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16년 3월 26일 이전까지 운행하던 노선, rd1=에사시선)] ||<-2><:>[[도난 이사리비 철도|[[파일:SHR_logo.png|height=15]]]]{{{#!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Isaribi_line_logo.png|width=50]]||{{{#eeaa15,#eaa610 {{{+1 '''[ruby(道南いさりび鉄道線, ruby=どうなんいさりびてつどうせん)]'''}}}[br]Dōnan Isaribi Tetsudō Line[br]도난 이사리비 철도선}}} ||}}}|| ||<-2> [[파일:external/livedoor.blogimg.jp/94c6d212.jpg|width=100%]] ---- [[카미이소역]]에 정차한 나가마레호[* 이 열차는 [[JR 홋카이도]]에서 양도받은 [[키하 40계 동차]]이다.] || ||<-2><:>'''노선 정보'''|| || '''기점''' ||[[하코다테역]] || || '''종점''' ||[[키코나이역]] || || '''역 수''' ||여객역 12역[br]신호장 1개소 || || '''노선기호''' ||{{{+1 {{{#0072bc,#42b5ff '''H'''}}}}}} (하코다테~고료카쿠)[br]{{{+1 {{{#eeaa15,#eaa610 '''sh'''}}}}}} (키코나이~나나에하마) || || '''개업일''' ||[[1913년]] [[9월 15일]] ([[에사시선]]) || || '''소유자''' ||[[도난 이사리비 철도|[[파일:SHR_logo.png|width=150]][br]{{{#246dac,#539cdb 도난 이사리비 철도}}}]] || || '''운영자''' ||[[도난 이사리비 철도|[[파일:SHR_logo.png|width=150]][br]{{{#246dac,#539cdb 도난 이사리비 철도}}}]][br][[JR 화물|[[파일:JR 화물 로고.svg|width=200]][br]{{{#4a7b9c,#6293b5 JR 화물}}}]] || || '''사용차량''' ||[[키하 40계 동차]] 1700번대 || || '''차량기지''' ||[[하코다테 운수소]] || ||<-2><:>'''노선 제원'''|| || '''영업거리''' ||37.8km || || '''궤간''' ||1,067mm || || '''선로 수''' ||단선 || || '''사용전류''' ||교류 20,000V/25,000V 50Hz 가공전차선[* 키코나이 구내] || ||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 || '''신호장비''' ||ATS-DN || || '''최고속도''' ||100km/h || || [[파일:external/www.shr-isaribi.jp/rosenzu_680px.png|width=100%]] || || {{{#fff 이사리비선 노선도}}} || || [youtube(IVD0lRtmITM)] || || {{{#fff 전구간 후면 주행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난 이사리비 철도]]의 유일한 철도 노선으로, [[홋카이도]] 카미이소군 [[키코나이초]]의 [[키코나이역]]과 [[하코다테시]]의 [[고료카쿠역]]을 잇는다. 원래 이 노선은 JR 홋카이도의 [[에사시선]]이었으며, 신칸센 개통 및 승객수 감소로 키코나이 서쪽은 폐선, 동쪽은 제3섹터화 이관되었다. 에사시선으로 운영되던 2014년까지는 전 구간 [[츠가루 해협선]]이라는 운행계통이 존재하였으며, 현재도 임시열차나 화물열차는 해당 계통으로 운행중이다. === 노선 데이터 === * 관할 : 도난 이사리비 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일본 화물철도 (제2종 철도사업자) * 구간 : 고료카쿠(하코다테 화물)~키코나이 37.8km * 궤간 : 1,067mm * 역수 : 13 * 여객역 : 12 * 화물역 : 1 * 신호장 : 1 * 복선구간 : 없음 * 전화구간 : 전구간 (교류 20,000V 50Hz. 