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도전 골든벨]] [include(틀:도전 골든벨 방영 목록)] [목차] == 개요 == [[도전 골든벨]]에서 나온 참가한 학교 및 방영된 골든벨의 각종 기록들을 적어 둔 문서이다. 각종 기록들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도전 골든벨/지역]]'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초대 및 첫 골든벨에 등극한 경우 == * 1대 이병렬( 7회 & 접속! 신세대 코너 7회 경기 성남 분당고 당시 2학년) - 1999년 2월 19일 == 100대 골든벨에 등극하여 금자탑을 달성한 경우 == * 100대 김희주(727회 전북여고 당시 3학년) - 2014년 7월 13일 == 2명의 도전자 == * 2인 1조 한 팀이 올라온 사례(예:2인 1조 50팀 특집)는 제외하며, 개인으로 2명이 올라온 사례만 인정한다. === 한 회에서 동시에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2인 동시 도전 === ||<:> 연도 ||<:> 방송일 ||<:> 학교명/특집명 ||<:> 최후의 1~2인 진출자 ||<:> 최종문제 || || 2000년 || 7월 28일 || 전북 전주신흥고등학교&전주기전여자고등학교 연합 [br] (2학교 이상 출연 학교) || 송현종(전북 전주신흥고 3학년) [br] 백선애(전북 전주기전여고 3학년) || 49번 || ||<|2> 2001년 || 11월 18일 || 경북 포항제철고등학교 || 정지현(2학년) [br] 김대호(3학년) || 47번 || || 12월 30일 || 대전동산고등학교 || 김준철(3학년) [br] 김병묵(1학년) || 46번 || ||<|3> 2002년 || 1월 13일 || 대구 심인고등학교 || 최영남(1학년,101번)[br] 장유진(3학년) || 48번 || || 3월 31일 || 경북외국어고등학교 || 김현영(일본어과 3학년)[br] 최한나(영어과 2학년)(★)[* 2002 준왕중왕] || 44번 || ||<#FFC0CB> 10월 6일 ||<#FFC0CB> 전남 진도고등학교(◎) ||<#FFC0CB> 정향선(3학년)[br] 이현미(3학년) ||<#FFC0CB> 48번 || || 2003년 || 2월 2일 || 경북 상주고등학교 || 김기원(3학년)[br] 박재상(3학년) || 44번 || || 2005년 || 3월 6일 || 경북 구미여자고등학교 || '''{{{#green 46대 골든벨 김지혜}}}'''(2학년)[br] '''{{{#green 47대 골든벨 김유진}}}'''(1학년) || 50번 골든벨 문제 || || 2006년 || 6월 11일 || 경북 칠곡 순심고등학교&순심여자고등학교 || '''{{{#green 56대 골든벨 윤문열}}}'''(1학년)[br]장세원(2학년,50번 실패) [br] (이상 경북 칠곡 순심고등학교) || 50번 골든벨 문제 || ||<|3> 2012년 ||<#A6E657> 1월 15일 ||<#A6E657> 대전대신고등학교(◇) ||<#A6E657> 83대 김덕호(3학년)[br] 84대 서문규(2학년)[* 대전대신고(◇)의 재도전에서 역대 2명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동시 등극하여 재도전 학교에서만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에서 2명 동시 등극)] ||<#FFD700> 50번 골든벨 문제 || || 2월 5일 || [[충남외국어고등학교]] || '''{{{#green 86대 골든벨 이건희}}}'''(영어과 3학년) [br] 김양원(중국어과 3학년,50번 실패, 최후의 2인, ★)[* 2012 왕중왕 등극] || 50번 골든벨 문제 || || 3월 11일 || [[수성고등학교(경기)|경기 수원 수성고등학교]] || 문병중(3학년) [br] 김민중(3학년) || 46번 || || 2013년 || 2월 24일 || 전북 전주 호남제일고등학교 || 윤라경(1학년)[br] 박소현(2학년) || 50번 골든벨 문제 || || 2015년 || 8월 23일 || 2015 광복절 특집 2부 [br] 재중동포 청소년 골든벨 || 백군(라오닝성 무순제1중 2학년) [br] 김염(헤이룽장성 오상시중 2학년) || 50번 골든벨 문제 || || 2016년 || 11월 13일 || 경기 이천양정여자고등학교 || '''{{{#green 117대 골든벨 조한희}}}'''(2학년,117대,최후의 2인) [br] 강희은(3학년,50번 실패,최후의 2인) || 50번 골든벨 문제 || ||<|2> 2017년 || 4월 23일 || 강원 홍천고등학교 || '''{{{#green 119대 골든벨 박우선}}}'''(1학년, 최후의 2인) [br] 이승한(3학년, 50번 실패, 최후의 2인) || 50번 골든벨 문제 || ||<#A6E657> 7월 2일 ||<#A6E657> 충남 예산고등학교(◇) ||<#A6E657> 윤의성(3학년,30번) [br] 편정웅(3학년,60번) [* 충남 예산고(◇)의 재도전에서 역대 2명 49번 문제에서 동시 탈락하여 재도전 학교에서만 49번 문제에서 2명 동시 탈락으로 이후 6,183일만에 49번 문제에서 2명 동시 탈락] ||<#A6E657> 49번 || === 한 회에서 동시에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2인이 2명이 동시 탈락 === ||<:> 연도 ||<:> 방송일 ||<:> 학교명/특집명 ||<:> 최후의 1~2인 진출자 ||<:> 최종문제[br](번) || ||<|2> 2000 ||<|2><#308027> {{{#ffffff 7월 28일}}} ||<|2><#308027> {{{#ffffff 전북 [[전주신흥고등학교]]&전주기전여자고등학교 연합 [br] (2학교 이상 참가학교)(□)}}} ||<#308027> {{{#ffffff 송현종([[전주신흥고등학교|전북 전주신흥고]] 3학년) }}} ||<|2><#308027> {{{#ffffff 49번}}} || ||<#308027> {{{#ffffff 백선애(전북 전주기전여고 3학년)}}} || ||<|4> 2001 ||<|2> 11월 18일 ||<|2> 경북 [[포항제철고등학교]] || 김대호(3학년) ||<|2> 47번 || || 정지현(2학년) || ||<|2> 12월 30일 ||<|2> [[대전동산고등학교]] || 김병묵(1학년) ||<|2> 46번 || || 김준철(3학년) || ||<|6> 2002 ||<|2> 1월 13일 ||<|2> 경북 [[포항제철고등학교]] || 김대호(3학년) ||<|2> 47번 || || 정지현(2학년) || ||<|2> 3월 31일 ||<|2> [[경북외국어고등학교]] || 김현영(일본어과 3학년) ||<|2> 44번 || ||<#98FB98> 최한나(영어과 2학년)(★)[* 2002 준왕중왕] || ||<|2> 10월 6일 ||<#FFC0CB><|2> 전남 진도고등학교(◎) ||<#FFC0CB> 정향선(3학년) ||<|2> 48번 || ||<#FFC0CB> 이현미(3학년) || ||<|2> 2003 ||<|2> 2월 2일 ||<|2> 경북 상주고등학교 || 김기원(3학년) ||<|2> 44번 || || 박재상(3학년) || ||<|2> 2012 ||<|2> 3월 11일 ||<|2> [[수성고등학교(경기)|경기 수원 수성고등학교]] || 문병중(3학년) ||<|2> 46번 || || 김민중(3학년) || ||<|2> 2017 ||<#A6E657><|2> 7월 2일 ||<#A6E657><|2> 충남 [[예산고등학교]](◇) ||<#A6E657> 윤의성(3학년,30번) ||<#A6E657><|2> 49번 || ||<#A6E657> 편정웅(3학년,60번) || === 한 회에서 동시에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2인이 2명이 동시 골든벨 문제까지 도전 === ||<:> 학교명/특집명 ||<:> 연도 ||<:> 방송일 ||<:> 최종 진출자 || || 경북 구미여자고등학교 || 2005년 || 3월 6일 || '''{{{#green 46대 골든벨 김지혜}}}'''(2학년)[br] '''{{{#green 47대 골든벨 김유진}}}'''(1학년) || || 경북 칠곡 순심고등학교&순심여자고등학교 || 2006년 || 6월 11일 || '''{{{#green 56대 골든벨 윤문열}}}'''(1학년)[br]장세원(2학년) [br] (이상 경북 칠곡 순심고등학교) || ||<#A6E657> [[대전대신고등학교]] (◇) ||<|2> 2012년 ||<#A6E657> 1월 15일 ||<#A6E657> '''{{{#green 83대 골든벨 김덕호}}}'''(3학년)[br] '''{{{#green 84대 골든벨 서문규}}}'''(2학년) || || [[충남외국어고등학교]] || 2월 5일 || '''{{{#green 86대 골든벨 이건희}}}'''(영어과 3학년,최후의 2인) [br] 김양원(중국어과 3학년,50번 실패,최후의 2인, ☆)[* 2012 왕중왕 등극] || || 전북 전주 호남제일고등학교 || 2013년 || 2월 24일 || 윤라경(1학년)[br] 박소현(2학년) || || 재중동포 청소년 골든벨 || 2015년 || 8월 23일 || 백군(라오닝성 무순제1중 2학년) [br] 김염(헤이룽장성 오상시중 2학년) || || 경기 이천양정여자고등학교 || 2016년 || 11월 13일 || '''{{{#green 117대 골든벨 조한희}}}'''(2학년,최후의 2인) [br] 강희은(3학년, 최후의 2인 - 50번 탈락) || || 강원 홍천고등학교 || 2017년 || 4월 23일 || '''{{{#green 119대 골든벨 박우선}}}'''(1학년) [br] 이승한(3학년, 최후의 2인 - 50번 탈락) || === 한 회에서 동시에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2인이 2명이 동시 골든벨에 등극 === ||<:> 학교명/특집명 ||<:> 연도 ||<:> 방송일 ||<:> 최후의 1~2인 [br] 대수별 수상자 || || 경북 구미여자고등학교 || 2005년 || 3월 6일 || '''{{{#green 46대 골든벨 김지혜}}}'''(2학년)[br] '''{{{#green 47대 골든벨 김유진}}}'''(1학년) || ||<#A6E657> 대전대신고등학교(◇) ||<#A6E657> 2012년 ||<#A6E657> 1월 15일 ||<#A6E657> '''{{{#green 83대 골든벨 김덕호}}}'''(3학년)[br] '''{{{#green 84대 골든벨 서문규}}}'''(2학년) || === 한 회에서 동시에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2인이 2명이 동시 골든벨에 실패 === ||<:> 학교명/특집명 ||<:> 연도 ||<:> 방송일 ||<:> 최후의 1~2인 실패자 || || 전북 전주 호남제일고등학교 || 2013년 || 2월 24일 || 윤라경(1학년)[br] 박소현(2학년) || || 재중동포 청소년 골든벨 || 2015년 || 8월 23일 || 백군(라오닝성 무순제1중 2학년) [br] 김염(헤이룽장성 오상시중 2학년) || === 한 회에서 동시에 2명의 도전자가 최후의 1~2인 중 1명이 골든벨에 등극하여 1명이 실패 === ||<:>학교명/특집명 ||<:> 연도 ||<:> 방송일 ||<:> 최후의 1인 수상자 및 실패자 || || 경북 칠곡 순심고등학교&순심여자고등학교 || 2006년 || 6월 11일 || '''{{{#green 56대 골든벨 윤문열}}}'''(1학년)[br]장세원(2학년) [br] (이상 경북 칠곡 순심고등학교) || || [[충남외국어고등학교]] || 2012년 || 2월 5일 || '''{{{#green 86대 골든벨 이건희}}}'''(영어과 3학년,최후의 2인) [br] 김양원(중국어과 3학년,50번 실패,최후의 2인, ☆)[* 2012 왕중왕 등극] || || 경기 이천양정여자고등학교 || 2016년 || 11월 13일 || '''{{{#green 117대 골든벨 조한희}}}'''(2학년,최후의 2인) [br] 강희은(3학년, 최후의 2인 - 50번 탈락) || || 강원 홍천고등학교 || 2017년 || 4월 23일 || '''{{{#green 119대 골든벨 박우선}}}'''(1학년) [br] 이승한(3학년, 최후의 2인 - 50번 탈락) || == 2인 1조 한 팀 == * 2인 1조 한 팀이 올라온 사례(예:2인 1조 50팀 특집)는 1팀으로 2인 1조가 올라온 사례만 인정한다. === 최후의 2인 1조 한 팀 === ||<:> 학교명/특집명 ||<:> 연도 ||<:> 방송일 ||<:> 최후의 2인 1조 1팀 진출자 ||<:> 최종문제 ||<:> 결과 || || [[조선통신사]] 400주년 특집 || 2007년 || 9월 23일 || 하시모토 키와코(일본), 백원우(진주제일여자고등학교 2학년) || '''명예골든벨 문제''' || [* 2인 1조 한 팀이 명예골든벨 등극] || || 추석특집 8도 할아버지, 할머니 골든벨 || 2011년 || 9월 11일 || 이성훈 할아버지(65세), 강찬구 할머니(74세)(고교선후배) || '''명예골든벨 문제''' || [* 최후의 2인 1조 한 팀이 명예골든벨 등극] || || 한중수교 20주년 기념 베이징 골든벨 || 2012년 || 10월 7일 || 이용인(남자 한국), 천징징(중국 여자 대학생) (베이징대학교) || 50번 골든벨 문제 || [* 2인 1조 1팀이 탈락] || || 설특집 도전! 다문화 골든벨 || 2013년 || 2월 10일 || 장진([[대전광역시]]), 스베틀라나([[우즈베키스탄]]) 부부 || '''명예골든벨 문제''' || [* 두 명 모두 명예골든벨 등극] || === 최후의 2인 1조 한 팀이 명예골든벨에 등극 === ||<:> 학교명/특집명 ||<:> 연도 ||<:> 방송일 ||<:> 최후의 2인 1조 1팀 진출자 ||<:> 최종문제 ||<:> 결과 || || [[조선통신사]] 400주년 특집 || 2007년 || 9월 23일 || 하시모토 키와코(일본), 백원우(진주제일여자고등학교 2학년) || '''명예골든벨 문제''' || [* 2인 1조 한 팀이 명예골든벨 등극] || || 추석특집 8도 할아버지, 할머니 골든벨 || 2011년 || 9월 11일 || 이성훈 할아버지(65세), 강찬구 할머니(74세)(고교선후배) || '''명예골든벨 문제''' || [* 최후의 2인 1조 한 팀이 명예골든벨 등극] || || 설특집 도전! 다문화 골든벨 || 2013년 || 2월 10일 || 장진([[대전광역시]]), 스베틀라나([[우즈베키스탄]]) 부부 || '''명예골든벨 문제''' || [* 두 명 모두 명예골든벨 등극] || === 최후의 2인 1조 한 팀이 골든벨 문제까지 1팀이 도전 === ||<:> 학교명/특집명 ||<:> 연도 ||<:> 방송일 ||<:> 최후의 2인 1조 1팀 진출자 ||<:> 최종문제 ||<:> 결과 || || 한중수교 20주년 기념 베이징 골든벨 || 2012년 || 10월 7일 || 이용인(남자 한국), 천징징(중국 여자 대학생) (베이징대학교) || 50번 골든벨 문제 || [* 2인 1조 1팀이 탈락] || === 최후의 2인 1조 한 팀이 골든벨 문제까지 1팀이 골든벨에 등극한 사례 === ||<:> 학교명/특집명 ||<:> 연도 ||<:> 방송일 ||<:> 최후의 2인 1조 1팀 진출자 ||<:> 최종문제 ||<:> 결과 || * 해당연도 - 없음 === 최후의 2인 1조 한 팀이 골든벨 문제까지 1팀이 골든벨에 실패한 사례 === ||<:> 학교명/특집명 ||<:> 연도 ||<:> 방송일 ||<:> 최후의 2인 1조 1팀 진출자 ||<:> 최종문제 ||<:> 결과 || || 한중수교 20주년 기념 베이징 골든벨 || 2012년 || 10월 7일 || 이용인(남자 한국), 천징징(중국 여자 대학생) (베이징대학교) || 50번 골든벨 문제 || [* 2인 1조 1팀이 실패하여 아쉽게 탈락] || == 최후의 1인 == === 최후의 1인이 단독으로 도전한 사례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진출자(대수별 수상자) ||<:> 진출문제 || || 2000 || 62 || [[11월 5일]] || 충북 청주 일신여자고등학교 || 김경원(2학년,53번) || 45번 || || 2001 || 113 || [[12월 16일]] || 서울 [[영훈고등학교]] || 최우영(3학년) || 47번 || || 2006 || 334 || [[8월 6일]] || 충남 연기 조치원여자고등학교 [br] (현 [[세종여자고등학교]]) || 성리라(3학년) || 49번 || || 2012 || 616 || [[3월 18일]] || 서울 [[구현고등학교]] || 전호석(1학년) || 49번 || ||<|2> 2013 || 676 || [[6월 23일]] || [[대구 구암고등학교]](◎) || 최재훈(2학년,36번) || 48번 || || 685 || [[8월 25일]] || 경북 경산 [[문명고등학교]] || 황정현(2학년) || 49번 || || 2015 ||<#A6E657> 758 ||<#A6E657> [[3월 1일]] ||<#A6E657> 경남 함안 칠원고등학교(◇) ||<#A6E657> 조지수(2학년) ||<#A6E657> 48번 || || 2016 || 819 || [[5월 15일]] || 경기 안양 [[성문고등학교]] || 김동후(3학년) || 47번 || ||<|2> 2017 || 877 || [[7월 23일]] || [[인천전자마이스터고등학교]] || 김지윤(전자회로설계과 3학년) || 46번 || || 884(법원의 날 특집) || [[9월 10일]] || 제3회 도전! 법원 골든벨 || 박연주([[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 2학년, 86번) || 1번 ~ 38번 통과 [br] (최종 골든벨 문제 5문제 중 1문제 탈락) || ||<|2> 2019 ||<#A6E657> 944 ||<#A6E657> [[4월 14일]] ||<#A6E657> [[구리고등학교|경기 구리고등학교]](◇) ||<#A6E657> 김의태(2학년,93번) ||<#A6E657> 49번 || ||<#A6E657> 957 ||<#A6E657> [[7월 14일]] ||<#A6E657> [[함양고등학교|경남 함양고등학교]](◇) ||<#A6E657> 김요한(3학년,39번) ||<#A6E657> 48번 || === 최후의 1인이 단독으로 도전한 사례 - 초등학생 골든벨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진출자(대수별 수상자) ||<:> 최종문제 || ||<:> 947(어린이날 특집)[br](박태원 아나운서 임시 남자 MC) ||<:> [[5월 5일]] ||<:> 어린이날 특집 [br] 어린이 골든벨 - [[해원초등학교|부산 해운대 해원초등학교]] || 정재민(5학년,7번) ||<:> 27번 [br] 명예골든벨(3문제 중 2문제 등극) || === 최후의 1인이 골든벨 문제까지 등극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등극자(대수별 등극자) ||<:> 최종문제 || || 2001 || 72 || [[2월 16일]] ||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전북 전주성심여자고등학교]] || 18대 골든벨 박지영(2학년,58번) || '''50번 골든벨 문제''' || || 2013 || 689(추석특집) || [[9월 22일]] || 추석특집 도전! 고향 골든벨 || 95대 골든벨 진성일(전남 여수 여남고등학교 3학년) ||<#FFD700> '''50번 골든벨 문제''' || || 2014 || 737(특집) || [[10월 5일]] || 특집 관광 골든벨 || 103대 골든벨 이정담(서울관광고등학교 학과 미상 3학년)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 ||<:> 2019년 ||<:> 963 ||<:> [[9월 8일]] ||<:> [[하남고등학교|경기 하남고등학교]] || 128대 골든벨 김민석(2학년,25번) ||<#7F00FF><:>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 || === 최후의 1인이 골든벨 문제 탈락 === ||<:> 회차 ||<:> 연도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진출자(대수별 수상자) ||<:> 진출문제 || || 2009 || 470 || [[4월 5일]] || 충남 금산고등학교 || 송은한(3학년) || 50번 || || 2010 || 543 || [[9월 26일]] || 전남 목포정명여자고등학교 || 임수정(3학년) || 50번 || || 2012 || 643 || [[10월 21일]] || 서울 [[보인고등학교]] || 유상호(2학년) || 50번 || ||<|2> 2015 || 765 || [[4월 19일]] || 경북 영천 영동고등학교 || 유진석(3학년) || 50번 || || 766 || [[4월 26일]] || 경기 파주 교하고등학교 || 유진혁(2학년) || 50번 || || 2017 || 873 || [[6월 25일]] || 경북 선덕여자고등학교 || 이채영(3학년) || 50번 || || 2018 || 926회(세계 반부패의 날 특집) || [[12월 9일]] || 세계 반부패의 날 특집 골든벨 || 우재린(서울 구암고 2학년,49번) || 50번 || == 답을 적지 못한 도전자 == === 최후의 1인이 답을 적지 못함 === ==== 접속! 신세대 코너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진출자 ||<:> 진출문제 ||<:> 비고 || || 1999 || (접속! 신세대 회) || 월 일 || 고등학교 || ( 학년, 번) || 번 || || ==== 독립 편성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진출자 ||<:> 최종문제 ||<:> 비고 || || 1999 || || 월 일 || 고등학교 || ( 학년, 번) || 번 || || ||<|3> 2000 ||<#FFC0CB> 17(첫도전) ||<#FFC0CB> [[1월 14일]] ||<#FFC0CB> [[제주중앙여자고등학교]](◎) ||<#FFC0CB> 김미리수(1학년,27번?) ||<#FFC0CB> 49번 ||<#FFC0CB> [* 첫 도전의 제주중앙여고(◎)의 최후의 1인 김미리수(1학년,27번?)