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ml데몬 소환 관련 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유희왕 시리즈 주인공들의 서브 에이스 몬스터)] [include(틀:어둠의 유우기 덱 관련 문서)][include(틀:무토우 유우기 덱 관련 문서)] }}}}}} || ||<-3>
'''{{{#!html데몬 소환}}}'''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mmonedSkull-JP-Anime-DM-NC.png|width=100%]]}}} || '''등장 시리즈'''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DM]] || || '''사용 캐릭터''' || [[어둠의 유우기]], [[무토우 유우기]] || || '''첫 수록''' || Vol.4 || || '''서포트''' || [[일반 몬스터]], [[융합 소환|융합]] || || '''소속 테마군''' || [[데몬(유희왕)|데몬]] || || '''재정'''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px]] [[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4028|OCG DB Q&A]] ||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상급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SummonedSkull-JP-Manga-DM-2.png]] || 한글판 명칭 ||<-4>'''데몬 소환'''|| || 일어판 명칭 ||<-4>'''デーモンの[ruby(召喚, ruby=しょうかん)]'''|| || 영어판 명칭 ||<-4>'''Summoned Skull'''||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6.] || 어둠 || 악마족 || 2500 || 1200 || >'''이 녀석은 악마족 몬스터 중에서도 상당한 레어 카드지! 데몬 소환!''' >---- >[[유별난]] 듀얼링크스 소환 대사 원작 만화에서 [[듀얼몬스터즈|매직&위저드]]로 처음 등장한 시점부터 나온 몇 안 되는 초기 카드들 중 하나. '''[[어둠의 유우기]]가 마지막으로 꺼낸 최강 카드'''였다.[* 매직&위저드의 첫 에피소드 당시 유우기가 소지한 공격력 2000 이상 몬스터는 이 데몬 소환 뿐이었다. 암흑 기사 가이아와 추후 유우기의 상징이 된 블랙 매지션은 스고로쿠에게 덱을 넘겨받으면서 입수했다. 커스 오브 드래곤은 불명. 듀얼몬스터즈에선 레베카와 유우기의 듀얼이 과거 아서와 스고로쿠의 듀얼과 같다는 언급으로 보아 데몬 소환도 스고로쿠의 카드였을 가능성이 높다.] [[카이바 세토]]는 이 카드의 등장에 '''"데몬 소환? 악마족 중에서도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그런 슈퍼 카드를 가지고 있었다니!!"'''라면서 경악했고 어쩔 수 없이 주머니에 있던 [[푸른 눈의 백룡]]을 꺼내는 부정 행위를 저지른다. 대사를 보면 당시 카이바 덱에도 데몬보다 강력한 카드가 있긴 했던 모양이다. 이후 페가수스와의 첫 듀얼 당시 블랙 매지션이 뺏긴 상황에 소환되어 [[환술사 노페이스]]에게 공격을 하려 했으나 타임 오버로 실패한다. 그래도 페가수스도 데몬이 등장하자 당황했고 하마터면 질 뻔했다고 말했다. [[듀얼리스트 킹덤]] 편에서 '''[[무토우 유우기]]의 에이스'''로 활약하였으며 공격이 번개 속성이란 점을 살려서 활약했다. [[인섹터 하가]]와의 듀얼에서 [[궁극완전체 그레이트 모스#그레이트 모스|그레이트 모스]]를 [[마의 안개비]]와 함께 사용하여 쓰러트렸다. [[미궁형제]]와의 듀얼에서는 [[육망성의 저주]]로 약화된 [[수 마신-스가]]를 이전의 공격으로 필드에 남은 물의 전도를 이용해 미궁을 이동하지 않고 공격해서 파괴했다. 