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대함 미사일]][[분류:해상 병기/현대전]][[분류:자위대/미사일]] [[파일:[3840x2160] vtime=[2_06], take=[2023-04-06 15.54.13].png|width=80%]] [[파일:FrQScPvaQAAxL8z.jpg|width=80%]] 島嶼防衛用新対艦誘導弾 [목차] == 개요 == 일본의 신형 초장거리 대함 미사일. 개발은 그동안 자위대의 대함 미사일 개발을 전담하던 [[미쓰비시 중공업]]이 아닌 [[가와사키 중공업]]이 담당한다.[[https://twitter.com/SatoMasahisa/status/1338471861156339712|#]][* 기존 대함 미사일에 탑재되는 [[터보제트]] 엔진의 개발과 제조는 가와사키 중공업이 전담했으나 완제품을 직접 만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상세 == [[파일:JpnLRASM.jpg|width=80%]] 일본의 장사정 스텔스 대함·대지 미사일에 관한 구상은 2014년쯤부터 시작되었으며, 그동안 [[https://warp.da.ndl.go.jp/info:ndljp/pid/11591426/www.mod.go.jp/j/approach/hyouka/seisaku/29/pdf/jizen_01_sankou.pdf|장거리 순항을 위한 터보팬 엔진]], [[https://warp.da.ndl.go.jp/info:ndljp/pid/11591426/www.mod.go.jp/j/approach/hyouka/seisaku/26/pdf/jizen_10_sankou.pdf|선진 대함/대지 미사일용 탄두]] 등의 기초 연구 개발이 진행되었다. 2018년, [[도서 방위용 고속 활공탄]]과 함께 [[자위대]]를 공세적 스탠스로 전환시키기 위한 주축 무기 중 하나로서 언급되었으나 당시에는 고속 활공탄만 개발 예산을 확보하는데 성공했고 대함 미사일은 보류되었다. 2020년, 미쓰비시 중공업이 맡은 [[12식 지대함 유도탄]] 능력향상형 개발이 발표된 후 가와사키의 도서방위용 대함미사일은 목표 사정거리 2,000km급 성능향상형으로 계획되고 있음이 밝혀졌다.[[https://www.sankei.com/politics/news/201229/plt2012290001-n1.html|#]] [[파일:JpnASMplan.png|width=80%]] 2023년 예산안에 따르면 더욱 뛰어난 고기동성으로 요격 부담을 가중 시키며, 모듈식 페이로드를 적용해 다기능성을 확보한다고 한다.[[https://www.mod.go.jp/j/yosan/yosan_gaiyo/2023/yosan_20220831.pdf|#]] 2023년 3월 도쿄에서 열린 DSEI 방산 전시회에 참가한 가와사키 중공업 부스에서 미사일의 모형과 함께 탑재되는 KJ300 터보팬 엔진이 공개되었으며, [[방위장비청]]은 이미 도서방위용 신대함미사일의 프로토타입이 납품되었다고 밝혔다.[[https://www.navalnews.com/event-news/dsei-japan-2023/2023/03/dsei-japan-2023-khi-unveils-new-anti-ship-missile/|#]][[https://twitter.com/atla_kouhou_jp/status/1641403260182630401|##]] EO/IR, 레이더 복합 시커를 사용하며, 지상 발사 외에도 함선, 항공기 발사 버전도 개발될 예정이다. == 같이 보기 == * [[12식 지대함 유도탄]] * [[도서 방위용 고속 활공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