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로스터)] ---- ||
'''{{{#ffffff 도밍고 아세베도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68번}}}''' || || [[패트릭 슈스터]][br](2016) || {{{+1 →}}} || '''{{{#003831 도밍고 아세베도[br](2021~2023)}}}''' || {{{+1 →}}} || [[조이 에스테스]][br](2023~)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애슬레틱스아세베도.webp|width=100%]]}}} || ||<-2>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 No.''' || ||<-2> '''{{{+2 도밍고 아세베도}}}[br]Domingo Acevedo''' || || '''본명''' ||도밍고 안토니오 아세베도[br]Domingo Antonio Acevedo || ||<|2> '''출생''' ||[[1994년]] [[3월 6일]] ([age(1994-03-06)]세) || ||비야 로스 알마시고스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도미니카 공화국)] || || '''신체''' ||201cm / 108kg || || '''포지션''' ||[[중간계투]]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3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뉴욕 양키스|NYY]]) || || '''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2021~2023) ---- [[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에스트레야스 오리엔탈레스]] (2020/21~2021/22) || || '''계약''' ||1yr / $725,000 || || '''연봉''' ||2023 / $725,000 || || '''등장곡''' ||[[https://www.youtube.com/watch?v=hsV3YmuB0Kw|Mi Ultima Dia]] - Tercer Cielo || || '''SNS''' ||[[https://www.instagram.com/acevedo_41/?hl=ko|[[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마이너 소속 우완 투수. == 선수 경력 == === [[뉴욕 양키스]] 산하 마이너 === 2013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으로 [[뉴욕 양키스]]에 입단하였다. 계약금은 7,500 달러를 수령했다. 입단 직후 팀 내 유망주 순위 25위에 오르는 등 많은 기대를 받았다. 특히 직구 구속이 최고 103마일을 찍자 기대는 더욱 증폭되었다. 88~89마일에서 형성되는 고속 슬라이더 역시 기대받는 구종이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UYvHv6OV1A)]}}} || || '''{{{#fff 2016년 양키스 산하 로우-A 구단에서 활동할 당시}}}''' || 마이너에서 계속해서 좋은 성적을 기록하였으며, 2016 시즌에는 하이싱글A와 싱글A에서 93이닝을 소화하며 3.1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고, 이듬해에는 AAA로 승격했다. 2017 시즌 AAA에선 12⅓이닝 4.38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고 올스타 퓨처스 게임에도 참가하였다. 이 기간 유망주 랭킹도 지속해서 올랐는데, 16-17-18시즌 각각 팀 내 8위, 6위, 4위에 이름을 올렸다. 2017 시즌 이후 처음으로 40인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2018 시즌에는 산하 AA팀에서 시즌을 시작했으나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이후 7월 21일 [[도밍고 헤르만]]이 부상자 명단에 오르자 커리어 처음으로 빅리그에 콜업되었다. 그러나 손가락에 물집이 잡히는 증상이 생기며 메이저에 데뷔하지 못하고 부상자 명단에 올랐고, 8월 말 마이너리그로 복귀하였다. 그러나 세 경기만을 등판하고 다시 부상이 도져 시즌아웃당했다. 2018 시즌까지는 꾸준히 선발로 등판했으나 2019 시즌부터는 불펜으로만 출장하기 시작했고, 이후 별다른 성장을 이루지 못한 채 2020 시즌 종료 후 자유계약신분이 된다. 결국 양키스 소속으로는 빅리그에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했다.