이후 [[붉은 눈의 흑룡]]과 융합해 [[블랙 데몬즈 드래곤]]이 되며 [[흉내쟁이 환술사]]로 포스의 효과를 복제하여 [[게이트 가디언]]을 파괴하며 듀얼에서 승리한다. [[페가수스 J. 크로포드]]와의 결승전에서는 [[툰#툰 드래곤 에그|툰 드래곤 에그]]의 공격을 유도하기 위해 일부러 수비 표시로 소환하여 육망성의 저주를 발동하나 이미 이를 간파한 페가수스가 육망성의 저주를 데몬한테 옮기면서 툰 드래곤 에그한테 파괴당한다. 이후 [[카피캣(유희왕)|카피캣]]에 복사당해 [[툰 데몬]]이 된다. 툰 데몬을 본 유우기는 푸른 눈의 툰 드래곤을 본 카이바처럼 상당히 분노했다. 배틀 시티부턴 에이스가 블랙 매지션으로 넘어가면서 활약이 없어졌다. 애니메이션에서는 그대로 유우기의 덱에 남아있던 것 같지만, 원작에서는 아예 덱에서 빠진 듯. 대신 [[암흑 마족 길퍼 데몬]]이 등장한다. 애니메이션에서는 배틀 시티 첫 듀얼에서 등장해 [[마그넷 워리어#마그넷 워리어 α|마그넷 워리어 α]]와 함께 듀얼을 마무리하고 도마 편에서는 [[블랙 매지션]], [[크리보]]와 함께 잠깐 등장했다. 결투의 의식에서는 유우기의 몬스터로 소환되어 아템의 빅 실드 가드너를 공격해 100 대미지를 받으면서 공격 표시로 바꾸어 [[커스 오브 드래곤]]이 아템의 LP를 대폭 깎을 수 있게 만든다. 이후 블랙 매지션에 파괴당한다. 공격명은 '마강뢰(魔降雷).'[*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한국 방영판에서는 '마법의 번개파'.] 하늘에서 떨어지는 번개를 받아서 그 번개를 상대에게 내쏜다. === 반다이판 === [[파일:SummonedSkull-BAN1-JP-R.png|width=400]] || 한글판 명칭 ||<-3>'''데몬 소환'''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3>'''デーモンの[ruby(召喚, ruby=しょうかん)]'''|| || 영어판 명칭 ||<-3>'''Summoned Skul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레벨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악마족 || 2500 || 1800 || ||<-5>번개를 몸에 두른 최흉의 악마.|| ||<-5>'''~룰 ③~'''[br]패 중에서 1장을 고르고, 동시에 꺼내 전투 개시.|| === 컬렉터즈 카드 === [[파일:SummonedSkull-G1-JP-HFR.jpg]] || 한글판 명칭 ||<-2>'''데몬 소환'''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2>'''デーモンの[ruby(召喚, ruby=しょうかん)]'''|| || 영어판 명칭 ||<-2>'''Summoned Skul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5> 몬스터 || || 레벨 || 공격력 || 수비력 || || 7 || 2500 || 12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 [[파일:SummonedSkull-DM2-JP-VG.png|width=100%]] || [[파일:SummonedSkull-DM3-JP-VG.png|width=100%]] ||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 암계결투기]]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 || 한글판 명칭 ||<-4>'''데몬 소환''' (비공식 번역명)|| || 일어판 명칭 ||<-4>'''デーモンの[ruby(召喚, ruby=しょうかん)]'''|| || 영어판 명칭 ||<-4>'''Summoned Skull'''||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에서는 8.] || 악마마족 || 악마족 || 2500 || 1200 || ||<-5>어둠의 힘으로 마음을 유혹한다. 