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DCDCD 데이비드 허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클리블랜드 가디언스 1라운드 지명선수)] ---- [include(틀:LG 트윈스 외국인 선수)] ---- ||<-5> '''{{{#fff [[LG 트윈스|{{{#ffffff LG 트윈스}}}]] 등번호 38번}}}''' || || [[한희]][br](2015) || {{{+1 →}}} || '''{{{#fff 허프[br](2016~2017)}}}''' || {{{+1 →}}} || [[배재준]][br](2018~2020)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f_11067762.jpg|width=100%]]}}} || ||<-2> '''{{{#CDCDCD 사라페로스 데 살티요 No.45}}}''' || ||<-2> '''{{{+2 {{{#006163 데이비드 허프}}}}}}[br] {{{#006163 David Huff[* 인스타에는 David 부분이 Dave라고 되어 있다.]}}}''' || || '''본명''' ||데이비드 그레고리 허프[br]David Gregory Huff|| ||<|2> '''출생''' ||[[1984년]] [[8월 22일]] ([age(1984-08-22)]세) || ||[[캘리포니아]] 주 [[샌디에이고]]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학력''' ||[[UCLA]]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양타]][* 2018시즌엔 타격 시 좌투수임에도 우타로 나온 적은 현재까지는 없다.] || || '''프로입단'''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드래프트|2006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39순위]][* [[시카고 컵스]]로 FA이적한 바비 하우리 보상픽.] [br]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 '''소속팀'''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09~2013) [br] [[뉴욕 양키스]] (2013) [br]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14) [br] [[뉴욕 양키스]] (2014) [br]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15) [br]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16) [br] '''[[LG 트윈스]] (2016~2017)''' [br]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18~2019) [br] [[디아블로스 로호스 델 멕시코]] (2022) [br] [[사라페로스 데 살티요]] (2023~) || || '''등장음악''' ||[[DVBBS]] & Borgeous - TSUNAMI || || '''SNS''' ||[[https://www.instagram.com/dave.huff45/|[[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LG 트윈스]] 소속의 [[미국]] [[야구선수]]. 2016년 7월 8일, [[스캇 코프랜드]]의 대체선수로 [[LG 트윈스]]에 영입돼 2017년까지 LG에서 활약했다. == [[데이비드 허프/선수 경력|선수 경력]] == ||
'''{{{#CDCDCD 데이비드 허프의 선수 경력}}}''' || ||<^|1>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4> '''통합 선수 경력: [[데이비드 허프/선수 경력]]''' || ||<-4> [[MLB|[[파일:MLB 로고.svg|width=45]]]] || ||<-4> [[데이비드 허프/선수 경력#s-1|{{{#white '''MLB 시절'''}}}]] || ||<-4> [[KBO 리그|[[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10]]]] || ||<-2> [[데이비드 허프/선수 경력#s-2.1|{{{#FFFFFF '''2016년'''}}}]] ||<-2> [[데이비드 허프/선수 경력#s-2.2|{{{#FFFFFF '''2017년'''}}}]] || ||<-4> [[NPB|[[파일:NPB 로고.svg|width=60]]]] || ||<-2> [[데이비드 허프/선수 경력#s-3.1|'''{{{#ffffff 2018년}}}''']] ||<-2> [[데이비드 허프/선수 경력#s-3.2|'''{{{#ffffff 2019년}}}''']] || ||<-4> [[멕시코 프로야구 리그|[[파일:LMB 로고.svg|width=45]]]] || ||<-4> [[데이비드 허프/선수 경력#s-4|'''{{{#ffffff 2022년}}}''']] || ||<-4> [[데이비드 허프/선수 경력#s-5|'''{{{#ffffff 2023년}}}''']] || }}}}}}}}} || == 피칭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허프 투구.gif|width=100%]]}}}|| [[루카스 하렐]]이나 [[스캇 코프랜드]]와는 달리 볼넷이 거의 없고, 맞더라도 승부를 거는 [[스캇 맥그레거]]와 비슷한 유형의 투수. 