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폴란드]] === ||<-5>
{{{#dc143c '''폴란드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ffffff '''덤보''' }}} || [[샤잠!]]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poland/|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폴란드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그리스]] === ||<-5>
{{{#ffffff '''그리스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어스(영화)|어스]] || {{{#ffffff '''덤보''' }}} || 덤보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2> → || 2019년 15주차 || || 덤보 || {{{#ffffff '''덤보''' }}} || [[애프터(2019)|애프터]]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greece/|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그리스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이탈리아]] === ||<-5>
{{{#ffffff '''이탈리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파이브 피트]] || {{{#ffffff '''덤보''' }}} || 덤보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2> → || 2019년 15주차 || || 덤보 || {{{#ffffff '''덤보''' }}} || [[애프터(2019)|애프터]]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italy/|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이탈리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콜롬비아]] === ||<-5>
{{{#ff0000 '''콜롬비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ffd700 '''덤보''' }}} || [[샤잠!]]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colombi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콜롬비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스페인]] === ||<-5>
{{{#ffffff '''스페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ad1519 '''덤보''' }}} || 덤보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2> → || 2019년 15주차 || || 덤보 || {{{#ad1519 '''덤보''' }}} || [[아이 캔 콰잇 웨네버 아이 원트]]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spain/|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스페인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네덜란드]] === ||<-5>
{{{#ffffff '''네덜란드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ffffff '''덤보''' }}} || [[샤잠!]]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netherlands/|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네덜란드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우루과이]] === ||<-5>
{{{#ffffff '''우루과이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0038a9 '''덤보''' }}} || 덤보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2> → || 2019년 15주차 || || 덤보 || {{{#0038a9 '''덤보''' }}} || 덤보 || || 2019년 14주차 ||<|2> → || '''2019년 15주차''' ||<|2> → || 2019년 16주차 || || 덤보 || {{{#0038a9 '''덤보''' }}} || 덤보 || || 2019년 15주차 ||<|2> → || '''2019년 16주차''' ||<|2> → || 2019년 17주차 || || 덤보 || {{{#0038a9 '''덤보''' }}} || [[어벤져스: 엔드게임]]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uruguay//|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우루과이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브라질]] === ||<-5>
{{{#fedf00 '''브라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fedf00 '''덤보''' }}} || [[샤잠!]]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brazil/|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브라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멕시코]] === ||<-5>
{{{#ffffff '''멕시코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ffffff '''덤보''' }}} || [[샤잠!]]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mexico/|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멕시코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러시아]] === ||<-5>
