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2016-01-11-02-42-55__fdwb__ID227.jpg|width=100%]]|| || '''{{{#white 이름}}}''' ||'''데이비드 베네토[br](David Beneteau)''' || ||<|2> '''{{{#white 생년월일}}}''' ||'''[[1967년]] [[6월 22일]] ([age(1967-06-27)]세) ''' || ||'''[[온타리오주]] 윈저''' || || '''{{{#white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캐나다)]''' || || '''{{{#white [[종합격투기|'''{{{#white 종합격투기}}}''']] 전적}}}''' ||'''[[https://www.sherdog.com/fighter/Dave-Beneteau-56| 12전 6승 5패 1무]]''' || || '''{{{#white 승}}}''' ||'''2KO, 3SUB, 1판정''' || || '''{{{#white 패}}}''' ||'''1KO, 4SUB''' || || '''{{{#white 체격}}}''' ||'''188cm / 120kg''' || || '''{{{#white 링네임}}}''' ||'''Dangerous''' || ||<|1> '''{{{#white 기타}}}''' ||'''[[UFC 5]] 무제한급 토너먼트 준우승''' || [목차] == 개요 == 캐나다의 전 종합격투기선수. == 전적 == * 주요 승: 아스벨 칸시오, 토드 메디나, [[패트릭 스미스]], [[카를로스 바헤토]], 조 캄파넬라 * 주요 패: [[댄 세번]], [[올렉 탁타로프]](2), [[댄 보비쉬]], 팀 카탈포 * 무승부: [[엘비스 시노식]] == 커리어 == 1980년대 자유형 레슬링 캐나다 청소년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1984, 85, 86, 87년 선수권대회 우승, 1986년 US 주니어 선수권 동메달, 87년 금메달을 기록했다. 1995년 [[UFC 5]]에 종합격투기로 데뷔했다. 레슬링 대표로 참가했고 첫 상대인 중국권법대표인 아스벨 칸시오를 테이크다운시키고 파운딩으로 21초만에 KO승을 거뒀다. 준결승전에서 절권도대표인 토드 메디나를 비슷한 형식으로 KO시켜 결승전에 올랐다. 하지만 [[댄 세번]]을 상대로 클린치에서 테이크다운을 허용했고 키락으로 서브미션패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UFC 6]]에도 참가했으며 삼보 대표인 [[올렉 탁타로프]]를 상대로 펀치시도후 테이크다운을 시도했으나 길로틴 초크에 걸려 탭을 치며 탈락했다. 연말 이벤트인 [[Ultimate Ultimate 1995]]에 출전해 다시 탁타로프를 만났지만 앵클락으로 서브미션패했다. 그 후 브라질, 일본에서 2승 1패를 거두고 [[UFC 15]]에 참전했고 [[카를로스 바헤토]]를 상대로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뒀다. 하지만 부상으로 인해 토너먼트를 포기했다. 2000년 복귀해 3경기를 뛴후 2001년 은퇴했다. == 파이팅 스타일 == == 여담 == 프로레슬링 선수로 활동했으며 1997~2000년까지 신일본레슬링에서 활동했다. [[분류:캐나다의 종합격투기 선수]][[분류:캐나다의 레슬링 선수]][[분류:1967년 출생]][[분류:1995년 데뷔]][[분류:2001년 은퇴]][[분류:윈저(온타리오주) 출신 인물]][[분류:프랑스계 캐나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