그래서 구위에 비해 삼진은 다소 적은 편이다. 하지만 9이닝 당 볼넷이 하나를 간신히 넘을 정도로 볼넷이 워낙 적다보니 K/BB의 비율도 덩달아 최상위권이다. 대충 헨리 소사와 비슷한 유형이지만 이쪽은 좌완+파이어볼러라는 점이 합쳐 아주 평가가 좋다. 평균 147~150, 최대 153km/h까지 나오는 빠른 포심 패스트볼 구속과 우타자 몸쪽 핀포인트 제구를 바탕으로 상대 타자, 특히 우타자를 찍어누르는 타입. 패스트볼은 구속과 함께 구위도 매우 뛰어난데 같은 포심을 던져도 회전에 변화를 줘 거의 작대기 수준의 핀포인트 포심과 함께 라이징 패스트볼에 가까울 정도의 패스트볼 구사도 가능하다. 변화구로는 130km/h대 초반의 체인지업[* 상술한 포심 패스트볼의 구위와 제구 덕분에 체인지업이 더욱 강하다.], 커브, 140km/h대 초반의 슬라이더(커터)[* 패스트볼 구속이 비슷한 다른 투수들에 비해 2~3km정도 느리지만 변화는 더 심한 편이다.], 투심을 구사하며 제구력 역시 최고급이다. 2016년 9월 기준으로는 유리한 카운트에 체인지업을 구사했고 17년부터는 [[마리아노 리베라]]에게 배운 커터의 제구를 잡으면서 포심, 커터, 체인지업의 3가지 구종을 주로 구사하고 있다. 다만 결정구 중 하나가 커터이다보니 우타자보다는 좌타자가 그나마 허프의 공을 잘 공략한다.[* 오른손 투수 리베라를 상대할 때 [[스위치 타자]]가 우타석에 들어서는 일화가 있는 것처럼 커터 공략에는 그나마 같은 손의 타자들이 조금 더 유리하다.] 또한 17시즌엔 게임 당 6.6이닝[* 선발 출전 경기만 따지면 게임당 6.9이닝으로 1위 [[헥터 노에시|헥터]]를 뛰어 넘는다.]을 책임질 정도로 이닝 소화 능력도 훌륭한 편이다. 투구와 투구 사이에 인터벌이 굉장히 빠르다. 허프 경기 때 상대 투수까지 잘 던져서 투수전이 벌어지면 경기 시작 1시간만에 5회에 접어들고 완투 경기면 2시간 3, 40분 정도면 경기가 종료된다. 이는 타자들이 타임을 걸기 애매할 정도로만 이루어지는데 이런 빠른 인터벌은 타석에서 타자들이 생각할 시간을 줄여 타자들의 전략을 애초에 봉쇄하는 효과도 있다. 경기 중 안타를 맞거나 하면 리액션이 상당히 크다. 평소에 [[이대형]] 등에게 장난을 치는 영상을 보거나 끝내기 상황 때 가장 먼저 나와서 물을 뿌리고 격하게 축하해주는 모습, 타자들과의 승부 때 적극적인 투구 패턴을 보면 원래 성격이 굉장히 외향적이고 적극적인듯 하다. 다만 [[루카스 하렐]]처럼 극단적인 수준은 아니고 감정 조절은 가능하다. 자신의 투구가 삼진이 아니라 파울로 정정되었음에도 아무렇지도 않은 표정으로 마운드에 다시 오르고 야수들이 되도 않는 실책을 해서 득점권에 주자가 생겨도 너는 실책해라 나는 내 공 던져 다음 타자 잡으면 된다는 식의 마인드로 위기를 빠져나간다. 단점은 꼽자면 한번 다치면 [[김태완(1981)|김태완]]처럼 3개월 드르렁할 수준은 아니지만 은근히 잔부상이 많고 [[유리몸]]끼가 좀 있다는 점이다. 미국 시절에도 잔부상으로 좀 고생을 했고 2017시즌 시범경기 때 몸을 풀다가 무릎을 삐끗한 사실을 보면 은근히 잘 다치는편. 굳이 말하자면 같은 팀의 [[신정락]]과 비슷한 과라고 보면 된다. 2017년에는 무릎 부상으로 4월 후반 복귀라고 했다가 5월 중반으로 미뤄진 데다 다른 부위에도 여러 군데 부상이 있다는 소문까지 돌았다. 그리고 7월에 햄스트링 부상까지 당하면서 유리몸 클래스를 제대로 보여주었다. 30~31경기에 등판하는 1선발급 용병 투수이면서 19게임 밖에 나오지 못했다는 건 그만큼 공백이 길었다는 말이다. 아무리 잘해도 나오지 못하면 실력을 보여줄 수 없는 만큼 허프의 유리몸은 그 엄청난 실력에 비해 굉장히 아쉽다고 할 수 있겠다. NPB에서는 선발로는 통하지 못했고, 불펜으로는 일본에서도 먹혔지만 시즌 후반이 되면서 퍼지면서 체감 스탯이 나빠지는 바람에[* 혹자는 후반기 부진의 원인을 8월에 마무리 전향을 시켰다가 실패하면서 멘탈이 나간 것으로 보기도 한다.] 결국 롱런에는 실패했다. 그래도 나름 쓸만했기에 일본에서 아예 안 통했던 로사리오만큼 극명한 차이는 아녔지만 KBO에 비해 NPB가 수준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 또 다른 사례가 되었다. 그리고 호세 피렐라가 이 부분에서 정점을 찍어버렸다. == 여담 == * 한국에 올 때 미국에서 [[엑스박스(게임기)|XBOX]]를 갖고 왔는데, 한국에서 쓸 수 있는 콘센트를 가져와서 꽂았으나 펑 하고 터졌다고 한다. * [[http://m.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06663&redirect=false|이 기사]]가 나온 뒤로 [[롯데 자이언츠 갤러리]]의 개념글 하나로 허프의 약물 의혹이 퍼진 적이 있었다. 하지만 허프는 이미 [[KBO 리그/2016년 포스트시즌|포스트시즌]]에서 약물 검사를 받았으므로[* 포시에 출장하는 선수들은 포시 시작 전에 약물 검사를 의무적으로 한다.] 단순 루머. 본인도 이 루머에 대한 [[http://sport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68&aid=0000307703|의사를 밝혔다.]] * 경기 시작, 또는 공수 교대시 마운드에 올라가거나 마운드에서 내려올 때, 파울라인이 그려진 맨땅 부분을 밟지 않고 잔디에서 잔디로 개울 건너듯 건너뛰는 습관이 있다. 