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롱뇽속]] ||<-2> '''{{{#fff {{{+1 도롱뇽}}}[br]Korean salamander}}}'''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도롱뇽 국립생물자원관.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Hynobius leechii'' '''[br]Brandon & Krebs, 1984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양서강(Amphib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도롱뇽목(Urodel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도롱뇽과(Hynobi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도롱뇽속(''Hynobi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도롱뇽(''H. leechii'')''' || ||<-2> '''{{{#000 멸종위기등급}}}''' || ||<-2><#FFF>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width=240]]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롱뇽과 도롱뇽속에 속하는 [[도롱뇽]]의 일종. == 특징 == [[한국]]에 서식하는 도롱뇽들 중에서는 가장 흔한 종이다. 계곡이나 습한 산 속의 돌 내지 바위 밑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다. [[한반도]] 각지에 야생 도롱뇽들이 살지만, 시골이라고 무조건 흔히 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도시라고 없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서울, 부산, 대구, 울산 등의 대도시에서도 도롱뇽을 찾아볼 수 있다.] 전국에 고루 있지 않고 특정 지역들에만 국지적으로 분포한다.[* 어떤 지역의 경우 아파트 대단지 놀이터나 심지어 학교 운동장에서도 발견되기도 한다.] 그런 연유로 지역에 따라 연장자들도 어릴 때부터 한 번도 못 봤다는 사람들도 있는 반면에 반대로 젊은 사람들도 여러 번 봤다는 경우도 있다. 한때는 도롱뇽 알이 약재로 쓰이기도 했고 예전에는 잡아서 키웠다는 사람도 더러 있다. 현재 [[양서류]] 애호가 중에도 국산 도롱뇽을 사육해 보고 싶은 사람이 분명 있겠지만 대한민국에 서식하는 도롱뇽들은 멸종 위기종이든 아니든 법적으로 지정된 '''포획금지종'''이다. 허가 받지 않고 포획 및 사육을 할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처벌 받을 수 있으니 야생에서 관찰만 하는 것이 좋다.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남부 일대에는 도롱뇽과 별개의 종으로 분류되는 제주도롱뇽[*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남부의 섬과 반도에 서식.], 고리도롱뇽[*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대에 서식.], 꼬마도롱뇽[* 전라남도 동남부 일대에 서식.], 거제도롱뇽[* 거제도 남부에 서식.], 남방도롱뇽[* 경상남도에 서식. ], 숨은의령도롱뇽[* 경상남도 의령, 창원에 서식.] 등이 분포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이들을 도롱뇽과 별개의 종이 아니라 단순 아종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들 간의 유전적 차이는 일반적으로 아종을 분류하는 수준을 넘어섰기 때문에 별개의 종으로 분류되었으나 이 기준이 도롱뇽에게 적용하는 것이 합당한 지에 대한 의문이 있다.] 이들 중 고리도롱뇽의 경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되었고 제주도롱뇽의 경우 도롱뇽과 마찬가지로 포획금지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 생태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도롱뇽, version=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