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정치학]] == 개요 == David Easton 캐나다 출신의 미국 정치학자. [[시카고 대학교]]에서 교수로 부임했다. 미국 정치학회 회장을 지냈으며, 행태주의의 8가지 의미(The Current Meaning of Behaviorism)와 행태주의를 비판하면서 제기한 후기행태주의의 7가지 적실성 신조(Credo of Relevance)가 잘 알려져 있다 == 행태주의의 8가지 의미 == |||| 행태주의의 8가지 의미 || || 1 || 규칙성 추구 || 인간 행태 속에 존재하는 통일성 발견 노력 || || 2 || 입증이 필요조건 || 지식은 경험에 의한 입증이 필요 || || 3 || 기법의 필요 || 자료의 신뢰성, 타당성, 비교가능성 보장하는 기법이 필요하다 || || 4 || 계량화의 속성 || 정확한 지식 얻기 위해 애매모호한 질적 자료를 양적 자료로 전환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 || 5 || 가치중립성 ||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연구자의 가치개입은 배제되어야 한다 || || 6 || 체계화된 이론에 관심 || 지식은 체계적 방법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이며, 검증가능한 가설이 이론적 개념과 구조 속에서 연역적으로 도출되어 경험적 사실에 의해 검증될 필요성이 있다 || || 7 || 순수과학 || 연구결과가 실천적 수준에서 정책에 즉각 응용될 필요는 없다 || || 8 || 분과학문간 연관성 || 다른 분과학문의 방법, 이론 그리고 연구에서 얻은 발견을 통합하여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 후기행태주의의 7가지 적실성 신조 == |||| 후기행태주의의 7가지 적실성 신조 || || 1 || 내용이 기법에 우선 || 행태주의가 연구 내용보다 기법을 더 우선한 점을 비판 || || 2 || 사회유지보다 사회변화를 강조 || 행태주의 정치학의 사회유지적 성향을 지적 || || 3 || 정치의 생생한 현실과 접촉 유지 || 행태주의가 추상적, 분석적 노력에 치우침을 비판 || || 4 || 정치학은 가치중립적일 수 없음 || 행태주의의 과학주의, 가치중립적 성향을 비판 || || 5 || 정치학자는 문명의 인류가치 보호 및 증진 필요 || 행태주의가 단순한 기법에 치중할 경우 사회의 문제를 다루지 못함을 비판 || || 6 || 과학보다는 행동을 강조 || 행태주의가 사회의 정치사회적 문제들을 연구하고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소홀함에 대해 비판 || || 7 || 학회, 대학도 소명의 정치화 필요 || 행태주의가 사회를 위한 지식인의 적극적 역할을 소홀히 함을 비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