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군인]][[분류:1933년 출생]][[분류:시카고 출신 인물]][[분류:폴란드계 미국인]] [[분류:미국육군사관학교 출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Donald_Kutyna.jpg]] '''Donald Joseph Kutyna''' (1933년 12월 6일 출생 ~ ) == 소개 == 前 [[미합중국 공군]] [[대장(계급)|대장]]으로, [[북미항공우주방위사령부|NORAD]] 사령관, [[통합군]] 우주사령관을 지냈다. 오늘날 민간 조직인 [[NASA]]를 앞에 내세우고 뒤에서 온갖 [[스타워즈]]를 찍는 [[미합중국 우주사령부|미국공군우주사령부]]의 위상을 높인 인물로 평가되며, [[우주왕복선]]이라는 우주 프로그램이 얼마나 비효율적이고 위험한 미션인지, 그리고 얼마나 NASA가 관료주의와 보신주의적인 강박감에 사로잡혀 찌질거렸는지(...)를 밝혀낸 인물이기도 하다. [[STS-51-L]] 챌린저 폭발사고를 기점으로 그의 주도 하에 미 공군은 우주개발에 있어 독자노선에 돌입하게 된다. == 커리어 == 1933년 [[시카고]]에서 [[폴란드계 미국인]] 가정에서 태어난 그는 아이오와 대학교에서 2년을 다니다가 중퇴하고 [[미국육군사관학교]]에 진학하여 1957년 졸업[* [[미국공군사관학교]]가 1959년 첫 졸업기수를 배출하기 전까지 미 공군의 장교단 인력은 대개 다른 사관학교나 비행사관후보생 등으로 충원되었다. ]하고 [[미합중국 공군]] 소위로 임관했다. 조종사 자격을 따고 초기에 주기종으로 받은 항공기가 매우 비범한데, '''로켓추진 이륙기'''인 [[B-47]] 스트라토제트였다. 이후 [[MIT]] 대학원에서 항공우주공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1965년 미 공군 [[테스트 파일럿 스쿨]]에 지원한다. 이 시절은 이 곳에서 [[NASA]]의 우주비행사들이 많이 배출되던 시기인데, 우주개발에 대한 많은 관심을 보였던 쿠티나도 내심 NASA 지원에 대해 욕심이 있었던 모양이다. 하지만 NASA가 [[아폴로 계획]]에서 써먹을 우주비행사들은 대개 1966년 5기를 중심으로 모두 뽑힌 상태였고, [[제미니 계획#s-5|미 공군이 별개로 군사용 우주정거장 개발]]을 꾀하던 시기였던지라 쿠티나는 그냥 공군에 잔류하기로 했다. 하지만 공군에서도 우주비행사로 뽑히지는 못했다. 대신 이 시절 [[테스트 파일럿]]들의 교육과 차세대 항공기 개발에 투신하며 [[공돌이]][[성 정체성을 깨달은 아이|의 정체성을 깨닫는다]]. 하지만 어쨌든 그의 젊은 시절은 [[베트남 전쟁]]이 한창이던 시절. 쿠티나는 우주비행사가 되는데 실패한 뒤 1969년 12월부터 태국으로 파병되며 [[F-105]] 조종사로 활동하게 된다. 무사히 동남아 파병을 마치고 돌아온 뒤에는 [[공군본부]]에서 일했고, 1975년 국방산업대학(Industrial College of the Armed Forces)을 수료한 이후 1976년부터는 [[E-3]]의 개발팀에서 일하게 된다. 초기에는 E-3의 해외 시장 마케팅에 투입되었지만, 이후 프로그램의 총 책임자로 활약하며 E-3의 개발을 성공으로 이끈다. 이 시절의 경험을 바탕으로 쿠티나는 우주개발 프로젝트에 다시 참여하게 된다. [[우주왕복선]]을 위한 로켓 연구와 [[타이탄]] 로켓 연구에 투신했고, [[SDI]] 연구에도 참여했다. 이런 우주개발에의 참여 경험으로 1986년 초 [[STS-51-L]] 챌린저 참사 이후 행정부-NASA-공군 등의 여러 기관의 대표들로 조직된 진상규명특위인 로저스 위원회(일명 Rogers Commission)에 미 공군 측 대표인사로 보내졌다. [[https://media.gettyimages.com/photos/members-of-the-rogers-commission-present-the-challenger-accident-to-picture-id50689221]] 백악관 정원에서 조사 결과를 발표하는 [[로널드 레이건]]과 조사위원들. 사진 맨 오른쪽이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이고 대통령 뒤쪽에 공군 정복 입고 있는 사람이 당시 소장이었던 쿠티나 장군, 그 옆의 여성은 [[샐리 라이드]]이다. 추가로 앞에서 고개 숙이고 있는 사람은 [[닐 암스트롱]]. [[샐리 라이드]]는 이 시기에 NASA의 관계자들이 밥줄 끊길까봐 차마 고백하지 못하던 내용을 몰래 제보해주며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의 그 유명한 즉석 오링 테스트가 나오게끔 의도했다. 