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도부 카메이도선]] [include(틀:도부철도의 노선)] ||<-2> {{{#!wiki style="margin: 0px -5px" [[도부 철도|[[파일:Tobu_Wlogo.svg|height=40&align=left]]]]}}}{{{#!wiki style="padding-top: 10px" [[도부 철도|{{{#ffffff 도부 철도}}}]]}}}|| ||<-2> {{{#!wiki style="margin: -10px -10px" || [[파일:Tobu-TS.svg|width=50]]||{{{#006cba {{{+1 '''[ruby(亀戸線, ruby=かめいどせん)]'''}}}[br]Kameido Line[br]카메이도선}}} ||}}} || ||<-2> [[파일:도부 8000계 카메이도, 다이시선.jpg|width=100%]] ---- 노선 전용 차량인 [[도부 8000계 전동차|8000계]] || ||<-2> '''노선 정보''' || || '''분류''' ||지선 || || '''기점''' ||[[카메이도역]] || || '''종점''' ||[[히키후네역]] || || '''역 수''' ||5 || || '''노선기호''' ||{{{#006cba {{{+1 '''TS'''}}}}}} || || '''개업일''' ||[[1904년]] [[4월 5일]] || || '''소유자''' ||<|2>[[도부 철도|[[파일:도부철도 로고.svg|width=100]][br]{{{#005bac 도부 철도}}}]] || || '''운영자''' || || '''사용차량''' ||[[도부 8000계 전동차]] || || '''차량기지''' ||미나미쿠리하시 차량관구 카스카베 지소 || ||<-2>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3.4km || || '''궤간''' ||1067mm || || '''선로구성''' ||복선 || ||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 '''폐색방식''' ||자동폐색식 || || '''신호장비''' ||TSP || || '''최고속도''' ||60km/h || || [youtube(krqqjVxMD9s)] || || {{{#ffffff 전구간 주행영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도쿄도]] [[고토구]]의 [[카메이도역]]과 [[스미다구]]의 [[히키후네역]]을 연결하는 도부의 지선 노선이다. 색상은 파란색이며 노선 기호는 TS. 영업거리가 매우 짧고 승객수도 많지 않은 지선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복선으로 운영되는 이유는, 짧은 기간이지만 과거에 이 노선이 도부 철도의 매우 중요한 노선이었기 때문이다. 소부 본선이 국유화되기 이전[* 대략 1904년경이다.] 소부 철도에 의해 운영되었던 시절에는, 스미다 강을 건너기 어려웠기 때문에 소부 본선의 종점역이 [[료고쿠역]]이었다. 따라서 소부 철도와 도부 철도는 [[료고쿠역]]을 터미널로 삼고 [[료고쿠역]]부터 [[카메이도역]]까지의 구간을 공유하여 열차를 운행하였는데, 그 시절에는 아사쿠사역이 아직 개업하기 이전이었기 때문에[* 아사쿠사역은 1931년 개업.] 카메이도선이 터미널까지 연결되는 중요한 노선이 되어, 복선으로 노선을 개통하게 된 것이다. 다만 료고쿠역까지의 직통 운행은 소부 철도가 1907년 국유화되고, 3년이 조금 지난 1910년에 중단되었다. 현재는 과거와는 다르게 료고쿠역의 중요성이 줄어들고, 소부 본선이 고가화 됨에 따라서 소부선과의 직통운행은 불가능한 상황. 여담으로, 직통 운행이 폐지되자 도쿄도(당시에는 도쿄부) 내의 터미널이 필요했던 도부 철도가 고려했던 것이 오나기가와, 엣츄지마를 거쳐 신바시로 나아가는 것이었는데, 동일한 구간에서의 화물 운송이 필요했던 [[일본국유철도]]에 밀려 어쩔 수 없이 선택하게 된 터미널이 [[아사쿠사역]]이다. 현재의 해당 구간에는 소부 본선 엣츄지마 화물지선이 건설되었으며, 현재는 레일 보선용 열차만 1일 1~2왕복하는 잉여 노선으로 전락하였다. === 노선 데이터 === * 관활 : 도부 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구간 : 카메이도~히키후네 3.4km * 궤간 : 1067mm * 역 수 : 5 * 복선구간 : 전구간 * 전화구간 : 전구간 (직류 1500V) * 폐색방식 : 자동폐색식 * 보안장치 : 도부 ATS (TSP) * 최고속도 : 65km/h * 열차종합관리시스템 : 본선 운행관리시스템 * [[교통카드]] 호환지역 : 전구간 == 운행 형태 == 2량 편성의 8000계가 카메이도선 구간만을 반복하며, 출퇴근 시간대에 시간당 7~8편성, 이외에 시간은 6편성이 운행한다. 형태가 지선이기 때문에, 모든 열차는 보통, 구간반복, [[1인 승무]](원맨운전)이다. 플렛폼에는 홈 센서가 설치되어 있어, 기관사는 출입문 취급시 이 센서를 이용하여 확인하고 있다. 2량 편성의 8000계는 미나미쿠리하시 차량관구 카스카베 지소 소속으로, 따라서 검수나 각종 검사가 있을 경우 히키후네~키타카스카베 사이를 회송으로 운행한다. 또한, 8000계는 다이시선과 공용 운용한다. 주택가를 많이 지나가고 노선 거리도 짧기 때문에 최고속도는 60km로 머물러있다. == 역 목록 == * 전구간 [[도쿄도]]내 소재. ||<-5> {{{#ffffff '''도부 카메이도선'''}}} || || {{{#ffffff km}}} || {{{#ffffff 번호}}} || {{{#ffffff 역명}}} || {{{#ffffff 환승노선}}} || {{{#ffffff 소재지}}} || || 0.0 || TS44 || [[카메이도역|카메이도]][br](亀戸) ||¶[[JR 동일본]] [[파일:JRE-JB.svg|width=17]][[츄오-소부선 각역정차]] (JB23)||<|2> 코토구 || || 0.7 || TS43 || [[카메이도스이진역|카메이도스이진]][br](亀戸水神) || || || 1.4 || TS42 || [[히가시아즈마역|히가시아즈마]][br](東あずま) || ||<|3> 스미다구 || || 2.0 || TS41 || [[오무라이역|오무라이]][br](小村井) || || || 3.4 || TS04 || [[히키후네역|히키후네[br]{{{-2 (도쿄 히키후네 병원 앞)}}}]][br](曳舟)[br]{{{-2 (東京曳舟病院前)}}} ||¶[[도부 철도]] [[파일:Tobu-TS.svg|width=17]][[도부 이세사키선|이세사키선]]||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도부 이세사키선, version=146, paragraph=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