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룬의 아이들/등장인물)] [[분류:룬의 아이들/등장인물]] ||<-2>
{{{#4aafda '''{{{+1 델핀 드 오를란느}}}'''[br]'''Delphine de Orlanne'''}}}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델핀.jpg|width=100%]]}}} || || '''성별''' ||[[여성]] || || '''나이''' ||불명 || || '''생년월일''' ||구 아노마라드력 ?년 ?월 ?일 || || '''이명 ''' ||델핀 대공비[br]Duchess Delphine of Orlanne[br]デルフィン大公妃 || || '''머리 / 눈''' ||[[머리카락/검은색/캐릭터|흑발]] / [[눈(신체)/파란색|벽안]] || || '''출신지''' ||[[아노마라드 왕국]] || || '''직위''' ||[[오를란느 대공국]]의 대공비 || || '''소속''' ||불명 || || '''가족 관계''' ||줄리앙 드 오를란느 (남편)[br][[샤를로트 비에트리스 드 오를란느]] (친딸)[br][[베르나르 조프레 드 오를란느]] (의붓아들)[br]마르그리트 드 오를란느 (남편의 첫째 부인)[br]바이유 공작 알베르 (시동생)[br]바이유 소공작 필리프 (시조카)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델핀 2.jpg|width=100%]]}}} || || '''《룬의 아이들 블러디드》 6권 표지 풀 일러스트''' || [[룬의 아이들 블러디드]]의 등장인물. 주인공 [[샤를로트 비에트리스 드 오를란느]]의 친어머니. 현 오를란느 대공 줄리앙 드 오를란느의 두 번째 부인이자 베르나르 공자의 친모 마르그리트와 더불어 오를란느 대공국의 대공비이다. 샤를로트의 이복 오빠 베르나르 조프레 드 오를란느의 [[계모]]이다. 블러디드 6권 표지의 주인공이다. 델핀은 [[그리스어]]로 [[돌고래]][* 돌고래의 영문 단어 [[돌핀]](Dolphin)도 델피니에서 유래한다.]를 뜻하는 '델피니'(Δελφίνι/Delphini) 혹은 예언의 신 [[아폴론]]의 신전 사제인 [[오라클]]이 주재하던 도시 [[델포이]]의 영문명 '델피'(Δελφοί/Delphi)에서 파생된 이름이다. == 외모 == 마치 음산한 강의 요정과도 같은 흐릿하고 으스스하면서도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구불구불한 [[머리카락/검은색/캐릭터|검은색 머리카락]]과 [[눈(신체)/파란색|푸른 눈]]을 가진 미녀. 샤를로트의 흑발도 델핀에게서 물려받은 것이다. 나카가와 유케이가 그린 일러스트에서는 [[아나로즈 티카람]]과 맞먹으며 발목까지 닿는 수준의 어마어마한 길이의 장발을 자랑하며 강의 요정이라는 표현에 걸맞게 호숫가 앞의 나무 아래 서 있다. [[사과의 섬]]과 관계가 깊은지 표지에는 나무에 열린 영롱한 색의 사과를 따려고 하고 있다. == 특징 == [[아노마라드 왕국]] 출신 인물로 손이 끊겨 몰락한 [[오를란느 대공국]]의 한 귀족 가문의 아주 먼 방계 후손이다. 오를란느에 올 때까지는 이 사실을 전혀 모른 채 아노마라드의 [[평민]]으로서 살았다고 한다. 예법은 물론 사람들이 아는 이야기나 노래, 바늘과 검을 쓰는 법도 몰랐고 아버지가 마법사라 마법을 배웠다고 하지만 마법을 쓰는 걸 보인 적도 없는데다 말도 거의 하지 않았다고 한다. 글도 모르는 게 아니냐는 말이 떠돌 정도였지만 줄리앙 대공이 마르그리트 대공비 사후 평생 홀로 살 기세라 그녀와 결혼한다고 했을 때 다들 아무 말도 못했다. 스무 살의 나이로 32세의 대공과 결혼해 샤를로트를 낳고 3년 뒤 행방불명이 되어 공식적으로는 죽은 것으로 알려졌고 궁에는 초상화 한 장 남지 않아 샤를로트는 다섯 살이 될 때까지 자신이 베르나르의 어머니인 마르그리트 대공비의 딸인 줄 알았다. 타인의 꿈에 현몽하거나 멀리서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초현실적인 능력이나 마법을 보유하고 있는지 샤를로트의 꿈 속에서 나타나 그녀에게 눈에는 보이지 않는 어떤 투명한 것[* 블러디드의 능력을 하나뿐인 딸 이스핀에게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을 선물한다. 딸을 향한 모성애가 강한 어머니라서 어딘가에서 멀리 샤를로트를 지켜보고 있었는지 샤를로트의 주변 인물들인 친구 막시민 리프크네, 측근 니콜레트 폰 슈니발트 여백작의 꿈에 나타나서 우리 딸을 잘 부탁한다는 메시지를 보내기도 한다. 이걸 보아 선대 블러디드의 능력자이거나 블러디드의 진실을 알고 있는 듯. 