가 49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해 얘들아 미얀해로 정답은 "장진주사(將進酒辭)"로 아쉽게 탈락으로 울음을 터트렸다.] || || 25 || [[3월 17일]] ||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경기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 노성민( 학과 미상 3학년,71번) || 47번 || || || 26 || [[3월 24일]] || [[숭덕여자고등학교|인천 숭덕여자고등학교]] || 최정윤(2학년,83번) || 49번 ||[* 49번 문제에서 미얀해요로 답을 적지 못함][* 49번 문제의 정답은 토황소격문(討黃巢檄文)][* 인천 학익고의 최씨 선생님의 따님이다.] || ||<|14> 2001년 || 66 || [[1월 5일]] || [[강일여자고등학교|강원 강릉 강일여자고등학교]] || 심수영(3학년,65번) [* 최후의 1인 – 49번 탈락 ] || 49번[* 출제분야:예술] || [* 강원 강릉 강일여고의 마지막 49번(분야:예술) 문제에서 정답은 4글자로 심수영(3학년,37번) 학생이 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타히티섬'으로 안타깝게 49번 문제에서 탈락] || || 69 || [[1월 26일]] || [[인제고등학교(인천)|인천 인제고등학교]] || 홍창국(3학년,55번) [* 최후의 1인 - 43번 탈락] || 43번 || [* 마지막 43번 문제에서 홍창국(3학년) 학생이 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펄벅" 으로 안타깝게 43번 문제에서 탈락][* 역대 최저 문제 - 43번(인천 인제고)] || || 71 || [[2월 9일]] || [[평촌고등학교|경기 안양 평촌고등학교]] || 안진(2학년,66번) [* 최후의 1인 - 46번 탈락] ||46번 || [* 마지막 46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 안진(2학년,66번) 학생이 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장승업'으로 아쉽게 탈락] || ||<:> 73 ||<:> [[2월 23일]] ||<:> 부산 주례여자고등학교 ||<:> 김재연(3학년,81번)[* 최후의 1인 - 최종문제:47번 탈락] ||<:> 47번 ||<:> [* 죄송합니다로 답을 적지 못함][* 정답은 "천의무봉(天衣無縫)"][* 2001년 2월 23일 방송분은 다시보기 불가] || ||<#FFC0CB> 80(첫도전) ||<#FFC0CB> [[4월 13일]] ||<#FFC0CB> [[문산고등학교|경기 파주 문산고등학교]](◎) ||<#FFC0CB> 이병희(2학년,27번) ||<#FFC0CB> 43번 ||<#FFC0CB> [* 최후의 1인 이병희(2학년,27번) 43번 답을 적지 못하고 "미얀해"로 아쉽게 탈락 ][* 정답은 "터부(TABOO)"][* 경기 파주 문산고의 역대 최저문제 - 43번] || || 85 || [[5월 18일]] || [[대일외국어고등학교|서울 대일외국어고등학교]] || 강희주(일본어과? 3학년,79번) [* 최후의 1인 - 47번 탈락] || 47번 || [* [[손미나 (작가)|손미나]] 前 아나운서 여자 마지막 MC][* 최후의 1인 강희주(일본어과? 3학년,79번) 학생이 답을 적지 못함(죄송합니다)] || || 93 || [[7월 13일]] || [[현대청운고등학교|울산 현대청운고등학교]] || 이민정(3학년,32번) || 49번 [br] (분야: 철학) || [* 참가 학교는 울산지역 학교의 '''현대''''로 학교명을 표기한 명칭이다.][* 울산 현대청운고의 최후의 4인 모두 여학생][* 49번 (분야: 철학)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 49번 (분야: 철학) 문제의 정답은 "앙가주망"][* 울산 현대청운고의 최후의 1인 이민정(3학년,32번)에게는 [[비디오카메라]]를 전달했다.] || || 94 || [[7월 20일]] || [[안법고등학교|경기 안성 안법고등학교]] || 김현주(3학년,53번) || 47번 || [* 정답은 드가] || ||<#FFC0CB> 95(첫도전) ||<#FFC0CB> [[7월 27일]] ||<#FF8C00> 서울 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br] (현 [[덕수고등학교]]) ||<#FFC0CB> 김현성( 과 2학년) ||<#FFC0CB> 44번 [* 분야: 인물] ||<#FFC0CB> [* 44번 분야:인물의 문제로 정답은 맬서스(Malthus)] || || 96 || [[8월 3일]] || 서울 [[서문여자고등학교]] || 이유진(2학년,51번) || 49번 || [* 49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9번 문제의 정답은 "피그말리온"][* 다시보기의 자막이 써있지 않았다.] || ||<#FFC0CB> 98(첫도전) ||<#FFC0CB> [[8월 17일]] ||<#FFC0CB> [[창신고등학교|경남 마산 창신고등학교]] (◎) [br] (현 [[창원시]] 자치구로 편입) ||<#FFC0CB> 김대환(3학년,17번) ||<#FFC0CB> 49번 ||<#FFC0CB> [* 최후의 4인 중 초반 13번을 달고 도전했던 최한길(2학년,101번,당시 13번)이 초반 탈락하여 초반에 밀렸으나 101번을 통과한 학생이다.][* 49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9번 정답은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49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 김대환(3학년,71번)에게는 [[비디오 카메라]]를 전달했다.][* 49번 정답은 "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 ||<#FFC0CB> 108(첫도전) ||<#FFC0CB> [[11월 2일]] ||<#FFC0CB> [[거창대성고등학교|경남 거창대성고등학교]](◎) ||<#FFC0CB> 신준현(1학년,13번) ||<#FFC0CB> 47번 [br] (분야:국사) ||<#FFC0CB> [* 그리고 당시 최후의 1인이었던 1학년 신준현 학생][* 최후의 1인 신준현(1학년,13번)이 47번 국사 분야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7번 국사 분야 문제로 정답은 "의금부(義禁府)"] [* 경남 거창대성고(◎)의 최후의 1인 신준현(1학년,13번)에게 [[비디오카메라]]가 주어졌다.][* 골든벨이 추억이 담기 티셔츠] [* 2001 11월 5일 KBS 가을개편 시행으로 [[KBS 2TV]]의 마지막 금요일 방송시간(저녁 6시 30분 ~ 7시 30분)][* [[KBS 2TV]]의 마지막 방송의 채널 고별방송] || || 110 || [[11월 18일]] || [[포항제철고등학교|경북 포항제철고등학교]] || 정지현(2학년,54번) || 47번 [br] (인물 문제) || [* 경북 포항제철고의 32번 문제 직후에서 6명 중 3명이 탈락하여 최후의 3인이 결정 되었으나 소개 하지 않았다.][* 행운의 101번 김훈섭(2학년,101번)이 아쉽게 1명 탈락][* 경북 포항제철고의 2명이 남았을 때만 소개하였다.] [* 유일하게 101번을 달고 김훈섭(학과 미상 2학년,101번 탈락][* 이 때는 한 해에서 최후의 1~2인이 도전한 남학생,여학생의 혼성 대결로 같이 47번 문제 까지 동시 도전하였다.][* 최후의 2인 중 정지현(2학년,54번)은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1명 탈락][* 47번 인물 분야 문제로 정답은 "노암 촘스키"] || || 115 || [[12월 30일]] || [[대전동산고등학교]] || 김준철(3학년,31번) || 46번 [br] (세계문학 - 소설 문제) || [* 대전동산고의 46번 세계문학(소설)에 관한 문제로 정답은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 2001년 마지막 방송(12월 30일)을 앞둔 상태에어 골든벨 방송][* 이 때는 대전동산고의 최후의 1~2인이 46번 문제 까지 도전했다.][* 최후의 2인 중 김준철(3학년)이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 ||<|8> 2002 || 118 || [[1월 20일]] || 강원 속초고등학교 || 탁종빈(3학년,80번) || 46번 [br] (세계사 - 고대 유럽사 문제) || [* 강원 속초고의 최후의 1인 탁종빈(3학년) 군 학생이 [[탁씨]] 성을 가진 최후의 1인][* 강원 속초고에서 1번 부터 46번 까지 단 한번도 틀린 적이 없는 최후의 1인 탁종빈(3학년)][* 46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6번 정답은 "국화와 칼"] || || 119 || [[1월 27일]] || [[심인고등학교|대구 심인고등학교]] || 장유진(3학년,33번) || 46번 || [* 대구 심인고의 2명의 도전자 중에서 46번 문제에서 나머지 1명 장유진(3학년,33번)은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탈락] || || 121 || [[2월 10일]] || [[광영여자고등학교|서울 광영여자고등학교]] ||<#FAC117> 박지혜(3학년,101번)(▒) || 42번 [br] (세게사 - 중국 근대사 문제) || [* 유일하게 101번을 달고 최후의 1인 도전][* 42번 세계사(중국 근대사) 분야 문제로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42번 세계사(중국 근대사) 분야 문제로 정답은 변법자강운동] [* 지난번에 이어 여수중앙여고(1월 6일)에 이어 서울 광영여고(2월 10일)에 이어 42번 문제로 탈락하여 최저문제 기록] || || 126 || [[3월 17일]] || [[명신고등학교|경남 진주 명신고등학교]] || 김재영(3학년,53번) || 45번 || [* 2002년 3월 17일 127회 경남 진주 명신고의 12번 문제에서 61명 대거탈락 - 역대 25위(정답률: 약 24.5%, 오답률: 약 75.5%)][* 45번 과학 생물 분야의 2종류 이상의 개체르 섞어서 만든 생물을 뜻하는 말인 이것의 문제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정답은 "키메라/카마이라"] || || 128 || [[3월 31일]] || [[경북외국어고등학교]] ||<#FAC117> 김현영(일본어과 3학년,101번)(▒) || 44번 || [* 최후의 2인 중 김현영(일본어과 3학년,101번)이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 || 132 || [[4월 28일]] || [[청주여자고등학교|충북 청주여자고등학교]] || 염승하(2학년,49번) || 47번 [br] (국제 문제) || [* 최후의 2인 염승하(2학년,49번)이 47번 문제에서 도전 중에서 눈물이 터져 울음이 나왔다.][* 47번 국제 분야 문제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7번 국제 분야 문제의 정답은 엠바고(Embargo)] || || 150 || [[11월 10일]] ||<#FF8C00> 인천 문성정보미디어고등학교 [br] (舊 한국문화콘텐츠고등학교) [br](현 인천금융고등학교) ||<#CC0000> {{{#ffffff 이진희( 과 3학년,42번)}}} || 49번 || [* 인천 문성정보미디어고(구 한국문화콘텐츠고등학교,현 인천금융고)의 최후의 1인 이진희( 과 3학년,42번)의 학과 미표기][* 49번 세계지리 분야 문제로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사헬 지대(Sahel zone)"로 아쉽게 탈락][* 최후읜 1인 이진희( 과 3학년,42번)이 빨간 한복과 흰색 저고리를 입어 49번 문제 까지 도전했다.][* 윤인구 아나운서 마지막 방송] || || 151 || [[11월 17일]] || [[서울공업고등학교]] || 황종권(전자과 2학년,70번) || 47번 [br] (문학 문제) || [* 초대MC 였던 [[김홍성]] 아나운서가 597일만에 복귀][* 47번 문제로 ??물음표 2개를 적어 적지 못해? 정답은 광장(廣場)으로 아쉽게 탈락] || ||<|10> 2003년 ||<#FFC0CB> 158(첫도전) ||<#FFC0CB> [[1월 12일]] ||<#FFC0CB> [[대전대신고등학교]](◎) ||<#0000ff><:>{{{#ffffff 임형준(3학년)(▣)}}} ||<#FFC0CB> 48번 ||<#FFC0CB> [* 대전대신고(◎)의 최후의 1인 임형준(3학년)(▣)의 죄송합니다로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정답은 아데닌(A),구아닌(G),시토신(C),티빈(T)][* 최후의 1인 임형준(3학년) 군 학생은 [[서울대학교]] 지리학과에 진학하여 2003년 왕중왕전 최후의 4인으로 이후 졸업하여 학사했다.] || || 159 || [[1월 19일]] || 경기 수원 동우여자고등학교 || 홍지아(1학년,43번) || 45번 || [* 경기 수원 동우여고의 45번 세계지리 문제로 죄송합니다로 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마추픽추(Machu Picchu)로 아쉽게 탈락][* 45번 세계지리 문제 해설 - 마추픽추(Machu Picchu) : 페루에 있는 도시] || || 161 || [[2월 2일]] || 경북 상주고등학교 ||<#FAC117> 김기원(3학년,101번) || 44번 || [* 행운의 101번 통과자 김기원(3학년)][* 최후의 2인 중에서 김기원(3학년,101번)이 이것인 끝인가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4번 정답은 참작(參酌)] || ||<#FFC0CB> 163(첫도전) ||<#FFC0CB> [[2월 16일]] ||<#FFC0CB> 전북 군산여자고등학교(◎) ||<#FAC117> 강은미(2학년,101번,당시 69번) ||<#FFC0CB> 46번 ||<#FFC0CB> [* 첫도전에서 군산여고의 65번에서 탈락하여 이후 101번 통과한 강은미(2학년,101번,69번) 학생이 46번 탈락][* 전북 군산여고(◎,첫도전)의 46번 문학 분야 문제로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기상도(氣象圖)"도 아쉽게 탈락][* 최후의 1인 강은미(2학년,101번,65번)양 학생이 46번 문제 까지 도전하여 답판을 드는 중에서 답을 적지 못하면서 울음을 터트렸다.] || || 공사창립 특집 [br] 창사 특집 || [[3월 2일]] || KBS 공사창립 30주년 창사 특집 [br] [[중국]] [[연길시]] 제2고급중학교 || 최은희(3학년,21번) || 49번 || [* 도전 골든벨 3월 2일 창사 특집은 저녁 6시 50분 ~ 부터 8시 까지 방송 되었다.][* 2003 공사창립 30주년 특집 중국 연길시 제2고급중학교의 최후의 1인 이였던 최은희(3학년,21번) 양이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정답은 "박물지(博物誌)"] || || 166 || [[3월 16일]] || 강원 원주여자고등학교 || 장수연(3학년,58번) || 48번 [br] (분야:세계문학) || [* 48번 세계문학 분야 문제로 답을 적지 못하고 허탈해하는 선생님들, 눈시울을 붉히는 최후의 1인 장수영(3학년,58번) 강원 원주여고][* 48번 세계문학 분야 문제로 정답은 하드 보일드(hard -boiled)] || || 168 || [[4월 6일]] ||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 || 김태욱( 과 미상 3학년,63번) || 46번 [br] (분야:한국지리) || [* 참가한 한국조리과학고의 최후의 1인 중 학과 미표기][* 46번 문제에서 '죄송해요 안선생님'의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46번 한국지리 분야 문제로 정답은 인지의/규형] || || 173 || [[5월 11일]] || 전남 광양여자고등학교 || 구윤아(3학년,79번) || 45번 || [* 최후의 1인이 구윤아(3학년)의 부모님 중에서 엄마가 오셨다.][* 최후의 1인 구윤아(3학년,79번)은 45번 과학 분야 문제로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45번 과학 분야 문제로 정답은 "틴들현상"] || || 198 || [[11월 9일]] || 충남 논산여자상업고등학교 || 권나래(정보처리과 3학년,??번) || 46번 || [* 48번 윤리 분야 문제로 죄송합니다로 답을 적지 못함][* 48번 윤리 분야 문제로 정답은 니코마코스 윤리학] || || 199 || [[11월 16일]] || [[순천효천고등학교|전남 순천효천고등학교]] || 이경아(3학년,60번) ||<#FF598C> {{{#ffffff 45번 [br] (찬스 기회 탈락)}}} || [* 최후의 1인 이경아(3학년,60번)이 답을 적지 못함][* 찬스 도우미 이시광(?학년)이 안시토신이 틀려 아쉽게 탈락][* 45번 생물 분야의 이 식물 호르몬에 관한 문제로 정답은 에틸렌(ethylene)] || ||<|6> 2004 || 207 || [[1월 11일]] || [[백신고등학교|경기 고양 백신고등학교]] || 강범틀(3학년,50번) || 46번 [br] (시사 문제) || [* 고양 백신고의 고양시 지역 학교 미표기][* 윤누리 여학생][* 최후의 3인 중 윤누리(3학년,37번)이 어머님이 관절염으로 앓아 계서 아픈 상태로 울음을 트렸다.][* 46번 시사문제에서 적은 답은 삼각지대 밖에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6번 시사문제의 정답은 "수니삼각지대"] || || 210 || [[2월 1일]] || [[덕암고등학교|전북 김제 덕암고등학교]] || 장은현(2학년,51번) || 47번 || [* 전북 김제 덕암고의 최후의 3인 모두 2학년][* 전북 김제 덕암고의 최후의 3인 중 2명 중 윤영주(2학년,58번)와 장은현(2학년,51번)의 2명 학생이다.][* 47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하여 정답은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 아쉽게 탈락][* 전북 김제시 지역은 역대 최장 공백기로 4,953일제 침묵] || || 212 || [[2월 15일]] || [[연수여자고등학교|인천 연수여자고등학교]] || 구하나(3학년,46번) || 45번 [br] (가정+생물 문제) || [* 45번 가정+생물의 융합된 문제로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45번 가정+생물의 융합된 문제로 난이도:★★★★★ 정답은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 || || 233 || [[7월 18일]] || [[가평고등학교|경기 가평고등학교]] || 심세원(3학년,41번) ||<#FF598C> {{{#ffffff 46번 [br] (문학 문제) [br] (찬스 기회 탈락)}}} || [* 경기 가평고의 최후의 4인 모두 3학년][* 경기 가평고의 최후의 4인 중 윤지수(3학년,35번)은 남학생이다.][* 최후의 4인 중 윤지수(3학년,35번) 군 학생이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도전하는 남학생][* 최후의 1인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46번 문제의 정답은 압록강은 흐른다][* 46번 문제에서 찬스 기회에서 정답을 맞히면 다시 한번 골든벨을 향해 도전하고 정답이 아니라면 가평고 편 멈추게 된다.][* 찬스 도우미에서 압록애찬이 틀러 아쉽게 탈락] || || 241 || [[9월 12일]] || [[해동고등학교|부산 해동고등학교]] || 배병형(3학년,77번) ||<#FF598C> {{{#ffffff 48번 [br] (찬스 기회 탈락)}}} || [* 최후의 1인 배병형(3학년,77번)이 답을 적지 못함][* 부산 해동고의 48번 문제에서 도우미 찬스 도우미 최찬형 군 학생이 임파션으로 아쉽게 친구들의 도움으로 위기 극복 실패로 탈락] [* 48번 정답은 바소체] || ||<#FFC0CB> 242 ||<#FFC0CB> [[9월 19일]] ||<#FF8C00> 경기 성남 성일여자고등학교 [br] (현 [[동광고등학교]]) (◎) ||<#0000ff><:>{{{#ffffff 김하영(3학년,63번)(▣)}}} || 48번 ||<#FFC0CB> [* 교명 변경전의 성남 성일여고의 최후의 3인 3학년][* 교명 변경 전의 성남 성일여고의 여학교로 현재 동광고의 남녀공학으로 전환했다.][* 최후의 1인 김하영(3학년) 양 학생이 48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함][* 48번 문학 분야 문제의 정답은 스타카토 문체][* 2004년 사이의 9월 12일 ~ 9월 19일의 2주 연속 답을 적지 못함][* 최후의 1인 및 48에 탈락한 김하영(3학년) 양은 2004 왕중왕전에 참가하여 최후의 4인이었다.] || ||<|5> 2005 || 268 || [[3월 27일]] || [[덕소고등학교|경기 남양주 덕소고등학교]] || 박슬기(2학년,47번) || 48번 [br] (지구과학 - 태양,천문학 문제) || [* 최후의 1인 박슬기(2학년,47번) 48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하여 아쉽게 탈락][* 48번 정답은 칠정산] || ||<#FFC0CB> 270(첫도전) ||<#FFC0CB> [[4월 10일]] ||<#FFC0CB> [[광양백운고등학교|전남 광양백운고등학교]](◎) ||<#FFC0CB> 박성욱(2학년,25번) ||<#FFC0CB> 48번 ||<#FFC0CB> [* 최후의 1인 박성욱(2학년)이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48번 문제의 정답은 조선사연구초(朝鮮史硏究초) ] || || 274 || [[5월 8일]] || 경남 진주제일여자고등학교 ||<#0000ff><:>{{{#ffffff 차화진(2학년,53번)}}} || 49번 || [* 최후의 1인 차화진(2학년,53번) 양 학생이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9번 문제의 정답은 "조봉암(曺奉巖)"][* 경남 진주제일여고의 49번에 탈락한 최후의 1인의 이었던 차화진(2학년) 2005년 왕중왕전 최후의 4인] || || 298 || [[11월 13일]] || [[성지여자고등학교|경남 마산 성지여자고등학교]] || 남보영(3학년,52번) || 49번 || [* 남보영이 최치원 밖에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49번 문제의 정답은 최치원,토황소격문] || || 301 || [[12월 4일]] || 대전 동아공업고등학교 [br] (현 [[동아마이스터고등학교]]) || 박지호(자동차기계과 3학년,48번) || 49번 || [* 참가한 대전 동아공업고등학교로 최후의 1인 학생들이 전공학과를 표기하지 않았다.] [* 최후의 1인 박지호(자동차기계과 3학년,48번) 군 학생이 결국 답을 적지 못함] [* 정답은 펄사(pulsar)][* 교명 변경전의 동아공고(현 동아마이스터고)] || ||<|9> 2006 || 305 || [[1월 8일]] || [[광양고등학교|전남 광양고등학교]] || 손한별(1학년),54번) || 49번 [br] (음악 - 클래식 문제) || [* 49번 문제 까지 파죽지세로 문제를 푼 최후의 1인 손한별(1학년,54번)][* 49번 문제에서 음악 클래식 문제로 음악의 나라를 적는 문제][* 49번 문제에서 친구들아 미얀해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9번 문제의 정답은 [[체코]] ] || || 313 || [[3월 5일]] || [[예문여자고등학교|부산 예문여자고등학교]] || 김숙이(1학년,62번) || 49번 [br] (국사 문제) || [* 최후의 1인 김숙이(1학년,62번)이 새해 첫 날 뇌출혈로 쓰러지신 아버지][* 전현기? 