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G]] 《[[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목차] == 개요 == [[도미나리아]]에서 추가된 부여마법의 세부 유형이자 카드 시리즈. 서사시라는 이름답게 대부분 도미나리아에서 과거에 일어난 일들을 다룬다. --다시말해 [[추억팔이]]용-- 도미나리아에서는 총 14장이 나왔다. 이게 꽤 반응이 좋아서, [[죽음 너머의 테로스]]에 또 나온다. 이쪽은 [[죽음 너머의 테로스의 서사시]] 문서를 참조. 이후 [[칼드하임]]에서도 등장. 일회성 메커니즘이 아니라 사실상 새로운 카드 형식으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 언커먼 == === 체이너의 고뇌 === ||<:>'''영어판 명칭'''||<:>'''[[Chainer, Dementia Master|Chainer]]'s Torment'''||<|5>[[파일:Chainer%27s+Torment+%5BDOM%5D.jpg]]|| ||<:>'''한글판 명칭'''||<:>'''[[Chainer, Dementia Master|체이너]]의 고뇌'''|| ||<:>'''마나비용'''||<:><#000000>{{{#fff {3}{B}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br][br]I, II — 체이너의 고뇌는 각 상대에게 피해 2점을 입히고 당신은 생명 2점을 얻는다.[br][br]III — X/X 흑색 나이트메어 괴수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든다. X는 당신의 생명 총점의 절반을 올림한 값이다. 그 생물은 당신에게 피해 X점을 입힌다.||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언커먼|| 모든 서사시들 통틀어 제일 성능이 별로라고 평가된다. 이후 언커먼 서사시 5종 중 최악의 똥 하나가 섞여 있다는 건 [[아낙스의 승리]]로 이어진다. 스토리는 [[Chainer, Dementia Master]]가 [[Mirari]]의 힘을 감당 못하고 폭주하는 내용. 1, 2 효과가 미라리로 깽판치는 내용, 3 효과가 자멸하는 내용이다. === 프레얄리스의 노래 === ||<:>'''영어판 명칭'''||<:>'''Song of [[Freyalise, Llanowar's Fury|Freyalise]]'''||<|5>[[파일:Song+of+Freyalise+%5BDOM%5D.jpg]]|| ||<:>'''한글판 명칭'''||<:>'''[[Freyalise, Llanowar's Fury|프레얄리스]]의 노래'''|| ||<:>'''마나비용'''||<:><#0f0>{{{#000 {1}{G}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br][br]I, II — 당신의 다음 턴까지, 당신이 조종하는 생물들은 "{T}: 원하는 색의 마나 한 개를 추가한다."를 가진다.[br][br]III — 당신이 조종하는 각 생물에 +1/+1 카운터 한 개를 올려놓는다. 그 생물들은 턴종료까지 경계, 돌진, 무적을 얻는다.||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언커먼|| 토큰덱이 [[고블린 사슬회전꾼|사슬맨]]한테 죽는 바람에 스탠에서는 잘 보이지 않지만, 그 [[대지조작술]]이나 [[신비석 의식]]의 후예 카드로, 2턴간 램프 후 3턴째에 경계무적돌진 달고 돌격시킬 수 있는 서사시. 커맨더에서는 녹색 기반 덱이 잘 채용하며, 은근히 포일값도 비싸다. 스토리는 [[Freyalise, Llanowar's Fury]]의 삶의 일부이다. 1, 2 효과는 [[Ice Age]]에 핀드혼, 라노워 엘프들을 이끈 내용, 3은 그 엘프들이 그녀에게서 힘을 받는 내용. === 가장 오래된 재탄생 === ||<:>'''영어판 명칭'''||<:>'''The Eldest Reborn'''||<|5>[[파일:The+Eldest+Reborn+%5BDOM%5D.jpg]]|| ||<:>'''한글판 명칭'''||<:>'''가장 오래된 재탄생'''|| ||<:>'''마나비용'''||<:><#000>{{{#fff {4}{B}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br][br]I — 각 상대는 생물 또는 플레인즈워커 한 개를 희생한다.