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파충류족]] [목차] == 개요 == [[유희왕]]의 하급 몬스터 카드. == 설명 == === 원작 === [[파일:DesFeralImp-OW.png]] || 한글판 명칭 ||<-4>'''데스 그렘린'''|| || 일어판 명칭 ||<-4>'''デスグレムリン'''|| || 영어판 명칭 ||<-4>'''Des Feral Imp''' (원작 코믹스)[br]'''Dark Gremlin'''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5>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어둠 || 악마족 || 1600 || 1800 || ||<-5>더욱 흉폭하게, 더욱 전투적으로 진화한 [[그렘린(유희왕)|그렘린]]. 이전의 모습은 조금도 느껴지지 않는다.|| 원작 [[유희왕 듀얼몬스터즈/배틀 시티 본선 편|배틀 시티 본선 편]]에서 [[카이바 세토]]가 [[이시즈 이슈타르]]와의 듀얼 중 사용한 카드.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로 이시즈의 몬스터를 전멸시킨 상황에서 소환되었다. 이시즈의 [[빛의 봉인검]]에 공격이 막혀있다가, 몬스터를 전혀 꺼내지 않은 채 3턴을 넘기자 바로 이시즈를 직접 공격했지만, 그 직후 [[현세와 명계의 역전]]으로 인해 이시즈의 덱이 부활하여 다음에 소환된 [[졸가(유희왕)|졸가]]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이후 시리즈에서부터는 OCG 사양으로 등장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빛의 피라미드]]에서는 카이바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소환한 직후, 효과는 사용하지 않고 바로 [[나이트 오브 화이트 드래곤]]의 의식 소재로 릴리스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도 [[타치바나 잇카쿠]]의 덱에 있었던 카드로 등장. 마찬가지로 OCG 사양으로 나왔다. [[일격필살! 슬래시 드로우]]를 회수하기 위해 투입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슬래시 드로우의 발동 코스트에 의해 덱에서 묘지로 보내져 사용되지는 않았다. [[유희왕 5D's(코믹스)|유희왕 5D's 코믹스]]에서는 [[잭 아틀라스]]의 과거 회상에서 등장. [[라이딩 듀얼]]을 통한 버추얼 솔리드 비전 실험에서 잭을 상대하던 몬스터로, 처음에는 한 마리만 출현했다가 다음 단계로 진행하면서 여러 마리가 나타나 잭을 공격했다. 여기서는 공격시 입에서 광탄을 내뿜는 것으로 나온다. [[무토우 유우기]]가 소유한 [[그렘린(유희왕)|그렘린]]의 진화체라는 설정을 갖고 있었지만 OCG화되면서 색상과 종족이 바뀌고 플레이버 텍스트마저 없어지면서 관련이 없다시피하게 되었다. === [[유희왕 듀얼몬스터즈(게임)|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파일:DesFeralImp-GB8-JP-VG.png]] ||<#F8F8A0> {{{#000 한글판 명칭}}} ||<-4>'''데스 그렘린''' (비공식 번역명)|| ||<#F8F8A0> {{{#000 일어판 명칭}}} ||<-4>'''デスグレムリン'''|| ||<#F8F8A0> {{{#000 영어판 명칭}}} ||<-4>'''Des Feral Imp'''|| ||<#F8F8A0><-5> {{{#000 일반 몬스터}}} || || 레벨 || 소환마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악마마족 || 파충류족 || 1600 || 1800 || ||<-5>흉폭화한 [[그렘린(유희왕)|그렘린]]. 날카롭게 뻗은 발톱으로 적을 베어가른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에서 등장.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 [[파일:デスグレムリン(KC01).jpg]]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DesFeralImp-JP-Manga-DM-NC.png]] [br] 이 카드의 구도는 원작인 26권의 63 페이지 쪽에 있는 구도]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리버스=, 한글판명칭=데스 그렘린, 일어판명칭=デスグレムリン, 영어판명칭=Des Feral Imp, 속성=어둠, 종족=파충류족, 레벨=4, 공격력=1600, 수비력=1800, 효과1=①: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경우\, 자신 묘지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한다. 그 카드를 덱으로 되돌린다.)] 리버스했을 경우 자신의 묘지의 카드 1장을 덱으로 되돌리는 강제 발동형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룰/효과#유발 효과|유발 효과]]를 가진 [[리버스(유희왕)|리버스]] 몬스터. 원작과는 달리 파충류족 효과 몬스터가 되었다. [[리버스(유희왕)|리버스]] 몬스터 중에서도 능력치가 높은 편인데다 전투도 겸할 수 있다. 특히 수비력이 1800이라 상대 하급 몬스터의 공격으로 리버스했을 경우에 살아남는 경우도 있다. 다만 대형 몬스터가 간단히 튀어나오는 현환경에서 벽으로서 기대하는 것은 당연히 무리. 하지만 레벨 4인 덕분에 여차하면 랭크 4짜리 엑시즈 소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은 이점이다. 몬스터 효과는 '덱에 특정 키 카드가 없으면 곤란해지는 콤보'의 덱 전용이라 할 수 있다. 묘지에서 덱으로 회수할 수 있는 카드는 [[탐욕의 항아리]], [[탐욕의 단지]]도 있지만, 묘지의 카드가 적어도 발동할 수 있는 점이나 파충류족 서포트 카드의 존재도 고려하여 써보는 것이 좋다. 