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보스포로스 국왕)] ||<-3><#C3B091> '''{{{#FFF 보스포로스 왕국 도우토노스 왕조 초대 군주}}}''' [br] {{{+2 {{{#FFF '''Дуптун | 도우토노스'''}}}}}} || ||<|3><#C3B091> '''{{{#FFF 제호}}}''' ||<#C3B091> '''[[한국어|{{{#FFF 한국어}}}]]''' ||도우토노스 || ||<#C3B091> '''[[그리스어|{{{#FFF 그리스어}}}]]''' ||Дуптун || ||<#C3B091> '''[[라틴어|{{{#FFF 라틴어}}}]]''' ||Doiptounes || ||<-2><#C3B091> '''{{{#FFF 별명}}}''' ||필로카이사르 필로로마이오스 에우세베스(Philocaesar Philoromaios Eusebes: 카이사르를 사랑하고 로마를 사랑하며 경건한 자) || ||<-2><#C3B091> '''{{{#FFF 생몰 년도}}}''' ||미상 ~ 미상 || ||<|4><-2><#C3B091> '''{{{#FFF 재위 기간}}}''' ||서기 483년? ~ 미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보스포로스 왕국]] 도우토노스 왕조 초대 군주. == 행적 == [[파일:도우토노스 비문.jpg|width=600]] 1888년 [[크림 반도]] 동부의 케르치 시에서 발견된 비문에 그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에 따르면, 그는 티베리우스-율리우스 왕조의 군주들이 대대로 사용했던 '필로카이사르 필로로마이오스 에우세베스(Philocaesar Philoromaios Eusebes)'라는 호칭을 썼으며, 재상 스파디노스의 감독 하에 탑을 세운 것을 기념하여 이 비석을 세웠다고 한다. 비문이 세워진 시기에 대해 여러 추정이 제기되었는데, 비교적 널리 받아들여지는 연대는 티베리우스-율리우스 왕조의 마지막 군주로 알려진 [[레스쿠포리스 5세]] 시대로부터 한 세기 반이 지난 483년이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보스포로스 왕국의 도시들은 레스쿠포리스 5세가 몰락한 뒤에도 시민들이 삶을 영위했으며 심지어 시간이 지나면서 경제가 회복되면서 사치품 사용이 늘어났다고 한다. 학계는 고트족이 왕국을 정복한 후 정치적으로 안정되면서 회복되었을 거라 추정한다. 고트족의 지배가 있었다는 것은 4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요한 크리소스토모]]가 고트족의 왕으로부터 보스포로스 해협에 새로운 주교를 보내달라고 요청하는 서신을 받은 사실에서 확인된다. 469년 [[훈족]]이 동고트족과 로마군에게 패배한 뒤, 훈족의 일부였던 우티구르족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크림 반도에 자리잡고 있던 고트족과 전쟁을 벌였다. [[프로코피우스]]에 따르면, 우티구르족은 크림 반도에서 고트족을 크게 격파해 쿠반 지역으로 후퇴시켰다고 한다. '도우토노스'라는 이름은 훈족이 쓰던 이름에서 기원한다고 추정하는 학자들은 그가 훈족 귀족이었으며 이 시기에 보스포로스 해협을 무대로 세력을 형성하여 왕위에 올랐을 거라고 본다. 그런데 이 왕은 티베리우스-율리우스 왕조의 왕들이 사용했던 호칭을 사용했는데,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그가 옛 왕조의 후손이라는 걸 강조하고자 일부러 그 호칭을 썼다는 설을 제기한다. 아마도 [[동로마 제국]]과의 교역을 위해 그들에게 친숙한 호칭을 썼을 것으로 보인다. 그가 통제한 지역은 케르치 반도의 동부와 타만 반도였던 것으로 추정되지만, 판티카파에움, 파라고리아 등 보스포로스 왕국의 주요 도시들은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그가 언제까지 통치했는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분류:보스포로스 국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