악마족 중에서는 상당한 레어 카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DM1]]~[[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DM4]])|| ||<-5>어둠의 힘을 사용하여, 사람의 마음을 유혹하는 데몬. 악마족 중에서도 상당히 강력한 힘을 자랑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5 익스퍼트 1|DM5]]~[[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DM8]])|| DM1에서부터 등장.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까지의 시리즈 및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시간의 마술사]]와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2#미숙한 악마|미숙한 악마]]와 융합하여 꺼낼 수 있다. 또한 악마족 몬스터와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3#전직의 마경|전직의 마경]]을 융합하는 방법으로도 소환이 가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https://www.ka-nabell.com/img/card/card100039884_1.jpg|width=100%]]||[[파일:https://www.ka-nabell.com/img/card/card100021026_1.jpg|width=100%]]|| || 일반 일러스트[*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ummonedSkull-JP-Manga-DM-NC.png]] [br] 원작 8권 165 페이지의 구도.] || [[리미티드 에디션|LIMITED EDITION 3]] 일러스트 || ||[[파일:http-%2F%2Fvignette3.wikia.nocookie.net%2Fyugioh%2Fimages%2F8%2F89%2FSummonedSkull-T3-JP-UR.png|width=100%]]||[[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3755_1.jpg|width=100%]] || || 2001년 유희왕 아시아 챔피언쉽 [[프로모션 카드|프로모 일러스트]] || [[애니버서리 팩]] 일러스트[* 반다이 시절의 데몬 소환의 일러스트와 비슷하다.] ||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데몬 소환, 일어판명칭=デーモンの召喚(しょうかん), 영어판명칭=Summoned Skull, 속성=어둠, 레벨=6, 공격력=2500, 수비력=1200, 종족=악마족, 효과외1=어둠의 힘을 사용하여\, 사람의 마음을 유혹하는 데몬. 악마족 중에서도 상당히 강력한 힘을 자랑한다.)] >"이 녀석은 악마족 몬스터 중에서도 상당한 레어 카드지! 데몬 소환!" -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유별난 전용 대사 당시 능력치에 비해 허세 넘치던 텍스트로 점철되어있던 일반 몬스터 중에서 매우 드물게 '''텍스트값을 제대로 해냈던''' 몬스터 중 하나이다. 그 시절의 유희왕 OCG는 몬스터들의 평균 능력치가 매우 낮게 책정되는 경향이 심해서 외형과 설명이 아무리 대단해도 능력치가 저질이라 허세라며 웃음벨 취급받는 경우가 많았는데, 데몬 소환은 원작 그대로의 능력치를 계승하면서도 레벨이 '''1''' 낮아진 채로 발매된 덕분에[* 반대로 원작에서 레벨 6에 공격력 2300인 [[암흑 기사 가이아]]는 역으로 레벨이 1 올라가는 너프를 당해버렸다.] 그런 소리를 듣지 않았다. 당시 상급 몬스터들의 평균 능력치 상한선을 보았을 때 블랙 매지션의 공격력과 똑같은 이 카드의 능력치는 그야말로 오버스펙이나 다름없었으며, 오히려 제물 2체가 필요한 블랙 매지션보다 사용하기 간편해서 서포트 없이 단독으로만 비교해본다면 사실상 '''상위호환으로도 볼 수 있었다.''' 