[br][br]II — 각 상대는 카드 한 장을 버린다.[br][br]III — 무덤에 있는 생물 또는 플레인즈워커 카드 한 장을 목표로 정한다. 그 카드를 당신의 조종하에 전장에 놓는다.||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언커먼|| 본격 남의 카드로 이기는 카드 중 하나. [[야그모스의 비열한 제물]]의 옆그레이드 버젼으로, 상대 카드 한장도 버리게 할 수 있고 전설적 집중마법이라는 제약이 없는 대신, 2턴 늦게 (자신이나 상대의)무덤에서 생물이나 플워를 가져올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역병제작자와 마찬가지로 적이 희생하게 만드는 카드기때문에 방호나 무적이 있더라도 처치할 수 있다. 물론 상대가 다른 생물이나 플레인즈워커가 없어야한다 ---아니면 나머지를 전부 죽이고 내자---. 초기UB BR 술타이계열에서 시작해서 길라브의 디미르 골가리덱까지 메인/사이드합 2~3장 정도로 잘 쓰이는 훌륭한 서사시.--역시 니콜옹 얼굴 박을 만 하다-- 스토리는 [[니콜 볼라스]]~~였던 것~~이 [[위대한 수복]] 당시 [[Venser, the Sojourner]] 때문에 부활하는 내용. === 켈드의 불길 === ||<:>'''영어판 명칭'''||<:>'''The Flame of Keld'''||<|5>[[파일:The+Flame+of+Keld+%5BDOM%5D.jpg]]|| ||<:>'''한글판 명칭'''||<:>'''켈드의 불길'''|| ||<:>'''마나비용'''||<:><#f00>{{{#fff {1}{R}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br][br]I — 당신의 손을 버린다.[br][br]II — 카드 두 장을 뽑는다.[br][br]III — 당신이 조종하는 적색 원천이 이번턴에 지속물이나 플레이어에게 피해를 입히려 한다면, 대신에 그 피해에 2를 더한 만큼의 피해를 입힌다.||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언커먼|| 나올때 손털기만 빼면 두번째와 세번째 능력이 우수해서 모노레드 덱이 후반을 도모할 '''가능성만''' 보인 카드로 평가되었으나....실상은 [[보맷 배달기계]]의 손털고 드로우 능력과 합쳐져 통합 3마나로 두 카드의 단점이 보완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모노레드 플레임->켈드레드라는 아키타입까지 정립시킨 훌륭한 서사시이다. 코펜하겐 GP에서는 이 덱이 탑8중 한명으로 올라가기도 하였다.--8강에서 떨어졌지만-- 이후에도 아몬케트와 칼라데시 블럭 로테아웃까지 켈드레드는 강덱으로 군림했었다. 스토리는 켈드인들의 역사. 첫 번째 효과는 대충 [[Ice Age]]의 험난한 시절을, 두 번째 효과는 Kradak이 산으로부터 불의 힘을 모아서 열기를 만드는 내용을, 마지막 효과는 켈드인들이 산으로부터 불의 힘을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내용이다. === 얼음의 시대 === ||<:>'''영어판 명칭'''||<:>'''[[Ice Age|Time of Ice]]'''||<|5>[[파일:Time+of+Ice+%5BDOM%5D.jpg]]|| ||<:>'''한글판 명칭'''||<:>'''[[Ice Age|얼음의 시대]]'''|| ||<:>'''마나비용'''||<:><#00f>{{{#fff {3}{U}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br][br]I, II — 상대가 조종하는 생물을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을 탭한다. 당신이 얼음의 시대를 조종하는 한 그 생물은 조종자의 언탭단에 언탭되지 않는다.[br][br]III — 모든 탭된 생물을 소유자의 손으로 되돌린다.