키코나이역 한정 25,000V 50Hz.) * 키코나이역~사츠카리역 사이에 교류-교류 절연구간 위치, 키코나이역부터 혼슈 방면으로는 교류 25,000V 50Hz로 운행.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 신호장비 : ATS-DN == 상세 == * [[에사시선]]의 역사도 참조. 이 구간은 [[홋카이도 신칸센]] [[신아오모리역]] ~ [[신하코다테호쿠토역]] 간 병행재래선으로 지정되어, [[JR 홋카이도]]에서 [[에사시선]]을 경영분리하는 과정에서 생기게 된 열차 운행계통이다. 2016년 3월 26일부터 [[제3섹터]] 운영 방식으로 전환되었으며, 하코다테 권역의 수송을 담당중이다. JR 홋카이도 시대때 에사시선은 지방교통선이며, 지방교통선이 병행재래선 지정에 따른 제3섹터 운영방식으로 전환되는 최초의 케이스였다. 정기 여객열차로 [[키코나이역]]이 종료되고, [[츠가루 해협선]]에 직통하는 정기여객열차는 운행되지 않는다. 또한 고료가쿠에서 하코다테까지 [[하코다테 본선]]에 직통운행한다. 제3섹터 전환 이후에는 [[JR 화물]]이 2종 사업자가 되며, 전구간과 [[세이칸 터널]]을 통하여 혼슈-홋카이도 화물수송을 담당중이다. 특히 [[JR 화물]]이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 이용 명목으로 지불하는 선로사용료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수입의 80%를 차지하기 때문에 회사 존속에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다. [[https://youtu.be/1w-OfhGI1xA?t=368|삿포로 테레비 방송의 관련 내용 유튜브 영상(일본어)]]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과 [[JR 홋카이도]]선 [[하코다테역]]~[[고료카쿠역]][* 정기권의 경우 하코다테역~[[모리역]]] 구간을 연속하여 이용할 경우 [[환승할인|승계(乗継)할인]]이 적용되어 최대 90엔 할인된다.[* 원래는 130엔까지 할인되었으나 할인율이 줄었다.] == 역사 == 1913년 카미이소 경편선으로 처음 개통되어 1922년 카미이소선으로 개칭되었고 1936년 '''에사시선(江差線)'''으로 개칭되었다. 1987년 국철분할민영화로 [[JR 홋카이도]]에 승계되었다. 2014년 5월 12일 키코나이 서쪽 구간이 폐지되었으며 해당 구간은 버스로 대체되었다. 2016년 3월 26일 전 구간이 [[도난 이사리비 철도]]로 이관됨에 따라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道南いさりび鉄道線)'''으로 개칭되었다. JR이 운영하던 당시에 특급열차는 고료카쿠-키코나이 간을 운행하고, 보통열차는 [[하코다테역]]에서 출발하여 1인 승무를 했다. 하코다테-카미이소 간은 1시간에 1대, 카미이소-키코나이 간은 3시간에 1대 운행했다. 정작 전구간이 전철화되어 있지만 전기철도 시설을 쓰는 건 혼슈로 가는 열차들 뿐이고, 이 지역의 보통열차들은 전부 디젤 동차이다. 2014년 5월 12일 폐선된 키코나이-에사시 간은 '''하루에 6편''' 정도 운행했다. 이 구간을 병주하는 [[홋카이도 신칸센]]이 신하코다테역까지 개통될 계획이 발표됨에 따라, 에사시선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 여러 논의가 있었다. [[제3섹터]]로 남기자니 적자 부담이 너무 크고, 폐선하자니 이 구간은 하코다테 본선과 더불어서 혼슈와 홋카이도를 잇는 화물철도의 동맥과도 같은 구간이라서 신칸센과 같은 표준궤 차량에 협궤 화물열차를 그대로 싣는 'Train on Train'이라는 기술이 개발 중이지만 현실은[* JR 홋카이도 측에서 제작한 유튜브 영상에 따르면, 화물열차 적재 및 하차 자체는 단 10분이면 끝난다고 한다. 그러나 애초에 이렇게 수송을 하려면 세이칸 터널 양쪽 출입구 인근에 화물 터미널이 대규모로 필요한데다가, 세이칸 터널에서 고속주행 할 수 있는 기관차도 있어야 하며, '''맞은 편에서 신칸센이 올 경우 이에 대한 차풍을 어떻게 극복하는지조차 정해지지 않은 상황'''이다.] 