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영국 총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28 0%, #01013A 20%, #01013A 80%, #000028);" '''{{{#ffc224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영국 재무장관)] ---- [include(틀:역대 에든버러 대학교의 부총장)] ---- [include(틀:BBC 선정 위대한 영국인)] ---- [include(틀:위대한 웨일스인)]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28 0%, #01013A 20%, #01013A 80%, #000028);" '''[[영국 총리|{{{#ffc224 영국 제53대 총리}}}]][br]{{{#ffc224 {{{+1 드와이퍼의 로이드조지 백작}}}[br][[The Right Honourable|{{{#ffc224 Rt Hon. The Earl Lloyd-George of Dwyfo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28 0%, #01013A 20%, #01013A 80%, #000028);" '''[[훈장(상훈)/영국#s-2.4|{{{#ffc224 OM}}}]] [[영국 추밀원|{{{#ffc224 PC}}}]]'''}}}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avid_Lloyd_George.jpg|width=100%]]}}}|| ||<:>'''본명'''||데이비드 로이드 조지[br]David Lloyd George|| ||<|2> '''출생''' ||[[1863년]] [[1월 17일]] ||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잉글랜드]] [[랭커셔]]주 코를던온메드록[* 현재는 랭커셔주가 아닌 [[맨체스터]] 소속이다.] || ||<|2> '''사망''' ||[[1945년]] [[3월 26일]] (향년 82세) || ||[[영국]] [[웨일스]] 캐나르폰셔주 트네위드 || ||<|2> '''재임기간''' ||제53대 [[영국 총리|총리]] || ||[[1916년]] [[12월 6일]] ~ [[1922년]] [[10월 19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작위''' ||'''1대 로이드조지오브드와이퍼 백작'''[* 1st Earl Lloyd-George of Dwyfor] || || '''배우자''' ||마가렛 오웻^^(1888년 결혼~1941년 사별)^^[br]프랜시스 스티븐슨^^(1943년 결혼)^^ || || '''자녀''' ||5명 || || '''정당''' ||[include(틀:자유당(영국 1859))] ||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yXmlcGWdNs8)] [[1차대전]] 시기 [[영국 총리|영국의 총리]]를 지낸 인물. [[클레멘트 애틀리]]보다 30여년 앞서서 현대 [[복지국가]]의 청사진을 제시한 인물로 평가받으며, 국제적으로도 [[파리 강화 회의]], 아일랜드 독립 승인과 같은 굵직한 사안들에 자취를 남겼다. 덧붙여서 현재 기준으로 [[자유당(영국)|자유당]]에서 배출한 마지막 총리이기도 하다. '데이비드'가 이름(first name), '로이드'가 가운데 이름(middle name), '조지'가 성(last name)이라고 오해하여 '데이비드 조지' 혹은 '데이비드 L. 조지'라고 부르기 쉬운데, '''가운데 이름 없이 '로이드 조지(Lloyd George)'가 통째로 성(last name)이기 때문에 그냥 '조지'가 아니라 '로이드 조지'라고 불러야 맞다.''' 하이픈(-)으로 연결된 Lloyd-George도 아니고 그냥 Lloyd George로 표기하는데도 그 자체로 하나의 성인 흔치 않은 케이스. == 생애 == === 초기 === 1863년 [[맨체스터]]에서 출생했다. 맨체스터에서 출생하였지만 부모는 [[웨일스인]]이었고, 그의 모어도 [[웨일스어]]였다. 지금까지도 모어가 영어가 아닌 영국 총리는 그를 제외하면 전무하다. 그 때문인지 그의 별명도 '웨일스의 마법사(Welsh Wizard)'였다. 