사실 이건 물 건너 메이저리그에서나 KBO 리그에서나 상당히 많은 투수들이 가지고 있는 습관이다. 일종의 [[징크스]] 개념도 있지만 파울라인 쪽으로 굴러가는 애매한 타구가 자신이 만든 스파이크 자국 때문에 파울이 아닌 페어가 될 수 있어서 그에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많은 선수들이 이런 행동을 한다. * 비가 와서 경기가 취소되어도 원래 계획했던 자신만의 루틴을 정확히 따를 정도로 자기 관리가 매우 철저하다. 그리고 가을 야구가 거의 불가능해진 2017년 시즌 말에도 팬들이 끝까지 응원해주길 바란다는 인스타를 게시할 정도로 팀에 대한 충성도도 매우 높다. * 가족에 매우 헌신적이다. 6살 연상의 연인과 데이트할 때에도 자신이 야구 선수지만 가장 소중한 것은 가족이고 가족에 충실할 거라는 다짐으로 연인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그녀는 지금의 아내가 되었다. 틈만 나면 자신의 아들 이든과 놀아주는 모습을 보이는 [[아들바보]]이다. 특히 첫 완투승을 거두던 넥센전은 허프 특유의 빠른 인터벌을 곁들여 2시간 27분만에 끝냈는데 그 이유가 가족들이 미국에서 오는 날이라 자신이 직접 공항에 마중을 가고 싶어서 욕심을 냈다고 밝혔다. * 투구할 때와는 다르게 타격 시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다. *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에서 뛸 때 시범경기 포함 선발등판 예정이었던 경기 4경기가 우천취소가 되고 1경기는 우천으로 50분 지연이 되는 등 그가 등판할 때 유독 비가 자주 내려서 Rain Man(雨男) 컨셉이 생겼다. 심지어 이 컨셉으로 티셔츠도 발매했다. * [[카일 판스워스]]를 많이 닮았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4>
{{{#ffffff 역대 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ERA}}}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이브}}} || {{{#ffffff 홀드}}}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2016 ||<|2> [[LG 트윈스]] || 13 || 74⅔ || 3.13 || 7 || 2 || 0 || 1 || 72 || 2 || 10 || 46 || 1.09 || || 2017 || 19 || 124⅔ || 2.38 || 6 || 4 || 0 || 0 || 100 || 7 || 16 || 98 || 0.91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ERA}}}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이브}}} || {{{#ffffff 홀드}}}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사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WHIP}}} || || 2018 ||<|2>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도쿄 야쿠르트]] || 35[* 14선발] || 94⅓ || 4.87 || 3 || 6 || 0 || 7 || 105 || 13 || 31 || 78 || 1.41 || || 2019 || '''68'''[br](3위) || 65⅔ || 3.97 || 1 || 5 || 3 || '''26'''[br](5위) || 58 || 6 || 22 || 58 || 1.20 || ||<-2> '''[[KBO 리그|KBO]] 통산'''(2시즌) || 32 || 199⅓ || 2.66 || 13 || 6 || 0 || 1 || 172 || 9 || 26 || 144 || 0.98 || ||<-2> '''[[일본프로야구|NPB]] 통산'''(2시즌) || 103 || 160 || 4.50 || 4 || 11 || 3 || 33 || 163 || 19 || 53 || 136 || 1.35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 [[야구 관련 인물(NPB)]] * [[야구 관련 인물(KBO)]] * [[외국인 선수/역대 프로야구]] [각주]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외국인 선수(야구)]][[분류:샌디에이고 출신 인물]][[분류:1984년 출생]][[분류:2009년 데뷔]][[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양타]][[분류:클리블랜드 가디언스/은퇴, 이적]][[분류:뉴욕 양키스/은퇴, 이적]][[분류: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다저스/은퇴, 이적]][[분류: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은퇴, 이적]][[분류:UCLA 출신]][[분류:미국의 팬아메리칸 게임 메달리스트]][[분류:2015 토론토 팬아메리칸 게임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