안 그랬으며 결국은 [[병행재래선]]은 제3섹터로 전환하는 것으로 되었으며 회사명은 '[[도난 이사리비 철도]](道南いさりび鉄道)'로 확정되었다. 이사리비라는 말 뜻은 물고기 잡을 때 쓰는 어화(漁り火)라고 하며, 연선 일대 츠가루 만에서 다니는 수많은 고기잡이 어선을 상징한다고. 노선명은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道南いさりび鉄道線)'으로 확정되었다. 어쨌든, '''[[키코나이역]]부터 [[에사시역]]까지를 폐선하자'''는 제안이 2012년 초에 있었고, 버스 등 대체 교통수단을 확충하는 조건으로 이게 받아들여지면서 2014년 5월 12일부로 [[키코나이역]] 이서 구간 42.1km가 폐선되었다. 재래선 병행 구간이 아닌 이 구간은 홋카이도 내에서도 가장 수익성이 떨어지는 구간이었는데 폐선 소식이 나오자 오히려 이 노선, 특히 키코나이역 이서 구간에서 이용객 수가 늘어나기도 했다. 당연한 것인 게, 폐선되기 전에 타보려는 철덕, 유튜버, 인근 주민 등이 몰려오기 때문이다. [[http://blog.daum.net/4thwave/15965006|여기서 보자.]] 사실 이 노선 자체도 [[특정지방교통선]]에 선정되어 폐선 위기였으나, [[카이쿄선]]과 [[세이칸 터널]] 때문에 폐선을 면했고, 그 대신 [[키코나이역]]에서 갈라져 나가던 [[마츠마에선]]이 사라졌다. 여담으로 [[카미노쿠니역]]은 폐선 이전에는 홋카이도 최서단역이었다. 이 타이틀은 [[하코다테 본선]]의 [[와시노스 신호장|와시노스역]]으로 넘어갔다. 현재는 와시노스역이 신호장으로 격하됨에 따라 최서단 여객취급역 타이틀만 [[야쿠모역]]으로 넘어갔다. 그리고, [[유노타이역]]-[[미야코시역]] 사이에 역같이 생겼지만 사실은 조형물인 [[아마노가와역]]이라는 건물이 있'''었'''는데, "홋카이도 꿈이 있는 클럽"에서 만든 것이라고. [[http://jtinside.tistory.com/5694|#]] [[http://www.shr-isaribi.jp/wp-content/uploads/2016/02/timetable_20160326.pdf|이관 이후 시간표]] 전체 편수 중 절반 가량이 [[카미이소역]]까지만 운행되며 하코다테 방면은 JR이 하던 때와 마찬가지로 전부 다 [[하코다테역]]으로 직통 운행한다. 일본에서 여객취급을 하는 재래선 및 제3섹터역 중 역구내가 유일하게 교류 25,000V인 키코나이역이 있다. 사츠카리~키코나이 사이에 교-교 절연구간이 위치해 있으며, 키코나이역 진입직전에서 20,000/25,000V의 전압변환을 실시한다. 이 노선이 [[제3섹터]]화되면서, 2006년 [[홋카이도 치호쿠 고원철도 고향은하선|고향은하선]] 폐선 이후로 명맥이 끊긴 홋카이도의 제3섹터 철도가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 운행형태 == 현재 전구간이 전철화되어 있지만, JR 홋카이도에서 인수받은 [[키하 40계 동차]]로만 운행중이다. 이외에도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 후 키코나이역 구내의 전압이 20,000V에서 25,000V로 승압되어, 다른 구간의 20,000V와 키코나이역 구내 25,000V에 모두 대응하는 [[EH800형 전기기관차]]와 [[트란 스위트 시키시마|E001형 전동차]]만 운행되고 있다. 여객열차는 고료가쿠에서 하코다테까지 직통운행하며, 모든 보통열차는 [[1인 승무]]를 실시중이다. 하코다테~카미이소 구간은 시간당 1대, 카미이소~키코나이 구간은 3시간당 1대 운행된다. [[청춘 18 티켓]]에 대해서는 청춘 18 티켓 홋카이도 신칸센 옵션권을 구입하며 키코나이 ~ 고료카쿠 사이를 통과 이용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있는 특례가 마련됐다. [[홋카이도&동일본 패스]]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JR패스]] 및 [[JR 홋카이도]]에서 발행하는 패스로는 이용 불가. 