원래는 엘리자베스 1세 시대의 신하인 [[존 디]]의 별명이었다. [[옥스퍼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변호사]]로 활동하다가 [[자유당(영국)|자유당]]에 입당하였고 1890년 실시된 [[영국 서민원|영국 하원]] 보궐 선거에서 당선되면서[* 박빙의 차로 당선되었다. '''딱 19표 차이'''.] 정치인으로의 생활을 시작한다. 다만 이 시기에 영국 국회의원은 무보수직이어서 먹고 살려고 변호사 활동도 꾸준히 했다고 한다.[* 지금 한국에서야 국회의원의 세비 문제가 꾸준히 논란이 되지만, 사실 국회의원의 보수는 재산이 없는 노동자 출신 의원들이 의정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생활을 보장하라는 요구에서 나온 것이다.] === 소장파 의원 시절 === 그가 막 초선의원에 당선됐을 시절, 자유당의 지도자이자 영국의 수상이었던 [[글래드스턴]]은 아일랜드에게 자치권을 부여하고자 백방 노력하고 있던 상황이었고, 이런 분위기에 편승하여 로이드 조지 역시 부모의 모국인 웨일스의 자치 운동을 전개한다. 하지만 아일랜드 자치권 법안이 영국 하원에서 압도적인 차이로 부결되면서 글래드스턴 내각이 붕괴됨에 따라 웨일스 자치 운동 역시 시들해졌고, 결정적으로 1895년 영국 총선에서 자유당의 참패 원인으로 지방 자치 운동이 거론되면서 로이드 조지는 웨일스 자치 운동을 결국 포기해야만 했다.[* 참고로 그가 꿈꿨던 웨일스 자치는 [[토니 블레어]] 집권 초기인 1997년에 주민 투표로 가결되면서 1998년에야 자치의회가 설치되면서 시작된다. 같은 시기에 [[스코틀랜드]] 자치도 시작되고 1970년대에 정지됐던 [[북아일랜드]] 자치가 부활했다.] 하지만 이 시련은 그에게 [[추진력을 얻기 위함|추진력을 주기 위함]]이었고 1902년 [[보어 전쟁]]과 [[제국주의]]의 비도덕성을 비판[* 다만 추후 총리 시절 1차대전 와중에는 인도의 독립을 약속했다가 종전 이후 입을 싹 씻는 모습에서 보이듯이 그 역시 엄연한 제국주의자였다. 뭐 그나마 온건한 성향의 제국주의자이기는 했지만...]하는 연설을 행하면서 전국적인 주목을 받는 정치인이 된다. 이 연설에 분노한 전쟁 지지자들에게 살해 협박을 받기도 하고, 전쟁 수행 지지 여부를 놓고 자유당이 분열되는 등 시련도 없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용감한 연설 덕분에 로이드 조지는 자유당 내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부상하였다. 그리고 연이어서 교회학교에 국가가 보조금을 제공하는 정부 정책에 반대하는 운동을 주도[* 글래드스턴 항목에도 나와있지만 영국 자유당의 핵심 정체성 중 하나는 바로 [[정교분리]]였다.]하면서 자타공인 자유당 내 거물이 된 로이드 조지는 1905년 [[헨리 캠벨배너먼]]을 수상으로 하는 자유당 정권이 수립되면서 상무원(商務院) 장관으로 등용된다. === 내각 활동 === 상무원 장관으로 활동하면서 로이드 조지는 기업인들을 설득하여 노조의 대표권을 인정하는 한편 노사분규를 제어할 목적으로 [[노사정위원회]][* 오늘날 한국처럼 노-사-정이 처음부터 한자리에 모이지는 않았다. ~~역시 자유주의 신봉자~~ 일단 노동자와 사용자간의 협상을 거쳐 타협에 실패할 경우에만 정부가 개입하는 시스템이었다.]를 설치한다.[* 여담이지만 당시 독일 제국의 황제였던 [[빌헬름 2세]] 역시 로이드 조지의 이런 조치를 격찬했다고 카더라(...)] 이어서 새로 수립된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내각에서는 1908년 재무부 장관으로 위치를 옮긴다. 당시 영국은 [[독일 제국]]과 [[건함 경쟁]]이 한창이던 와중이었는데 로이드 조지는 파격적이게도 '''[[드레드노트]] 전함의 군축과 이를 통한 복지 증대'''를 주장한다. 심지어 다음해인 1909년에는 당시로서는 생각도 못한 개념이었던 '''[[불로소득]]에 대한 징세'''를 주장하여서 영국의 상류층을 [[충격과 공포]]로 몰아넣는다. 다만 로이드 조지의 이런 제안들은 당시 영국 정계에서는 지나치게 파격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졌고, 특히나 [[영국 귀족원|상원]]을 차지하고 있던 야당 [[보수당(영국)|보수당]]의 격렬한 반발을 샀던 탓에 모두 무산되고 만다. 