담임선생님 인터뷰 - 최후의 1인 김숙이(1학년,62번) 의 담임선생님][* 이 책과 제목을 적는 문제][* 49번 적은 답은 죄송합니다로 책 이름과 제목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우승룡 우송룡을 지웠다 다시 지워서 .... ][* 정답은 서해 유성룡 . 징비록][* 49번 국사 분야의 문제로 정답은 책 이름 - 유성룡,제목 - 징비록] || || 316 || [[3월 26일]] || [[덕산고등학교|경기 부천 덕산고등학교]] || 정태양(2학년,50번) || 45번 || [* 최후의 1인 정태양(2학년) 학생이 답을 적지 못함][* 정답은 "마라"] || || 318 || [[4월 9일]] || [[계성고등학교|대구 계성고등학교]] || 장수린(3학년,70번) || 49번 [br] (시사 - 국제 사건 문제) || [* 둘째 딸인데 최후의 1인 장수린 학생이 울음이 터진다.][* 49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 장수린(3학년,70번) 양 학생이 답을 적지 못하여 아쉽게 탈락][* 49번 문제의 정답은 밀로세비치()] || || 319 || [[4월 16일]] ||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서울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 박성화( 과 3학년,33번) || 47번 || [* 상명공고가 미래산업과학고도 학교명 변경][* 서울 미래산업과학고의 최후의 1인 중 전공 학과를 표기하지 않았다.][* 최후의 1인 박성화( 과 3학년,33번)이 울음을 터트렸다.][* 47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 박성화( 과 미확정 3학년,33번)양 학생이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정답은 "브레이 디 아이스"][* 2016년의 4월 9일 ~ 4월 16일 사이의 동안 2주 연속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 || 325 || [[5월 28일]] || [[당진고등학교|충남 당진고등학교]] || 표신애(3학년,58번) || 45번 || [* 45번에서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정답은 국제엠네스티] || || 326 || [[6월 4일]] || [[경원고등학교(부산)|부산 경원고등학교]] ||<#0000ff><:>{{{#GOLD 이시은(3학년,70번)}}} || 49번 || [* 부산 경원고의 최후의 1인 이시은(3학년,70번)이 죄송합니다 선생님 친구들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9번 문제의 정답은 유리 알렉세예비치 가가린(Yurii Alekseevich Gagarin), 간략히 정답은 가가린][* 부산 경원고 최후의 1인 이시은(3학년,70번)이 2006 왕중왕전에 참가하여 최후의 3인 까지 도전함] || || 330 || [[7월 2일]] || [[[경안고등학교(안산)|경기 안산 경안고등학교]] || 김영진(3학년,80번) || 49번 || [* 최후의 1인 김영진(3학년,80번)은 찬스를 사용하지 않고 찬스를 아꼈다.이후는 아님][* 49번 문제의 교통사고에서 차량에 치어 야생동물을 뜻하는 용어 문제로 최후의 1인 김영진(3학년,80번)이 친구들아 미얀해로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로드킬(Road Kill)로 아쉽게 탈락] [* 2006년 7월 2일 참가한 학교의 경기 안산 경안고는 이후 [[2016년]] 재도전이 아님] || ||<#FFC0CB> 336(첫도전) ||<#FFC0CB> [[8월 20일]] ||<#FFC0CB> [[강화고등학교|인천 강화고등학교]](◎) ||<#FFC0CB> 류원선(2학년,36번) ||<#FFC0CB> 48번 ||<#FFC0CB> [* 최후의 1인 류원선(2학년,26번)이 48번 문제는 그림을 그리다 죽게 되어 광끼로 감정의 상징으로 이 소설의 제목에 관한 문제로 답판의 죄송합니다로 적지 못해 정답은 "달과 6펜스"로 아쉽게 탈락] || ||<|8> 2007 || 356(신년특집) || [[1월 7일]] || 우수실업고등학교 초청 (신년특집) || 한현재([[대구전자공업고등학교]] 과 3학년) || 49번 || [* 49번 문제 중에서 최후의 1인 이 미안하다 친구야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바우하우스 "로 아쉽게 탈락] || || 362 || [[2월 25일]] || [[보문고등학교(대전)|대전 보문고등학교]] || 홍성진(2학년,94번) || 48번 || [* 김우진 선생님 - 대전 보문고의 최후의 1인 홍성진(2학년,94번)의 담임선생님][* 최후의 1인 홍성진(2학년,94번)이 48번 문제에서 '미안하다 친구야'로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금강경(금강반야바라밀경)으로 아쉽게 탈락] || || 372 || [[5월 6일]] || [[서해고등학교|경기 시흥 서해고등학교]] || 박태준(2학년,45번) || 48번 [br] (문화 - 영화 문제) || [* 경기 시흥 서해고의 최후의 4인 모두 2학년][* 48번 문제에서 프랑스어로 존경과 경의를 뜻하는 말로 관한 문제][* 최후의 1인 박태준(2학년,45번)이 답을 적지 못하여 아쉽게 탈락][* 정답은 "오마주"] || || 376 || [[6월 3일]] || [[충북고등학교]] || 정훈(3학년,53번) || 49번 || [* 49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베버리지 보고서(Beveridge Report)"로 아쉽게 탈락] || || 382 || [[7월 22일]] || [[광성고등학교(인천)|인천 광성고등학교]] || 정훈재(1학년,85번) || 49번 || [* 인천 광성고의 최후의 1인 정훈재(1학년,85번)이 여러분 죄송합니다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인천 광성고의 49번 문제의 정답은 유리천장] || || 386 || [[8월 19일]] || [[백양고등학교|경기 고양 백양고등학교]] || 김라현(2학년,57번) || 47번 || [* 경기 고양 백양고의 최후의 1인 김라현(2학년,57번)이 47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경기 고양 백양고의 47번 정답은 "노블리스 오블리제"] || || 390 || [[9월 16일]] || [[경신고등학교(대구)|대구 경신고등학교]] || 이동규(3학년,91번) || 48번 || [* 최후의 1인 이동규(3학년,91번)이 48번 문제로 죄송합니다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8번 문제의 정답은 비오톱(Biotop)] || || 399(지역연합특집) || [[11월 18일]] || 서울지역 연합 독서골든벨 ||<#FFFFFF> 안희은(서울 영신여자고등학교 2학년,28번) || 49번 || [* 49번 문제에서 세계문학으로 이 시의 작가로 적는 문제][* 최후의 1인 안희은(서울 영신여자고등학교 2학년,28번) 양 학생이 49번 문제에서 엄마 아빠 사랑해요 친구들 고마워요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9번 문제의 정답은 "[[렝보]]"] || ||<|4> 2008 ||<#FFC0CB> 413(첫도전) ||<#FFC0CB> [[2월 24일]] ||<#FFC0CB> [[칠원고등학교|경남 함안 칠원고등학교]](◎) ||<#FFC0CB> 강보드레(3학년,37번) ||<#FFC0CB> 48번 [br] (생물 - 척추동물 문제) ||<#FFC0CB> [* 48번 문제에서 친구들아 미얀해로 답을 적지 못하고 ? 정답은 미오글로빈(myoglobin)으로 아쉽게 탈락][* 첫도전에서 경남 함안 칠원고(◎,첫도전)의 최후의 1인 강보드레(3학년,37번) 양 학생에게는 농촌사랑장학금이 주어지는데 농협문화복지재단이 수여된다.] || || 425 || [[5월 18일]] || [[공주여자고등학교|충남 공주여자고등학교]] || 김민영(3학년,46번) || 49번 || [* 최후의 1인 김민영(3학년,36번)이 미얀해로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정답은 "아타락시아"] || || 427 || [[6월 1일]] || [[퇴계원고등학교|경기 남양주 퇴계원고등학교]] || 민지숙(3학년,58번) || 49번 [br] (생물 문제 - 사람의 인물에서 딴 물질) || [* 최후의 1인 민지숙(3학년,58번)이 (미얀)으로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정답은 "플러랜/플러틴"] || || 453 || [[12월 7일]] || [[석정여자고등학교|인천 석정여자고등학교]] || 박수진(1학년,54번) || 49번 || [* 49번 문제에서 이 논설문에 제목에 관한 문제로 힌트는 이 논설을 쓴 사람은 신채호이다.][* 49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 박수진(1학년,54번)의 답을 적지 못해 미얀합니다로 아쉬워서 정답은 "신채호의 독사신론"으로 아쉽게 탈락][* 마지막 여자 MC의 [[오정연]] 아나운서는 마지막 MC 및 방송으로 고별인사는 "정말 생각도 못했는데 이런 ... 너무 과보다 선물이지만 고맙게 생각하고 평생 간직하겠습니다. 여러분의 마음, 여러분의 정성, 그리고 여러분 항상 응원할께요 고맙습니다"라고 고별인사를 전했다] || ||<|12> 2009 || 463 || [[2월 15일]] || [[광신고등학교|서울 광신고등학교]] || 이지수(3학년,36번) || 49번 [br] (한국지리 문제) || [* 답을 적지 못함?][* 정답은 반타나모 기지][* 2주 연속 2월 8일 ~ 2월 15일 탈락] || ||<#FFC0CB> 467(첫도전) ||<#FFC0CB> [[3월 15일]] ||<#FFC0CB> [[홍천여자고등학교|강원 홍천여자고등학교]](◎) ||<#FFC0CB> 이고은(2학년,60번)(◎) ||<#FFC0CB> 49번 [br] (게임 문제) ||<#FFC0CB> [* 49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해 친구들아 미얀해로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49번 문제의 정답은 "치킨게임"] [* 김민아( ?학년) 2009 왕중왕 참가] || || 473 || [[4월 26일]] || 대구 상서여자정보고등학교[br] (현 [[상서고등학교]]) || 최진리(인터넷비즈니스과 3학년) || 46번 [br] (분야:물리 - 파동 문제) || [* 대구 상서여자정보고의 이후 대구 상서고로 학교명 변경][* 46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 최진리(인터넷비즈니스과 3학년,56번)이 죄송합니다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6번 문제의 정답은 "전반사"] || || 479 || [[6월 7일]] || [[창원고등학교|경남 창원고등학교]] || 하만진(3학년,72번) || 49번 || [* 49번 문제까지 찬스를 쓰지 않고 도전함][* 경남 창원고의 최후의 1인 하만진(3학년,72번)이 49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함][* 49번 문제의 정답은 성산패총(城山貝塚)] || || 487 || [[8월 2일]] || [[대전용산고등학교]] || 김남이(1학년,72번) || 49번 [br] (철학 - 노자 문제) || [* 최후의 1인 김남이(1학년) 군은 남학생이다.][* 49번 문제에서 죄송합니다로 답을 적지 못함][* 정답은 "상선약수"] || || 492 || [[9월 13일]] || [[여주고등학교|경기 여주고등학교]] || 박대성(3학년,47번) || 47번 || [* 경기 여주고의 최후의 1인 박대성(3학년,47번)이 죄송합니다로 답을 적지 못함][* 정답은 "오필리어"] || || 498 || [[10월 25일]] || [[광주제일고등학교]] || 김영석(3학년,45번) || 47번 [br] (지구과학 - 태양 문제) || [* 최후의 1인 김영석(3학년,45번)군 학생이 47번 문제에서 미얀하다를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7번 문제의 정답은 "루시"] || || 499 || [[11월 1일]] || [[동백고등학교|경기 용인 동백고등학교]] || 신민아(2학년,40번) || 48번 || [* 48번 문제에서 친구들아 미얀해로 답을 적지 못함][* 48번 문제의 정답은 "백화운동"] || || 502 || [[11월 22일]] || [[사파고등학교|경남 창원 사파고등학교]] || 권희주(2학년) || 49번 [br] (분야:음악-국악 문제) || [* 49번 (분야:음악-국악 문제)에서 미얀해로 답을 적지 못함][* 49번 (분야:음악-국악 문제)의 정답은 "태평무"] || || 504 || [[12월 6일]] || [[소래고등학교|경기 시흥 소래고등학교]] || 조서연(2학년,30번) || 49번 || [* [[정다은]] 아나운서 새 여자 MC] [* [[정다은]] 아나운서는 007 테마곡과 함께 등장한 다은 MC의 [[정다은]] 아나운서이다.] [* 골든벨 [[정다은]] 찾아왔습니다를 정다은 아나운서가 말했다.][* 최후의 1인 조서연(2학년,30번)양 학생이 49번 문제의 죄송합니다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9번 문제의 정답은 "잘도(알뜰하게도),반어법"] || || 505 || [[12월 13일]] || [[경상여자고등학교|대구 경상여자고등학교]] ||<#0000ff><:>{{{#GOLD 황선정(2학년,8번)}}} || 49번 || [* 최후의 1인 황선정(2학년,8번)이 미얀해요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9번 문제의 정답은 "전하결합소자(CCD)"][* 황선정(최후의 1인,대구 경상여자고등학교 2학년)이 2014년 왕중왕전에서 여학생이 최후의 4인이 결정됨] || ||<#A6E657> 506(재도전) ||<#A6E657> [[12월 20일]] ||<#A6E657> [[영광고등학교|경북 영주 영광고등학교]](◇) ||<#0000ff><:>{{{#GOLD 김영평(2학년,73번)(◇)}}} ||<#A6E657> 48번 ||<#A6E657> [* 크리스마스의 성탄절로 12월 20일 방송된 경북 영주 영광고(◇,재도전)의 재도전 학교이다.][* 첫도전의 2004년 10월 10일의 46번 음악 문제에서 좌절했던 경북 영주 영광고(◎)의 첫도전(◎)!][* 48번 문제에서 미얀하다 친구들아로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48번 문제의 정답은 "세모"][* 재도전 학교가 참가한 김영평(최후의 1인,,49번 탈락,경북 영주 영광고등학교(◇) 2학년)이 2014년 왕중왕전에서 남학생이 최후의 4인이 결정됨] || ||<|5> 2010 || 528 || [[6월 13일]] || [[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 || 엄소영(3학년,45번) || 49번 || [* 49번 문제에서 적은 미얀해로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클리셰"로 아쉽게 탈락] || || 536 || [[8월 8일]] || [[신갈고등학교|경기 용인 신갈고등학교]] || 신혜원(2학년) || 47번 [br] (세계사 - 국제 사회 체제 경제 개혁) || [* 최후의 1인 신혜원(2학년,22번)이 진짜 미얀으로 답을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정답은 "페레스트로이카"] || || 540 || [[9월 5일]] || [[여주제일고등학교|경기 여주제일고등학교]] || 맹가연(3학년,19번) || 47번 [br] (지구과학 - 해양(지질)문제) || [* 47번 문제에서 죄송해요로 답을 적지 못함][* 47번 문제의 정답은 "망간단괴"] || ||<#A6E657> 541(재도전) ||<#A6E657> [[9월 12일]] ||<#A6E657> [[제주여자고등학교]](◇) ||<#A6E657> 현지혜(3학년,60번) ||<#A6E657> 49번 ||<#A6E657> [* 49번 문제에서 죄송합니다 붕개진 쌀 밖에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정답은 "우파니샤드"] || ||<#308027> {{{#ffffff 551(지역연합특집)}}} ||<#308027> {{{#ffffff [[12월 5일]]}}} ||<#308027> {{{#ffffff 서울 [[청원고등학교(서울)|청원고등학교]]&[[청원여자고등학교]] 연합}}} ||<#308027> {{{#ffffff 이전풍([[청원고등학교(서울)|서울 청원고]] 2학년) [* 김경아 담임선생님 - 최후의 1인 이전풍([[청원고등학교(서울)|서울 청원고]] 2학년))의 담임선생님]}}} ||<#308027> {{{#ffffff 49번}}} ||<#308027> {{{#ffffff [* 최후의 1인 이전풍(서울 청원고 2학년,89번?)이 적은 답은 미얀해로 답을 적지 못함][* 49번 문제의 정답은 "브렌트유"]}}} || ||<|12> 2011 || 556 || [[1월 9일]] || [[서울아이티고등학교]] || 노재용(디지털통신과 2학년,45번) || 47번 || [* 정답은 "왕오천축국전"] || || 561 || [[2월 13일]] || [[언남고등학교|서울 언남고등학교]] || 김진솔(3학년,36번) || 48번 || [* 오영주 담임선생님 - 최후의 1인 김진솔(3학년,36번)의 담임선생님 의 고맘움도 잊지 않는데 ....][* 정답은 "동물군 천이의 법칙"] || || 563 || [[2월 27일]] || [[광남고등학교(서울)|서울 광남고등학교]] || 이수창(2학년,78번) || 49번 || [* 정답은 조장(助長)으로 아쉽게 탈락] || || 565 || [[3월 13일]] || [[인천만수고등학교]] || 유해성(3학년,72번) || 46번 || [* 최후의 1인 유해성(3학년,72번)이 답을 적지 못해 죄송합니다로 탈락하여 정답은 도플러효과로 아쉽게 탈락] || || 568 || [[4월 3일]] || [[목포홍일고등학교|전남 목포홍일고등학교]] || 강형우(3학년,98번) || 49번 || [* 장정석 - 목포홍일고등학교 교장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아름다게 보인 교장선생님, 결과도 좋게 나오지 않을까 기대!"][* 최후의 1인 강형우(3학년,98번)의 49번 문제에서 끝내 답을 적지 못하여 정답은 말피기] || || 569 || [[4월 10일]] || [[달성고등학교|대구 달성고등학교]] || 안효범(2학년,48번) || 48번 || [* [[대구광역시]] [[달성군]]이 아닌 대구광역시 서구이다.][* 박창엽 - 대구 달성고등학교 교장 인터뷰][* 최후의 1인 안효범(2학년,48번)이 48번 문제에서 죄송합니다....를 적지 못하고 정답은 삼수,갑산] || || 572 || [[5월 1일]] || [[영일고등학교(경북)|경북 포항 영일고등학교]] || 김민수(3학년,12번) || 48번 || [* 최후의 1인 김민수(3학년,15번) 군 학생이 홀로 마주한 8번제 문제][* 최후의 1인 김민수(3학년,15번) 군 학생이 홀로 마주한 8번제 문제][* 최후의 1인 김민수(3학년,15번) 미안하다 친구들아로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지하드"로 아쉽게 탈락] || || 590 || [[9월 18일]] || [[상인고등학교|대구 상인고등학교]] || 양두진(3학년,18번) || 43번 || [* 정답은 "카탈라아제"] || || 595 || [[10월 23일]] || [[대동세무고등학교|서울 대동세무고등학교]] || 권진영( 과 1학년 ,78번) || 48번 || [* 48번 찬스를 허용하여 초성힌트 ㅊ,o.ㅅ.