또한 대공비의 지위를 생각해서 남들 앞에서 일부러 실력 발휘를 하지 않았을 뿐이지 델핀 역시 특출난 능력을 가진 마법사나 [[강령]]이나 [[영매]]처럼 초자연적 능력을 가진 강력한 초능력자일 가능성이 높다. [[막시민 리프크네]]의 어머니 라이지아 블라에르크와 더불어 어머니의 존재감과 서사적인 비중이 매우 희미한 [[룬의 아이들]] 시리즈에서도 주인공의 어머니 캐릭터들 중 가장 활약과 존재감이 어마어마한 어머니 캐릭터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거의 모든 [[장르문학]]은 1세대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어머니 캐릭터들은 처음부터 주인공의 시련과 성장을 위한 도구로서 부재 중이거나 어릴 때 지병이나 사고로 사망하는 일이 흔하다. 이 때문에 비중이 아버지 캐릭터들보다 훨씬 협소하고 역할 폭도 좁다. [[룬의 아이들 시리즈]]에서는 어머니 캐릭터들은 주조연을 막론하고 처음부터 지병을 앓고 사망 내지는 실종 상태인 경우가 훨씬 많다. 그리고 이름보다도 '누구누구의 어머니'로 언급되고 사라지기도 한다. 그래서 인격적인 문제가 많아도 저마다의 비중 있는 서사와 개성을 다 갖춘 아버지 캐릭터들에 비해 비중과 서사가 빈약하다는 비판과 단점이 있었다. 예프넨과 보리스 형제의 어머니 이제니아 진네만은 차남 보리스를 낳자마자 산후 후유증으로 죽어 프롤로그부터 퇴장한 상태였고, [[이솔렛]]의 어머니는 어렸을 적에 돌아가셨다. [[엘라노어 테니튼]]의 친모 [[이브노아 폰 아르님]]은 초장부터 남편 테오의 흉계에 의해 강제 생이별한 친딸의 존재조차 모를 뿐더러 테오로부터 조슈아를 지키고자 그가 마셨어야 할 독주를 대신 마셔서 [[자살]]을 하여 간접적으로 테오에게 살해당했다. 막시민의 어머니 라이지아 블라에르크도 오남 안톤 리프크네를 낳자마자 죽었다고 나와 있다. [[로즈니스 다 벨노어]]의 어머니이자 벨노어 백작부인 이자보 다 벨노어 역시 2권 초반부에 남편과 딸과 함께 짧게 출연했지만 몇년 뒤에 병으로 죽었다. [[리리오페]]의 어머니는 달의 섬의 섭정 부인이라는 직위와 남편과 외동딸을 버리고 대륙으로 도망쳤으며 란지에와 란즈미 남매의 어머니도 출세욕에 미친 남편의 가정폭력을 견디다 못해 어릴 때 자식들과 헤어져 지금은 실종 상태이며 란지에도 어머니를 찾는 걸 거의 포기하다시피했다. 티치엘의 어머니도 고인이다. 주연 캐릭터들의 어머니들 중 멀쩡하게 살아 있는 인물은 이브노아와 조슈아 남매의 어머니 엘자 폰 아르님과 루시안의 어머니 롤리아니 칼츠 정도가 있는데, 이 두 사람은 어디까지나 이야기의 메인 스트림에 한발 물러나 있는 조연일 뿐이지 역할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엘자 폰 아르님도 몸이 매우 병약해서 태어날 때부터 백치인 첫째 이브노아를 낳은 후 또 다시 아이를 낳으면 죽을 수 있다는 판정을 들었는데, 결국 죽음을 무릅쓰고 둘째 조슈아를 낳았고 운이 없었으면 정말 죽을 뻔했다고 나온다. 이름이 밝혀지지 않은 [[클라리체 데 아브릴]]의 어머니도 병상에 누워 있어 딸에 비하면 능력이 무능한지 꾀병을 부려 딸에게 온갖 가사 일을 시켜먹는다는 언급이 있다. 이 중 이제니아 진네만과 엘자 폰 아르님, 밀라나 진네만([[블라도 진네만]]의 아내이자 [[예니 진네만]]의 어머니)은 구판에서는 이름이 언급조차 되지 않았지만 신판이 나오면서 이름이 공개되었다. 세월이 흐르면서 작가도 어머니 캐릭터들의 서사에 신경 쓰기 시작했다는 암시인 듯.][* 활약이 가장 큰 또다른 어머니 캐릭터로 데모닉의 조연이자 [[가나폴리]] 수준에 이른 세계관 최고의 대마법사인 [[아나로즈 티카람]]이 있지만, 아나로즈는 멜오렌이 태어나자마자 [[돌로 된 발의 게인]]의 사후 동굴 안으로 들어가 [[피 흘리는 창]]을 봉인하여 딸과 영원히 생이별했기에 어머니로서의 모습을 제대로 보여준 적이 없다. 멜오렌 역시 다른 주연 캐들처럼 태어나자마자 어머니와 생이별한 상처를 간직하고 반시체나 다름없는 어머니와 요절한 딸 [[제노비아 티카람]]을 애도하기 위해 평생 상장을 달고 산 비운의 인물이다. 자신을 만나러 온 생물학적인 아버지 [[이카본 폰 아르님]]마저 어머니를 모욕하고 한번도 찾아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내치기도 했다.] 그 덕분인지 룬아 시리즈 역대 주인공의 어머니 캐릭터들 중에서 소설 표지 모델로 선정되었으며, 소설 삽화 담당 [[일러스트레이터]]인 나카가와 유케이가 최초로 그린 룬아 주인공의 어머니 캐릭터이기도 하다. [[https://twitter.com/uk_nak/status/1701890967387943405|2023년 9월 13일에 델핀의 일러스트를 그렸음을 트윗으로 인증했다.]] == 작중 행적 == === [[룬의 아이들 블러디드]] === 샤를로트를 낳고 얼마 안 가 자취를 감추었다. 현재는 생사 및 행방 불명 상태로 샤를로트와 주변 인물들의 꿈 속에만 한 번 등장한다. 샤를로트의 독백에 의하면 베르나르처럼 아이언페이스에게 납치당하거나 살해당한 것으로 보인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룬의 아이들/등장인물, version=367, paragraph=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