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영국의 남성 정치인]][[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분류:영국 외무장관]][[분류:1974년 출생]][[분류:영국의 성공회 신자]][[분류:버킹엄셔주 출신 인물]][[분류:옥스퍼드 대학교 출신]][[분류:케임브리지 대학교 출신/지저스 컬리지]][[분류:제58대 영국 서민원 의원]][[분류:영국 보수당 소속]] ||<-2> '''영국 부총리[* Deputy Prime Minister] 겸 제10·12대 법무장관[br]{{{+1 도미닉 랍}}}[br]Rt Hon. Dominic Raab MP[* 현직 서민원 의원임을 표기(Member of Parliament).]'''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1200px-Official_portrait_of_Rt_Hon_Dominic_Raab_MP_crop_2.jpg|width=100%]]}}}|| || '''본명''' ||도미닉 레니 랍[br]Dominic Rennie Raab || ||<|2> '''출생''' ||[[1974년]] [[2월 25일]] ([age(1974-02-25)]세) || ||[[잉글랜드]] [[버킹엄셔]] || ||<|4> '''재임기간''' ||부총리 겸 제10대 법무장관 || ||[[2021년]] [[9월 15일]] ~ [[2022년]] [[9월 6일]] || ||부총리 겸 제12대 법무장관 || ||[[2022년]] [[10월 25일]] ~ 현직 || || '''학력''' ||닥터 찰로너스 그래머 스쿨[* Dr Challoner's Grammar School. 버킹험셔에 위치한 중등학교. 한국의 중고등학교에 해당한다.] {{{-2 ([[졸업]])}}}[br][[옥스퍼드 대학교]] {{{-2 (법학 / [[학사]])}}}[br][[케임브리지 대학교]] {{{-2 (국제법 / [[석사]])}}} || || '''직업''' ||[[의원(정치인)#s-2.2|서민원 의원 ,,(Member of Parliament),,]]|| || '''정당''' ||[include(틀:보수당(영국))]|| || '''종교''' ||[[개신교]] {{{-2 ([[성공회]])}}} || || '''지역구''' ||에셔 월튼 (Esher and Walton)|| || '''배우자''' ||에리카 레이 (Erika Rey)|| || '''자녀''' ||2명 || || '''부모''' ||아버지 피터 랍[br] 어머니 지안 랍|| || '''의원 선수''' ||'''4'''|| || '''의원 대수''' ||[[제55회 영국 총선|55]], [[제56회 영국 총선|56]], [[제57회 영국 총선|57]], [[제58회 영국 총선|58]]|| [목차] [clearfix] == 개요 == [[보수당(영국)|보수당]] 소속의 [[영국]] 정치인이다. [[보리스 존슨 내각]]에서 수석장관 겸 외무영연방장관, 부총리 겸 법무부 장관을 지냈으며, [[보리스 존슨]] 총리 직무를 대행하기도 했다. [[리시 수낵 내각]]에서 부총리 겸 법무부 장관으로 복귀했다. == 생애 == === 학창시절과 정치 입문 ===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의 [[버킹엄셔]]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뮌헨 조약]]이 체결되면서 [[나치 독일]]의 점령지가 된 [[체코슬로바키아]][* 랍의 아버지가 건너왔을 당시에는 [[체코]]와 [[슬로바키아]]가 하나의 나라였다.]에서 건너온 [[유대인]]이고, 어머니는 [[성공회]]를 믿는 [[잉글랜드인]]이다.[* 랍은 자신의 어머니와 마찬가지로 성공회교도이다.] 랍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 대학원에서 [[국제법]]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는다. 석사 학위를 받은 후, 랍은 '링크레이터스(Linklaters)'라는 로펌에서 2년간 인턴으로 근무한다. 이 후 국제법 전문 [[변호사]]로서 영국 외무부에서 근무한다. [[유럽연합]]과의 관계나 [[지브롤터]] 영유권 문제에 대한 자문을 많이 했다. 이 후 랍은 [[제55회 영국 총선]]에서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 [[서리(잉글랜드)|서리]] 주의 '에셔 & 왈튼(Esher & Walton)'이라는 지역구에서 보수당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된다. 초선의원으로서 랍은 [[프리티 파텔]], [[리즈 트러스]] 등과 함께 보수당 내 [[대처주의]] 우파 성향[* 보수당 내에서도 대표적인 극우 성향 정치인이다] 초선의원들의 의원 모임을 주도했다.[* 이들 중 랍을 포함한 5명은 [[영국/경제|영국 경제]]의 [[신자유주의]]적 개혁을 촉구하는 [[브리타니아 언체인드]]라는 저서를 저술한 바 있다.] 5년 뒤에 치러진 [[제56회 영국 총선]]에서도 당선되었으며, [[브렉시트]] 국민투표 과정에서 찬성파의 핵심적인 인물로 활동하면서 [[국민보수주의|강경보수]]•[[극우]]파의 유력한 정치인으로 부상하게 된다. [[테레사 메이]] 내각에서 랍은 주택자치 담당 차관[* Ministry of Housing,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공공주택 보급과 지방자치단체 관할을 담당하는 부서이다.]