대신 [[JR 동일본]]의 [[http://www.jreast.co.jp/tickets/info.aspx?txt_keyword=%8eO%98A%8bx&mode=keyw&SearchFlag=1&ctl02.x=56&ctl02.y=14&GoodsCd=2230|3일연휴 동일본・하코다테 패스]](三連休東日本・函館パス)로는 전구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2023년 3월부터는 1일 자유승차권인 '[[https://www.shr-isaribi.jp/ticket-guide/otoku/isaribi1dayho/|이사리비 1일 승차권(いさりび1日きっぷ)]]을 판매하고 있다. 어른 1000엔, 어린이 500엔.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도난 이사리비 철도, version=42, paragraph=2)] == 노선 == * 에사시선 시절의 노선표는 [[에사시선]] 참조. * JR이 운영하던 때와 반대로 키코나이역이 기점, 고료카쿠역이 종점이다. 그러나 모든 열차가 하코다테역까지 운행한다. * 전구간 [[홋카이도]] [[오시마 종합진흥국]]내 소재. ||<-7> {{{#ffffff,#191919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 || || {{{#ffffff 노선}}} || {{{#ffffff 전압}}} || {{{#ffffff 번호}}} || {{{#ffffff 역명}}} || {{{#ffffff km}}}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소재지}}} || ||<|3> 하[br]코[br]다[br]테[br]본[br]선 ||<|15> 20kV || H75 || [[하코다테역|하코다테]][br](函館) || 3.4 ||¶'''[[하코다테에키마에역]]''' :[br][[하코다테시 기업국 교통부]] [[파일:HT-D.svg|width=17]][[파일:HT-Y.svg|width=17]][[하코다테 시영 전차]] (DY17) ||<|4> 하코다테시 || || || (화)[[고료카쿠역|하코다테 화물]][br](函館貨物) ||<|3> 0.0 || || ||<|2> H74 ||<|2> [[고료카쿠역|고료카쿠]][br](五稜郭) ||<|2>¶[[JR 홋카이도]] [[파일:JRH-H.png|width=17]][[하코다테 본선]][* 모리, 신하코다테호쿠토, 오샤만베 방면] || ||<|13> '''도[br]난[br]이[br]사[br]리[br]비[br]철[br]도[br]선''' || || sh11 || [[나나에하마역|나나에하마]][br](七重浜) || 2.7 || ||<|8> 호쿠토시 || || sh10 || [[히가시쿠네베츠역|히가시쿠네베츠]][br](東久根別) || 5.3 || || || sh09 || [[쿠네베츠역|쿠네베츠]][br](久根別) || 6.5 || || || sh08 || [[키요카와구치역|키요카와구치[br]{{{-2 (호쿠토시청·카나데~루 앞)}}}]][br](清川口)[br]{{{-2 (北斗市役所·かなで~る前)}}} || 7.6 || || || sh07 || [[카미이소역|카미이소]][br](上磯) || 8.8 || || || || [[야후라이 신호장]][br](矢不来信号場) || 14.3 || || || sh06 || [[모헤지역|모헤지]][br](茂辺地) || 17.6 || || || sh05 || [[오시마토베츠역|오시마토베츠[br]{{{-2 (트라피스트수도원 입구)}}}]][br](渡島当別)[br]{{{-2 (トラピスト修道院入口)}}} || 22.6 || || || sh04 || [[카마야역|카마야]][br](釜谷) || 27.5 || ||<|4> 카미이소군[br]키코나이정 || || sh03 || [[이즈미사와역|이즈미사와]][br](泉沢) || 30.6 || || || sh02 || [[사츠카리역|사츠카리]][br](札苅) || 34.0 || || || 25kV || sh01 || [[키코나이역|키코나이]][br](木古内) || 37.8 ||¶JR 홋카이도 [[파일:JRH-SKS.svg|width=17]][[홋카이도 신칸센]], [[카이쿄선]] || [[분류:도난 이사리비 철도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