ㅈ][* 최후의 1인 권진영( 과 1학년,78번)이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추일서정"으로 아쉽게 탈락] || || 597 || [[11월 6일]] || [[용산공업고등학교|서울 용산공업고등학교]] || 박주완(로봇자동차과 1학년,88번) || 47번 || [* 47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 박주완(로봇자동차과 1학년,88번)의 적지 못해 안타깝게도 비어있는 답판으로 정답은 "백서농장"으로 아쉽게 탈락] || || 599 || [[11월 20일]] || [[삼진고등학교|경남 창원 삼진고등학교]] || 이도희(1학년,43번) || 48번 ||[* 끝내 답판을 채우지 못해 정답은 "마오쩌둥(모택동)"으로 아쉽게 탈락]|| || 603 || [[12월 18일]] || [[온양고등학교|충남 아산 온양고등학교]] || 윤무제(2학년,21번) || 48번 || [* 윤무제(2학년,21번) 답을 죄송합니다로 적지 못해 정답은 "헤일로(halo)"] || ||<|2> 2012 || 605 || [[1월 1일]] || [[나주고등학교|전남 나주고등학교]] || 이슬기(2학년,66번) || 48번 || [* 정답은 "에틸렌/에텐"] || || 620 || [[4월 22일]] || [[목포덕인고등학교|전남 목포덕인고등학교]] || 신겸(1학년,32번) || 49번 || [* 최후의 1인 신겸(1학년,32번) 학생이 미안합니다로 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프리츠 하버"] || ||<|5> 2013 || 663 || [[3월 17일]] || [[송원고등학교|광주 송원고등학교]] || 최지원(1학년,98번) || 49번 || [* 49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 최지원(1학년,98번)의 적은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알리신(Allicin)"으로 아쉽게 탈락][* 2013년 3월 17일 663회 방송분은 [[송원고등학교|광주 송원고등학교]]의 다시보기 불가] || || 679 || [[7월 14일]] || [[혜원여자고등학교|서울 혜원여자고등학교]] || 신민경(3학년,76번) || 47번 || [* 정답은 "빅 데이터"] || ||<#A6E657> 683 ||<#A6E657> [[8월 11일]] ||<#A6E657> [[밀성고등학교|경남 밀양 밀성고등학교]](◇) ||<#A6E657> 백선진(1학년,31번) ||<#A6E657> 49번 ||<#A6E657> [* 백선진(1학년,31번) 군 학생이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 || 690 || [[9월 29일]] || [[계남고등학교|경기 부천 계남고등학교]] || 이선우(2학년,72번) || 48번 || [* 경기 부천 게남고의 최후의 2인 모두 2학년][* 최후의 1인 이선우(2학년,72번)이 답을 적지 못하여 정답은 "만인보(만인보)"] || || 693 || [[10월 20일]] || [[도개고등학교|경북 구미 도개고등학교]] || 문호준(2학년,43번) || 49번 || [* 최후의 1인 문호준(2학년,43번)이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요로원야화기" ] || ||<|2> 2014 || 722 || [[6월 8일]] || 경북 상주 함창고등학교 || 이선호(2학년) || 48번 || [* 정답은 "러셀의 역설(러셀의 패러독스) "] || || 857 || [[8월 17일]] ||<#FFC0CB> [[남인천고등학교]](◎) || 홍비단( 과 2학년,58번) || 47번 || [* 정답은 "푸드 마일리지"] || ||<|4> 2015 || 785 || [[9월 20일]] || 강원 평창 상지대관령고등학교 || 최은도(2학년) || 47번 || [* 방송 내용에서 잘못된 학교 표기로 "상지대관령고등학교"가 아닌 평창 상지대관령고등학교가 맞는 표기이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일환으로 참가한 학교이다][* 정답은 쿠빌라이 칸] || ||<#A6E657> 788(재도전) ||<#A6E657> [[10월 11일]] ||<#A6E657> [[춘천여자고등학교|강원 춘천여자고등학교]](◇) ||<#A6E657> 민세은 (1학년) ||<#A6E657> 49번 ||<#A6E657> || || 790 || [[10월 25일]] || [[충북여자고등학교]] || 이민주(2학년) || 48번(찬스 기회 탈락) || [* 정답은 "데포르마시옹(데포르메)"]|| || 794 || [[11월 22일]] || [[경북항공고등학교]] || 신승훈(항공정비과 3학년) || 49번 || [* 정답은 이니스프리] || ||<|4> 2016 ||<#A6E657> 804(재도전) ||<#A6E657> [[1월 31일]] ||<#A6E657> 창원창신고등학교(◇) ||<#A6E657> 이치호(1학년) ||<#A6E657> 48번 ||<#A6E657> [* 정답은 굴지성] || || 810 || [[3월 13일]] || 경기 의정부 송현고등학교 || 박선아(2학년) || 46번 || || || 823 || [[6월 12일]] || [[금촌고등학교|경기 파주 금촌고등학교]] || 이연경(3학년) || 43번 || || || 829 || [[7월 24일]] || 경남 의령여자고등학교 || 김경현(3학년) || 47번 || || ||<|8> 2017 || 857 || [[3월 5일]] || 경기 안산 [[고잔고등학교]] || 김동현(1학년) || 46번 || || || 860 || [[4월 2일]] || [[서울문화고등학교]] || 김호준(학과 미확정 3학년)|| 46번 || || || 864 || [[4월 30일]] || 서울 누원고등학교 || 임재영(2학년) || 43번 || || || 876 || [[7월 16일]] || 충남 금산여자고등학교 || 김민주(2학년,96번) || 47번 || [* 정답은 "연리지"] || || 878 || [[7월 30일]] || 경북 영천여자고등학교 || 석혜숙(3학년,70번) || 46번 || [* 정답은 "해마"] || || 879 || [[8월 6일]] || 경남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 이상진(컴퓨터응용기계과 1학년) || 43번 || [* 정답은 "상수리 제도"] || || 882 || [[8월 27일]] || [[대전고등학교]] || 박휘민(2학년, 83번) || 46번 || [* 정답은 "멋진 신세계"] || || 883 || [[9월 3일]] || [[창원성민여자고등학교|경남 창원성민여자고등학교]] || 추정인(2학년,50번) || 47번 || [* 47번 문제에서 최종문제까지 이 제목과 지은이를 적는 문제][* 정답은 "저자-엉클 톰스 캐빈/제목-톰 아저씨의 오두막집톰 아저씨의 오두막집"] || ||<|8> 2018 || 890 || [[4월 1일]] || [[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 이정식(조리과학과 2학년,50번) || 44번 || [* 44번 문제 답을 적지 못함][* 정답은 "유니버설 디자인(영어: universal design)"] || ||<#E0FFFF> 902 ||<#E0FFFF> [[6월 24일]] ||<#E0FFFF> [[전남 진도고등학교]](◆) ||<#E0FFFF> 홍솔(2학년,23번) ||<#E0FFFF> 48번 ||<#E0FFFF> [* 48번 문제 답을 적지 못함][* 정답은 "게토"(ghetto)"] || ||<#A6E657> 904 ||<#A6E657> [[7월 1일]] ||<#A6E657> 경기 평택 효명고등학교(◇) [br] (구 효명종합고등학교) ||<#A6E657> 임예은(3학년,80번) ||<#A6E657> 47번 ||<#A6E657> [* 정답은 "소닉 붐"] || || 907 || [[7월 29일]] || 경기 오산 세교고등학교 || 조성현(1학년,86번) || 49번 || [* 정답은 "자유론(自由論)"] || || 909(광복 73주년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 || [[8월 12일]] || 광복절 특집 1부- 2018 역사·통일 골든벨 || 최용희([[세일고등학교|인천 세일고]] 3학년,30번) [* 최후의 1인 - ([[세일고등학교|인천 세일고]] 3학년,30번) 소속 - 49번 탈락] || 49번 || [* 정답은 "우토로마을"] || ||<#A6E657> 910(재도전) ||<#A6E657> [[8월 19일]] ||<#A6E657> 충남 서천고등학교(◇) ||<#A6E657> 최홍희(2학년,66번) [* 최후의 1인(◇) - 47번 탈락] ||<#A6E657> 47번 ||<#A6E657> [* 47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 최홍희(2학년,66번)이 "서천고 화이팅"으로 답을 적지 못하여 정답은 <마그나카르타>(O)으로 아쉽게 탈락] || || 911 || [[8월 26일]] || 충북반도체고등학교 || 이정호(반도체과 2학년,43번) [* 최후의 1인 - 45번 탈락] || 45번 || [* 45번 과학(물리 분야)문제에서 최후의 1인 이정호(반도체과 2학년,43번)이 답을 적지 못하여 "과학에 약해 친구들아 미얀하다 친구들아] [* 45번 과학(물리 분야) 문제의 정답은 "마이스너 효과(Meissner effect)"(O)로 아쉽게 탈락] || ||<:> 924 ||<:> [[11월 25일]] ||<:> [[선명여자고등학교|경남 진주 선명여자고등학교]] ||<:> 강예지(경영정보과 2학번,74번)[* 최후의 1인 - 47번 탈락] ||<:> 47번 ||<:> [* 47번 문제에서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가는 문제이며, 답을 적지 못하여 "죄송합니다"(X)로 정답은 "넉다운"(O)으로 아쉽게 탈락] || ||<|8> 2019 ||<:> 937 ||<:> [[2월 24일]] ||<:> 강원 정선 함백고등학교 ||<:> 김효진( 학과 미확정? 학년,47번)[* 최후의 1인 - 49번 탈락] ||<:> 49번 ||<:> [* 최후의 1인 김효진(강원 정선 함백고 학과 미확정? 2학년,47번) 학생은 49번 문제에서 답을 적지 못했다. 적지 못하여 엄마 아빠 사랑해요 골든벨 못 울려서 미얀해..로 적지 못하고 정답은 "반개수록(磻溪隨錄)"(O) 아쉽게 탈락하면서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은 실패][* 2019년 3번째로 여학생이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할 뻔 했다.] || ||<#A6E657><:> 940(재도전) ||<#A6E657><:> [[3월 17일]] ||<#A6E657><:> 서울 정의여자고등학교(◇) ||<#A6E657><:> 김수민(2학년,33번) [* 최후의 1인(◇) - 49번 탈락] ||<#A6E657><:> 49번 ||<#A6E657><:> [* 최후의 1인 김수민(2학년,33번) 학생은 49번 문제에서 "미얀"으로 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베버리지 보고서"(O) 아쉽게 탈락][* 역대 재도전 학교의 같은 학교(서울 정의여고)의 1999년 6월 4일 첫도전(◎) 이후 재도전(◇)하며 2번 이상 최종문제의 49번에서 탈락][* 방송일의 날짜(3월 17일)의 지난 2013년 최지원(당시 1학년)(광주 송원고)에 이어 2번째로 같은 최종문제의 49번 문제에서 도전 실패] || ||<:> 940 ||<:> [[3월 24일]] ||<:> 서울미술고등학교 ||<:> 김정현(서양화과 3학년,50번) [* 최후의 1인 - 49번 탈락] ||<:> 45번 ||<:> [* 최후의 1인 김정현(서양화과 3학년,50번) 학생은 45번 문제에서 "?(쉽표)"로 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바그너"(O)로 아쉽게 탈락][* 2019년 기준으로 최후의 1인이 답을 적지 못함(3월 17일 - 서울 정의여고(◇)(최종문제:49번) ~ 3월 24일 - 서울미술고(최종문제:45번)] || ||<:> 949 ||<:> [[5월 19일]] ||<:> 충남 아산 온양용화고등학교 ||<:> 김재건(3학년,84번) [* 최후의 1인 - 49번 탈락] ||<:> 49번 ||<:> [* 최후의 1인 김재건(3학년,84번) 학생은 49번 문제에서 "친구들아 미얀해로"로 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드래퓌스 사건"으로 아쉽게 탈락하면서 골든벨 문제 도전은 실패] || ||<:> 950 ||<:> [[5월 26일]] ||<:> 경기 화성 향남고등학교 ||<:> 김다은(3학년,89번) [* 최후의 1인 - 48번 탈락] ||<:> 48번 ||<:> [* 2019년 기준으로 2주 연속 답을 적지 못함(5월 19일 ~ 5월 26일)][* 방송일의 날짜(5월 26일)의 지난 2000년 김용기(당시 3학년)(서울 용문고(◎,첫도전))에 이어 2번째로 같은 최종문제의 48번 문제에서 도전 실패] || ||<:><#A6E657> 951(재도전) ||<:><#A6E657> [[6월 2일]] ||<:><#A6E657> 대구 구암고등학교(◇) ||<:><#A6E657> 김도현(2학년,52번)[* 최후의 1인 - 최종문제:49번 탈락] ||<#A6E657><:> 49번 ||<#A6E657><:> [* 최후의 1인 김도현(2학년,52번) 학생은 마지막 49번 문제에서 "미안하다 죄송하다"로 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한니발"로 아쉽게 탈락하면서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은 실패][* 125대 송명(대구 운암고 소속 당시 2학년,2019년 3월 10일 방송일 기준,[[강서은]] 아나운서 새 여자MC)에 이어 대구지역이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할 뻔 했다.][* 2019년 기준으로 2주 연속 답을 적지 못함(5월 19일 ~ 5월 26일)] || ||<:> 953 ||<:> [[6월 16일]] ||<:> 경남 산청고등학교 ||<:> 양태경(2학년,15번) [* 최후의 1인 - 48번 탈락] ||<:> 49번 ||<:> [* 최후의 1인 양태경(2학년,15번) 학생은 49번 문제에서 인물을 적는 문제로 "여기까지가 꿈인가보만 미안하고 고맙고 사랑해♡"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로 아쉽게 탈락 하면서 <50번 골든벨 문제>의 도전 은 실패][* 최후의 1인 양태경(2학년,15번) 양 학생은 거기에 양태경의 아버지도 참석했는데 동생 재원(?)이도 메시지를 전달했다.] [* 최후의 1인 양태경(2학년,15번) 학생은 후회 없는 49번 문제 까지 도전을 한 학생이다.][* 방송일의 날짜(6월 16일)의 지난 2002년 김지운(당시 3학년)(제주 오현고)에 이어 2번째로 같은 최종문제의 49번 문제에서 도전 실패][* 이후 여학생이 2019년 <50번 골든벨 문제>문턱 으로 좌절 된 횟수는 7회이다.][* 이후 2019년 여자MC [[강서은]] 아나운서가 진행 중인데도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지 않았다.][* 이후 2019년 여자MC [[강서은]] 아나운서가 진행 중인데도 최후의 1인 여학생이 <50번 골든벨 문제>에 문턱 좌절로 총 4회이다.] || ||<:> 956 ||<:> [[7월 7일]] ||<:> 경기 평택기계공업고등학교 ||<:> 이유빈(자동차금형과 3학년,24번)[* 최후의 1인 - 최종문제:47번 탈락] ||<:> 47번 ||<:> [* 최후의 1인 이유빈(자동차금형과 3학년,24번) 학생은 47번 문제에서 "미얀해ㅠㅠ"로 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전하결합소자(CCD)"로 아쉽게 탈락] [* 최후의 1인 이유빈(자동차금형과 3학년,24번) 학생은 작년 2018년 8월 5일 방송된 경기 안양 근명여자정보고(방송일의 참가 학교 변경)(화이트보드 답판의 모자이크의 낙태죄 사건)의 당시 최후의 1인 이유민(당시 학과 미확정 2학년,현재 3학년 재학)으로 이름이 "이유"자의 2획 차이의 이름이다.][* 평택시 지역 2연속 여학생 최후의 1인의 답을 적지 못하여 2연속 아쉽게 탈락][* 평택시 지역 2연속 여학생 47번 문제 탈락(2018년 7월 1일 효명고(◇,재도전)(舊 효명종합고-교명 변경 후 재도전),2019년 7월 7일 평택기계공업고)][* 평택시 지역 2연속 47번 문제 탈락(2018년 7월 1일 효명고(◇,재도전)(舊 효명종합고-교명 변경 후 재도전),2019년 7월 7일 평택기계공업고)] || ==== 초등학교, 중학교 참가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최후의 1인 ||<:> 최종문제[br](번) ||<:> 비고 || || 2017년 || 867(중학생 특집) || [[5월 14일]] || 중학생 골든벨 [br](충남 천안백석중학교) || 이지우(3학년) || 46번(골든벨 최종 문제) [br] (문화 문제) || [* 중학교는 1999년 12월 24일 (서울 상명여자중학교(현 [[상명중학교]])) 이후 6,349일만에 출연][* 최후의 2인 모두 여학생(3학년)][* 39번 문제에서 최후의 2인이 결정 되었으나 어린이 골든벨(경기 김포 운유초)에 이어 2번 연속 소개하지 않았다.][* 41번 문제에서 답이 갈렸지만 최후의 2인 오답 서바이벌 방식][* 최후의 1인 이지우(3학년)은 명예 골든벨 첫번째 문제와 세번째 문제 답을 적지 못하면서 명예 골든벨 실패, 정답은 패러다임과 필리버스터][* 어린이 골든벨과 같은 형식으로 진행했다.] || === 최후의 1인이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여 답을 적지 못함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 진출자 || ||<|2> 2003 || 117 || [[4월 27일]] || 서울 [[한국삼육고등학교]] || 이종률(3학년,101번) || || 118 || [[5월 4일]] || 제주 신성여자고등학교 || 김은나(3학년) || ||<|2> 2005 ||<#FFC0CB> 280 ||<#FFC0CB> [[6월 19일]] ||<#FFC0CB> 전남 해남고등학교(◎) ||<#FFC0CB> 최솔(2학년) || ||<#FFC0CB> 297 ||<#FFC0CB> [[11월 6일]] ||<#FFC0CB> 전북 정읍 정주고등학교(◎) ||<#FFC0CB> 김가연(2학년) || ||<|5> 2006 || 321 || [[4월 30일]] || 광주고등학교 || 고영인(2학년) || || 331(특집) || [[7월 9일]] || 국제 화학올림피아드 기념 || 배진형([[경원고등학교(대구)|대구 경원고]] 2학년) || || 332 || [[7월 16일]] || 전북 전주 [[우석고등학교]] || 이재민(2학년) || ||<#25F5F5> 339(특집) ||<#25F5F5> [[9월 10일]] ||<#25F5F5> 과학축전 특집 ||<#25F5F5> 이정배([[일산대진고등학교|경기 고양 일산대진고]] 1학년,8번) || ||<#A6E657> 343 ||<#A6E657> [[10월 8일]] ||<#A6E657> 인천 [[송도고등학교]](◇) ||<#A6E657> 김대혁(2학년) || ||<|2>2008 || 452 || [[11월 30일]] || 전북 [[전주여자고등학교]] || 최윤영(2학년) || || 455 || [[12월 21일]] || 경북 김천여자고등학교 || 김지현(1학년) || ||<|4>2009 || 470 || [[4월 5일]] || 충남 금산고등학교 || 송은한(3학년) || || 471 || [[4월 12일]] || 서울 상문고등학교 || 조용훈(3학년) || || 483 || [[7월 5일]] || 경북 영천고등학교 || 이정환(2학년) || || 488 || [[8월 30일]] || 경기 안산 양지고등학교 || 이준수(2학년) || ||<|3>2010 || 516 || [[3월 14일]] || 대구 학남고등학교 || 진주화(3학년) || || 519 || [[4월 4일]] || 전북 고창고등학교 || 김정환(3학년) || || 530(특집) || [[6월 27일]] || 2010 과학골든벨 || 최동운(경북과학고등학교 2학년) || || 2011 ||<#A6E657> 555 ||<#A6E657> [[1월 2일]] ||<#A6E657> 광주 [[살레시오고등학교]](◇) ||<#A6E657> 진준선(3학년) || ||<|3> 2013 || 665 || [[2월 3일]] || 충남 계룡 용남고등학교 || 김혜영(3학년) || || 681 || [[7월 28일]] ||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 이재성(방송미디어과 3학년) || ||<#A6E657> 695 ||<#A6E657> [[11월 3일]] ||<#A6E657> 전남 진도고등학교(◇) ||<#A6E657> 문요한(3학년) || || 2014 || 731(특집) || [[8월 10일]] || 민주평통 통일골든벨 || 오소연(경기 군포 수리고등학교 3학년) || ||<|2> 2015 || 763 || [[4월 5일]] || 경기 오산 세마고등학교 || 박희진(1학년) || || 768 || [[5월 10일]] || 전북 고창여자고등학교 || 안신비(3학년) || ||<|3> 2016 || 806 || [[2월 14일]] || 경기 안산 초지고등학교 || 이주하(1학년) || || 825 || [[6월 26일]] || [[동패고등학교|경기 파주 동패고등학교]] || 오동렬(2학년) || || 841 || [[10월 23일]] || 경기 용인 성지고등학교 || 장영준(1학년) || || 2017 || 849 || [[1월 8일]] || [[대구상원고등학교]] || 최재완(1학년) || || 2018 ||<#A6E657> 916 ||<#A6E657> [[9월 30일]] ||<#A6E657> [[안법고등학교|경기 안성 안법고등학교]](◇) ||<#A6E657> 박서연(2학년) || ||<|2> 2019 ||<#A6E657> 943 ||<#A6E657> [[4월 7일]] ||<#A6E657> [[창원고등학교|경남 창원고등학교]](◇) ||<#A6E657> 윤창빈(3학년) || || 954 || [[6월 23일]] || [[제천제일고등학교|충북 제천제일고등학교]] || 최장영(3학년) || === 특집 편성에서 특집 방식의 서바이벌로 도전하여 도, 전, 골, 든, 벨의 5개를 다 맞추는 형식으로 도전 === ==== 등극 ==== ||<:> 연도 ||<:> 회차 ||<:> 방송일 ||<:> 특집명 || 최후의 1인 ||<:> 최종문제 ||<:> 비고 || * 해당 연도의 특집으로 등극한 학생 없음 ==== 실패 ==== ||<:> 연도 ||<:> 회차 ||<:> 방송일 ||<:> 특집명 || 최후의 1인(골든벨 수상자) ||<:> 최종문제 ||<:> 비고 || ||<|3> 2017 ||<#FAC117> 880(광복 72주년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 ||<#FAC117> [[8월 13일]] ||<#B40909> 2017 역사·통일 골든벨 ||<#FAC117> 김민재([[북일고등학교|충남 천안 북일고]] 3학년,21번) ||<#B40909> 1번 ~ 39번 [br] (골든벨 문제 최종 5문제 중 4문제 맞춰 1문제의 '벨' 탈락) [br] (윤리 - 도덕 문제) ||<#FAC117> || ||<#FF598C> {{{#ffffff 884(법원의 날 특집 도전! 법원 골든벨)}}} ||<#FF598C> {{{#ffffff [[9월 10일]]}}} ||<#FF598C> {{{#ffffff 제3회 도전! 법원 골든벨}}} ||<#FF598C> {{{#ffffff 박연주(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고 2학년, 86번)}}} ||<#FF598C> {{{#ffffff 1번 ~ 38번 통과 [br] (최종 골든벨 문제 5문제 중 1문제의 '벨' 탈락)}}} ||<#FF598C> {{{#ffffff }}} || ||<#E6E6FA> 885(한글날 특집 도전! 한글 골든벨) ||<#E6E6FA> [[10월 8일]] ||<#E6E6FA> 제3회 도전! 한글 골든벨 ||<#289DD5> 박새슬([[김해외국어고등학교|경남 김해외고]] 영어중국어과 2학년,88번) ||<#289DD5> 1번 ~ 42번 통과 [br] (최종 골든벨 문제 5문제 중 1문제의 '벨' 탈락) ||<#E6E6FA> || == 재도전 학교의 골든벨 문제 도전 == === 첫 도전 학교의 골든벨 문제 도전 === ==== 첫 도전 학교의 골든벨 문제 등극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진출자 ||<:> 진출문제 ||<:> 비고 || || 1999 ||<#FFC0CB> 8(첫도전) ||<#FFC0CB> [[11월 5일]] ||<#FFC0CB> [[강릉고등학교|강원 강릉고등학교]](◎) ||<#FFC0CB> '''{{{#green 7대 골든벨 남재균}}}'''(3학년, 번)(◎) ||<#FFC0CB>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권오성 교장선생님의 문제를 출제했다.][* 강원지역 최초로 골든벨 등극] || ||<|2> 2000 ||<#FFC0CB> 22(첫도전) ||<#FFC0CB> [[2월 25일]] ||<#FFC0CB> [[서대전여자고등학교]](◎) ||<#FFC0CB> '''{{{#green 11대 골든벨 최정은}}}'''(3학년,42번)(◎) ||<#FFC0CB>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 첫 도전의의 서대전여고(◎)의 혼란에 빠뜨렸던 문제가 출제됐다. 무려 20명의 학생이 대거 탈락한 문제인 것으로 40명 차이로 등재 되지 못한 것.][* 첫 도전(◎)에서 2000년 2월 25일 제11대 골든벨을 탄생시켰던 서대전여자고등학교!