||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언커먼|| 이 서사시로 탭된 생물 둘 뿐 아니라, 바로 전 턴에 공격해서 탭했거나, 다른 효과로 탭된 상대 생물까지 모조리 손으로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한턴 버는 효과도 노릴 수 있는 카드. 하지만 완전한 디나이얼도 아니고, 마나 코스트가 비싸서 그런지 리밋 아니면 잘 안쓰인다. 스토리는 [[Ice Age]]. === 제라드의 승리 === ||<:>'''영어판 명칭'''||<:>'''Triumph of [[Gerrard Capashen|Gerrard]]'''||<|5>[[파일:Triumph+of+Gerrard+%5BDOM%5D.jpg]]|| ||<:>'''한글판 명칭'''||<:>'''[[Gerrard Capashen|제라드]]의 승리'''|| ||<:>'''마나비용'''||<:><#fff>{{{#000 {1}{W}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br][br]I, II — 당신이 조종하는 생물 중 공격력이 가장 높은 생물을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에 +1/+1 카운터 한 개를 올려놓든다.[br][br]III — 당신이 조종하는 생물 중 공격력이 가장 높은 생물을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은 턴종료까지 비행, 선제공격, 생명연결을 얻는다.||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언커먼|| 강한 생물을 더욱 강하게 만들어주는 서사시. 리밋에서 리라나 세라엔젤 두번 펌핑하면 신난다(...) 컨스에선 잘 쓰이지 않는다. 스토리는 [[Gerrad Capashen]]이 피렉시아를 무찌른 내용으로, 잘 보면 야그모스가 변이한 촉수를 웨더라이트 모양의 창으로 찌르는 제라드 조각상이 카드에 그려져 있다. == 레어 == === 트란의 몰락 === ||<:>'''영어판 명칭'''||<:>'''Fall of the Thran'''||<|7>[[파일:Fall+of+the+Thran+%5BDOM%5D.jpg]]|| ||<:>'''한글판 명칭'''||<:>'''트란의 몰락'''|| ||<:>'''마나비용'''||<:> {5}{W}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 ||<:>I ||모든 대지를 파괴한다|| ||<:>II[br]III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무덤에서 대지 카드 두 장을 전장으로 되돌린다.||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레어|| [[아마게돈]]을 친 다음 2턴간 대지를 4개까지 복원할 수 있는 카드. 하지만 6마나인데다 상대 마나를 완벽히 견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안쓴다. 스토리는 [[야그모스]] 등의 인물이 있었던 구 트란 제국이 망하는 내용. 첫 번째 효과는 트란이 망하는 내용, 나머지 효과는 그나마 어느정도 수복되는 내용이다. 잘 보면 일러스트 위쪽에 있는 동심원은 다층 구조의 [[피렉시아]] 차원을 의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벨젠로크의 의식 === ||<:>'''영어판 명칭'''||<:>'''Rite of Belzenlok'''||<|7>[[파일:Rite+of+Belzenlok+%5BDOM%5D.jpg]]|| ||<:>'''한글판 명칭'''||<:>'''벨젠로크의 의식'''|| ||<:>'''마나비용'''||<:> {2}{B}{B}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 ||<:>I[br]II ||0/1 흑색 성직자 생물 토큰 두 개를 만든다|| ||<:>III ||비행, 돌진 및 "당신의 유지단 시작에, 다른 생물 한 개를 희생한다. 그럴 수 없다면 이 생물은 당신에게 피해 6 점을 입힌다."