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데몬(유희왕))] [목차] == 개요 == [[데몬(유희왕)]] 문서에서 OCG화 되지 않은 카드 관련 내용을 분리한 문서 == 일반 몬스터 == === 레벨 1 === ==== 세븐 암즈 데몬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evenArmedFiend-OW.png]] || 한글판 명칭 ||<-4>'''일곱 팔의 데몬'''|| || 일어판 명칭 ||<-4>'''セブンアームズ・デーモン'''|| || 영어판 명칭 ||<-4>'''Seven-Armed Fiend'''||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어둠]] || [[악마족]] || [[666]] || [[666]] || ||<-5>7개의 팔을 가진 악마. 그 능력은 수수께끼이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 [[바쿠라 료]]의 아버지가 [[천년 아이템|천년 링]]과 함께 선물로 가져온 카드. 과거 회상으로만 등장하며 사용하는 모습은 나오지 않는다. 상당한 힘을 가진 오컬트 물품인 천년 아이템과 함께 입수된 카드라 뭔가 비밀이 있을 거라는 일부 추측과는 달리 이후에 한 번도 등장하거나 언급되지 않았다. 능력치가 상당히 괴이한데[* 공격력 / 수비력이 ?인 몬스터를 제외하면 유희왕의 OCG와 미디어믹스를 전부 통틀어서 유일하게 원래 공격력 / 수비력이 1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몬스터다.] 북미판에서는 1000으로 바뀌었다. 이는 666이란 숫자가 가진 종교적 문제 때문에 수정된 것으로 추측된다. 그렇게 본편에서는 잊혀졌지만 북미에서만 방영된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ALEX]]에서 중간 보스 격으로 재등장하게 된다. 일회용 취급이었던 원본으로선 상상도 못 할 정도로 비중이 올라갔으며, 저 정도의 레벨과 스텟의 몬스터라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유우기를 고전시켰다. 초반부 유우기의 꿈속에서 [[어둠의 유우기]]와 싸움을 벌이던 모습으로 나온 것이 처음으로, 이후 코빼기도 안 보이다가 최종결전에서 최종보스인 [[알렉산더 대왕]]이 부하 4명을 제물로 바쳐 소환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알렉산더가 이 몬스터를 사용한 것은 바쿠라와 마찬가지로 작중 과거에 천년 링을 입수했던 인연 덕분인 것으로 보인다. 7개의 팔에는 제각기 특별한 능력이 있다. * 제 1의 능력 '암 오브 더 스컬': 다수의 [[스컬 나이트(유희왕)|스컬 나이트]] 군단을 특수 소환한다. * 제 2의 능력인 '암 오브 리제너레이션': 파괴된 스컬 나이트를 부활시킨다. 암 오브 더 스컬과 암 오브 더 리제너레이션으로 스고로쿠를 비롯한 일행을 압도했다. * 제 3의 능력 '암 오브 인트래먼트'는 바닥에서 거대한 팔이 솟아나 출현시켜 상대를 구속한다. * 제 4의 능력 '디펜스 암'은 어둠의 장벽을 출현시켜 공격을 막는다. * 제 5의 능력 '암 오브 디스트럭션': 광탄을 발사한다. * 제 6의 능력 '암 오브 클레어보이언스': 상대의 마음을 읽어 공격을 예지한다. 하지만 이 제 6의 능력으로 어둠의 유우기를 엿보려던 순간 알렉산더가 천년 퍼즐 안에서 조난되어버려 능력들이 사라지게 되었고, 유우기 일행의 총공격에 의해 끝내 파괴되어버린다. 그 후 제물로 바쳐진 부하들도 다시 돌아오는 듯 했지만, 아직 알렉산더에게는 [[대사신 레세프]]라는 비장의 수가 남아있었다. == 효과 몬스터 == === 레벨 3 === ==== 데몬 반데리예로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anderilleroFiend-OW.png]] || 한글판 명칭 ||<-4>'''데몬 반데리예로'''|| || 일어판 명칭 ||<-4>'''デーモン・バンデリジェーロ'''|| || 영어판 명칭 ||<-4>'''Banderillero Fiend'''||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어둠]] || [[전사족]] || 900 || 1600 || ||<-5>이 카드가 소환에 성공했을 때,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1 장을 선택하고 파괴 할 수있다. 이 카드를 소환 한 턴, 이 카드는 공격 할 수 없다.|| 타이탄이 사용한 투우 데몬 중 세 번째. 반데리예로는 작살 담당의 투우사로 두 사람이 맡는다. === 레벨 4 === ==== 데몬 피카도르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PicadorFiend-JP-Anime-GX-NC.png]] || 한글판 명칭 ||<-4>'''데몬 피카도르'''|| || 일어판 명칭 ||<-4>'''デーモン・ピカドール'''|| || 영어판 명칭 ||<-4>'''Picador Fiend'''||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어둠]] || [[전사족]] || 1600 || 1200 || ||<-5>필드 위에 "다크 아레나"가 존재할 때, 이 카드는 상대를 직접 공격 할 수 있다.|| 타이탄이 기존의 데몬을 버리고 사용한 투우 데몬 중 첫 번째. 피카도르는 말을 타고 창으로 소를 찌르는 투우사로, 두 사람이 맡는다. 