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대한민국의 과거 휴대전화 제조 기업)] ||<-2> '''{{{+1 델타콤}}}[br]DELTACOMM'''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주식회사델타콤.jpg|width=35%]]}}} || || '''정식명''' ||주식회사 델타콤 || || '''영문명''' ||Deltacomm Corporation. || ||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대한민국]] || || '''대표''' ||정종기 || || '''설립일''' ||[[1996년]] [[4월 25일]] || || '''해산일''' ||[[2001년]] [[6월 30일]] || || '''업종명'''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 || '''본사''' ||경기 부천시 삼작로 155 || || '''규모''' ||[[중소기업]]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옛 [[무선호출기]] 및 [[시티폰]] 제조업체. [[1991년]] [[4월 25일]] 설립되어 [[2001년]] [[6월 30일]]에 폐업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델타콤 휴대폰.jpg|width=100%]]}}}|| || '''델타콤의 시티폰 DT-902''' || == 해외진출 == 한강춘 대표 시절인 [[1997년]], [[중국]] 통신기기 시장 진출을 결정하였다. 같은해 10월 중국 심천소재 통신기기 부품업체인 '''광성기업'''의 지분 51%를 인수하여, 이듬해 중국 공장에서의 [[무선호출기]] 및 [[휴대폰]] 생산에 본격 돌입하게 된다.[* 당시 델타콤은 "우선 50만달러를 들여 통신기기 생산설비를 구축하고 차후 50만달러를 추가로 투자할 계획" 이라고 언급하였다.] 델타콤이 경영권을 인수한 광성기업은 종업원 수가 3천명에 달하며, 통신기기에 들어가는 부저, 콘넥트, 스피커 등을 생산해오던 기업으로 당시 언론보도에 따르면 1997년 예상 매출액으로 160억원 정도를 예상 중이라고 밝혔다. [[https://m.etnews.com/199710240021|기사]] == 폐업 == [[중국|해외]]는 커녕 [[대한민국|국내 시장]]에서도 경쟁기업들에 밀리고 그다지 큰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1990년대에서 [[2000년]]으로 넘어가며 여러 [[중소기업]]들부터 [[대기업]][* [[해태전자]], [[대우전자]] 등.]들까지도 [[휴대폰]] 사업에서 [[철수]]하거나 [[해산]]했는데, [[중국]] 진출로 큰 성과를 이루지도 못하였고 국내 시장에서도 인지도가 낮았던 델타콤 입장에선 경쟁업체들과의 싸움과 자금난을 버틸 길이 없었을 것이다. 이렇다할 회생 시도조차 해 보지 않은 채 조용히 제품출시를 중단했고 곧 [[2001년]] 소리소문없이 [[폐업]]하였다. [[분류:대한민국의 전자제품 제조사]][[분류:1996년 기업]][[분류:2001년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