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도야마현 제3구}}}}}}'''[br]{{{-1 {{{#ffffff 富山県第3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Toyama3.svg|width=100%]][br]}}}|| ||<-2><:>'''선거인 수'''||<-2><:>364,742명 (2021)|| ||<-2><:>'''상위 도도부현'''||<-2><:>[[도야마현]]|| ||<-2><:>'''하위 행정구역'''||<-2><:>[[타카오카시]], [[히미시]], [[토나미시]],[br][[오야베시]], [[난토시]], [[이미즈시]]||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다치바나 게이이치로]]|| [목차] [clearfix] == 개요 == [[도야마현]]의 서부 지역인 [[타카오카시]], [[히미시]], [[토나미시]], [[오야베시]], [[난토시]], [[이미즈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 상세 == 자민당 초강세 지역이다. 자민당 이외의 정당이 승리한 것은 [[2005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제44회 총선]] 한 번 뿐이며, 이마저도 당시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의 우정개혁안에 반발해 자민당을 탈당한 [[국민신당(일본)|국민신당]]으로 출마한 와타누키 다미스케 전 중의원 의장이 당선된 것이다. 해당 선거를 제외하면, 비자민당 후보는 지역구 당선은 물론이고 석패율제를 통한 비례대표 당선에도 모두 실패했다. [[도야마현 제1구|1구]]나 [[도야마현 제2구|2구]]에 비해 유권자 수가 10만명이상 더 많다. 즉 제대로 인구 수를 맞추려면, 3구의 지역들을 일부 1구나 2구에 넘겨줘야한다. == 역대 국회의원 == ||<-4> [[파일:Japan_gov_logo.png|width=40px]] '''{{{#112fa7 도야마현 제3구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4> 와타누키 다미스케 ||<|3>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5>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5>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야마현 제3구}}}}}}'''[br]{{{#fff 타카오카시, 신미나토시, 히미시, 토나미시, 오야베시,[br]이미즈군, 히가시토나미군, 니시토나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와타누키 다미스케''' || '''182,18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79.95%''' || '''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에다 히로시 || 31,476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3.81%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미야니시 이사오 || 14,222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6.2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7,883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야마현 제3구}}}}}}'''[br]{{{#fff 타카오카시, 신미나토시, 히미시, 토나미시, 오야베시,[br]이미즈군, 히가시토나미군, 니시토나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와타누키 다미스케''' || '''150,200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58.52%'''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노바타 게이조 || 46,478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8.11% || 낙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미나토야 미치오 || 46,394표 || 3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18.07%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우에다 히로시 || 13,610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30%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56,682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야마현 제3구}}}}}}'''[br]{{{#fff 타카오카시, 신미나토시, 히미시, 토나미시, 오야베시,[br]이미즈군, 히가시토나미군, 니시토나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와타누키 다미스케''' || '''159,31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69.65%''' || '''당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구보타 마사토 || 51,663표 || 2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22.59%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카모토 히로시 || 17,756표 || 3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7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8,735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000 도야마현 제3구}}}}}}'''[br]{{{#000 타카오카시, 신미나토시, 히미시, 토나미시, 오야베시,[br]이미즈군, 히가시토나미군, 니시토나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국민신당(일본)|[[파일:일본 국민신당 로고.svg|width=50]]]] || '''와타누키 다미스케''' || '''120,083표''' || '''1위''' || || [include(틀:국민신당(일본))] || '''41.29%''' || '''당선'''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하기야마 쿄곤 || 100,586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34.59% || 비례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무카이 에이지 || 47,735표 || 3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6.41% || 낙선 || ||<|2><#01a8ec> [[사회민주당(일본)|[[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width=50]]]] || 구보타 마사토 || 15,163표 || 4위 ||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 5.21%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카모토 히로시 || 7,244표 || 5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2.49%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90,811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야마현 제3구}}}}}}'''[br]{{{#fff 타카오카시, 신미나토시, 히미시, 토나미시, 오야베시,[br]이미즈군, 히가시토나미군, 니시토나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치바나 게이치로''' || '''134,315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45.87%''' || '''당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아이모토 요시히코 || 105,483표 || 2위 || || [include(틀:무소속)][*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추천] || 36.03%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시바타 다쿠미 || 50,752표 || 3위 || || [include(틀:무소속)][* [include(틀:모두의 당)] 추천] || 17.33% || 낙선 || ||<|2><#00acdf> [[행복실현당|[[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width=50]]]] || 데구치 유이치 || 2,249표 || 4위 || || [include(틀:행복실현당)] || 0.7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92,799표 ||<|2> '''투표율''' || || 선거인 수 ||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야마현 제3구}}}}}}'''[br]{{{#fff 타카오카시, 신미나토시, 히미시, 토나미시, 오야베시,[br]이미즈군, 히가시토나미군, 니시토나미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치바나 게이치로''' || '''162,89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77.08%'''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호자와 히로아 || 35,024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 16.57%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이즈미노 카즈유키 || 13,400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6.34%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11,315표 ||<|2> '''투표율'''[br]57.76% || || 선거인 수 ||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야마현 제3구}}}}}}'''[br]{{{#fff 타카오카시, 히미시, 토나미시, 오야베시, 난토시, 이미즈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3CA324>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치바나 게이치로''' || '''138,99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신당 개혁)] 추천] || '''81.23%''' || '''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카모토 히로시 || 32,118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18.7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71,109표 ||<|2> '''투표율'''[br]47.70% || || 선거인 수 || 374,965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야마현 제3구}}}}}}'''[br]{{{#fff 타카오카시, 히미시, 토나미시, 오야베시, 난토시, 이미즈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치바나 게이치로''' || '''140,803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63.87%''' || '''당선''' || ||<|2><#046240> [[희망의 당(2017년)|[[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시바타 다쿠미 || 62,066표 || 2위 || || [include(틀:희망의 당(2017년))] || 28.15% || 낙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카모토 히로시 || 17,576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7.97%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20,445표 ||<|2> '''투표율'''[br]59.65% || || 선거인 수 || 376,809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도야마현 제3구}}}}}}'''[br]{{{#fff 타카오카시, 히미시, 토나미시, 오야베시, 난토시, 이미즈시}}}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다치바나 게이치로''' || '''161,818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include(틀:공명당)] 추천] || '''78.54%''' || '''당선''' || ||<|2><#db001c>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사카모토 히로시 || 44,214표 || 2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도야마현 연합 추천] || 21.4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06,032표 ||<|2> '''투표율'''[br]59.06% || || 선거인 수 || 364,742인 || 현역 자민당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의원이 재출마한다. 지난 총선에 [[희망의 당(2017년)|희망의 당]] 후보로 출마한 시바타 다쿠미 후보는 이후 [[일본 유신회(2016년)|일본 유신회]]에 입당, [[2019년]] [[제2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제25회 참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일본 공산당|공산당]]이 지난 총선에 출마한 사카모토 히로시 후보를 재공천했다. 워낙 여권 강세인 지역이라 공산당을 제외한 다른 야당이 후보를 공천하지 않고 무소속 후보도 출마하지 않아, 자민당과 공산당의 1대1 승부로 치러진다. 투표 결과, 예상대로 자민당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후보가 압승했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도야마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