를 가진 6/6 흑색 악마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든다.||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레어|| 4턴에 바로 나온다고 해도 악마가 나오는 시기는 6턴째가 되고, 무엇보다 '''[[치명적 밀치기]]'''의 존재 때문에 잘 안쓰인다. 스토리는 도당이 실수로 [[악마군주 벨젠로크]]를 깨우는 내용. === 유물 전쟁 === ||<:>'''영어판 명칭'''||<:>'''The [[Antiquities]] War'''||<|7>[[파일:TheAntiquitiesWar.jpg]]|| ||<:>'''한글판 명칭'''||<:>'''유물 전쟁'''|| ||<:>'''마나비용'''||<:> {3}{U}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 ||<:>I[br]II ||당신의 서고 맨 위 카드 다섯 장을 본다. 당신은 그중에서 마법물체 카드 한 장을 공개한 후 당신의 손으로 가져갈 수 있다. 나머지 카드들은 무작위 순서로 당신의 서고 맨 밑에 놓는다.|| ||<:>III ||당신이 조종하는 마법물체들은 턴종료까지 기본 공격력과 방어력이 5/5인 마법물체 생물이 된다. ||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레어|| [[Tezzeret, Agent of Bolas]]의 +1을 2번 친 다음 [[Tezzeret the Seeker]]의 궁을 쓰는 서사시. 극단적으로 마법물체 전용 덱으로밖에 활용도가 한정되어 있어서 가격 자체는 높지 않다. 다행히 마이너하게 이 카드가 진가를 발휘할 급조덱, UG카른덱 등이 있기 때문에 [[우르자의 후예, 카른|카른]]과 함께 피니셔로 활용되는 정도. --이 카드가 너무 테제렛 그 자체라서 [[책략가 테제렛]]이 찬밥신세가 되었다.-- 칼라데시/아몬케트 로테아웃과 동시에 버려졌다. 어쩔 수 없는게, 칼라데시 시절의 정신나간 마법물체 성능때문에 아몬케트부터 제대로 된 마법물체가 나오지 않았고, 칼라데시쪽 마법물체 의존도가 매우 높았던 급조덱과 카른덱은 그 기반이 송두리째 박살났기 때문.. 이렇게 스탠에서는 찬밥신세인 카드이지만 레가시에서는 4장 채워넣는 덱이 있는 카드이다. UB 테제레이터가 [[우르자의 후예, 카른|도미 카른]]을 4장 채워넣고, 거기에 피니셔로 이 카드를 4장 채워넣기 시작하자 정작 [[Tezzeret, Agent of Bolas|원래 쓰던 테제렛]] 1장 또는 [[Tezzeret, Artifice Master|2019판 테제렛]] 1장으로 줄여버리는 바람에 덱 명칭이 UB 테제레이터/카른/유물전쟁의 세가지로 불려버리는 상태. 덕분에 나름 '''자기 이름의 덱 아키타입'''을 보유한 카드가 되었다. 여담으로 이름 그대로 [[Antiquities]] 배경으로 일어난 형제 전쟁을 묘사한 카드이다.--[[우르자]]가 또...-- 중앙의 두 손은 Mightstone와 Weakstone을 들고 있는 우르자와 미쉬라의 손.--그 와중에 깨알같이 보이는 Dragon Engine-- === 최초의 분출 === ||<:>'''영어판 명칭'''||<:>'''The First Eruption'''||<|8>[[파일:The+First+Eruption+%5BDOM%5D.jpg]]|| ||<:>'''한글판 명칭'''||<:>'''최초의 분출'''|| ||<:>'''마나비용'''||<:> {2}{R}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 ||<:>I ||최초의 분출은 비행이 없는 각 생물에게 피해 1점을 입힌다.|| ||<:>II ||{R}{R}를 추가한다|| ||<:>III ||산 한 개를 희생한다. 그렇게 한다면, 최초의 분출은 각 생물에게 피해 3점을 입힌다.||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레어|| 매스를 2번 칠 수 있지만 저걸 쓰느니 [[파멸의 시간]]이나 무더운 태양을 쓰는게 나아서 버려졌다. 스토리는 시브 대륙에 대한 기투 인들의 탄생 설화. 