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 2021 시즌 ==== 2021 시즌을 앞두고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스프링캠프 초청권이 포함된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 현재 오클랜드 AAA팀인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에서 불펜투수로 출장하고 있다. 2점대 평균자책점으로 상당히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다. 6월 21일, 부진했던 [[헤수스 루자르도]]가 옵션되고 콜업되었다. 동시에 40인 로스터에도 포함되었다. 콜업 첫 날 등판하여 메이저리그 데뷔를 이루었다. 1이닝 1피안타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이후 두 번의 등판에서 2이닝 3실점을 기록했고, 7월 3일 옵션되었다. 7월 30일 [[얀 곰스]]와 [[조시 해리슨]]을 트레이드로 데려오면서 [[지명할당]]되었다. 8월 1일 방출되었다. 하루 후 오클랜드 구단과 다시 마이너 계약을 맺으며 [[라스베가스 에비에이터스]]로 복귀하였다. 9월 14일에 다시 빅리그에 콜업되었다. 당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와의 경기에서 석 점 뒤진 8회 등판하여 [[살바도르 페레즈]] - [[앤드류 베닌텐디]] - [[카를로스 산타나(야구선수)|카를로스 산타나]]로 이어지는 중심타선을 삼자범퇴로 막아냈다. 9월 20일 [[시애틀 매리너스]]와의 경기에서 석 점 뒤진 6회 초 선발투수 [[션 머나야]]의 뒤를 이어 등판했다. 첫 이닝은 삼자범퇴로 정리했고, 이어지는 7회에는 1사 이후 [[J.P. 크로포드]]에게 2루타를 맞았으나 [[타이 프랭스]]와 [[미치 해니거]]를 각각 땅볼, 삼진 처리하며 실점하지 않았다. 최종적으로 2이닝 1피안타 무사사구 2K 무실점을 기록했다. 9월 22일 [[시애틀 매리너스]]와의 경기에서 석 점 뒤진 9회 등판해 삼자범퇴 이닝을 만들었다. 팀은 그대로 패했다. 9월 24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경기에서 12점차로 크게 앞선 9회 초 경기를 끝내기 위해 올라왔으나 첫 두 타자에게 볼넷을 내주며 불안하게 시작했다. 이후 [[채스 맥코믹]]을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급한 불을 껐으나 [[제이크 마이어스]]에게 볼넷을 허용하며 1사 만루의 위기를 자초했다. 다행히 [[제이슨 카스트로]]와 [[호세 시리]]를 연속 삼진 처리하며 실점하지 않고 경기를 끝냈다. 1이닝 3볼넷 3K 무실점이라는 괴랄한 피칭을 선보였다. 9월 27일 [[시애틀 매리너스]]와의 경기에서 9점 뒤진 8회 말 등판하여 삼자범퇴 이닝을 만들었다. 투수 땅볼만 두 개를 이끌어냈다. 10월 2일 [[휴스턴 애스트로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6점 뒤진 8회 말 등판하였다. 선두타자 [[호세 알투베]]에게 안타를 허용했으나 [[마이클 브랜틀리]]를 병살 처리하며 2아웃을 올렸고, 이후 [[알렉스 브레그먼]]에게 좌익수 뜬공을 유도하며 이닝을 정리했다. 10월 3일 휴스턴과의 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두 점 뒤진 8회 말 등판하였으나 선두타자 [[카를로스 코레아]]에게 홈런을 맞았다. 이후 안타와 볼넷을 허용하며 1사 1,2루의 위기에 몰렸으나 [[마윈 곤잘레스]]를 2루수 뜬공, [[제이크 마이어스]]를 중견수 뜬공 처리하며 이닝을 끝냈다. 시즌 최종 성적은 10경기 11이닝 ERA 3.27, WHIP 1.182, 4볼넷 9K. ==== 2022 시즌 ==== 3월 21일 [[클리블랜드 가디언스]]와의 경기에서 시범경기 첫 등판을 가졌으나 [[오스카 곤잘레스]]에게 투런 홈런을 맞으며 1이닝 2자책을 기록했다. 3월 25일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시범경기에서 6회 [[샘 몰]]의 뒤를 이어 등판하였다. 선두타자 [[앤드류 맥커친]]에게 3루수 내야안타를 허용했으나 이후 [[라우디 텔레즈]]와 [[헌터 렌프로]]에게 땅볼을 유도하며 2아웃을 잡았고, [[페드로 세베리노]]를 뜬공 처리하며 이닝을 끝냈다. 1이닝 무실점을 기록하고 마운드를 [[샘 셀먼]]에게 넘겼다. 작년 오클랜드 불펜진의 대부분이 FA로 풀려 경험이 있는 선수가 전무하다시피 하다. 따라서 지난 시즌 가능성을 보여준 아세베도가 중용될 가능성이 크다. 무난하게 개막 로스터에 포함되었다. 4월 8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정규시즌 개막전에서 7회 말 [[제이크 르모인]]의 뒤를 이어 등판하였다. 선두타자 [[J.T. 