(◎)] [* 11대 골든벨 최정은(3학년,42번)은 스타킹을 신지 않은채 참가하여 11대 골든벨에 등극했다.] [* 11대 골든벨 최정은은 겨울인데도 최정은(3학년,42번) 학생이 다리가 시려워서 스타킹을 신지 않았다.] [* 11대 골든벨 최정은은 [[대전대학교]] 한의학과를 졸업했다.][* 사촌 언니(가 골든벨을 울렸다는 21대 골든벨 선지원(한국테크노과학고 과 3학년 학생) 바로 11대 골든벨의 주인공 최정은 학생의 사촌 동생(선지원 - 21대 골든벨 당시 한국테크노과학고 당시 과 3학년)] || ||<#FFC0CB> 47(첫도전) ||<#FFC0CB> [[8월 18일]] ||<#FFC0CB> [[이천고등학교|경기 이천고등학교]](◎) ||<#FFD700> '''{{{#green 15대 골든벨 이창순}}}'''(3학년) (◎)((☆) 전반기) ||<#FFC0CB>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 마지막 골든벨 문제에서 이창순(3학년) 학생이 정답은 '여민락(與民樂)'으로 15대 골든벨 등극][* 2000년 전반기 왕중왕 등극] || || 2001 ||<#FFC0CB> 102(첫도전) ||<#FFC0CB> [[9월 21일]] ||<#FFC0CB> [[구리고등학교|경기 구리고등학교]](◎) ||<#FFC0CB> '''{{{#green 23대 골든벨 한성식}}}'''(3학년,12번) ||<#FFC0CB>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 경기 구리고의 23대에 등극하기 전의 정남석 교장선생님의 문제 출제][* 한성식(3학년,12번)이 적은 답은 정답은 '울산 울주군 반구대 바위그림'으로 23대 골든벨 등극] [* 구리지역 2번째 골든벨 등극] [* 골든벨 3주연속 탄생][* 3학년 3주연속 골든벨 탄생][* [[KBS 2TV]] 채널의 마지막 방송시간대의 1~23대 골든벨 등극][* 2001년 9월 14일 방송분의 다시보기 불가] || || 2002 ||<#FFC0CB> 120(첫도전) ||<#FFC0CB> [[2월 3일]] ||<#FFC0CB> 강원 춘천여자고등학교(◎) ||<#FFD700> '''{{{#green 25대 골든벨 유은영}}}'''(3학년,59번) ||<#CC0000>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유은영(3학년,59번)이 25대 골든벨 등극하기 전의 골든벨 문제 중 선택을 소개하지 않았다.][* 첫 도전에서 유은영(3학년,59번)이 적은 답은 도스토예프스키로 25대 골든벨 등극] [* 유은영(3학년,59번)은 울음을 터트렸다.][* 첫도전에 25대에 등극하여 이미 졸업한 상태에서 2002년 왕중왕전 왕중왕 등극] || || 2004 ||<#FFC0CB> 239(첫도전) ||<#FFC0CB> [[8월 29일]] ||<#FFC0CB> [[제천고등학교|충북 제천고등학교]] (◎) ||<#FFC0CB> '''{{{#green 42대 골든벨 김학명}}}'''(3학년,60번)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 김학명(3학년,60번)의 적은 답은 종주도시로 42대 골든벨 등극][* 제천시 지역은 4,781일째 침묵] || || 2005 ||<#FFC0CB> 295(첫도전) ||<#FFC0CB> [[10월 23일]] ||<#FFC0CB> [[군포고등학교|경기 군포고등학교]](◎) ||<#98FB98> '''{{{#green 51대 골든벨 최원녕}}}'''(2학년,32번)(◎)(★) ||<#008000>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 ||<#FFC0CB> [* 첫도전의 경기 군포고(◎)의 최후의 3인 모두 남학생][* 첫도전의 경기 군포고(◎)에서 안동규 교장선생님 문제 출제] [* 마지막 문제에서 최원녕(2학년) (★)(◎)이 적은 강산,아리랑(o)로 51대 골든벨 등극] [* 2005 왕중왕 준왕중왕] [* 52대 골든벨 최원녕(2학년)은 종이비행기 노란색을 날려 찻스를 얻었던 기억을 하고 있는 최원녕(2학년) 학생] [* 담임선생님이 저한테 달려오셨다.] [* 그때 그장소에 다시 오니 감회가 새로을 뜻하다.] || || 2006 ||<#FFC0CB> 322(첫도전) ||<#FFC0CB> [[5월 7일]] ||<#FFC0CB> [[예산고등학교|충남 예산고등학교]](◎) ||<#FFC0CB> '''{{{#green 55대 골든벨 석정완}}}'''(2학년,100번) ||<#CC0000>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 [[예산고등학교|충남 예산고등학교]] 19회 졸업생! 영화배우 [[정준호]]가 전하는 깜짝 응원의 메시지!][* 50번 골든벨 문제의 출제는 최재경 교장선생님 문제 출제하였다.][* 유일하게 석정완(2학년,100번)을 달고 55대 골든벨 등극][* 첫도전에서 석정완(2학년,100번(◎)이 적은 답은 '탄소나노큐브'로 55대 골든벨 등극] [* 남학생은 196일 만에] || ==== 첫 도전 학교의 골든벨 문제까지 실패한 경우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진출자 ||<:> 진출문제 ||<:> 비고 || ||<|2> 2001 ||<#FFC0CB> 70(첫도전) ||<#FFC0CB> [[2월 2일]] ||<#000000> {{{#ffffff [[전주영생고등학교|전북 전주영생고등학교]] (◎)}}} ||<#FFC0CB> 이경재(3학년) ||<#FFC0CB>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이경재(3학년) 학생이 틀려 정답은 '동국정운(東國正熉)'로 아쉽게 탈락][* 2001년 2월 2일 방송분은 다시 보기 불가] || ||<#FFC0CB> 84(첫도전) ||<#FFC0CB> [[5월 11일]] ||<#FFC0CB> [[경동고등학교|서울 경동고등학교]](◎) ||<#FFC0CB> 이남우(3학년) ||<#FFC0CB>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 50번 골든벨 문제 정답 '재세이화(在世理化)'로 아쉽게 탈락][* 2001년 5월 11일 방송분은 다시보기 불가] || || 2004 ||<#FFC0CB> 234(첫도전) ||<#FFC0CB> [[7월 25일]] ||<#FFC0CB> [[원광고등학교|전북 익산 원광고등학교]] (◎) ||<#FFC0CB> 양진우(3학년,75번) ||<#2872B3>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br] (문학 문제)}}} ||<#FFC0CB> [* 대표적으로 '경치'라는 작품의 소설이 있는 이 소설은 무엇에 관한 문제][*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양진우(3학년,75번)이 적은 박영춘(X)가 아닌 [[나혜석]](O)으로 아쉽게 탈락] || ||<|2> 2005 ||<#FFC0CB> 280(첫도전) ||<#FFC0CB> [[6월 19일]] ||<#FFC0CB> [[해남고등학교|전남 해남고등학교]](◎) ||<#FFC0CB> 최솔(2학년,70번) ||<#008000>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br] (세계 문학 문제)}}} ||<#FFC0CB> [* 2005년 6월 19일 방송되어 녹화에서 방송하기 전에 해남고 도전하기 전의 [[도전 골든벨]] 제작진은 학생들의 인터뷰를 했다.][* 첫 도전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영어]]의 우리말로 번역한 문학 문제] [* [[김보민]] 아나운서가 영어로 문학을 출제하여 읽었다.] [* 첫 도전에서 최솔(2학년,70번)은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펄벅'으로 아쉽게 탈락] || ||<#FFC0CB> 297(첫도전) ||<#FFC0CB> [[11월 6일]] ||<#FFC0CB> 전북 정읍 정주고등학교(◎) ||<#FFC0CB> 김가현(2학년,70번)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 첫 도전에서 참가한 전북 정읍 정주고등학교(◎)가 최후의 1인 김가현(2학년,70번) 양 학생이 아쉽게 답을 적지 못해 골든벨 등극 실패][* 첫 도전의 전북 정읍 정주고의 최판색 교장선생님의 문제 출제][* 정답은 '벨푸이 선언'으로 아쉽게 탈락] || || 2006 ||<#FFC0CB> 337(첫도전) ||<#FFC0CB> [[8월 27일]] ||<#FFC0CB> [[청량고등학교|서울 청량고등학교]](◎) ||<#FFC0CB> 이덕현(3학년,26번)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 재도전(◎)에서 서울 청량고(◎)의 조의연 교장선생님 문제 출제][* 50번 골든벨 문제의 내용에서 이 글을 읽고 자란 그의 짤은 훗난 인도의 총리가 되어 '이 책의 저자는 누구'이며 이 '제목'에 관한 문제] [* 첫 도전에서 이덕현(3학년,26번)의 답은 제목:세계사 편략,저자:간디(X)가 아닌 정답은 '제목:세계사 편략,저자:네루'(O)로 아쉽게 탈락] || || 2007 ||<#FFC0CB> 392(첫도전) ||<#FFC0CB> [[9월 30일]] ||<#FFC0CB> [[풍산고등학교|경북 안동 풍산고등학교]](◎) ||<#FFC0CB> 민병룡(3학년,59번)(◎) ||<#008000>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 첫도전의 경북 안동 풍산고(◎,재도전)의 50번 골든벨 문제의 문제의 유영동 교장 선생님의 출제 중에서 여성 생태학자와 그의 저서을 적는 문제] [* 잃어버린 삶이(x) 밖에 적지 못해 아니고 정답은 헬레나 호지와 오래된 미래(o)로 아쉽게 탈락] || || 2009 ||<#FFC0CB> 478(첫도전) ||<#FFC0CB> [[5월 31일]] ||<#FFC0CB> [[부영여자고등학교|전남 여수 부영여자고등학교]](◎) ||<#FFC0CB> 류선경(3학년,49번)(◎)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FFC0CB> [* 2009년 5월 31일 "특집 진단과 전망 북핵 위기와 한반도" 방송 관계로 결방은 아니므로 5월 31일 방송분은 <전남 여수 부영여고(◎)> 편이 정상 방송되었다.][* 참가 학교(첫도전) 중 48번 문제에서 최후의 1~2인이 1명이 탈락하여 49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 류선경(3학년,◎)이 도전하게 되어 2명 골든벨 도전은 실패][* 50번 골든벨 문제의 출제는 이성관 교장선생님이 출제했다.][* 50번 골든벨 문제 출제의 이성관 교장선생님의 이름 자막이 써있지 이름 자막 미표기로 않아 소개하지 않았다.] [* 2주 연속 실패][*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쌍방의 묵비권 행사에 관한 문제][* 50번 골든벨 문제의 류선경(3학년,49번,◎)의 답은 이인의 딜레마(x)가 아닌 수인의 딜레마(o)로 한글자 차이로 아쉽게 탈락] [* 2009년 5월 24일 ~ 5월 31일 2주 연속 골든벨 실패] || === 재도전 학교의 골든벨 문제까지 도전한 경우 === ==== 재도전 학교의 골든벨 문제까지 등극한 경우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진출자 ||<:> 진출문제 ||<:> 비고 || || 2001 ||<#A6E657> 111(재도전) ||<#A6E657> [[11월 25일]] ||<#A6E657> [[백석고등학교|경기 고양 백석고등학교]](◇) ||<#A6E657> '''{{{#green 24대 골든벨 서수연}}}'''(3학년,99번) (◇) ||<#A6E657> '''50번 골든벨 문제 [br] (윤리 - 한국의 윤리 사상 문제)''' ||<#A6E657> [* 재도전 학교의 경기 고양 백석고(◇)의 고양시 지역 미표기][* 역대 최초로 재도전 학교 가운데 두 MC(윤인구,최원정)아나운서 과거 첫도전 결과를 알리지 않았다.][*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지금으로부터 1999년 이후 최후의 1인 이름 미확정(졸업생)씨가 자리해 주지 않았다.][* 재도전 학교에 참가한 경기 고양 백석고(◇)의 정답은 측온지심(測溫之心),수오지심(羞惡之心),사양지심(辭讓之心),시비지심(是非之心)으로 25대 골든벨 서수연(3학년,99번) 등극][* 역대 최초로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탄생][* 경기 고양 백석고(◇)의 최후의 99번을 달고 등극한 24대 골든벨 서수연(3학년,99번)] [* [[KBS 1TV]] 채널의 일요일 방송시간대의 최초로 24대(재도전)부터 골든벨 등극] || ||<|3> 2012 ||<#A6E657><|2> 607(재도전) ||<#A6E657><|2> [[1월 15일]] ||<#A6E657><|2> [[대전대신고등학교]](◇) ||<#A6E657> '''{{{#green 83대 골든벨 김덕호}}}'''(3학년,15번)(◇) ||<|2><#FFD700> '''50번 골든벨 문제(2명)''' ||<#A6E657> [* 최후의 2인 김덕호(3학년,15번),서문규(2학년,92번)이 적은 답은 칼레로 83대,84대 골든벨 2명 등극][* 2,506일 만에 2명 동시 배출, 대전에서는 4,342일만에] [* 역대 2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탄생][* 역대 2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2인이 3번째로 골든벨 탄생][* 남학교와 재도전 학교에선 쌍둥이 골든벨 최초] [* 82대 ~ 83대 ~ 84대의 사이에서 166일만에 수상자가 나오지 않았다.][* 재도전 학교가 3,703일여(10년 2개월)만에 역대 최강기간 공백기로 골든벨 배출][* 이 때 부터 [[2001년]] [[11월 25일]] 부터 [[2012년]] [[1월 15일]] 까지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을 울리지 않았으며 재도전 직전에서 2회 재도전 이였던 인천 송도고, 안양 신성고, 전북 고창고, 전북 정읍 정주고, 광주 살레시오고, 전북 익산 이리고, 서울 청량고 총 7개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에 실패했다.] || ||<#A6E657> '''{{{#green 84대 골든벨 서문규}}}'''(2학년,92번)(◇) ||<#A6E657> [* 나머지 서문규(2학년,92번)(◇)은 84대 골든벨 등극] || ||<#A6E657> 638(재도전) ||<#A6E657> [[9월 16일]] ||<#A6E657> [[배재고등학교|서울 배재고등학교]](◇) ||<#A6E657> '''{{{#green 88대 골든벨 유은식}}}'''(3학년,96번)(◇)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재도전 학교가 참가한 서울 배재고는 과거 최후의 1인,진출문제를 알리지 않았다.][* 4,888일만에 재도전] [* 유은식(3학년,96번)의 정답은 '백두산 정계비,토문강'(o)으로 88대 골든벨 등극] [* 3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탄생][* 역대 3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4번째로 골든벨 탄생] || ||<|2> 2014 ||<#A6E657> 704(재도전) ||<#A6E657> [[1월 5일]] ||<#A6E657> [[태원고등학교|경기 성남 태원고등학교]](◇) ||<#A6E657> '''{{{#green 98대 골든벨 이지수}}}'''(3학년,19번)(◇)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이지수(3학년,19번)의 적은 답은 녹둔도(鹿屯島)로 98대 골든벨 등극]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소재] [* 재도전 학교의 성남 태원고에서 성남시 지역 학교 미표기] [* 3,290일만에 재도전-대전대신고등학교와 같다.] [* 5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배출][* 역대 5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5번째로 골든벨 탄생] [* 지난 2009년 2월 15일 서울 광신고 최후의 1인 이지수에이어 동명이인이었으나 성남 분당 태원고(◇)에서 재도전하여 이지수 학생이 등극] || ||<#A6E657> 739(재도전) ||<#A6E657> [[10월 19일]] ||<#A6E657> [[동산고등학교|인천 동산고등학교]](◇) ||<#A6E657> '''{{{#green 104대 골든벨 문성호}}}'''(3학년,43번) (◇)[* 104대 골든벨 문성호 학생의 어머니 - 이지연,아버지 - 문형구] ||<#FFD700>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재도전 학교의 인천 동산고의 문성호(3학년,43번)의 답은 a:콤플렉스,b:페르소나로 104대 골든벨 등극][* 2014년 남학교 5회 연속 재도전 학교 출연][* 5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탄생] [* 5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5번째로 골든벨 탄생][* 역대 재도전 학교 가운데 과거 첫도전에서 결과를 알리지 못했다.][* 역대 재도전 학교 가운데 과거 최후의 1인이 소개하지 않았다.][* 재도전으로 참가한 인천 동산고등학교(◇)는 야구부가 축하 공연을 했다.][* 인천지역 마지막 등극자 - 현재 959일여(2년 7개월)째 침묵(2017년 6월 4일 기준)] || || 2015 ||<#A6E657> 762(재도전)[br] ([[전주리]] 여자 마지막 MC) ||<#A6E657> [[3월 29일]] ||<#A6E657> [[마산여자고등학교|경남 마산여자고등학교]](◇) ||<#A6E657> '''{{{#green 107대 골든벨 전해청}}}'''(1학년,32번) (◇) ||<#80808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개교 100주년을 맞은 마산여자고등학교! 재도전한 학교로 미모와 지성을 겸비한 범상치 않은 100인 상큼한 소녀들이 골든벨에 재도전한다!][* 경남 마산여자고등학교는 개교 100주년의 일환으로 재도전한 학교이다.][* 2015년 2번째로 2주 연속 재도전 학교 출연] [* 2008년 7월 27일 첫도전(◎)이후 2,437일만에 재도전][* 6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등극하여 골든벨 배출][* 재도전 학교에서 마산여고(◇,재도전)의 42번 문제에서 4명이 도전하여 3명이 탈락하여 최후의 1인 전해청(1학년,32번,106대 등극)결정][* 질문에서 최후의 1인 전해청(1학년,32번)양 학생은 작년에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셔셔 많이 힘들었는데... 가족이 더 이상 슬프지 않게 행복하게만 하고 일만 만들어 주고 싶다고 전했다.] [* 역대 6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6번째로 골든벨 탄생] [* 재도전 학교의 경남 마산여고(◇)의 신진용 교장선생님 문제 출제][* 재도전 한 마산여자고등학교 최후의 1인 전해청(1학년,32번)이 쓴 답 "메치니코프"로 107대 골든벨 등극][* 경남지역 최초로 여학생 골든벨 배출][* [[전주리]] 아나운서 마지막 방송][*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2008년 7월 27일 이후 지금으로부터 2.437일 이전 최후의 1인 정유진(졸업생)씨가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이 때 부터 [[2015년]] [[3월 29일]] 부터 [[2017년]] [[6월 18일]] 까지(107대 전해청-마산여고 ~ 121대 윤병희-안양고) 812일여(2년 3개월) 동안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을 울리지 않았으며 재도전 한 총 8개학교 중(남인천고-성인반의 만학도만 실패)가 골든벨 문제 에서 실패했다.] || || 2017 ||<#A6E657> 872(재도전) ||<#A6E657> [[6월 18일]] ||<#A6E657> [[안양고등학교|경기 안양고등학교]](◇) ||<#A6E657> '''{{{#green 121대 골든벨 윤병희}}}'''(3학년,70번)(◇) ||<#80008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br] (화학 - 물질 문제)'''}}} ||<#A6E657> [* 경기 안양고(◇)는 역대 재도전 학교 가운데서 최장 공백기인 6,722일만에 도전] [* 경기 안양고(◇)는 남학교가 아닌 남녀공학이다.][* 최후의 1인 윤병희(3학년,70번)은 48번 문제 까지 찬스없이 통과][* 최후의 1인 윤병희(3학년,70번)은 벨을 선택한 과학문제][* 경기 안양고(◇)는 50번 골든벨 문제의 출제는 송영민 교장선생님이 출제했다.][* 최후의 1인 윤병희(3학년,70번)이 쓴 답은 '[[탄소나노튜브]]'로 121대 골든벨 등극, 55대 골든벨 석정완(2학년,이후 졸업생)이 나왔던 예산고(◎) 50번 문제와 답이 중복된다.][* 경기 안양고(◇)는 7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등극하여 골든벨 배출][* 재도전 학교가 812일여(2년 3개월)만에 골든벨 배출][* 경기 안양고(◇)는 역대 7번째로 재도전 학교 최후의 1인이 7번째로 골든벨 탄생][* 이 때 부터 [[2015년]] [[3월 29일]]부터 [[2017년]] [[6월 18일]] 까지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을 울리지 않았으며 재도전 직전에서 2회 재도전 이였던 서산 서일고, 정읍 서영여고, 경북 울진고, 남인천고(추석특집 및 성인반-만학도 기준), 조대부고, 강원사대부고 3회 재도전 이였던 인천 송도고, 진주 공군항공과학고 의 총 8개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에 실패했다.][* 4연속 남학생 골든벨 등극 - 2017년 기준][* 첫 도전이었던 1999년(접속!신세대 코너 12회,3회) 최후의 1인 윤동욱(졸업생)씨가 자리해 주지 않았다.] || ||<|2> 2019 ||<:><#A6E657> 952(재도전) ||<:><#A6E657> [[6월 9일]] ||<:><#A6E657> [[용문고등학교(서울)|서울 용문고등학교]](◇) ||<:><#A6E657> '''{{{#green 126대 골든벨 임도연}}}'''( 학년, 번)[* 126대 골든벨 등극][* '''최후의 1인 -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등극'''] ||<#7F00FF><:>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127대)'''[* 출제분야: ] }}} ||<#A6E657> [* 6,951일만에 재도전][* 남학교 5연속 재도전 학교에 참가][* 2019년 5월 14일 본교에서 녹화하여 재도전한 남학교이다.][* 서울 용문고(◇,재도전)(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126대'''))의 학교 홈페이지의 포토갤러리가 나오지 않았으나 공지사항에만 사진 몇장이 나와 게시되었다.][* 여자MC인 강서은 아나운서는 진한 분홍색 의상의 원피스와 을 살색 팬티스타킹과 진한 분홍색 구두를 신고 진행했다.] [* 번 문제 까지 도전자 명 중 명이 탈락하여 명 생존][* 진영남 교장선생님 인터뷰][* 패자부활전 OX삼세판 1. 