특히나 전함 군축 문제와 관련되어서는 야당 보수당이 '''"We want eight[* 당시 영국 해군법(영국 해군의 전력은 세계 2위 3위 국가의 전력을 합친 것보다 많아야 한다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법.)에 의거하여 영국 해군은 8척의 드레드노트를 보유해야만 했다. 로이드 조지는 이 8척을 4~6척으로 줄이자고 주장.] and we won't wait."'''~~라임 오지고요~~이라는 슬로건까지 들고 격렬하게 반대했고 제국주의와 [[민족주의]]에 불타오르던 일반 대중들 역시 보수당의 슬로건에 크게 호응하면서 신나게 욕만 먹고 끝난다. 그래도 의의는 있었던게, 이를 계기로 자유당 정부에서 1911년에 예산안에 대해 상원의 거부권을 무력화하는 법안을 통과시켜[* 물론 상원에서 이 법안도 거부할 수 있었는데 당시 영국 보수당이 분열을 겪었고, 국왕인 조지 5세도 이 법을 지지해 상원에서도 통과될 수 있었다.] 영국 정치에서 하원의 우위가 확고해지고 민주주의의 진전을 이룩했다. 1914년 [[1차 대전]] 발발 이후에도 로이드 조지는 재무부 장관으로 재직하면서 전비를 조달하고자 고군분투한다. 그러던 중 전쟁 2년차인 1915년에 포탄 위기(Shell Crisis)가 영국 정계를 뒤흔든다. 이 시기 영국군은 포병 전력에 크게 의존하고 있었는데, 포탄의 공급량과 질이 크게 떨어졌던 것. 애스퀴스 수상은 부랴부랴 탄약부(Minister of Munitions)이라는 새로운 정부 조직을 만들고 로이드 조지를 이 탄약부의 장관으로 임명한다. 탄약부 장관으로 임명된 로이드 조지는 군수물자의 생산 및 보급 과정에 있어 일대 개혁[* 전쟁 초반부에는 군 측에서 물자 생산을 담당하였는데 이것이 비효율의 극치였다. 그리고 로이드 조지가 군 인사들과 대판 싸운끝에 물자 생산을 철저히 탄약부 및 산업부의 통제 밑으로 두는데 성공한다.]을 단행하였고 이것이 효과를 거두면서[* 다만 몇몇 군사학자들의 경우에는 로이드 조지가 탄약성 장관으로 임명되기 전부터 이미 생산 과정에 대한 개혁이 진행되고 있었고, 로이드 조지는 [[알베르트 슈페어|그냥 잘 차려진 밥상에 숟가락만 얹었다]]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로이드 조지는 이 시기 영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정치인이 된다. 1916년에는 전쟁부 장관(Secretary of State for War)이었던 키치너 경이 독일 [[유보트]]의 어뢰 공격에 사망하면서 로이드 조지가 이 자리까지 겸하게 된다. 1916년 7월 그가 전쟁성 장관을 맡기 시작했을 당시 전황은 암울했다. 막 시작된 [[솜 전투]]에서 영국군은 어마어마한 피해량[* 개전 첫날에만 5만 8천명의 영국군이 독일군 기관총 앞에 녹아내렸다.]을 기록하고 있었지만, 진격속도는 더디기 짝이 없었다. 이런 막장 상황에 빡친 로이드 조지는 [[더글러스 헤이그]]를 비롯한 영국군 수뇌부들에게 [[극딜]]을 퍼부었다. 그러나 이런 극딜과 간섭은 국민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해군 장관 [[윈스턴 처칠]]이 주도한 [[갈리폴리 전투]]를 비롯하여 정치인들이 주도한 군사작전이 다 실패로 끝나자 영국 국민들 사이에서는 '제발 전쟁은 전문가에게 맡기고 니들 정치인들은 뒷바라지나 잘해라!'라는 분위기가 커져갔다.] 한편 영국 정계에서는 지지부진한 전황으로 인하여 총리 애스퀴스의 전시 수행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커져만 갔고, '''마침내 1916년 12월 로이드 조지가 파워 게임 끝에 애스퀴스를 사임시키고 영국의 수상이 된다.''' === 전시 수상으로서 === 로이드 조지의 취임과 동시에 독일은 강화 협상을 제의하지만 단칼에 이를 물리친다. 로이드 조지의 주도 하에 영국군은 프랑스군과 함께 1917년 4월 아라스 전투를 개시하고 부분적인 성과를 거둔다. 이 시기 독일은 [[무제한 잠수함 작전]]을 통해 영국을 봉쇄하는데 총력을 기울였기 때문에 그 역시 이에 대항하여 유보트 격파와 상선 생산량 증진에 총력을 기울인다. 그의 이런 전시 정책은 영국에게 소중한 노하우로 자리잡았고 20년뒤인 [[2차대전]] 당시에도 [[윈스턴 처칠]]이 이끄는 전시 연합내각이 그대로 벤치마킹하면서 영국이 암울한 시기를 버틸 수 있게 한 원동력이 되어준다. 