리얼무토]]를 삼진으로 잡아냈으나 이후 [[브라이스 하퍼]]에게 볼넷을 허용했고, [[닉 카스테야노스]]에게 적시 2루타를 맞으며 한 점을 내주었다. [[리스 호스킨스]]를 삼진 처리하며 이닝을 끝냈다. 8회 [[커비 스니드]]에게 마운드를 넘겼다. 1이닝 1피안타 2K 1자책을 기록했다. 4월 10일 [[필라델피아 필리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두 점 앞선 7회 말 등판하였다. 1사 이후 [[리스 호스킨스]]에게 볼넷을 내주었으나 삼진 두개와 땅볼 두개로 무실점 이닝을 만들었다. 1이닝 1볼넷 2K 무실점으로 데뷔 첫 홀드를 기록하였다. 4월 12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동점 상황 8회 말 등판하였다. 8회는 공 7개로 삼자범퇴로 정리했고, 9회에는 2사 이후 볼넷을 내준 후 [[샘 몰]]로 교체되었다. 이후 몰이 [[브랜든 라우]]를 뜬공으로 돌려세우며 이닝을 끝냈다. 팀은 10회 말 [[루 트리비노]]의 블론세이브로 패배했다. 1⅔이닝 1볼넷 2K 무실점으로 좋은 피칭을 펼쳤다. 4월 14일 [[탬파베이 레이스]]와의 경기에서 석 점 앞선 7회 말 1사 상황 [[콜 어빈]]의 뒤를 이어 등판하였다. 올라오자마자 [[마누엘 마고]]를 삼구삼진으로 돌려세웠고, [[마이크 주니노]] 역시 5구만에 삼진 처리하며 이닝을 끝냈다. ⅔이닝 2탈삼진으로 시즌 두 번째 홀드를 기록했다. 4월 16일 [[토론토 블루제이스]]와의 시리즈 두 번째 경기에서 선발투수 [[폴 블랙번]]에 이어 석 점 앞선 6회 말 등판하였다. 6구만에 투아웃을 잡으며 안정적으로 출발했으나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에게 안타를 맞은 이후 [[맷 채프먼]]과 [[잭 콜린스(야구선수)|잭 콜린스]]에게 백투백 홈런을 맞으며 순식간에 동점을 허용했다. 이후에도 두타자 연속 안타를 얻어맞으며 갈피를 잡지 못했고, 결국 이닝을 끝내지 못한 채 [[저스틴 그림]]으로 교체되었다. 그림이 [[브래들리 짐머]]를 삼진 처리하며 역전은 허용하지 않았다. 데뷔 첫 블론세이브를 기록하였다. 팀은 9회 초 터진 [[크리스티안 파체]]의 투런 홈런으로 승리하였다. ⅔이닝 5피안타 3자책을 기록하며 평균자책점은 2.08에서 7.20으로 폭등하였다. 시즌 초반이지만 현재까지 팀 내 투수들 중 가장 많은 경기에 출장하며 신임을 얻고 있다. 4월 18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시리즈 첫 경기에서 넉 점 앞선 7회 초 등판했다. 안타 두 개를 맞으며 1사 1,2루의 위기에 몰렸으나 [[오스틴 헤이스]]를 4구만에 병살 처리하며 실점하지 않았다. 팀은 그대로 승리하였다. 4월 21일 [[볼티모어 오리올스]]와의 경기에서 7회 초 [[저스틴 그림]]이 3피안타 1사구로 탈탈 털리며 한 점 차로 경기가 좁혀지자 불을 끄기 위해 무사 1,2루 상황에서 등판하였다. 올라오자마자 [[라몬 유리아스]]를 풀카운트 승부 끝 포수 파울플라이 아웃으로 처리했고, [[앤서니 벰붐]]을 땅볼, [[호르헤 마테오]]를 돌려세우며 위기를 탈출했다. 팀은 그대로 승리했다. 시즌 세 번째 홀드를 기록했다. 4월 27일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와의 원정 경기에서 한 점 앞선 6회 말 선발투수 [[폴 블랙번]]의 뒤를 이어 등판하였다. [[오스틴 슬레이터]] - [[브랜든 벨트]] - [[윌머 플로레스]]로 이어지는 자이언츠의 1-2-3번 타선을 땅볼 - 삼진 - 땅볼로 막고 7회 [[샘 몰]]로 교체되었다. 시즌 네 번째 홀드를 기록하였다. 6월 26일 [[캔자스시티 로열스]]와의 경기에서 한 점 앞선 7회 상황 [[샘 몰]]의 뒤를 이어 등판해 삼자범퇴를 기록했다. 팀이 그대로 승리하며 데뷔 첫 승리를 거두었다. 기존 마무리 [[대니 히메네스]]가 부상으로 빠진 이후 다른 선수들이 마무리 자리에서 마땅히 좋은 모습을 보이지 않자 시즌 막판 세이브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기용되고 있다. 9월 9일 [[시카고 화이트삭스]]와의 경기에서 1이닝 1피안타 3K 무실점을 기록하며 시즌 20홀드의 고지에 올라섰다. 9월 14일 [[텍사스 레인저스]]와의 원정경기에서 한 점 앞선 9회 말 2사 1루 상황에서 [[샘 몰]]의 뒤를 이어 경기를 끝내기 위해 등판했다. 5구에 [[마크 마타이아스]]를 삼진으로 돌려세우며 경기를 끝냈다. 시즌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9월 30일 [[시애틀 매리너스]]와의 원정경기에서 동점 상황 9회 말 [[타일러 시어]]의 뒤를 이어 등판했다. 첫 두 타자 [[미치 해니거]]와 [[카를로스 산타나]]를 연속 삼진 처리했다. 