2. 3. ][* 명 부활 성공][* 패자부활 축하공연 - ] [* 41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이 임도연(1학년,91번) 학생이 결정 되었다.][* 최후의 1인 임도연(1학년,91번) 학생이 4?번 글로벌 코리아 문제에서 정답은 " "으로 통과.][* 최후의 1인 임도연(1학년,91번) 학생이 4?번 글로벌 코리아 문제를 맞춰<하외이 어학연수>의 기회를 획득했다.][* 최후의 1인 임도연(1학년,91번) 학생은 49번 문제에서 정답은 " "으로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권 획득][* 최후의 1인 임도연( 학년, 번) 학생은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든(보라색) 선택]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진영남 교장선생님의 문제 출제][*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에 관한 문제로 최후의 1인 임도연(1학년,91번) 학생이 ""로 126대 골든벨 등극][* 서울 용문고(◇,재도전) 학교가 126대 골든벨 등극][* 1년 11개월 6일 이후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배출(6월 9일,126대)] [* 9번째로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배출(126대)][* 임씨 등극자는 지난 2008년 8월 24일 경기 수원 태장고 (69대 골든벨 임윤진-여학생) 등극 이후 3,941일만에 등극][* 남자MC [[강성규]] [[아나운서]]가 진행할때 2번째로 남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하였다.][* [[강서은]] 아나운서의 MC진행의 여학생에서만 0번째, 남학생에서만 2번째 골든벨 등극하여 총 2회 골든벨 등극] || ||<:><#A6E657> 961(재도전) ||<:><#A6E657> [[8월 25일]] ||<:><#A6E657> [[봉의고등학교|강원 춘천 봉의고등학교]] (◇) ||<:><#A6E657> '''{{{#green 127대 골든벨 이휘리}}}'''(2학년,37번)[* 127대 골든벨 등극][* '''최후의 1인 -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등극'''] ||<#7F00FF>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126대)'''[* 출제분야: 문제] }}} ||<#A6E657> [* 2019년 7월 5일 참가][* 춘천시 3연속 재도전 학교 참가][* 학교 홈페이지에 나오지 않음][* 여자MC [[강서은]] 아나운서는 의상의 원피스와 을 살색 팬티스타킹과 진한 분홍색 구두를 신고 진행했다.][* 번 문제 까지 도전자 명 중 명이 탈락하여 명 생존] [* 교장선생님 인터뷰][* 패자부활전 OX삼세판 1. 2. 3. ][* 명 부활 성공][* 패자부활 축하공연 - ][* ] [* 4?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이 이휘리(2학년,37번) 학생이 결정 되었다.][* 최후의 1인 이휘리(2학년,37번) 학생이 4?번 글로벌 코리아 문제에서 정답은 " "으로 통과.][* 최후의 1인 이휘리(2학년,37번) 학생이 4?번 글로벌 코리아 문제를 맞춰<하외이 어학연수>의 기회를 획득했다.][* 4?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 이휘리(2학년,37번) 학생이 찬스를 사용했다.][* 4?번 찬스 힌트 제시 1.? 2.? 3.?] [* 4?번 찬스 문제의 정답은 " "][* 최후의 1인 이휘리(2학년,37번) 학생이 4?번 문제에서 찬스 기회 통과.][* 최후의 1인 이휘리(2학년,37번) 학생은 49번 문제에서 정답은 " ( )"로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권 획득][* 최후의 1인 이휘리(2학년,37번) 학생은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 색) 선택][*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민광식 교장선생님의 문제 출제]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 내용 및 힌트 제시에서 < > 에 관하여 이것을 적는 문제로 정답은 " "로 127대 골든벨 등극][*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최후의 1인 이휘리(2학년,37번) 학생이 정답은 " "로 126대 골든벨 등극][* 이씨 여학생 3연속 골든벨 등극][* 여학생은 280일만에 등극][* 이후 여학생은 2018년 11월 18일(충남 청양 정산고-124대 이가온)([[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 아나운서 여자MC 진행 당시)이후 280일만에 등극하지 않았다.)] [* 여학생 통산 51회 골든벨 등극][* 2연속 재도전 학교(◇)에서만 골든벨 등극 126대 임도연(서울 용문고,2019년 6월 9일 ~ 127대 이휘리(강원 춘천 봉의고)이상 재도전 학교(◇)에서만 등극에만 표시][* 강원도 춘천시 지역은 여학생은 지난 2002년 2월 3일 <춘천여고(25대 유은영(◎,2002 왕중왕 등극(☆)))>편 이후 6,412일만에 배출][* 강원지역 여학생 남녀공학 최초로 골든벨 등극(127대,재도전 학교(◇)에 등극자에 한함)][* 4년 5개월여(1,610일)만에 재도전 학교가 여학생이 골든벨 배출(2015년 3월 29일 경남 마산여고(◇,재도전) 107대 전해청 - 전주리 여자 아나운서 마지막 MC 이후)(2019년 8월 25일,127대)] [* 10번째로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 배출(127대)][* 남자MC [[강성규]] [[아나운서]]가 진행할때 재도전학교가 2번째로 골든벨에 등극 하였다.][* [[강서은]] 아나운서의 MC진행의 여학생 에서만 1번째, 남학생에서만 2번째 골든벨 등극 하여 총 3회 골든벨 등극][* 2016년 5명 등극 중의 117대 조한희(경기 이천양정여고-2명 중 1명 등극)이후 그동안 2017년 ~ 2018년 남녀학생이 등극하지 않았으나 2년 만에 2019년 이후 남녀학생이 골든벨에 등극한 경우이다.][* 강서은 아나운서가 진행할때 여학생이 첫 골든벨에 등극하여 배출했다.(127대,재도전 학교(◇)에 한함)] [* 홈페이지의 명예의 전당의 <127대 골든벨 - 961회 춘천 봉의고등학교(◇,재도전) 이휘리>의 리스트가 나오지 않고 있다.][* 역대 재도전 학교의 지난 2007년 4월 29일 첫도전(◎)한 당시 최후의 1인으로 48번 문제에서 탈락한 허난설(당시 3학년) 학생이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 ==== 재도전 학교의 골든벨 문제까지 실패한 경우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진출자 ||<:> 진출문제 ||<:> 비고 || || 2006 ||<#A6E657> 343(재도전) ||<#A6E657> [[10월 8일]] ||<#A6E657> [[송도고등학교|인천 송도고등학교]](◇) ||<#A6E657> 김대혁(2학년,17번)(◇) ||<#2872B3>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역대 재도전 학교 가운데 과거 1999년 7월 9일 결과와 최후의 1인의 송양환(현 MBC 보도국 기자)(당시 2학년,서울대 정치학과 졸업생) 현재 근황등을 알리지 않았으며 재도전 학교에서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재도전에서 인천 송도고(◇)의 박상수 교장선생님의 문제 출제] [*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최초로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재도전에서 인천 송도고(◇)의 최후의 1인 김대혁(2학년,17번)이 (답을 적지 못함] [* 정답은 저자:장 자크 루소,책제목:사회계약론(社會契約論)(O)으로 아쉽게 탈락] [*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최초로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이후 [[2016년]] [[5월 8일]] 3번 이상 재도전(◆)에 참가로 2번 이상 골든벨 도전 실패] || || 2007 ||<#A6E657> 389(재도전) ||<#A6E657> [[9월 9일]] ||<#A6E657> [[신성고등학교|경기 안양 신성고등학교]](◇) ||<#A6E657> 진경호(3학년,86번) ||<#CC0000>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역대 재도전 학교 중 [[신성고등학교|경기 안양 신성고등학교]]는 과거 결과를 알리지 못했다.] [* 역대 재도전 학교 중 [[신성고등학교|경기 안양 신성고등학교]]는 두MC([[김현욱(방송인)|김현욱]],[[오정연]] 아나운서)가 과거 첫도전의 최후의 1인이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역대 재도전 학교의 경기 안양 신성고의 과거 첫도전한 최후의 1인 이였던 이름 미확정 ???(졸업생)이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 진경호(2학년,86번)의 '작가 한용운(x) 밖에 적지 못해 정답은 작가-만해 한용운,제목-조선 독립의 서'로 아쉽게 탈락][* 역대 2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실패] [* 역대 2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2> 2010 ||<#A6E657> 519(재도전) ||<#A6E657> [[4월 4일]] ||<#A6E657> [[고창고등학교|전북 고창고등학교]](◇) ||<#A6E657> 김정환(3학년,76번) ||<#2872B3>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배미옥? 어머니 - 전북 고창고(◇) 최후의 1인 김정환(3학년,76번)(◇)의 어머니][*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3번째로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전북 고창고(◇)의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서재휴 교장의 문제 출제로 답을 적지 못함][* 정답은 성장의 한계][* 역대 재도전 학교의 전북 고창고(◇)의 첫도전한 최후의 1인 이였던 조동욱(졸업생)이 잠시 잠시 출연했다.] || ||<#A6E657> 533(재도전) ||<#A6E657> [[7월 18일]] ||<#A6E657> 전북 정읍 정주고등학교(◇) ||<#A6E657> 함정아(2학년,60번) ||<#008000>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학교중 2번째로 재도전한 학교이다.][* 역대 재도전 학교의 전북 정읍 정주고(◇)의 첫도전한 최후의 1인 이였던 김가연(졸업생)이 자리해 주지 않았다.][*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4번째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재도전에서 정읍 정주고(◇)의 함정아(2학년,60번)이 적은 답은 복건도(x)가 아닌 '암태도'(o)로 아쉽게 탈락][* 2005년 11월 6일 첫도전(◎)에 이어 2010년 7월 18일 재도전(◇)에서 아쉽게 같은 학교에서 2번 이상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3> 2011 ||<#A6E657> 555(재도전) ||<#A6E657> [[1월 2일]] ||<#A6E657> [[살레시오고등학교|광주 살레시오고등학교]](◇) ||<#A6E657> 진준선(3학년,46번)(◇) ||<#2872B3>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약 12년만에 2번째 골든벨에 재도전한 학교이다.][* 2010년 11월 21일 결방으로 방송일이 아니라 2011년 1월 2일 방송되었다.][* 역대 재도전 학교의 광주 살레시오고(◇)의 첫도전한 최후의 1인 이였던 김상철(졸업생)이 자리해 주지 않았다.][* 광주살레시오고(◇,재도전)의 김수연 가정 선생님(1학년 가정을 가르침),윤상진 국어 선생님 인터뷰 ][* 재도전으로 참가한 광주 [[살레시오고등학교]](◇) 장동현 교장 인터뷰][* 광주 살레시오고(◇))의 50번 골든벨 문제 출제는 장동현 교장선생님이 문제 출제하여 장동현 교장선생님 자막 미표기][* 답을 적지 못함][* 정답은 허셜(o)로 아쉽게 탈락] [* 역대 5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역대 5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5번째로 골든벨 실패] || ||<#A6E657> 574(재도전) ||<#A6E657> [[5월 15일]] ||<#A6E657> [[이리고등학교|전북 익산 이리고등학교]](◇) ||<#A6E657> 송수한(3학년,11번)(◇) ||<#2872B3>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전북 익산 이리고(◇)의 재도전에서 익산시 지역 미표기로 첫도전에 이어 재도전에서 익산시 지역을 표기하지 않았다.][* 최후의 1인 송수한(3학년,11번)이 적은 답을 공개하지 않아(?)(X) 답은 ???(x)가 아닌 네오(뉴) 러다이트 운동(신 기계파괴 운동)][* 첫 도전에서 참가한 서원선은 [[전라북도]] 익산산찰서 경위로 일하고 있어 선배들이 환영했다.] [* 역대 6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역대 6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6번째로 골든벨 실패] || ||<#A6E657> 587(재도전) ||<#A6E657> [[8월 14일]] ||<#A6E657> [[청량고등학교|서울 청량고등학교]](◇) ||<#A6E657> 김윤영(3학년,98번)(◇) ||<#CC0000>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2012년 8월 14일 OP변경] [* 역대 재도전 학교의 과거 2006년 8월 27일 최후의 1인 이였던 이덕현(졸업생) 씨가 자리해 주지 않았다.][* 재도전으로 참가한 서울 청량고등학교(◇)에서 아쉽게 83대 골든벨 등극 실패][* 김윤영(3학년,98번)의 답은 일반(X)가 아닌 일성록(O)로 아쉽게 탈락][* 재도전(◇)에 참가하여 83대에 등극할 경우 김윤영(3학년) 양 학생이 교장선생님이 매점을 만들겠다고 생각했는데 등극 실패로 서울 청량고의 매점 만드는 것의 꿈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 역대 7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역대 3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같은 학교에서 2번이상 골든벨 실패] || ||<|3> 2012 ||<#A6E657> 612(재도전) ||<#A6E657> [[2월 19일]] ||<#A6E657> [[동암고등학교|전북 전주 동암고등학교]](◇) ||<#A6E657> 김지운(2학년,59번)(◇)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전북 전주 동암고(◇)는 2006년 2월 19일 이후 2,191일만에 재도전][* 전북 전주 동암고는 방송 날짜가 첫도전(2006-◎)/재도전(2012-◇)이 2월 19일과 똑같다.][* 역대 재도전 학교의 전북 전주 동암고의 과거 2006년 2월 19일 첫도전한 최후의 1인 소정훈(졸업생)씨가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 역대 8번째로 재도전 학교가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역대 8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8번째로 골든벨 실패] [* 정답은 KT가 KSTAR(케이스타)로 아쉽게 탈락][* 김승휘 아나운서가 마지막에서 정답은 KSTAR(케이스타)였습니다를 [[차다혜]] 아나운서가 하지 않았다.] || ||<#A6E657> 649(재도전) ||<#A6E657> [[12월 2일]] ||<#A6E657> 경기 파주 [[문산고등학교]](◇) ||<#A6E657> 강희제(3학년,4번)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역대 재도전 학교의 경기 파주 문산고의 과거 첫도전한 최후의 1인 이였던 이병희(졸업생)씨가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강희재(3학년)의 적은 답은 인플라시보(x)가 아닌 노시보 효과(o)로 아쉽게 탈락] [* 역대 9번째로 재도전 학교가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역대 9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9번째로 골든벨 실패] || ||<#A6E657> 650(재도전) ||<#A6E657> [[12월 9일]] ||<#A6E657> [[서대전고등학교]](◇) ||<#A6E657> 김엽(3학년,48번) ||<#CC0000>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40여 년 전통의 서대전고! 2000년에 이은 두 번째 골든벨 재도전(◇)][* 역대 재도전 학교의 서대전고의 과거 첫도전한 최후의 1인 이였던 박종석(졸업생)씨가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수지세포(x)가 아닌 수지상세포(수상돌기 세포)(O)로 한글자 적지 못해 아쉽게 탈락][* 역대 10번째로 재도전 학교가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역대 10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10번째로 골든벨 실패] || ||<|3> 2013 ||<#A6E657> 656(재도전) ||<#A6E657> [[1월 27일]] ||<#A6E657> [[이천고등학교|경기 이천고등학교]](◇) ||<#A6E657> 김유신(1학년,28번) ||<#008000>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골든벨 울린 학교중 최초로 재도전한 학교이다][* 역대 재도전 학교의 경기 이천고의 과거 첫도전의 15대 및 2000년 상반기 왕중왕에 등극한 이창순(졸업생)씨가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경기 이천고(◇)의 최후의 3인 모두 1학년][* 마지막 50번 골든벨문제에서 류승헌 교장선생님 문제 출제]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스트리임(x)이 아닌 메가트랜드(megalrends)(O)로 아쉽게 탈락][* 2000년 같은 학교의 첫도전에서 15대 골든벨 등극 이후 재도전의 아쉽게 탈락, 역대 최초로 2번 이상 한 학교에서 골든벨 등극 실패][* 역대 11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A6E657> 678(재도전) ||<#A6E657> [[7월 7일]] ||<#A6E657> [[군포고등학교|경기 군포고등학교]](◇) ||<#A6E657> 이세영(2학년,28번)(◇)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골든벨 울린 학교 중 2번째로 재도전한 학교이다][* 역대 재도전 학교의 경기 군포고에서 51대 및 2005년 준왕중왕을 차지한 최원녕씨가 잠시 출연했다.][* 경기 군포고등학교는 2,807일만에 재도전한 학교이다.][* 재도전 학교에 참가한 경기 군포고는 최후의 1인 및 50번 탈락한 남학생과 이세영(2학년,28번)과 여학생 이세영(?