불로 된 노른자위를 가진 돌 알에서 대륙이 탄생했다는 내용이다. === 도미나리아의 수복 === ||<:>'''영어판 명칭'''||<:>'''[[The Mending]] of Dominaria'''||<|7>[[파일:The+Mending+of+Dominaria+%5BDOM%5D.jpg]]|| ||<:>'''한글판 명칭'''||<:>'''도미나리아의 수복'''|| ||<:>'''마나비용'''||<:> {3}{G}{G}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 ||<:>I[br]II ||당신이 서고 맨 위 카드 두 장을 당신의 무덤에 넣은 후, 당신은 당신의 무덤에서 생물 카드 한 장을 당신의 손으로 되돌릴 수 있다.|| ||<:>III ||당신의 무덤에 있는 모든 대지 카드를 전장으로 되돌린 후, 당신의 무덤을 당신의 서고에 섞어 넣는다. ||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레어|| 무덤에서 생물을 2번 회수하고 무덤 대지램프를 하는 카드. 무덤 의존도가 낮은 녹색 커맨더덱이 좋아한다. [[위대한 수복]]을 주제로 한 서사시. 나무에 새겨진 인물들은 위에서부터 [[Freyalise, Llanowar's Fury|프레얄리스]], [[Lord Windgrace|윈드그레이스 경]], [[카른]], [[테페리]]이며 모두 도미나리아의 균열을 닫는 데 일조한 인물들이다.--정작 인간이 한명뿐인거 같지만-- === 미라리의 예측 === ||<:>'''영어판 명칭'''||<:>'''The Mirari Conjecture'''||<|8>[[파일:The+Mirari+Conjecture+%5BDOM%5D.jpg]]|| ||<:>'''한글판 명칭'''||<:>'''[[Mirari|미라리]]의 예측'''|| ||<:>'''마나비용'''||<:> {4}{U}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 ||<:>I ||당신의 무덤에 있는 순간마법 카드를 목표로 정한다, 그 카드를 당신의 손으로 되돌린다.|| ||<:>II ||당신의 무덤에 있는 집중마법 카드를 목표로 정한다, 그 카드를 당신의 손으로 되돌린다.|| ||<:>III ||턴종료까지, 당신이 순간마법 또는 집중마법 주문을 발동할 때마다, 그 주문을 복사한다. 당신은 그 복사본의 목표를 새로 정할 수 있다.||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레어|| 원본 [[Mirari]]의 능력에 걸맞게, 주문 2개를 재활용하고 한턴동안 모든 주문을 복사 가능하게 하는 카드로 나왔다. 다만 마나 비용이 너무 크다는게 흠. 하지만 이 카드를 이용한 스펠 툴박스 덱을 짠 사람도 있는듯[[http://www.starcitygames.com/events/coverage/ub_mirari_conjecture_with_jose.html|#]] 코어세트 2019 발매 후 터보포그덱에서 1장 들어간다. 그리고 [[라브니카의 길드]] 이후 시간이 좀 지나자 컨트롤 덱에서 한두장씩 채용하기 시작했다. 세로로 길면서 간지나는 일러스트 때문에 스마트폰 배경화면으로 인기가 높다. == 미식레어 == [anchor(베날리아의 역사)] === 베날리아의 역사 === ||<:>'''영어판 명칭'''||<:>'''History of Benalia'''||<|8>[[파일:History of Benalia.png]]|| ||<:>'''한글판 명칭'''||<:>'''베날리아의 역사'''|| ||<:>'''마나비용'''||<:><#fff>{{{#000 {1}{W}{W}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 ||<:>I ||<|2>경계를 가진 2/2 백색 기사 생물 토큰 한 개를 만든다.|| ||<:>II || ||<:>III ||당신이 조종하는 기사들은 턴종료까지 +2/+1을 받는다.||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미식레어|| 단 둘 뿐인 미식레어 서사시이자 실전에서 가장 고평가받는 서사시. 처음 두 턴동안 3마나 한번만 들여서 2/2 경계를 가진 기사 토큰을 두 개나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말도 안 되게 강력하며, 심지어 마지막엔 버프도 한번 해준다. 