일단 이 카드도 탐욕의 항아리, 탐욕의 단지로 회수할 수 있으며, 이 카드 자신도 해당 카드들을 덱으로 되돌릴 수 있다. [[베놈(유희왕)|베놈]] 덱에서는 [[독사신 베노미너거]]를 묘지에서 회수해오면서,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지는 것으로 공격력을 강화시킬 수 있으니 몇 장 정도 투입해도 굴러갈 수 있다. [[전생의 예언]]만으로 부족할 경우에 투입을 검토해볼 수 있겠다. 참고로 [[카오스(유희왕)|카오스]] 루프 덱에 이 몬스터를 엮으면 덱 내용이 계속 변화하는 루프 콤보가 발생한다. 이 루프 콤보에 관해서는 공식에서도 조정중인지 공식 DB에서 이 카드에 관련된 Q&A 코너에서도 나오지 않고 있다. 애초에 상대측이 어떤 메타 카드로 방해하지 않는 한, 단순히 시간을 지연시키는 행위밖에 되지 않으니 주의. 등장 초기에는 [[아머 리저드]]를 밀어내고 하급 파충류족 중에서 최고의 공격력을 보유하게 되었지만, 바로 다음 팩에 등장한 [[가가기고]]로 인해 빠른 속도로 밀려나게 되었다. 또한 등장 당시에는 리버스 효과 몬스터 중에서 공격력 / 수비력 합계 수치가 가장 높은 몬스터였지만, 첫 등장 후 약 6년이 걸려 이 카드를 넘어서는 [[웜(파충류족)#웜 노블|웜 노블]]이 등장했다. 같은 파충류족인 [[킹그렘린]]과 연관이 깊은데, 같은 파충류족으로써 데스 그렘린의 효과로 묘지에서 덱에 넣은 파충류족을 킹그렘린의 효과서치하는 콤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데스 그렘린의 레벨이 4이고, 방어력이 평균 이상은 되는 리버스 몬스터인지라 필드에서 살아남기도 용이해서 리버스 효과를 쓰고 엑시즈 소재로 삼는 일석이조의 상황도 노려봄직하다. ||수록 시리즈 || ||<(> 2002-11-2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304-014 | '''ガーディアンの力'''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include(틀:유희왕 레어도/P + UR)] || ||<(> 2003-12-11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K2-012 | [[스트럭처 덱(유희왕)|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編 - Volume 2]]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4-09-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EE1-JP176 | [[하이 그레이드 팩|EXPERT EDI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06-18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SDKS-JP014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海馬瀬人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22-04-23 |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KC01-JP026 | 25th ANNIVERSARY ULTIMATE KAIBA SE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UR)] || ||<(> 2003-12-0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CR-014 | '''[[암흑의 위협|DARK CRISIS]]'''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5-03-19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R1-EN176 | [[하이 그레이드 팩|DARK REVELATION Volume 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7-12-12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DCR-EN014 | [[암흑의 위협|DARK CRISIS (Reprint)]]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13-12-06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YSKR-EN015 | [[스타터 덱|STARTER DECK KAIBA RELOADED]]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21 |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SDKS-EN014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STRUCTURE DECK : SETO KAIBA]]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05-05-02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DCR-KR014 | '''[[암흑의 위협]]'''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R)] || ||<(> 2006-05-20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HGP1-KR176 | [[하이 그레이드 팩|하이 그레이드 팩 Vol.1]]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2016-10-07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SDKS-KR014 | [[스트럭처 덱 무토우 유우기 & 카이바 세토|스트럭처 덱 - 카이바 -]] [include(틀:유희왕 레어도/N)] || == 관련 카드 == === [[그렘린(유희왕)|그렘린]] === === [[킹그렘린]]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그렘린(유희왕), version=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