일러스트도 말을 타고 있는 기수로, 후술할 마타도르와 전술한 반데리예로도 투우사다. == 의식 몬스터 == === 레벨 6 === ==== 데몬즈 마타도르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ArchfiendMatador-GX04-JP-VG.jpg|width=400]] || 한글판 명칭 ||<-4>'''데몬즈 마타도르'''|| || 일어판 명칭 ||<-4>'''デーモンズ・マタドール'''|| || 영어판 명칭 ||<-4>'''Archfiend Matador'''|| ||<-5> 의식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유희왕/속성|어둠]] || [[전사족]] || 0 || 0 || ||<-5>"마타도르 강림의 의식 다크 파세오"에 의해 의식 소환. 이 카드는 공격을 선언할 수 없다. 이 카드는 전투에 의해 파괴되지 않고, 컨트롤러에 대한 전투 데미지는 0이 된다. 또한 이 카드와 전투를 한 상대 몬스터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파괴된다.|| 타이탄이 사용한 투우 데몬 중 두 번째. 데몬 소환을 제물로 소환했다. 북미판에선 이 카드도 Matador Fiend라는 이름이었으나 태그 포스에서 사용 가능한 카드로 등장하면서 이름이 수정되었다. 마타도르는 소의 공격을 이리저리 피하면서 최후의 일격을 가하는 투우사로, 흔히 대중적으로 알려진 붉은 천을 흩날리며 소를 유인했다가 요리조리 피하는 바로 그 투우사다. 붉은 날개와 몬스터 효과도 이에 잘 어울린다. == 서포트 카드 == === 마법 카드 === ==== 마타도르 강림의 의식 다크 파세오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RitualoftheMatador-OW.png]] || 한글판 명칭 ||<-4>'''마타도르 강림의 의식 다크 파세오'''|| || 일어판 명칭 ||<-4>'''マタドール降臨(こうりん)の儀式(ぎしき) ダーク・パセオ'''|| || 영어판 명칭 ||<-4>'''Ritual of the Matador'''|| ||<-5> 의식 마법 || ||<-5>"데몬즈 마타도르"의 의식 소환에 필요. 필드나 패에서, 레벨 6 이상이 되도록 제물을 바쳐야 한다.|| 타이탄이 사용. 데몬즈 마타도르 강림을 위해 필요한 의식 마법카드. OCG화되어도 그리 쓸모는 없어 보인다. 마타도르는 [[나락과의 계약]]에도 대응하고, [[데몬 소환]] 위주 덱이라면 마침 마타도르가 레벨 6이라 [[고등의식술]]로 데몬 소환을 묘지로 보내고 [[데몬 강림]]과 마타도르 중에서 골라 소환할 수 있다. 이들에 비해 가지는 우위라면 [[의식의 밑준비]]로도 서치 가능하다는 점 정도. 2023년 8월 1일 [[유희왕 듀얼링크스]]에 [[유희왕 듀얼링크스/듀얼 월드/카드 트레이더#s-2.1.2.4|트레이더 픽업 카드]]로 추가되었다. ==== 다크 아레나 ==== [[파일:DarkArena-GX04-EN-VG.jpg]] || 한글판 명칭 ||<-4>'''다크 아레나'''|| || 일어판 명칭 ||<-4>'''ダーク・アリーナ'''|| || 영어판 명칭 ||<-4>'''Dark Arena'''|| ||<-5> 필드 마법 || ||<-5>서로의 몬스터의 공격 대상은 상대가 선택한다. 공격 가능한 몬스터가 존재하는 경우 반드시 공격을 해야 한다.|| 타이탄이 [[세븐 스타즈]]에 들어간 후 [[텐죠인 아스카]]와의 듀얼에서 사용. 투우 데몬 덱을 위한 필드 마법이다. 말 그대로 [[투기장]]을 재현해낸 효과. 공격 대상을 남이 선택하는 효과는 [[노블 드 느와르]]와 비슷하며, 강제 공격 효과는 [[세비지 콜로세움]]과 비슷하다. 효과 발동시, [[암흑의 성]]을 오마주라도 한 듯이 필드가 깜깜해져 상대 몬스터가 보이지 않는 연출이 있었다. [[유희왕 태그 포스]]에서는 [[우시오 테츠]]가 사용하기도 한다. 다만 덱과의 시너지가 크게 없는 편이라 발동돼도 큰 도움은 되지 못하는 편. === 함정 카드 === ==== 데먼 캐논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FiendCannon-OW.png]] || 한글판 명칭 ||<-4>'''데먼 캐논'''|| || 일어판 명칭 ||<-4>'''デモン・カノン'''|| || 영어판 명칭 ||<-4>'''Fiend Cannon'''|| ||<-5> 일반 함정 || ||<-5>자신 필드위의 몬스터 1장이 상대 몬스터의 공격에 의해 전투로 파괴되지 않을 때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 1장을 공격표시로 하고, 상대 플레이어에게 500 포인트의 데미지를 준다.|| [[잭 아틀라스]]가 사용한 함정 카드. [[데먼즈 체인]]과 마찬가지로 デモン이기 때문에 데몬이 아니다. 전투파괴 내성을 가진 몬스터와 병용을 요구하는 데, 데몬 덱과는 궁합이 안 좋다. ==== 데먼 로즈 ==== [[https://yugioh.fandom.com/wiki/Fiend_Rose]] || 한글판 명칭 ||<-4>'''데먼 로즈'''|| || 일어판 명칭 ||<-4>'''デモン・ローズ'''|| || 영어판 명칭 ||<-4>'''Fiend Rose'''|| ||<-5> 지속 함정 || ||<-5>발동 후 이 카드는 장착 카드가 되어 자신 필드 위에 존재하는 몬스터 1장에 장착 된다. 장착 몬스터가 전투에서 받는 데미지는 0이 된다. 이 카드가 필드 위를 벗어났을 때, 장착 몬스터를 파괴한다.|| [[유벨]]이 사용.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서, title=데몬(유희왕), version=207)] [[분류:유희왕/OCG화 되지 않은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