과 브렉시트부 장관을 맡는다. 그러나 브렉시트 장관 임명 4개월 후 테레사 메이의 브렉시트 정책에 반대해 에스터 맥베이 노동연금부 장관과 사퇴한다. 이후 메이가 브렉시트 정책의 잇다른 실패로 인해 사임할 것을 발표했을 때, 이에 반대 급부로 브렉시트 강경파인 랍은 2019년에 치러진 보수당 대표 겸 영국 총리 선거에서 유력한 후보로 부상하기도 하였다. 여론조사업체 유고브에서 실시한 여론조사[* 해당 선거에서 실질적으로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었던 보수당 당원들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에 따르면, 랍은 13%의 지지를 얻어 압도적인 1위인 [[보리스 존슨]][* 존슨은 39%] 다음으로 많은 지지를 얻었다. 하지만 보수당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투표[* 보수당 대표를 선출할 때에는 우선 여러 차례의 의원 투표를 거쳐 최후의 2인만 남도록 한다.]에서 낙선하면서, 존슨을 총리로 지지하게 된다. 이 후 존슨은 압도적인 득표로 총리에 당선되었으며, 자신을 도운 랍을 선임장관[* First Secretary of State. 당시 영국은 부총리직이 공석이었기 때문에, 선임장관이 내각에서 서열 2위이다.] 겸 외무영연방장관에 임명한다. === 외무·영연방장관 === [[2019년]] [[8월 9일]] 랍 장관이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한테 홍콩 시위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요구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421&aid=0004138634|기사]] 영국 외무부는 성명을 통해 "랍 외무장관은 의미 있는 정치적 대화를 통해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아야 한다"며 "최근 사건에 대한 철저한 독립적 조사도 신뢰를 쌓는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이 신문은 이어 "그는 양측의 폭력 행위를 비판하면서도 수십만 명의 홍콩인들이 자신들의 견해를 표현하기 위해 이 길을 선택했다는 점에 주목하며 평화적인 항의의 권리를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신문에 따르면 "랍 장관은 폭력이 다수의 합법적인 행동을 흐리게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보리스 존슨 내각에서의 첫 [[홍콩 범죄인 인도법 반대 시위]] 관련 입장이기도 하다. [[제58회 영국 총선]]에서 의석을 잃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었다. 지역구인 에셔 & 왈튼이 원래는 보수당 텃밭이지만 자유민주당이 5% 차이로 추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에셔 & 왈튼은 [[중산층]] 비율이 매우 높아 전통적으로 보수당 초강세 지역이었다. 하지만 동시에 이 지역은 젊은층 비율 또한 높은 편이며, [[브렉시트]] 국민투표 당시 잔류 여론이 강했던 지역이기 때문에 해당 총선 당시에는 보수당에 대한 비토 심리 또한 상당한 편이었다.] 이 때문에 1997년 영국 총선 당시 국방부 장관으로서 차기 보수당 대표로 거론되는 유력한 정치인이었음에도 자신의 지역구에서 패배한 마이클 포틸로[* 이 때문에 현재까지도 영국에서는 유력한 정치인의 급속한 몰락을 '포틸로 모먼트'라고 부른다.]와 비교되기도 했었다. 그러나 선거 결과 49.4%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자유민주당 후보를 4.4%, 2,743표차로 재치고 지역구를 수성하는 데 성공했다. 브렉시트 이후의 영국은 자유롭게 다른 국가들과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할 수 있는 만큼,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일본]] 등 전통적인 우방국들과 FTA를 체결하기 위한 순방을 다녔다.[* 영국의 전통적인 우방국들 중 하나인 [[대한민국]]과는 이미 [[브렉시트]] 이전에 [[한영 FTA]]를 체결하였다.] 2월 7일에 호주를 찾아 호주의 외무장관과 양국간 FTA 체결, 영국의 [[화웨이]] 통신장비 허용결정 등 주요 현안들을 논의했다. [[https://www.standard.co.uk/news/politics/postbrexit-britain-will-be-energetic-champions-of-free-trade-dominic-raab-says-a4355921.html|#]] 2월 8일에는 일본을 찾아 일본의 외무장관과 양국간 FTA 체결, 해양안보에서의 협력 등 각 분야에서의 협력 강화 방침을 확인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00208041400073?input=1179m|#]]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00208000053|##]] 2020년 4월 6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보리스 존슨]]을 대신해 총리 대행(Deputise)을 맡은 바 있다.