{{{#d52b1e '''러시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발칸 전선 || {{{#ffffff '''덤보''' }}} || [[샤잠!]] || ||<-5> [[http://www.boxofficemojo.com/intl/cis/|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러시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볼리비아]] === ||<-5>
{{{#ffd700 '''볼리비아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ffd700 '''덤보''' }}} || [[샤잠!]] || || 2019년 14주차 ||<|2> → || '''2019년 15주차''' ||<|2> → || 2019년 16주차 || || [[샤잠!]] || {{{#ffd700 '''덤보''' }}} || [[샤잠!]]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bolivi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볼리비아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파라과이]] === ||<-5>
{{{#ffffff '''파라과이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ffffff '''덤보''' }}} || [[샤잠!]]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paraguay/?yr=2019&p=.htm|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파라과이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칠레]] === ||<-5>
{{{#ffffff '''칠레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ffffff '''덤보''' }}} || '' 미정 ''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chile/|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칠레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아르헨티나]] === ||<-5>
{{{#fcbf49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2019년 12주차 ||<|2>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 || [[캡틴 마블(영화)|캡틴 마블]] || {{{#fcbf49 '''덤보''' }}} || 덤보 || || 2019년 13주차 ||<|2> → || '''2019년 14주차''' ||<|2> → || 2019년 15주차 || || 덤보 || {{{#fcbf49 '''덤보''' }}} || 덤보 || || 2019년 14주차 ||<|2> → || '''2019년 15주차''' ||<|2> → || 2019년 16주차 || || 덤보 || {{{#fcbf49 '''덤보''' }}} || [[요로나의 저주]] || ||<-5> [[https://www.boxofficemojo.com/intl/argentina/|아마존 박스오피스 모조 아르헨티나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 == 원작과의 차이 == 우선 원작에서 덤보는 황새가 데리고 온 별도의 가상종이자 입양아였지만 영화에서는 점보가 대놓고 낳은 친아들이자 일종의 귀가 큰 돌연변이이다. 원작에서는 인간의 비중이 거의 없다시피 한 반면 공개된 예고편을 보면 알겠지만 이번에는 정반대로 인간의 비중이 다수를 차지한다. 그렇다 보니 덤보를 업신여기는 다른 코끼리들이 등장하지 않으며, 그 역할은 사업가와 서커스단 단장과 다른 서커스단 단원들에게 돌아갔다. 덤보를 일으켜주는 생쥐 티모시와 비행을 가르쳐주는 까마귀들 또한 비중이 없으며[* 그 대신 티모시처럼 서커스 단장복을 입힌 생쥐가 이스터에그로 등장한다.] 그 역할을 서커스 단원의 슬하 두 남매가 맡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원작과의 차이는 인간의 비중과 덤보의 역할을 조정하면서 달라진 것으로 보인다. 그 유명한 [[분홍 코끼리]]가 등장하는 [[Pink Elephants on Parade]] 장면은 서커스의 비누방울 쇼로 대체되면서 원작에 비해 많이 순화되었다. 그 외에도 원작이 만들어진 시기가 1940년도라서 있었던 [[흑인]]을 희화하는 [[인종차별]]적 묘사나 동물학대, 아직 어린 코끼리인 덤보가 노동에 동원되거나 엄마와 떨어져서 관객들의 비웃음거리가 된다거나, 덤보가 티머시와 같이 실수로 광대들이 버린 위스키를 마시게 되는 모습 등의 아동 학대나 아동의 음주 묘사 등 현시대에 그대로 나온다면 논란이 될 장면을 과감히 삭제하거나 순화시키기도 했다. 많은 사람들의 예상과 달리 팀 버튼이 연출한 이 영화보다 원작 애니메이션이 훨씬 (?) 더 기괴하고 어둡다. 상술한 것처럼 덤보가 술을 마시는 장면이 묘사되고 분홍 코끼리 장면도 매우 공포스러우며, 더욱 슬픈 부분이 많다. == 논란 == [[:파일:dumbo 2019 poster.jpg|덤보의 북미용 포스터]]가 공개된 뒤 일각에서 포스터가 [[욱일기]]를 연상시킨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http://news.hankyung.com/article/201811162857H|#]] 하지만 덤보는 일본의 제국주의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서커스장이 영화의 주요 배경이고 포스터 속 인물들의 올려다보는 구도나 오른쪽 하단의 천막이 구겨진 듯한 모습, 서커스장 천막의 전형적인 색조합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때 서커스장 천막의 천장을 나타낸 것일 뿐 욱일기와 관련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더욱이 이는 욱일기보다는 '''[[성조기]]'''를 회전시킨 색조합이라고 할 수 있다. 포스터 하단 인물들이 어떤 색깔을 하고 있는지 보자. 당장에 영화 작중의 시대적 배경도 전간기 시기의 미국이라는 점을 보면 납득이 간다. 그래도, 한국에서 개봉할 때에는 배급사에서 이러한 시선을 의식하였는지 다른 포스터가 홍보에 사용되었다. == 기타 == == 관련 문서 == * [[덤보]] * [[미국 영화/목록]] * [[월트 디즈니 컴퍼니/작품]] [[분류:디즈니 애니메이션 실사화 시리즈]][[분류:덤보 시리즈]][[분류:월트 디즈니 픽처스]][[분류:2019년 영화]][[분류:미국의 판타지 영화]][[분류:팀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