실제로도 '''제물 하나로 나오는 몬스터 중 최강 공격력의 보유자'''라는 타이틀을 약 7년이라는 상당히 오랜 기간 동안 보유하고 있었으며,[* 현재는 2600의 타점을 보유한 6레벨 일반 몬스터가 셋이나 있다. 프로스트사우르스, 마법 검사 트랜스, 빛을 가져오는 자 루시퍼.] 현재는 그 위상을 잃어버린 지 한참이나 흘렀지만, 여전히 이 카드로 쓰러뜨릴 수 있는 상급 몬스터는 많이 존재한다. 원작에서 데몬 소환을 처음 본 [[카이바 세토]]가 괜히 오두방정을 떨며 타짜짓을 저지른 게 아니다. 카드 자체의 능력치도 뛰어나지만 어둠 속성 악마족, [[데몬(유희왕)|데몬]]의 이름, 일반 몬스터라는 점, 특정 몬스터의 지정 융합 소재라는 점 등 서포트를 받을 수 있는 온갖 요소를 갖추고 있어 일단 쓰려고 마음먹으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덱 파괴 바이러스]]에 대응하며, [[정통한 혈통(유희왕)|정통한 혈통]]으로 소생도 편하다. [[데몬 솔저]]와 마찬가지로 단순히 디메리트가 없기 때문에 [[체스 데몬]] 덱에 채용할 수도 있다. [[블랙 데몬즈 드래곤]]의 융합 소재인지라 [[엘리멘틀 히어로 플리즈마]]로 묘지로 보낼 수도 있고 저 융합체도 [[용의 거울]], [[융합 주술봉인 생물]]-어둠으로 간단하게 소환할 수 있다. [[절대 마법 금지구역]]의 혜택도 공유한다. 이외에도 [[이블 히어로 다크 가이아]], 마리셔스 데블, 마리셔스 베인의 융합소재로도 가능하며, 공격력도 충분히 높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지금 와서 굳이 이 카드를 쓴다면 저렇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고, 현 상황에서는 더 우선시할 카드들이 더 많은지라 이 카드가 나서기가 쉽지 않다. 데몬 덱에서는 능력치가 같고 효과가 붙은 이 카드의 리메이크 [[신뢰의 마왕-스컬 데몬]], [[데몬의 장성]] 등이 있으며, 바닐라 덱에서는 이 카드의 공격력을 뛰어넘는 [[프로스트사우루스]]와 [[마법 검사 네오|마법 검사 트랜스]], [[빛을 가져오는 자 루시퍼]]만 해도 족하다. 일반적인 덱에서 단순한 어택커를 원한다고 해도 이 카드와 공격력이 같고 부가효과가 있는 [[봉왕수 가이르다]]가 등장했으며 약간의 디메리트가 있긴 하지만 공격력 2900에 [[관통(유희왕)|관통]]까지 달린 [[프레임 기어-자룡]]도 있다. 블랙 데몬즈 드래곤도 [[붉은 눈의 흑룡]] 전용덱이 아니면 쓰기 힘든 카드다. 현 상황에서 굳이 채용한다고 하면 [[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을 투입한 붉은 눈의 흑룡 덱이 가장 대표적이다.[* 특히 [[붉은 눈 융합]]을 채용할 생각이라면 이블 데몬이 붉은 눈 융합에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같이 채용하게 될 것이다.] 그 외엔 데몬 솔저, [[스크랩 데스데몬]] 등과 각종 효과 없는 몬스터 서포트를 공유할 수 있게 짜여진 바닐라 위주 데몬 덱 정도가 사용후보. 그나마도 전자는 [[융합소재 대체 몬스터]]로 땜빵이 가능한지라 후자 쪽이 좀더 유력하다. 서포트는 많이 받으므로 팬이라면 아예 이 카드를 중심으로 [[마의 안개비]] 등을 투입해 이 카드의 능력을 풀 활용하는 데몬 소환 전용덱을 짜서 애정으로 굴릴 수 있긴 하다. 지금은 이렇게 [[파워 인플레]] 때문에 밀려났지만, 초기에는 최강의 상급 어택커였던데다가 [[검은 숲의 마녀]]로 서치가 가능하고 [[쓰쿠요미(유희왕)|쓰쿠요미]]에게 썰리지 않는 절묘한 수비력을 가지고 있어서 꽤나 사랑받았던 녀석이었다. 특히 유희왕 파워 오브 카오스를 하면 다른 상급 몬스터보다 이 녀석이 입수되길 원하게 된다. 유희왕 초창기는 최고 전성기라 해도 과언이 아닌데, [[쌍둥이 자매 엘프|고 타점]] [[메카 헌터|하급 몬스터]]나 [[홀리 엘프|수비력 2000 라인]][[암석 거인| 하급몬스터]]로 싸우다가 데몬 소환의 소환을 노리는게 정석적인 전술이 었을 정도다.