쿠티나 장군은 사실 이 사고 전까지 NASA와 예산다툼을 하며 [[타이탄]]을 지키려는 입장이었지만 NASA가 '''"셔틀을 자주 쏘면 된다!"'''고 우기는 바람에 [[SDI]]의 기반이 될 첩보위성들을 타이탄으로 쏘아올리는 프로젝트가 붕 떠버려서[* 그냥 붕 뜬 정도가 아니라, 80년대 중반까지 미국의 우주발사체는 (탄도탄 같은 것은 당연히 남겨뒀지만) 셔틀만 남기고 죄다 퇴역시켰을 정도.] NASA에 대한 감정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 [[STS-51-L]]과 [[켄 매팅리]] 문서 등에 소개된 이 시절 우주왕복선 미션의 명명법도 이 시기에 타이탄 대신 셔틀을 군사적 프로젝트로 자주 쏜다는 야심찬 청사진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하지만 갑자기 정치인이나 아랍 왕자님을 우주에 올려보내더니(...)[* STS-51-L 직전의 미션인 STS-61-C가 대표적. [[찰스 볼든]] 항목 참조.] 이런저런 대중 홍보에만 정신이 팔려서 NASA는 공군의 요구를 뒷전으로 치워버렸다. 쿠티나는 이 과정에서 암으로 골골대던 스타 물리학자 [[리처드 필립스 파인만]]을 캘리포니아에서 춥디 추운 워싱턴으로 불러와서는 다들 [[높으신 분들]]의 이해관계에 묶여있는 조사위원들 사이에서 '''독립 조사위원'''으로서의 역할을 주문하지만... ~~[[다 죽게 생겼다. 이놈들아|파인만 다 죽게 생겼다 이놈아]]~~ 결국 파인만의 명줄을 재촉해서 챌린저 사고의 진실을 밝혀낸다. 쉽게 말해 NASA가 늘 예산 감축에 대한 두려움에 쩔어서 대중 홍보에 대한 압박감을 심하게 받고 있었고, 그로 인해 너무나도 많은 무리수를 뒀다는 것.[* 챌린저는 이 미션에서 자체 통신위성의 궤도 전개 외에도 '''우주에서의 원격 수업''', '''[[핼리 혜성]] 관측''' 등의 여러 [[크고 아름다운]]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었다. [[간지]]를 중시하는 일반인들의 시선에서는 이 미션은 아폴로 시대 이후 최대의 본방사수 미션이 될 것이었고 NASA가 이를 연기한다면 여론이 들끓을 것이었기에...] 어쨌든 쿠티나가 [[샐리 라이드]]의 도움[* 여러 사람 밥줄이 날아갈 수 있는 사안이라서 모 우주비행사의 제보라고만 밝히며 신원을 보호하다가 2012년 라이드가 타계한 뒤에야 이를 털어놓았다.]으로 파인만의 명줄을 재촉하며(...) 사건의 진상을 밝혀낸 뒤, 셔틀에 군사위성을 싣고 한 달에 몇 번씩 쏘겠다는 NASA의 고집은 결국 무너졌다. STS-51-L 같은 기괴한 미션 명명법도 STS-26 같은 깔끔한 넘버링으로 돌아왔다. 쿠티나의 우주발사체 프로젝트는 1989년부터 비록 타이탄은 아니지만 [[델타]] Ⅱ 로켓을 통한 군사위성 발사로 재개되었고, 쿠티나는 미 공군의 우주 프로젝트를 되살린 일등 공로자로 인정받았다. 1987년부터 [[미합중국 우주사령부|미국공군우주사령부]]의 수장에 올라 공군의 군사위성 프로젝트를 지휘했고, 1990년에는 [[통합군|통합전투사령부]]인 우주사령부로 영전하면서 4성 장군이 되었으며, NORAD 사령관 겸 우주사령관 재임기간에 [[소련]]의 해체로 인한 [[냉전]] 종식을 맞기도 했다. 비록 챌린저 사고가 너무도 큰 아픔으로 다가왔지만, 이후 NASA의 자정 노력에 지지를 보내며 쿠티나는 공군의 셔틀 포기와는 별개로 NASA의 유인 셔틀 프로그램 재개를 반대하지 않았고, 그렇게 한 시대를 풍미한 [[간지폭풍]] 우주선의 이미지로 셔틀은 역사에 [[크고 아름다운]] 이름을 남길 수 있었다. [[STS-107| 하지만 17년후 또 다른 비극이 기다리고 있었으니...]] == 기타 == [[파일:external/static.howstuffworks.com/kutya.png]] 2013년작 [[BBC]] TV 영화 The Challenger Disaster에서는 [[브루스 그린우드]]가 연기했는데, 근엄한 인상인 실제 쿠티나 장군의 얼굴에 비해서는 좀 선한 인상이다. 늘 핵전쟁 수행을 대비해야 하는 기구한 군생활을 해왔기에 핵무기 개발에 참여했던 파인만에게 이래저래 할 말이 많았던 것으로 묘사된다. 현실적인 냉철함 대신 낭만에 취해있는 NASA를 까면서도 공군 대표 입장에서 공개적으로 욕하질 못하니 파인만을 끌어들이며 묘~한 복선을 써내려가는데, 모르는 사람이 보면 수수께끼 풀라고 꼬시는 것처럼 느껴질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