전쟁 마지막 해였던 1918년에는 영국 내부의 만연한 [[반전주의]], [[스페인 독감]]으로 인한 인력 부족[* 로이드 조지 본인도 스페인 독감에 감염됐었다.], [[러시아 혁명]]으로 인한 [[러시아 제국|동맹국]]의 전선 이탈(+ 서부 전선으로의 독일군 역량 집중)와 같은 고난이 연이어 벌어졌지만 로이드 조지는 굴하지 않고 전쟁을 지속했다. '''그리고 마침내 1918년 11월 11일 영국은 승리를 거둔다.''' === 전후 처리 === 종전 직후였던 [[1918년]] 12월에 진행된 선거에서 로이드 조지가 이끄는 자유당 + 보수당 연립 내각은 압승을 거두면서 국민의 재신임을 받는다. 전쟁은 끝났지만 그 뒷처리는 남아있었고, 1919년 [[파리 강화 회의]]에 [[빅4#s-3|빅4]]의 일원[* 파리 강화 회의 조약들의 체결에 주도적인 역할을 맡은 4개국과 그 지도자들을 일컫는 표현으로 로이드 조지 외에는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 [[조르주 클레망소]] 프랑스 총리, 비토리오 오를란도 이탈리아 총리가 포함된다. 아래는 파리 강화 회의 당시 4개국 정상의 사진. [br] [[파일:external/media1.britannica.com/71448-004-9BCD8C64.jpg]]]으로 참가한 로이드 조지는 전반적으로는 독일에 비교적 온건한 태도를 보여줬다.[* 클레망소와 달리 독일을 군사적으로 완전히 재기 불능으로 만드는데 강경히 반대했다.하지만 베르사유 조약을 체결하기 전 독일인들을 레몬짜듯 쥐어짜야 한다고 발언했고, 군사보다는 경제적으로 옭아매려 했다. 또한 군사적으로도 적당히 약화시킬 필요는 그도 느꼈기 때문에 [[빌헬름 2세|카이저]]의 재판과 [[폴란드 회랑|신생 폴란드의 바다로 나가는 통로 확보]] 등의 안건에는 동의를 표했다.] 베르사유 조약 체결 이후에는 오랜 세월 영국의 골치를 썩힌 아일랜드의 독립을 '''사실상'''[* 사실상이라는 표현에서 보이듯이 형식상으로 아일랜드는 [[아일랜드 자유국]]이라는 이름으로 영국의 일부로 남아있었으며, 영국의 국왕에게 충성을 맹세해야만 했다. 게다가 [[북아일랜드|북동부 일부가 영국의 영토로 남아있던 건]] 덤. 아일랜드가 완벽히 영국에게서 독립을 선언한 것은 1937년의 일이다.] 승인한다. 이런 국제 문제 이외에도 로이드 조지는 내정 개혁도 실시한다. 전쟁 와중에 남성을 대신하여 생산 현장에 투입됐던 여성들에게 투표권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져갔고 이러한 요구에 응하여 30살 이상의 [[여성 참정권|여성들에게 투표권을 부여한다.]][* 영국에서 남성과 여성이 동등한 연령대에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 것은 1928년이다.] 그 외에도 최저임금 관련 법안, 건강 보험 등의 제도를 개정하면서 로이드 조지는 전쟁으로 황폐해진 영국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노력한다. === 실각과 말년 === 1922년 로이드 조지가 아일랜드의 실질적인 독립 승인과 더불어 [[소련]]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자 연립 내각의 일원이었던 보수당 안에서는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온다. 그럼에도, [[터키 독립전쟁]]에 더 무리한 파병을 부르짖으며 1차대전으로 엄청난 피해를 봤는데 또 전쟁이냐는 비난을 받았고 여기에 로이드 조지 개인의 비리 스캔들까지 터지면서 연립 정권은 빠른 속도로 붕괴됐고 결국 로이드 조지는 같은해 10월 19일에 총리직에서 사임한다. 총리직 사임 후에도 정계에서 계속 활동하면서 총리직 재도전에 대한 야망을 공공연히 표출했지만, 그에게 다시 기회는 주어지지 않았다. 게다가 1920년대 중반부터는 [[노동당(영국)|노동당]]이 급부상하면서 자유당이 설 입지가 더더욱 좁아지는 결과를 빚어낸다. 