추가로 기사토큰이 경계를 달고 있어서 [[떼어내기]]에도 면역이다. LSV는 3.5점을 주었고, Ali Aintrazi는 4점을 주며 [[도미나리아]]에서 3번째로 좋은 카드라 평가했다. [* 1등이 [[이니스트라드의 2색 대지|버디랜드]]고 2등이 [[라노워 엘프]]라는 걸 생각하면 실질적으로 도미나리아 세트에서 가장 고평가된 카드.] 이런 성능으로 WB 탑승물덱의 메인에 4장 그리고 UW 컨트롤덱의 사이드에 4장 들어간다. [[라브니카의 길드]]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백위니 덱에서도 당연히 4장 꽉꽉 들어간다. 여기에 [[플레인즈워커 전쟁]]에서는 [[시간을 꼬는 자, 테페리]]가 2절까지 간 서사시를 손으로 다시 되돌리면 또다시 꺼내면서 토큰 2마리를 더 뽑을 수 있다는 점이 주목받아 청터치가 들어간 아조리우스 어그로가 등장하기도. 여담으로 도미나리아의 기사 토큰에는 평범한 기사 토큰 카드와 스테인드글라스 장식 안의 기사 토큰 카드의 2 종류가 있는데, 이 스테인드글라스 기사 토큰이 베날리아의 역사 연계 토큰 취급이라 상당히 희귀한 것으로 악명이 높다. --1디피 뜯으면 한장 나올까 말까할 빈도다-- 일러스트는 베날리아의 창시자, Torsten Von Ursus의 스테인드 글라스이다. === 피렉시아의 성서 === ||<:>'''영어판 명칭'''||<:>'''Phyrexian Scriptures'''||<|8>[[파일:Phyrexian+Scriptures+%5BDOM%5D.jpg]]|| ||<:>'''한글판 명칭'''||<:>'''피렉시아의 성서'''|| ||<:>'''마나비용'''||<:> {2}{B}{B} || ||<:>'''[[매직 더 개더링/카드의 타입|유형]]'''||<:>부여마법 — 서사시|| ||<-2>(이 서사시가 들어오면서 그리고 당신의 뽑기단 후에, 전승 카운터 한 개를 추가한다. III 이후에 희생한다.)|| ||<:>I ||생물을 최대 한개까지 목표로 정한다. 그 생물에 +1/+1 카운터 한개를 올려놓는다. 그 생물은 자신의 원래 유형에 더불어 마법물체가 된다. || ||<:>II ||모든 마법물체가 아닌 생물을 파괴한다. || ||<:>III ||모든 상대의 무덤에서 모든 카드를 추방한다 || ||<-2><:>'''[[매직 더 개더링/블록|수록세트]]'''||<:>'''희귀도'''|| ||<-2><:>[[도미나리아]]||<:>미식레어|| 베날리아의 역사와 함께 등장한 단 둘 뿐인 미식레어 서사시. 미식레어라는 희귀도에 맞게, 3턴이 걸리지만 4마나만으로 아군 생물 하나를 버프하고 나머지는 싹쓸이 + 거기다가 상대의 무덤까지 밀어버린다. 다만 매스 대상에 [[보맷 배달기계|마법]][[폐품 약탈자|생물]]이 제외된다는 점이 치명적이고, 이 카드를 발동하고 한턴뒤에 필드를 밀어버리는 점이 결국 5마나 매스랑 타이밍적으로 똑같고 상대방에게도 여유 시간을 줘버리는 효과가 되어버리기 때문에 타이밍 재기가 좀 많이 에매하다. 다음 턴에 생물이 싹슬이 당한다는걸 아는데 생물을 까는 상대가 어디있겠는가. 그리고 4턴쯤 상대 어그로가 생물이 왕창 깔린 상황에 깔아봐야 다음턴에 맞아죽기만 한다. --살아도 번이 날아온다.-- 그래서 가격은 2불대로 베이스를 깔아버린 상태. 한턴 대기 후 매스를 친다는 특성 때문에 [[파멸의 예언자|모 종마리]]와 엮이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쪽의 현실은 옆동네와는 전혀 틀리다는 사실만 깨닫게 해 줬다.--애초에 종마리와 엮이려면 피렉성서가 3코쯤은 되어야 이야기가 됐을지도...--[* 하스와 달리 매직은 대지때문에 때가 되면 칼같이 주문을 쓸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 1번 효과는 [[피렉시아]]의 타락을, 2번 효과는 [[피렉시아]]의 침략을 의미한다. 일러스트는 우르자의 전설 때 나온 [[어둠의 의식]]의 오마주이다. [[분류:매직 더 개더링/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