그러나 세 번째 타자 [[칼 랄리]]에게 풀카운트 끝에 시애틀의 21년만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짓는 끝내기 솔로 홈런을 허용하며 자료화면에 박제되고 말았다. 10월 3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의 홈 경기에서 10회 초 등판해 승부치기 주자도 들여보내지 않고 1이닝 1볼넷[* [[오타니 쇼헤이]] 고의사구]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10회 말 [[토니 켐프]]의 끝내기 안타가 터지며 승리투수가 되었다. 10월 4일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와의 시즌 최종전에서 한 점 앞선 9회 초 팀의 승리를 확정짓기 위해 [[타일러 시어]]의 뒤를 이어 등판했다. 하지만 [[리반 소토]]에게 안타를 허용했고, [[세스 브라운]]의 송구 실책까지 겹치며[* 브라운의 실책으로 기록되긴 했으나 [[토니 켐프]]의 안일한 포구가 주 원인이었다.] 3루 진루를 허용했다. 이후 [[맷 더피]]에게 중전 안타를 맞으며 두 타자만에 블론세이브를 적립했다. 이후에는 중견수 뜬공 - 1루주자 견제사 - 1루 땅볼로 이닝을 끝냈고, 팀은 10회 말 [[셰이 랭글리어스]]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빅리그 2년차에 불과한 이번 시즌이었으나 신임감독 [[마크 캇세이]]의 애니콜로 활약하며 확실한 팀의 필승조로 올라섰다. 불펜으로만 67⅔이닝 출장을 기록하며 전체 불펜투수들 중 22위에 올랐다. ==== 2023 시즌 ==== 올 시즌에도 큰 이변이 없는 한 오클랜드의 필승조 자리에서 시즌을 시작한다. 같은 우완 불펜 [[트레버 메이]]와 [[채드 스미스(1995)|채드 스미스]]가 영입되며 지난 시즌보다는 관리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 첫 개막전에서 잭 잭슨을 이어 1점차 상황에서 필승조이지만 추격을 위해 첫 등판, 20구를 던지며 2삼진을 기록하였는데 무려 '''20구중 16구가 스트라이크 판정'''되면서 좋은 스타트를 끓었다. 그러나 이후 부진에 빠지며 9경기 9⅓이닝 2홀드 2블론세이브 ERA 10.61 WHIP 1.929라는 최악의 성적을 남기고 5월 4일 지명할당되었고 이후 마이너로 권리가 이관되었다. === [[도미니카 공화국 프로야구 리그|LIDOM]] 경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아세베도.jpg|width=100%]]}}} || 2020~21시즌부터 Estrellas de Oriente 소속으로 도미니카 리그에 참가하였다. 2020~21 시즌에는 구단 사정상 선발로 등판했는데, 5경기(3선발) 14⅔이닝 1자책으로 좋은 피칭을 펼쳤다. 2021~22시즌에는 원소속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에서 함께 뛰었던 [[스카이 볼트]]도 같은 팀에서 뛰었다. == 플레이 스타일 == 양키스 시절에는 90마일 중후반대의 위력적인 직구를 구사했으나 수 차례 부상에 시달린 끝에 90마일 초반대까지 구속이 떨어졌다. 80마일 후반대의 고속 슬라이더, 그리고 체인지업을 구사한다. 큰 키(201cm)를 가지고 있는 것이 장점이지만 투수로서 너무 커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양키스 시절에는 부상을 달고 살며 제대로 풀시즌을 치른 적이 거의 없었으나 오클랜드 이적 후에는 건강을 되찾았으며, 2022년에는 빅리그에서 풀타임 필승조로 활약했다. == 연도별 성적 == ||<-18>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도밍고 아세베도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W || L || S || HLD || IP || ERA || H || HR || BB || HBP || SO || WHIP || ERA+ || fWAR || bWAR || || 2021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OAK]] || 10 || 0 || 0 || 0 || 0 || 11 || 3.27 || 9 || 3 || 4 || 0 || 9 || 1.182 || 128 || -0.1 || 0.1 || || 2022 || 70 || 4 || 4 || 4 || 20 || 67⅔ || 3.33 || 50 || 9 || 17 || 3 || 58 || 0.990 || 113 || 0.0 || 1.2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80 || 4 || 4 || 4 || 20 || 78⅔ || 3.32 || 59 || 12 || 21 || 3 || 67 || 1.017 || 115 || -0.1 || 1.3 || == 여담 == [각주] [[분류:도미니카 공화국의 야구 선수]][[분류:1994년 출생]][[분류:2021년 데뷔]][[분류:산티아고로드리게스 주 출신 인물]][[분류:우완 투수]][[분류:우투우타]][[분류:오클랜드 애슬레틱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