그렇지만 로이드 조지 본인이 지니고 있던 정치적 위상은 대단했기 때문에 [[제2차 세계 대전]] 시기까지도 꾸준히 활동하면서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가장 대표적으로 나치 독일의 [[노르웨이 침공]] 이후 [[네빌 체임벌린]]을 실각시키고 [[윈스턴 처칠]]을 수상으로 등극시킨 이면에 그의 정치공작이 있었다.] 1945년 1월에는 귀족 [[작위]]를 받았으나 같은 해 3월 암으로 세상을 떠난다. == 선거 이력 == || {{{#ffc224 '''연도'''}}} || {{{#ffc224 '''선거 종류'''}}} || {{{#ffc224 '''선거구'''}}} || {{{#ffc224 '''소속 정당'''}}} || {{{#ffc224 '''득표수 (득표율)'''}}} || {{{#ffc224 '''당선 여부'''}}} || {{{#ffc224 '''비고'''}}} || || 1890 || 영국 하원의원 보궐선거 ||<|14> 카나번 ||<|8> [include(틀:자유당(영국 1859))] || '''1,963 (50.2%)''' ||<|8> '''당선(1위)''' || '''초선''' || || 1892 ||<|13> 영국 하원의원 선거 || '''2,154 (52.4%)''' || '''재선''' || || 1895 || '''2,265 (52.2%)''' || '''3선''' || || 1900 || '''2,412 (53.3%)''' || '''4선''' || || 1906 || '''3,221 (61.7%)''' || '''5선''' || || 1910.1 || '''3,183 (60.2%)''' || '''6선''' || || 1910.12 || '''3,112 (62.0%)''' || '''7선''' || || 1918 || '''13,993 (92.7%)''' || '''8선''' || || 1922 || [[국민자유당(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5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df38e; font-size: .9em" {{{#000 '''국민자유당'''}}}}}}]] ||<-2> '''[[무투표 당선]]''' || '''9선''' || || 1923 ||<|5> [include(틀:자유당(영국 1859))] || '''12,499 (63.1%)''' ||<|5> '''당선(1위)''' || '''10선''' || || 1924 || '''16,028 (82.5%)''' || '''11선''' || || 1929 || '''16,647 (58.0%)''' || '''12선''' || || 1931 || '''17,101 (59.3%)''' || '''13선''' || || 1935 || '''19,242 (66.6%)''' || '''14선''' || == 여담 == * [[니벨 공세]] 당시 작전계획에 국왕이 간섭할까봐 작전 내용을 철저히 국왕 앞에서 함구할 것을 내각 구성원들에게 요구했었다. 뒤늦게 이 사실을 안 [[조지 5세]]는 꽤나 삐졌었다고(...) * [[로마노프 왕조]]의 무능력에 질렸던 탓에 [[러시아 혁명]]이 발발했을 당시 은근히 [[니콜라이 2세]]의 폐위를 반겼다고 한다. 게다가 로마노프 왕조가 영국으로 망명하려는 것을 은연 중에 반대했던 탓에, 니콜라이 2세 일가는 결국 공산정권에 의해 집단 처형됐고 이로 인해서 비판받기도 했다.[* 사실 로이드 조지 뿐만 아니라 다른 각료들도 니콜라이 2세의 망명을 반대했다. 그 이유는 니콜라이 2세의 아내인 [[헤센의 알릭스|알렉산드라 황후]]가 독일의 헤센 대공국 출신인데, 당시 영국은 [[제1차 세계 대전|독일과 전쟁 중이여서]] 자칫하면 왕실폐지론이 일어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알렉산드라는 빅토리아 여왕의 손녀로 애초에 공주를 독일에 시집보낸 것은 영국이고, 로마노프 왕조가 막장이 된 것에는 바로 빅토리아 여왕의 혈우병 유전자가 큰 몫을 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 아랍 쪽에서는 상당히 취급이 나쁘다. 바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내 유대인들의 국가]] 건설을 약조한 밸푸어 선언이 그가 총리일 때 진행됐기 때문. 반대로 [[폴란드]]를 비롯한 동유럽 쪽에서는 그가 윌슨이 제창한 [[민족자결주의]]를 적극 지지하면서 독립할 수 있었기 때문에 꽤나 좋은 평가를 받는 모양. 