[* 유희왕이 국내에 들어온지 얼마 안된 초기환경도 다르지 크게 않았는데, 투니버스 혹은 애니원 등에서 유희왕 카드 대회를 열어 중개한한 영상을 보면 당시 '''모든 선수들이 데몬 소환을 에이스로 활용했을 정도였다.'''] TCG판에서는 데몬이라는 이름이 문제가 되어 Summoned Skull(서먼드 스컬)이라는 이름이 되었다. 영판 이름을 번역하자면 "소환된 해골". 데몬 소환보단 더 몬스터 이름같기는 한데 악마족이라기보단 언데드족같은 이름이 되어버렸다. 당시는 아직 [[데몬(유희왕)|데몬]]을 하나의 그룹으로 삼는 카드가 없어서 Archfiend로 통일하려는 시도가 없었기 때문이다. 자세한건 데몬 페이지 참고. 이 때문에 이 카드의 영어판에는 플레이버 텍스트 뒤에 '(이 카드는 룰 상 Archfiend 카드로도 취급한다)' 텍스트가 붙어, 일반 몬스터인데 효과 텍스트가 있는 괴상한 카드가 되어버렸다. 다만 당시 악마의 상징인 뿔과 꼬리 등을 삭제시키던 TCG판의 검열 추세와는 달리 드물게도 디자인 상으로는 아무런 수정도 가해지지 않았다. [[유희왕 5D's]] 방영 시기를 기점으로 이런 식의 수정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추세지만 이 카드는 초창기부터 나온 카드인데도 원본 일러스트가 유지된 특이 케이스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볼륨(유희왕)|Vol.4]] || 없음 ||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br]절판 || || EX || 없음 || [[노멀]] || 일본 || 절판 || || 暗黒魔竜復活-REVIVAL OF BLACK DEMONS DRAGON- || RB-03 || [[울트라 레어]][br][[울트라 레어|울트라]] [[패러렐 레어]] || 일본 || 절판 || || EX-R || EX-04 || [[노멀]] || 일본 || 절판 || || [[부스터(유희왕)|Booster R3]] || B3-02 || [[노멀]] || 일본 || 절판 || || [[리미티드 에디션|LIMITED EDITION 3]] || L3-01 || [[울트라 레어]] || 일본 || 다른 일러스트(1)[br]절판 || || アジアチャンピオンシップ 2001 準優勝賞品 || T3-02 || [[울트라 레어]] || 일본 || 다른 일러스트(2)[br]절판 || || Struggle of Chaos -闇を制する者- || SC-51 || [[얼티밋 레어]] || 일본 || 절판 || || DUELIST LEGACY Vol.2 || DL2-092 || [[울트라 레어]]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 || BE1-JP142 || [[슈퍼 레어]] || 일본 || 절판 || || [[애니버서리 팩|ANNIVERSARY PACK]] || YAP1-JP003 || [[울트라 레어]] || 일본 || 다른 일러스트(3)[br]절판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ヴァイロン降臨!!- ]] || DT09-JP001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일본 || 절판 || || [[비기너즈 팩|BEGINNER'S EDITION 1(第7期)]] || BE01-JP121 || [[슈퍼 레어]] || 일본 || || || ハーフデッキプレゼントキャンペーン ハーフデッキ 闇 || HD13-JPD01 || [[노멀]] || 일본 || 절판 || || [[결투왕의 기억|決闘王の記憶-決闘者の王国編-]] || 15AY-JPA06 || [[울트라 레어]] || 일본 || || || [[듀얼리스트의 영광|決闘者の栄光-記憶の断片- side:闇遊戯]] || 15AX-JPY06 || [[밀레니엄 레어]][br][[시크릿 레어]] || 일본 || || || エントリーパック || EN01-JP001 || [[패러렐 레어]] || 일본 || 절판 || || [[유희왕 듀얼링크스|遊戯王デュエルリンクス レジェンドデッキガイド 闇遊戯VS海馬瀬人 付属カード]] || LG01-JP002 || [[노멀]] || 일본 || 절판 || || ハーフデッキ2018 闇 || HD18-JPD01 || [[노멀]] || 일본 || 절판 ||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 SDY-00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강철의 습격자|Metal Raiders]] || MRD-003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Booster Pack Collectors Tins 2002 || BPT-002 || [[시크릿 레어]] || 미국 || || [[스타터 덱|Starter Deck: Yugi Evolution]] || SYE-005 || [[노멀]] || 미국 || || || [[비기너즈 팩|Dark Beginning 1]] || DB1-EN142 || [[슈퍼 레어]] || 미국 || || || Retro Pack || RP01-EN024 || [[슈퍼 레어]] || 유럽 || || || Dark Legends || DLG1-EN025 || [[노멀]] || 미국 || || || [[애니버서리 팩|Anniversary Pack]] || YAP1-EN003 || [[울트라 레어]] || 미국 || 다른 일러스트(3) ||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Yugi]] || DPYG-EN002 || [[울트라 레어]] || 미국 || 다른 일러스트(1) || || Demo Pack || DEM1-EN001 || [[노멀]] || 미국 || 절판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5]] || DT05-EN001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레어]]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 LCYW-EN010 || [[슈퍼 레어]]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Mega Pack || LCJW-EN235 || [[레어]] || 미국 || || || Starter Deck: Yugi Reloaded || YSYR-EN004 || [[노멀]] || 미국 || || || Demo Deck 2015 || DEM2-EN002 || [[노멀]] || 미국 || || || Yugi's Legendary Decks || YGLD-ENA06 || [[노멀]] || 미국 || || || [[밀레니엄 팩|Millennium Pack]] || MIL1-EN028 || [[노멀]] || 미국 || ||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유희 편 -]] || SDY-K00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강철의 습격자]] || MRD-K003 || [[울트라 레어]] || 한국 || || || [[스타터 덱|스타터 덱 - 유희 편 - 에볼루션]] || SYE-KR005 || [[노멀]] || 한국 || || || [[비기너즈 팩|비기너즈 팩 1]] || BP1-KR142 || [[슈퍼 레어]] || 한국 || || || [[익스팬션 팩|익스팬션 팩 Vol.1]] || ESP1-KR004 || [[노멀]] || 한국 || || || [[애니버서리 팩]] || YAP1-KR003 || [[울트라 레어]] || 한국 || 다른 일러스트(3) || || [[결투왕의 기억|결투왕의 기억 - 듀얼리스트 킹덤 편 - 스페셜 세트]] || 15AY-KRA06 || [[울트라 레어]] || 한국 || || || [[듀얼리스트의 영광|듀얼리스트의 영광 -기억의 단편- side: 어둠의 유희]] || 15AX-KRY06 || [[패러렐 레어|패러렐]] [[노멀]][br][[시크릿 레어]] || 한국 || || === [[유희왕 듀얼링크스]] ===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는 꽤나 강력한 카드에 속했다. 