학년,91번)의 남녀 동명이인이다.][* 역대 12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역대 12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12번째로 골든벨 실패] [* 재도전의 경기 군포고에서 안동규 교장선생님 2번 이상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출제] [* 이세영(2학년,28번)의 답은 숲속(x)가 아닌 월든(o)로 아쉽게 탈락][* 2005년 10월 23일 같은 학교의 첫도전에서 51대 골든벨 등극 이후 재도전에서 아쉽게 탈락, 역대 2번째로 2번 이상 한 학교에서 골든벨 등극 실패][* 역대 12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A6E657> 695(재도전) [br] ([[전주리]] 여자 새 MC) ||<#A6E657> [[11월 3일]] ||<#A6E657> [[진도고등학교|전남 진도고등학교]](◇) ||<#A6E657> 문요한(3학년,문과,10번) ||<#2872B3> {{{#ffffff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전주리]] 아나운서 새 MC][* 역대 13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역대 13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13번째로 골든벨 실패][* 마지막 문제에서 박종언 교장선생님의 미표기로 50번 골든벨 문제를 출제했다.][* 재도전에서 전남 진도고(◇)의 문요한(3학년,10번)이 답을 적지 못해 정답은 "틸라코이드"(o)로 아쉽게 탈락] || ||<|3> 2015 ||<#A6E657> 759(재도전) ||<#A6E657> [[3월 8일]] ||<#A6E657> [[부영여자고등학교|전남 여수 부영여자고등학교]](◇) ||<#0000ff><:>{{{#ffffff 서지예(2학년,83번)(◇)(▣)}}} ||<#00008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A6E657> [* 2015년 최초로 2주 연속 재도전 학교 출연][*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학교중 7번째로 재도전한 학교이다.][* 전남 여수 부영여고의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문제의 이병오 교장선생님이 문제 출제로 문학문제 제목과 사건배경 2가지 적는 문제][* 최후의 1인 서지예(2학년)이 쓴 답 제목 : 학, 사건배경 : 무상법(x)이 아닌 제목 : 카인의 후예, 사건배경 : 토지개혁(o)으로 아쉽게 탈락][* 14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역대 14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14번째로 골든벨 실패][* 첫도전(2009년 5월 31일)과 재도전(2015년 3월 8일)에서 전남 여수 부영여자고등학교에서 같은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지금으로부터 2009년 5월 31일 이전 최후의 1인 류선경(졸업생)씨가 자리해 주지 않았다.] || ||<#A6E657> 778(재도전) ||<#A6E657> [[8월 2일]] ||<#A6E657> [[충남]] [[서산]] [[서일고등학교]](◇) ||<#A6E657> 백민하(3학년,29번) ||<#80808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br] (역사 - 건축 - 궁궐 문제)}}} ||<#A6E657>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의 서울 성곽 건축의 궁궐에 관한 에서 조한구 교장선생님의 문제 출제로 혜경궁(X)가 아닌 건춘궁(O)로 두 글자 차이로 아쉽게 탈락] [* 15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실패하여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역대 15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15번째로 골든벨 실패][* 엔딩 에필로그에서 서산 서일고(◇,재도전)의 농악 - 상모돌리기의 공연과 방송 뒷이야기를 전했고 곧이어 50번 골든벨 문제에 탈락한 백민하(3학년,29번)(◇)등도 제자들의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전교생에게 아이스크림을 사주신 조한구 교장 선생님][*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지금으로부터 첫도전(◎)한 2005년 2월 6일 이후 최후의 1인 김솔이(졸업생-한양대 교육학과 졸업)씨가 자리해 주지 않았다.] || ||<#A6E657> 789(재도전) ||<#A6E657> [[10월 18일]] ||<#A6E657> [[서영여자고등학교|전북 정읍 서영여자고등학교]](◇) ||<#A6E657> 김성은(2학년,97번) ||<#80808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br] (경제 문제)}}} ||<#A6E657> [* 16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역대 16번째로 재도전 학교의 최후의 1인이 16번째로 골든벨 실패][* 전북 정읍 서영여고(◇)의 50번 골든벨 문제의 마지막 문제에서 김동규 교장선생님의 문제 출제로 경제 분야 문제의(가격 결정에 관한 문제)로 출제하여 스태그 디플레이션(x)이 아닌 골디락스(Goldilocks)(O)로 아쉽게 탈락][* 정읍시 지역 3번째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모두 여학생 정읍 정주고 2번 이상 (첫도전(◎)/재도전(◇))실패,서영여고(◇)][* 재도전에서 정읍 서영여고(◇)는 엔딩 에필로그에서 <내가 제일 잘나기>를 보여주었다.][*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지금으로부터 첫도전(◎)의 2003년 7월 6일 이후 최후의 1인 신경선(졸업생)씨가 자리해 주지 않았다.] || ||<|3> 2016 ||<#A6E657> 834(재도전) ||<#A6E657> [[9월 4일]] ||<#A6E657> [[울진고등학교|경북 울진고등학교]](◇) ||<#A6E657> 한재준(2학년,95번)(◇) ||<#CC000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br] (기술 - 공업 문제)}}} ||<#A6E657> [* [[도전 골든벨]] 방송 17주년][* 경북 울진고(◇)의 장인기 교장 선생님이 2011년 퀴즈 대한민국에 출연했던 영상을 활용하였다.][*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의 출제의 장인기 교장 선생님의 문제 출제로 시스템 이론(X)이 아닌 복잡계(復雜系) 이론(o)으로 아쉽게 탈락][*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17번째 골든벨 문제 실패][* 최후의 1인 한재준(2학년) 학생은 대게장사를 준비하고 있다.][*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지금으로부터 2009년 5월 17일 이후 최후의 1인 김희동(졸업생)씨가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이미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여 탈락한 상태에서 한재준(경북 울진고(◇) 2학년) - 2016년 왕중왕전 참가했다.] || ||<#000080> {{{#FFFFFF 836(추석특집) [br] (재도전)}}} ||<#A6E657> [[9월 18일]] ||<#000080> {{{#FFFFFF 추석특집-[[남인천고등학교]][br](성인반)(◇)}}} ||<#000080> {{{#FFFFFF 이정숙 주부( 과 1학년,60세,67번)}}} ||<#80808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br] (생물 - 질병 이름 문제)}}} ||<#000080> {{{#FFFFFF [* 다시보기 창의 추석특집 미표기로 '남인천고등학교'만 표기했다.][* 763일만에 재도전][* 763일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최단 간격으로 재도전][* 남인천고(◇,재도전)의 [[만학도]] 학생들이 출연하였다.][* 2016 추석특집 남인천고(◇) - 성인반 및 만학도의 43번 문제 도전 중에서 최후의 3인이 결정되었으나 소개하지 않았다.][* 2015년 9월 27일 ~ 2016년 9월 18일의 2년 연속 추석특집의 출연학교로 대체함][* 역대 18번째로 재도전 학교에서 골든벨 문제 실패][* 50번 골든벨 문제의 윤국진 교장선생님 문제 출제로 질병이름 쓰는 문제에서 아쉽게 탈락][* 도전자의 답 파상풍(x)이 아닌 말라리아(o)로 아쉽게 탈락][* 2015년 9월 27일, 2016년 9월 18일의 작년 추석특집의 출연학교에 이어 2년 연속 골든벨 문제 실패][*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지금으로부터 2014년 이후 최후의 1인 홍비단(졸업생)씨가 자리해 주지 않았다.][* 역대 50번 골든벨 실패자중 가운데 만학도에만 1명 실패한 경우이다.]}}} || ||<#A6E657> 838(재도전) ||<#A6E657> [[10월 2일]] ||<#A6E657> [[조선대학교 부속고등학교]](◇) ||<#A6E657> 임민석(1학년,86번)(◇) ||<#CC000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br] (세계사 - 근대 유럽 경제 문제)(◇)}}} ||<#A6E657> [*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19번째 골든벨 문제 실패][*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박영환 교장선생님의 문제 출제로 최후의 1인이 임민석(1학년,86번) 적은 답은 시장의 개척(x)이 아닌 창조적 파괴(o)로 아쉽게 탈락][* 역대 재도전 학교의 지금으로부터 2007년 2월 11일 첫도전하여 단독으로 도전한 최후의 1인이었던 전덕화(졸업생)이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 || 2017 ||<#A6E657> 856(재도전) ||<#A6E657> [[2월 26일]] ||<#A6E657> [[강원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A6E657> 김동원(3학년,68번)(◇) ||<#80808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br] (한국사 - 고대사 문제)}}} ||<#A6E657> [* 강원사대부고 출신 진종오 사격선수가 잠시 출연했다.][* 최후의 1인(김동원 3학년)학생은 48번 문제까지 찬스 없이 통과][* 50번 골든벨 문제의 출제는 이계호 교장선생님이 출제했다.][* 49번까지 쉽게 답을 적었으나 50번 골든벨문제 지도 이름을 적는 문제에서 아쉽게 탈락][* 최후의 1인은 삼국통감도설부해도(x)가 아닌 삼국접양지도(삼국통람여지노정전도)(o)로 아쉽게 탈락][* 27대 이어 2연 연속 2016년 2월 28일(전북 군산동고 당시 최후의 1인 2학년)두번째의 실패로 동명이인 골든벨이 나올 뻔했다.][* 첫 도전이었던 2003년 11월 2일 첫도전(◎)이었던 최후의 1인 전성배(졸업생)씨가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2016년 2월 28일(전북 군산동고 - 김동원 당시 2학년), 2017년 2월 26일(강원사대부고(◇,재도전)에서 - 김동원(3학년,68번)의 2년 연속 2월 말의 2년 연속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작년 2월 말의 군산동고에 이어 강원사대부고의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 || ||<|2> 2018 ||<#A6E657> 905 ||<#A6E657> [[7월 8일]] ||<#A6E657> [[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 ||<#A6E657> 정지수(3학년,90번) ||<#80808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 출제분야:지구과학 - 달에 관한 문제] }}} ||<#A6E657>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지구과학 분야의 문제로 A.B.C의 세가지 ??실을 적는 문제][* 적은 답은 A-슈퍼문,B-세컨드 문?? ㅠㅠ,C-블러드 문이 틀려 A,C만 맞아 B의 세컨드 문이 틀려 B의 차이가 틀려 아쉽게 탈락][* 정답은 A-슈퍼문,B-블루 문,C-블러드 문] || ||<:><#A6E657> 916(재도전) ||<:><#A6E657> [[9월 30일]] ||<:><#A6E657> 경기 안성 안법고등학교(◇) ||<:><#A6E657> 박서연(2학년,86번)[* 최후의 1인 - 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CC000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탈락) }}} ||<:><#A6E657>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여기에서 유래한 '이 사람의 매듭'이라는 말의 허점을 찾아 발상을 전환하여 쉽게 풀수 있는 문제 비유로 쓰이는 문제 ][* 최후의 1인 박서연(2학년) 학생이 적은 답은 "진짜 모르겠어요ㅠ 권석환쌤 그대도 아웃셈 가요~ㅠ"를 적지 못하고 아쉽게 탈락] [* 정답은 "고르디우스의 매듭(영어: Gordian Knot)" ][* 역대 재도전 학교가 21번째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122대 박지호(충남 계룡고)에 이어 여학생이 2번째로 골든벨 명예의 전당에 등극할 뻔 했다.][* 남자MC [[강성규]] 아나운서가 진행한 이후 3번째로 골든벨에 등극할 뻔 했다.][* 남자mc [[강성규]] 아나운서가 진행한 이후 3번째로 골든벨 도전 실패][* 방송일의 날짜(9월 30일)의 지난 2007년 민병룡(당시 3학년)(경북 안동 풍산고(첫도전))에 이어 2번째로 도전 실패] || ||<:><|3> 2019 ||<:><#A6E657> 932(재도전) ||<:><#A6E657> [[1월 20일]] ||<:><#A6E657> 경북 봉화고등학교(◇) ||<:><#A6E657> 정윤연(3학년,70번) [* 최후의 1인 - 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CC000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탈락) [* 출제 분야: 문제]}}} ||<:><#A6E657> [* 경북 봉화고는 2010년 1월 17일 첫도전 이후 재도전한 학교.][* 3,290일만에 재도전(◇)][* 역대 재도전 학교의 재도전한 참가 학교 중에서 3,290일만에 재도전하며 2012년 1월 15일 방송된 <대전대신고등학교>(83대 서문규~84대 김덕호,2인 동시등극), 2014년 1월 5일 방송된 <경기 성남 태원고>(98대 이지수) 중에서 2학교가 재도전 학교에서만 골든벨에 등극하면서 재도전 간격이 3번 연속 간격이 비슷하여 도전한 경우이다.][* 여자MC인 이혜성 아나운서는 담홍색 의상의 원피스를 입고 진행했다.][* 경북 봉화고(◇,재도전)(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의 참가한 학교 홈페이지에 나오지 않고 있다.] [* 최후의 1인 정운연(3학년,70번) 학생은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전(빨간색) 선택]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목원균 교장선생님의 문제 출제][*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최후의 1인 정운연(3학년,70번) 학생이 정답에 확신이 들지 않아 "실리콘칼라"(X)가 아닌 정답은 "노동의 종말"(O) 로 아쉽게 탈락하면서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은 실패][* 2019년 새해 이후 최초로 남학생이 <50번 골든벨 문제>에 등극할 뻔 했다.][* 121대 윤병희(경기 안양고- 재도전)에 이어 남학생이 4번째로 등극할 뻔 했다.][* 여자MC [[이혜성]] 아나운서가 진행한 이후 남학생이 2번째에서 2번째에 골든벨에 등극할 뻔 했다.] [* 남성MC [[강성규]] 아나운서가 진행한 이후 남학생이 3번째에서 3번째에 골든벨에 등극할 뻔 했다.] || ||<:><#A6E657> 943(재도전) ||<:><#A6E657> [[4월 7일]] ||<:><#A6E657> 경남 창원고등학교(◇) ||<:><#A6E657> 윤창빈(3학년,20번)[* 최후의 1인 - 벨(진한 보라색 선택),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80008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탈락) [* 출제분야:생물-유전 문제] }}} ||<:><#A6E657> [* 최후의 1인 윤창빈(3학년,20번) 학생은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벨(진한 보라색) 선택][*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정한구 교장선생님의 문제 출제]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최후의 1인 윤창빈(3학년,20번) 학생이 "죄송합니다"로 답을 적지 못하고 정답은 "키마이라/키메라"(O) 로 아쉽게 탈락하면서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은 실패][* 2019년 2번째로 남학생이 <50번 골든벨 문제>에 등극할 뻔 했다.] [* 121대 윤병희(경기 안양고- 재도전)에 이어 이후 재도전 학교가 골든벨에 등극할 뻔 했다.][* 남성MC [[강성규]] 아나운서가 진행한 이후 남학생이 5번째에서 5번째에 골든벨에 등극할 뻔 했다.][* 여자MC [[강서은]] 아나운서가 진행한 이후 남학생이 2번째에서 2번째에 골든벨에 등극할 뻔 했다.][* 역대 재도전 학교가 23번째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A6E657> 955(재도전) ||<:><#A6E657> [[6월 30일]] ||<:><#A6E657> 경기창조고등학교(◇) ||<:><#A6E657> 장희원(?)( 학년, 번)[* 최후의 1인 - ( 색 선택),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A6E657> 50번 골든벨 문제(탈락) [* 출제분야: - 문제] ||<:><#A6E657> [* 남자MC [[강성규]] 아나운서가 진행한지 1년째 돌파(2018년 6월 24일(전남 진도고(◆,3번 이상 재도전)(최종문제:48번) ~ 2019년 6월 23일 (경기창조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2019년 5월 26일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수림체육관에서 참가하여 재도전한 학교이다.][* 2014년 2월 9일 이후 1,967일만에 재도전한 학교이다.][* 안성시 지역 3번째 재도전 학교참가][* 6월 23일이 아니라 6월 30일로 방송일 기준의 1주일 연기로 방송일 및 방송시간 변경][* 여자MC인 강서은 아나운서는 의상의 원피스와 을 살색 팬티스타킹과 진한 분홍색 구두를 신고 진행했다.] [* 번 문제 까지 도전자 명 중 명이 탈락하여 명 생존][* 임종수 교장선생님 인터뷰][* 패자부활전 OX삼세판 1. 2. 3. ][* 명 부활 성공][* 패자부활 축하공연 - ] [* ][* 4?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이 장희원(?)(?학년,??번) 학생이 결정 되었다.][* 최후의 1인 장희원(?)(?학년,??번) 학생이 4?번 글로벌 코리아 문제에서 정답은 " "으로 통과.][* 최후의 1인 장희원(?)(?학년,??번) 학생이 4?번 글로벌 코리아 문제를 맞춰<하외이 어학연수>의 기회를 획득했다.] [* 4?번 문제에서 최후의 1인 장희원(?)( 학년, 번) 학생이 찬스를 사용했다.][* 4?번 찬스 힌트 제시 1.? 2.? 3.?][* 4?번 찬스 문제의 정답은 " "][* 최후의 1인 장희원(?)( 학년, 번) 학생이 4?번 문제에서 찬스 기회 통과.][* 최후의 1인 장희원(?)(?학년,??번) 학생은 49번 문제에서 정답은 " "으로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권 획득] [* 이후 여학생이 2018년 11월 18일(충남 청양 정산고-124대 이가온)(여자MC 이혜성 아나운서 진행 당시) 등극 이후의 224일 넘게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지 않았다.][* 최후의 1인 장희원(?)( 학년, 번) 학생은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 ????색) 선택][*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임종수 교장선생님의 문제 출제] [*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는 에 관한 문제로 최후의 1인 장희원(?)( 학년, 번) 학생이 " "이 아닌 정답은 " "으로 골든벨 등극은 실패][* 역대 재도전 학교가 21번째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안성시 2연속 여학생 50번 골든벨 문제 도전 실패<2018년 9월 30일(경기 안성 안법고(◇)-최후의 1인 박서연),2019년 6월 23일(경기창조고-최후의 1인 여학생 이름 미확정(?)>][* 여학생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의 2018년 9월 30일(경기 안성 안법고(◇)-최후의 1인 박서연) 이후 267일만에][* 여자MC [[강서은]] 아나운서가 진행한지 3개월 만에 최초로 여학생이 등극할 뻔 했다.] [* 124대 이가온(충남 청양 정산고)에 이어 2019년 여학생이 1번째로 골든벨 명예의 전당에 등극할 뻔 했다.][* 2019년 여학생이 1번째로 등극할 뻔 했다.] || ===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의 골든벨 문제까지 도전한 경우 === ====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의 골든벨 문제까지 등극한 경우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골든벨 수상자 ||<:> 최종문제 ||<:> 비고 || ||||||||||||||<#E0FFFF> 해당 연도 의 3번 이상(◆)의 골든벨 수상자 없음 || ====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의 골든벨 문제까지 실패한 경우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진출자 ||<:> 진출문제 ||<:> 비고 || ||<|2> 2016 ||<#E0FFFF> 818(3번 이상) ||<#E0FFFF> [[5월 8일]] ||<#E0FFFF> [[송도고등학교|인천 송도고등학교]] (◆) ||<#E0FFFF> 박상준(3학년,94번)(◆) ||<#00008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br] (제목을 묻는 문제)}}} ||<#E0FFFF> [* 110년 역사를 지닌 씩씩하고 늠름한 인천 송도고에서 세 번째 골든벨(◆)에 도전한다.][* 개교 110주년을 맞아 세번째로 재도전한 인천 송도고등학교(◆)이다.][* [[송도고등학교|인천 송도고등학교]](◆) 3번 이상 재도전 방송일 수정 2016년 4월 24일(경남 김해가야고,113대 신한비(당시 3학년))에서 5월 8일로 변경][* 역대 2번째로 3번 재도전한 인천 송도고등학교(◆)][* 역대 최초로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50번 골든벨 문제의 출제는 오성삼 교장선생님의 문제 출제로 제목을 적는 문제에서 아쉽게 탈락][* 최후의 1인 박상준(3학년,94번)은 갈라진 길(x)이 아닌 정답은 가지 않은 길(o)로 아쉽게 탈락][* 역대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에서 지금으로부터 1999년 7월 2일 (접속신세대 코너)의 송양환(첫도전,◎,졸업생 - 현 MBC 보도국 기자),2006년 10월 8일 이후 재도전 학교에서 도전한 최후의 1인이었던 김대혁(졸업생)(◇)씨가 2명이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김도환(인천 송도고(◆) 3학년) - 2016년 왕중왕전 참가] || ||<#E0FFFF> 822(3번 이상) ||<#E0FFFF> [[6월 5일]] ||<#E0FFFF>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br] (舊 공군기술고등학교(◎),(◇)) ||<#E0FFFF> 박근하( 과 3학년,73번)(◆) ||<#800080> {{{#ffcc00 50번 골든벨 문제 [br] (속담 문제}}} ||<#E0FFFF> [* 역대 최초로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에서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는 학교 홈페이지에 게재되지 않았다.][* 공군항공과학고(◆)의 20번 미식가 한자 문제에서 38명 중 단 한명만 빼고 전원탈락 했으나 패자부활전 돌림판에서 전원부활이 나왔다.][* 역대 최초로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및 세번 이상 3번째로 재도전 학교 에서 2번째로 골든벨 실패][* 역대 3번째로 3번 재도전한 공군항공과학고(◆)][* 역대 최초로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에서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는 첫도전/재도전/3번 이상한 재도전 학교이고 교명 변경전도 포함한다.][* 역대 재도전 학교의 3번 이상 참가한 공군항공과학고(◆)는 50번 골든벨 문제에서 항해복을 입은 박상로 교장선생님이 문제를 출제했다.][* 최후의 1인이 쓴 답 격언(x)이 아닌 정답은 아포리즘(o)으로 아쉽게 탈락][* 역대 3번 이상(◆) 재도전 학교에서 지금으로부터 첫돋전한 2002년 7월 27일 이후 최후의 1인 신병두(졸업생) 씨, 재도전한 2011년 5월 8일 이후 최후의 1인 방준(졸업생)씨가 2명이 잠시 출연하지 않았다.] || == 역대 특집편에서 참가한 학생의 출신 학교의 학교체에 참가하지 않은 최종문제에 탈락한 경우 == == 역대 특집편에서 참가한 학생의 출신 학교의 학교체에 참가하지 않은 도전자가 골든벨 문제에 도전 == === 명예의 전당(골든벨 수상자) === * 2005년 * 11월 27일 김은정(경북 안동여고 2학년) - 52대 (300회 특집 도전! 