그러나 정작 로이드 조지는 [[폴란드 제2공화국|신생 폴란드]]가 서쪽으로 팽창하던 [[볼셰비키]]와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전쟁]]을 벌이게 되자 '성가신 얼라들(children who gave trouble)'이라고 씹기도 했었다. * [[나치당]]에 대단히 우호적이었다. 1936년에는 직접 히틀러의 별장이 있는 베르히스가르텐을 방문해 [[히틀러]]를 만나보기도 했다. 그가 히틀러에 대하여 내린 평가는 '''대단히 신뢰가 가며 통찰력이 있는 지도자.'''[*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이외에도 많은 당시 정치인들이 히틀러에 호의적인 평가를 내렸다. 물론 [[제2차 세계대전|전쟁을 일으키기 전까지만]]...] [[프랑스 침공]] 직후 영국이 고립무원의 상황이 됐을 때는 독일과의 강화를 주장했다가 총리 [[윈스턴 처칠]]에게 '[[필리프 페탱|페탱]]같은 노친네'라고 까인 바 있다. 사실 이때까지만 해도 히틀러는 본심을 숨기고 평화주의를 지향하는 합리적인 정치인으로 자신을 포장하는데 능했기 때문에, 히틀러를 만나고 속아넘어간 외국 정치인들이 한둘이 아니었다. * 위에서 설명했듯이 '데이비드'가 이름이고 '로이드 조지'가 성씨이다. 그런데 2019년 7월 10일자 [[모의고사]]의 세계사 영역에서는 '로이드 조지'라고 나와서 모르는 학생들의 오해를 사게 되었다. [[윈스턴 처칠]]처럼 유명한 사람도 아닌데... 사실 세계사 교과서에는 사건 당시의 모든 지도자를 밝히지 않고 '어느나라 정부가 이러이러했다'식으로 넘어가는 경우가 많아 외국인들이 보기에 살짝 아쉬울 수도 있다.[* 해당 문제는 [[파리 강화 회의]]에 관련된 문제인데, 미국의 [[우드로 윌슨]] 대통령과 프랑스의 [[조르주 클레망소]] 총리는 이름이 다 나오는데,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총리만 이름이 안 나오고 성의 일부인 '로이드'가 이름처럼 나왔다. 여담으로 해당 문제에서 윌슨 대통령은 [[국제연맹]]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클레망소 총리는 (가)은/는 알자스 로렌 지방에 대한 모든 이익과 권리를 지체없이 프랑스에 반환해야 한다고 했고, 로이드 조지 총리는 (가)은/는 해외 식민지를 포기하고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여기서 말하는 (가)의 정체는 다름아닌 [[독일 제국]].] * 로이드 총리가 사임하고 나서 앤드루 총리로 넘어 갈때 4일정도 영국은 총리없이 있어야 했다. * [[파리 강화 회의]] 당시 혼잣말을 한 것을 당시 회의에 참석한 '[[아놀드 토인비]]'[* 영국의 역사학자이자 파리 강화 회의 당시 영국 외무부 대표단으로 참석]가 듣게 되었다는데, 그 내용이 가관이다... >"[[메소포타미아]]... 음... 그래... [[석유]]... [[관개]]...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메소포타미아는 우리가 차지해야해]]; [[팔레스타인]]... 그래... 거룩한 땅... [[시오니즘]]...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팔레스타인도 우리가 차지해야해]]; [[시리아]]... 흠... 거기엔 뭐가 있지? [[시리아-레바논|프랑스 놈들이나 가지라고 하지]]..." >"Mesopotamia...yes...oil...irrigation...we must have Mesopotamia; Palestine...yes...the Holy Land...Zionism...we must have Palestine; Syria...h'm...what's there in Syria? Let the French have that." [[파일:AKR20190824055800371_11_i_P2.jpg]] '[[아일랜드|애란(愛蘭)]]과 [[영국 총리|영(英) 수상(首相)]]' '''1920년 5월 31일자''' 동아일보 만평 한국 언론에 캐리커처가 실린적이 있다. [[아일랜드 자유국]] 수립 직전 벌어진 독립전쟁을 무자비하게 진압하는 모습을 풍자하는 내용이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분류:데이비드 로이드 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