공격력 2500이면 그래도 웬만한 중/상급어태커로써 링크스에서는 충분하기 때문. 심지어 제물 하나로 튀어나오는 중급 몬스터이기때문에 더욱 그렇다. 제물 2장 모으는게 은근히 어려웠던 링크스에서 하급으로 한 턴만 버티면 그 다음은 이 카드를 어드밴스시켜서 판을 엎을 수 있었기 때문. 흑마술의 커튼이나 현자의 보석등이 없었다면 아마 [[블랙 매지션]]보다 이 카드가 더 강력했을 수도 있다. 현재는 듀얼의 속도가 매우 빨라진데다 이카드가 나오는 팩이 인기가 없는 팩이라 쓰는 사람들은 거의 없지만, 악마족은 그래도 어느정도 서포트가 가능하고 '''어둠 속성'''이라 듀링의 서포트 카드들 중에서도 강하게 지원할 수 있는 카드가 많다. 하지만 왠만한 팬심이 있지 않는이상 이 카드를 얻기위해 팩을 까는건 많이 아깝다. 차라리 [[일렉테일 드래곤]]을 쓰는게 더 나을 지경. 유우기가 사용한 수많은 몬스터들 중에서 블랙 매지션과 더불어 유이하게 [[어둠의 유우기|두 명의]] [[무토우 유우기|유우기]]로부터 전용 대사가 있는 영광을 차지한 몬스터이기도 하다. 유우기의 초창기 에이스 카드였던만큼 그에 대한 예우일지도. === [[유희왕 러시 듀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데몬 소환(유희왕 러시 듀얼))] == 기타 == [[매직 더 개더링]]에서 강하게 모티브를 얻은 몬스터이다. 아마도 모티브가 됐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녀석은 [[지옥의 왕]]. 이 지옥의 왕과 너무나도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좀 문제가 되었는지 실제 카드나 애니메이션에서는 디자인이 대폭 변경되었지만, 어째 애니버서리 팩에서 나오는 일러스트는 도로 옛날로 돌아가버렸다. '''데몬의 소환'''이란 특이한 이름도 당시 MTG의 생물 카드(유희왕으로 치면 몬스터) 유형 표기 방식에서 따온 것인데, 그 무렵에는 '''Summon Demon(악마를 소환한다)'''는 식으로 생물 유형이 적혀있었고, 일본어판에서는 '''데몬의 소환'''으로 번역되었기 때문. 당연히 모티프인 [[지옥의 왕]]도 당시에는 그런 식으로 표시되었으니 더더욱 [[확인사살]]이다. 현재는 텍스트가 개정되어 일본어판의 경우 クリーチャー ― デーモン(크리쳐 - 데몬)이라고 직역한다. 또 [[푸른 눈의 백룡]], [[쌍둥이 자매 엘프]]처럼 일종의 공격력 인플레 리미터로 암약하고 있다. 실제로 효과를 가진 6레벨 이하 몬스터 중에 2500을 넘는 카드는 손에 꼽을 정도. 현재는 전술한 [[프로스트사우루스]]와 [[마법 검사 네오|마법 검사 트랜스]](2600)에게 메인 덱에 들어가는 상급 1위 자리를 내줬지만 이들 역시 [[제네틱 워울프]]나 [[알렉산드라이트 드래곤]]처럼 예외적인 존재다. 그 외에는 [[고요우 가디언]]과 [[코알랏코|코알랏코알라]](2800), [[대지의 기사 가이아 나이트]](2600)가 있으나 이들은 엑스트라 덱에 들어가는 카드라 직접 비교하기는 좀 힘들다. 게다가 고요우 가디언은 오버 파워라는 소리를 들으며 결국 [[유희왕/OCG 금지제한|금지]]를 먹었다가, 에라타를 당하고 겨우 금지에서 내려오게 되었다. 2기 시리즈 재록 시에 [[플레이버 텍스트]]가 변경된 카드 중 하나로, 구 텍스트에서는 '어둠의 힘으로 마음을 유혹한다. 악마족 중에서는 상당한 레어 카드.'라고 쓰여있었다. 이 카드를 시작으로 플레이버 텍스트에 '레어 카드'라고 쓰여진 카드는 재록 시 에라타 처리되었다. 정작 이 카드는 1기 시점에서부터 유우기 스트럭처 덱에 노멀로 수록되어버린 상태였다. 애니와 카드 일러스트의 무릎과 발가락 묘사가 다르다. 애니는 발가락이 3개이지만 카드 일러스트는 발가락이 2개이다.[[https://blog.naver.com/whwjdgnsqe/221180539741|#]] == 관련 카드 == === "데몬 소환" 몬스터 === 몬스터 존에서 '데몬 소환'으로 취급하는 카드들. VRAINS 시즌에 들어가면서 갑자기 등장하게 된 카드들로 정확히는 카드군이 아니다. 