[[https://www.youtube.com/watch?v=6yhKqskuEys&t=438s|#]]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 당시 상황이 매우 급박했음에도 [[그리스]]로 휴양을 떠나, 5성 호텔에서 머물면서 일주일간 모든 업무를 부장관인 잭 골드스미스 경[* [[보리스 존슨]] 1기 내각에서 환경부장관을 지냈고 [[2016년 런던광역시장 선거]] 후보로 출마했다가 낙선했다.]에게 떠넘겼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미국]] 다음으로 아프간 전쟁에 많이 관여한 영국의 외무 정책을 총괄하는 사람임에도 핵심 인물과의 통화마저 격이 맞지 않는 부장관에게 떠넘기는 [[직무유기]] 행보가 크게 비판받고 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609642|#]] 긴급 소집된 서민원 회의에서 여야 상관 없이, 특히 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용사 출신 의원들한테 대차게 까였다. 이후 서민원 외교위원회 회의에서도 위원들한테 질책받았다. === 부총리 겸 법무장관 === 결국 상기된 논란 때문에 [[2021년]] [[9월 15일]] 개각 때 법무부 장관으로 좌천되었다. 비록 강등되었지만 부총리(Deputy Prime Minister) 직함을 얻어 최소한의 체면은 지키게 되었다. === 부총리 겸 법무장관 사임 이후 === [[리즈 트러스 내각]]에서는 각료직을 맡지 않고 2선으로 물러났다. [[2022년 9월 영국 보수당 지도부 선거]]에서 영국 총리 겸 보수당 당대표로 [[리시 수낙]]을 지지했으며, [[2022년 10월 영국 보수당 지도부 선거]]에서도 수낙을 지지하고 있다. [[https://twitter.com/DominicRaab/status/1546841820935720960|#]] [[https://twitter.com/DominicRaab/status/1583134634333720576|##]] 대표적인 친수낙 성향 중진이라고 할 수 있다. === [[리시 수낙 내각]]: 부총리 겸 법무장관 복귀 === 자신의 여름 휴가를 취소하며 수낙 캠페인을 도울 정도로 친 수낙 인사로 분류되어 내무장관으로 승진할 가능성도 보였으나 막판에 지지 선언으로 당선에 크게 일조한 [[수엘라 브레이버먼]]에 돌아가며 [[리즈 트러스 내각]] 출범 직전 직책인 부총리 겸 법무부 장관으로 복귀했다.[[https://twitter.com/10DowningStreet/status/1584924178154668033|#]] == 여담 == 에리카 레이(Erika Rey)라는 브라질 여성과 결혼하여 슬하에 자녀 2명을 두고 있다. [[가라테]] [[블랙 벨트]]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다. 영국의 시사 풍자 TV쇼 spitting image에서 도미닉 랍이 가라데 도복 차림으로 나온다. [[https://www.google.co.kr/search?q=dominic+raab&sxsrf=ACYBGNS6ItSPdMIXoj_1igtq64lWRxbmmQ:1578711596353&source=lnms&tbm=isch&sa=X&ved=2ahUKEwj73pz_xvrmAhUTyosBHQupDvsQ_AUoAXoECA0QAw&biw=1920&bih=937|얼굴 자체는 상당히 잘생긴 편]]이지만, 현재 [[탈모]] 증상이 일어나고 있다. == 선거 이력 == || '''연도''' || '''선거'''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락''' || '''비고''' || || 2010 || [[제55회 영국 총선]] ||<|4> 에셔 & 왈튼 ||<|4> [include(틀:보수당(영국))] || '''32,134 (58.9%)''' ||<|4> '''당선 (1위)''' || '''초선''' || || 2015 || [[제56회 영국 총선]] || '''35,845 (62.9%)''' || '''재선''' || || 2017 || [[제57회 영국 총선]] || '''35,071 (58.6%)''' || '''3선''' || || 2019 || [[제58회 영국 총선]] || '''31,132 (49.4%)''' || '''4선''' || == 둘러보기 == [include(틀:제58대 영국 국회의원/보수당)] [include(틀:제1차 보리스 존슨 내각의 각료)] [include(틀:제2차 보리스 존슨 내각의 각료)] [include(틀:리시 수낙 내각의 각료)] [include(틀:영국의 내각 구성원)] [include(틀:포크됨2, title=도미닉 랍, d=2023-02-12 15:2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