링크, 펜듈럼 소환을 뺀 나머지 특수 소환법에 해당하는 리메이크 몬스터들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며, 엑시즈 몬스터 [[데몬 초월]]이 발매됨으로서 블매나 백룡도 하지 못한 의식/융합/싱크로/엑시즈 리메이크 석권에 성공했다. 작명법이나 이름의 유례는 원본 그대로 '데몬'''의''' 소환'에서 따온 듯하다. '강림, 현현, 초래, 초월(?)' 등 이름에 '''소환(나타나다)'''을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효과는 공통적으로 "몬스터 존에 존재할 때 카드명을 데몬 소환으로 취급해주고, 각각의 속한 소환법으로 소환된 상태에서 상대에 의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자신의 패/덱/묘지에서 '데몬 소환' 1장을 고르고 특수 소환한다"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데몬 소환으로 취급해주는 효과 덕분에 '마의 안개비'의 서포트를 받을 수 있고, [[블랙 데몬즈 드래곤]]의 융합 소재로 쓸 수도 있다.[* 물론 그 경우 [[붉은 눈의 흑룡]]을 덱에 투입해야 하고, 아니면 [[융합소재 대체 몬스터]]를 투입해야 한다.] ==== [[데몬 강림]] ==== [[의식 소환|의식 몬스터]] 버전 리메이크. 의식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와의 전투/효과로 파괴되지 않는 내성 효과. ==== [[데몬 현현]] ==== [[융합 소환|융합 몬스터]] 버전 리메이크. 자신 필드 위의 '데몬 소환'의 공격력 500을 올리는 효과. ==== [[데몬 초래]] ==== [[싱크로 소환|싱크로 몬스터]] 버전 리메이크. 자신 필드 위의 "데몬 소환"에게 상대 효과의 대상 내성을 부여하는 효과. ==== [[데몬 초월]] ==== [[엑시즈 소환|엑시즈 몬스터]] 버전 리메이크. 자신 필드 위의 "데몬 소환"이 전투/효과로 파괴될 경우 파괴를 막을 수 있는 효과. === 관련 리메이크 카드 === ==== [[툰 데몬]] ==== [[툰]] 몬스터 버전 데몬 소환. ==== [[신뢰의 마왕-스컬 데몬]] ==== [[질풍의 암흑 기사 가이아]]처럼 데몬 소환에 효과를 붙인 리메이크. ==== [[언데드 스컬 데몬]] ==== 데몬 소환의 [[언데드화]]이자, [[싱크로 소환|싱크로 몬스터]] 버전 리메이크. ==== [[데몬의 장성]] ==== 데몬들의 장군. [[데몬(유희왕)|데몬]]과 관련된 효과를 지닌 리메이크. 이 카드는 위의 리메이크 데몬 소환 몬스터들과 작명법 등이 유사해 보이지만, 이름의 의미/효과/디자인 요소 등이 이질적이다. 이는 이 카드가 [[저지먼트 오브 더 라이트]]에서 데몬의 기병, 트릭 데몬, 제네시스 데몬 등과 함께 "[[데몬(유희왕)|데몬]]"이 추가 지원을 받던 시기에 점프 동봉 카드로 발매되었기 때문. 원본 그대로의 "데몬(의) 소환"과 같은 작명법으로 유사해 보이지만 '장성'으로 이름의 의미가 조금 다르고, 원본 데몬 소환과 거의 비슷한 디자인의 리메이크 카드들과는 다르게 둥글둥글한 갑주를 입은 디자인이며, 2가지 공통 효과도 공유하지 않는다. ==== [[붉은 눈의 흉뢰황-이블 데몬]] ==== 붉은 눈 버전 리메이크. 듀얼 몬스터가 됐다. ==== [[마도(유희왕)#s-4.6.2|마도귀사 디아르]] ==== 위의 셋에 비해서는 관련성이 적지만, 모티브가 '악마'인데다가 이 카드의 능력치를 그대로 따왔다. 마도 카드군의 카드 중 몇몇이 유우기의 카드들의 공수를 따서 정해진 정황을 봐서, 마도귀사 디아르도 데몬 소환의 오마쥬일 가능성이 다분하다. === 기타 관련 카드 === ==== [[마의 안개비]] ==== ==== [[블랙 데몬즈 드래곤]] ==== 데몬 소환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분류:유희왕/OCG/악마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