독서 골든벨) * 2006년 * 2월 5일 표하림(서울과학고 3학년) - 54대 (309회 도전! 와이즈(WISE) 골든벨) * 2013년 * 11월 17일 김주훈(서울 세종과학고 1학년) - 96대 (697회 2013 특집 도전! 과학골든벨) * 2015년 * 8월 16일 전진웅(경기 하남고 1학년) - 110대 (780회 광복 70주년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 === 골든벨 실패 목록 === * 2004년 * 3월 7일 원종일(2학년)(강원과학고) - (215회 공사창립특집 KBS 한국방송 77주년 특집 과학골든벨) * 2005년 * 8월 7일 송민준(2학년)(전남 여수고) - 54대 (287회 여수 청소년축제 특집) * 2006년 * 1월 29일 정진욱(인터넷 정보통신과 2학년)(서울 선린인터넷고) - (308회 설 특집 - 서울지역 공업고등학교 연합) * 7월 9일 배진형(2학년)(대구 경원고) - (337회 국제 화학올림피아드 기념 특집) * 9월 10일 이정배(1학년)(경기 고양 일산대진고) - (339회 대한민국 과학축전 특집) * 10월 22일 최정범(2학년)(경기 광주중앙고) - (345회 도전! 역사골든벨) * 2009년 * 4월 19일 전진(2학년)(광주과학고) - (472회 2009 도전 과학골든벨) * 2010년 * 6월 27일 최동운(2학년)(경북과학고) - (530회 2010 도전 과학골든벨) * 2011년 * 12월 11일 최재호(소프트웨어과 2학년)(부산컴퓨터과학고) - (602회 특집 도전! 경제 골든벨) * 2014년 * 8월 10일 오소연(3학년)(경기 군포 수리고) - (751회 민주평화 역사 통일 골든벨) * 2015년 * 10월 4일 이선화(2학년)(충남 천안 복자여고) - (787회 2015 도전! 한글 골든벨) * 2016년 * 8월 14일 구산하(충남 서천고 1학년) - (831회 광복 71주년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 * 10월 9일 박장민(1학년)(충남 천안 복자여고) - (839회 2016 도전! 한글 골든벨) * 2018년 * 9월 9일 여승우(2학년)(서울국제고) - (914회 특집 청소년 참여법정 참여인단) * 12월 9일 우재린(2학년)(최후의 1인 단독 도전)(서울 구암고) - (926회 특집 세계 반부패의 날 특집 골든벨) == 한 해에서 골든벨 문제까지 10회 이상 도전한 사례 == === 한 해에서 골든벨 문제까지 등극하여 10회 이상 등극한 경우[* 1999년,2005년 까지 2번의 9명 까지 등극하여 해당연도 <역대 참가학교> 중 <역대 골든벨 수상자> 중에서 단 한번도 10명이 등극하지 않고 있다.] === * 해당연도 - 없음 === 한 해에서 골든벨 문제까지 실패하여 10회 이상 실패한 경우(총 한해 5건 및 77회 탈락 기준) === * 2006년 - 16회 실패[* 현대 역대 최다 실패 3위] * 2009년 - 12회 실패 * 2010년 - 10회 실패 * 2015년 - 20회 실패[* 현재 역대 최다 실패 1위] * 2016년 - 18회 실패[* 현대 역대 최다 실패 2위] == 한 해에서 골든벨 문제 도전에서 각 모든 5개(도,전,골,든,벨)의 제시된 분야의 색 통을 각 선택하여 도전한 사례 == === 한 해에서 골든벨 문제 도전에서 각 모든 5개(도,전,골,든,벨)의 제시된 분야의 색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등극한 사례 === * 해당연도 - 없음 === 한 해에서 골든벨 문제 도전에서 각 모든 5개(도,전,골,든,벨)의 제시된 분야의 색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실패한 사례 === * 2005년 9회 * 2006년 15회 * 2007년 9회 * 2009년 12회 * 2013년 9회(2)(2명 동시 탈락 및 실패 포함) * 2015년 18회 * 2016년 18회 == 지역별에서 골든벨 문제 도전에서 각 모든 5개(도,전,골,든,벨)의 제시된 분야의 색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도전한 사례 == === 지역별에서 골든벨 문제 도전에서 각 모든 5개(도,전,골,든,벨)의 제시된 분야의 색 통을 각 선택하여 모두 등극한 사례 === * 충청남도 - 5회 및 5명 == 한 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와 특집편에서 최후의 1~4인이 소개하지 않은 경우(총 104개 학교 및 총 114회 기준,(초등학교 2회 및 2회 학교 참가&중학교 1회 참가 포함) ) == * 2001년 5회 * 1월 5일 강원 강릉 강일여고(최종문제:49번) * 8월 3일 서울 서문여고(최종문제:49번) * 11월 11일 충남 천안고([[KBS 1TV]] 일요일 저녁 7시 10분 ~ 8시, 50분의 방송시간 변경) * 11월 18일 경북 포항제철고 * 12월 16일 서울 영훈고(최후의 5인 소개하지 않았음) * 2002년 2회 * 1월 13일 대구 협성고 * 3월 3일 광주 광덕고(◎) * 2007년 1회 * 5월 20일 충남 서천고&서천여고(2학교 이상 출연 학교) (50번 탈락 - 충남 서천여고 최후의 1인 구한민) * 11월 25일 400회 특집 전국고교최강전 (50번 탈락 - 충남 천안중앙고 권무광) * 2009년 1회 * 11월 29일 서울 광문고(◇) * 2015년 8회 * 5월 3일 충남 아산 온양여고 * 5월 31일 전북 전주영생고(◇) * 6월 7일 경남 창녕옥야고(108대 류지윤 -3학년) * 6월 14일 경기 고양 저현고([[고양시]] 지역 미표기) (50번 탈락) * 6월 28일 경기 여주 점동고(50번 탈락) * 8월 2일 충남 서산 서일고(◇)(50번 탈락) * 8월 30일 경남 밀양고(111대 최준희 - 2학년) * 9월 27일 추석특집 섬마을 골든벨(전남 신안 도초고)(50번 탈락) * 2016년 15회 * 1월 17일 인천송천고(최종 4인 중 다음 최종 3인 결정)(50번 탈락) * 4월 3일 경기자동차과학고(최후의 3인 중 - 여학생 장혜린 학생의 이름/학과/학년 미표기) * 5월 8일 인천 송도고(◆)(50번 탈락) * 5월 29일 경기 수원 망포고 * 6월 5일 공군항공과학고(◆,최후의 4인 중 학년 미표기)(구 경남 공군기술고)(50번 탈락) * 7월 3일 서울 동일여상(최후의 2인 중 여학생 이름/학과/학년 미표기) * 7월 10일 경기 고양 일산동고(고양시 지역 미표기) * 7월 17일 경기 성남 판고교(114대 권민성 - 2학년) * 7월 31일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최후의 4인 여학생 이름/학과/학년 미표기) * 8월 21일 2016 광복 71주년 특집 - 2부 재중동포 골든벨(최후의 4인 중 - 3명은 여학생, 1명은 남학생 중국 출신 학교/학년/이름 미표기,115대 황미홍) * 9월 4일 경북 울진고(◇)(50번 탈락) * 9월 18일 추석 특집 - 남인천고(◇) 성인반(만학도 특집 - 최후의 4인 중 학생 이름 및 학년 미표기) (50번 탈락) * 10월 2일 조선대학교 부속고(◇)(50번 탈락) * 10월 16일 경기 김포 마송고 * 10월 23일 경기 용인 성지고(최후의 4인 중 이하진(100번)의 학년 미표기)(50번 탈락) * 2017년 18회 * 1월 15일 경남 사천 용남고(학년 미표기) * 2월 19일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영석고 * 3월 5일 경기 안산 고잔고(학년 미표기) * 4월 9일 경북 경산고 * 4월 23일 강원 홍천고(119대 박우선 - 1학년 - 최후의 2인 중 1명 등극,나머지 1명은 50번 탈락) * 4월 30일 서울 누원고 * 5월 7일 경기 남양주 청학고(120대 함태원 - 1학년) * 5월 28일 가정의달 지역특집 라이벌 연합골든벨 충북 제천고(◇) & 제천여고(◆)(2부) 2학교 이상 출연 학교 (최후의 1인 이요셉 -제천고 3학년) (김지원 아나운서 마지막 방송) * 6월 4일 강원 강릉문성고(박소현 아나운서 새 여자MC) * 6월 11일 경기 고양 정발고 * 6월 18일 경기 안양고(◇)(121대 윤병희(◇) - 3학년) * 7월 2일 충남 예산고(◇) (최후의 3인 중 - 최후의 2인(윤의성,편정웅 이상 당시 3학년)(최종문제:49번-2인 동시 탈락) * 7월 9일 전남 목포 목상고(최종문제:46번) * 7월 30일 경북 영천여고 (최종문제:46번) 최종 4인이 결정 되었으나 다음 최종 2인 결정 * 8월 6일 경남 창원기계공고(최종문제:43번) (2주 연속,2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8월 20일 전북 정읍고(최종문제:49번) (4주 연속,4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8월 27일 대전고(최종문제:46번) (5주 연속,5회 연속 최후의 2인 소개하지 않음) * 10월 8일 제3회 한글 골든벨 (8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초등학생 중학교 골든벨 도전 * 초등학생 골든벨 - 5월 5일 어린이 골든벨(경기 김포 운유초)(명예골든벨 김민재 - 6학년) * 중학생 골든벨 - 5월 14일 중학교 골든벨(충남 천안백석중) * 2018년 37회 (초등학교 참가 포함) * 3월 4일 부산 부경보건고(성인반 60세 이상 - 만학도)(공사창립특집)(최종문제:44번) (8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2018년 3월 4일은 공사창립특집으로 기획하여 방송됨] * 3월 11일 충남 당진 합덕제철고(최종문제:43번)(당진시 지역 미표기)(최후의 2인의 2명은 학과 미표기) (9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2018년 3월 11일은 충남 당진 합덕제철고의 [[당진시]] 지역 미표기이다.] * 3월 18일 충북 음성 대소금왕고 (최종문제:46번) (10회 연속 최후의 3인 소개하지 않음) * 3월 25일 충북 청주 일신여고(◇,재도전) (최종문제:46번) 최후의 4인 소개못함 - 최후의 4인 중 1명 의 이름 미확정 (11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충북 청주 일신여고(◇,재도전) (최종문제:46번)의 최후의 4인이 결정되었으나 소개하지 않았으면 41번 문제 직후 1명이 임의 탈락하여 다음 43번 문제에서 최후의 3인이 3명이 남았을때 도전까지 하였다.] * 4월 1일 한국외식과학고 (최종문제:44번)(최후의 2인 도전자의 학생의 학과 미표기)(12회 연속 최후의 2인 소개하지 않음) * 4월 8일 경북 김천 율곡고 (최종문제:36번)(최후의 3인 중 1명의 이름 및 학년 미확정)(13회 연속 최후의 3인 소개하지 않음) * 4월 15일 충남 당진 호서고(◇) (최종문제:48번) (최후의 4인 소개 못함으로 최후의 4인 중 4명 중 2명이 탈락하여 최후의 2인만 소개함)(14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4월 22일 경기 수원 청명고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골(회색) 선택) (최후의 4인 소개 못함으로 최후의 4인 중 4명 중 2명이 이름 및 학년 미확정 및 탈락하여 최후의 2인만 소개함) 최후의 2인만 소개함)(15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4월 29일 경북 구미 선산고 (최종문제:45번 탈락) (최후의 4인 소개 못함으로 최후의 4인 중 4명 중 2명이 이름 및 학년 미확정 및 탈락하여 최후의 2인만 표기함) (16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5월 13일 경남 진주 진양고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골(회색) 선택) (최후의 4인 소개 못함으로 최후의 4인 중 4명 중 2명이 이름 및 학년 미확정 및 탈락함) (17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5월 20일 경남 마산용마고 (최종문제:48번 탈락) (최후의 4인 소개 못함으로 최후의 4인 중 4명 중 2명이 이름 및 학년 미확정 및 탈락함) (18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5월 27일 강원 강릉고(◇,재도전)(최종문제:47번 탈락) (최후의 4인 소개 못함으로 최후의 4인 중 4명 중 3명이 이름 및 학년 미확정 및 탈락함) (19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6월 3일 충남 계룡고(122대 박지호)(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최후의 2인 소개 못함) (20회 연속 최후의 2인 소개하지 않음) * 6월 24일 전남 진도고(◆)(최종문제:48번,답을 적지 못함)(최후의 4인 소개 못함) (21회 연속 최후의 2인 소개하지 않음)(강성규 아나운서 남자 새MC) * 7월 1일 경기 평택 효명고(◇)(최종문제:47번,답을 적지 못함)(구 효명종합고 - 교명 변경 후 재도전) (최후의 4인 소개 못함) (22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7월 8일 대구혜화여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최후의 3인 소개 못함) (23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음) * 7월 15일 경기 시흥 장곡고(최종문제:46번)(최후의 3인 소개 못함 - 최후의 3인 결정 후 최후의 2인 결정)(24회 연속 최후의 3인 소개하지 않았음) * 7월 22일 충남 천안 병천고(최종문제:46번)(최후의 4인 소개 못함- 최후의 4인 결정 후 학과 미표기) (25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았음) * 7월 29일 경기 오산 세교고(참가학교 및 방송일 변경 수정)(최종문제:49번)(최후의 4인 소개 못함- 최후의 4인 결정 중 2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 (26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았음) * 8월 5일 경기 안양 근명여자정보고(참가학교 및 방송일 변경 수정)(최종문제:45번)(최후의 4인 소개 못함- 최후의 4인 결정 후 학과 미표기) (27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았음) * 8월 12일 909회 광복 73주년 특집-역사•통일 골든벨 (최후의 4인 소개 못함 - 최후의 4인 결정 후 4명 중 2명(박재상,유민재)의 각 출신 학교 및 학년 미표기) (28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았음) * 8월 19일 충남 서천고(◇,재도전)(최종문제:47번)(최후의 4인 소개 못함- 최후의 4인 결정 중 3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 (29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았음) * 8월 26일 충북반도체고(최종문제:45번)(최후의 4인 소개 못함 - 최후의 4인 결정 중 4명의 학과 미표기 2명은 이름 학년 학과 미표기) (30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았음) * 9월 2일 강원 신철원고(◇,재도전)(최종문제:49번)(최후의 4인 소개 못함- 최후의 4인 결정 중 3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 (31회 연속 최후의 4인 소개하지 않았음) * 9월 9일 특집 청소년 참여법정 참여인단(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최종 3인 결정 이후 다음 최종 2인 결정) (32회 연속 최종 4인이 소개하지 않았음) * 9월 16일 914회 대구 강동고(최종문제:46번)(최종 4인 중 다음 최종 3인 결정)(최종 4인 소개 못함 - 최종 3인 결정 중 1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 (33회 연속 최종 3인이 소개하지 않았음) * 9월 30일 916회 경기 안성 안법고(◇,재도전)(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최후의 2인 소개 못함)(박소현 아나운서 마지막 여자MC) * 10월 7일 917회 한글날 특집 제4회 도전! 한글골든벨(최종문제:49번)(최종 3인 소개 못함 - 각 출신 학교 소속임)(이혜성 아나운서 새 여자 MC) * 10월 14일 918회 인천해사고(최종문제:49번)(최종 3인 소개 못함 - 최종 3인 결정 중 명은 이름 학년 학과 미표기) * 10월 21일 919회 경기 용인 청덕고(최종 3인 소개 못함 - 최종 3인 결정 중 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 * 10월 28일 920회 대전 계룡디지텍고(최종 4인 소개 못함 - 최종 4인 결정 중 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 * 11월 4일 921회 소방의 날 특집 - 소방관 특집 골든벨(전국의 지역 소방관의 최종 3인 소개 못함) * 11월 11일 922회 경기 평택여고(123대 이채연)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4인 중 2명은 이름/학년 미표기(최종 4인 결정 중 각 학과의 참가한 학생의 전원 탈락)) * 11월 18일 923회 충남 청양 정산고(124대 이가온) - 최종 3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3인 중 1명은 이름/학년 미표기) * 11월 25일 924회 경남 진주 선명여고(최종문제:47번) - 최종 3인 결정 중 이름 학년 학과 미표기/최종 3인 중 2명은 이름/학년/학과 미표기) * 12월 2일 925회 무역의 날 특집 골든벨 (최종문제:46번) - 최종 2인 결정 중 이름 학년 학과 미표기/최종 3인 중 2명은 이름/학년/학과 미표기) * 12월 16일 927회 울산 성광여고(최종문제:49번) - 최종 3인 결정 중 이름 학년 학과 미표기/(최종 3인 중 2명은 이름/학년 미표기) * 12월 23일 928회 경기 남양주 별내고(최종문제:47번) * 초등학생 골든벨 도전 * 초등학생 골든벨 - 5월 5일 어린이 골든벨(경기 고양 오마초)(명예골든벨 황지우 - 6학년) * 2019년 27회 * 1월 6일 세종 양지고(최종문제:48번)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4인 중 3명은 이름/학년 미표기) * 1월 13일 경북 상주여고(최종문제:49번)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4인 중 3명은 이름/학년 미표기) * 1월 20일 경북 봉화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4인 중 3명은 이름/학년 미표기) * 1월 27일 서울 명덕여고(최종문제:49번)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4인 중 3명은 이름/학년 미표기) * 2월 17일 국립국악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학과 미표기/(최종 4인 중 3명은 이름/학년 미표기) * 2월 24일 강원 정선 함백고(최종문제:49번)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학과 미표기/(최종 4인 중 3명은 이름/학년 미표기) * 3월 3일 전북 고창고(◆)(최종문제:48번)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4인 중 3명은 이름/학년 미표기)(이혜성 아나운서 마지막 여자 MC) * 3월 10일 대구 운암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125대''') - 최종 3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3인 중 2명 중에서 1명은 이름/학년 미표기)(강서은 아나운서 새 MC) * 3월 24일 서울미술고(최종문제:45번) - 최종 2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 * 3월 31일 서울관광고(최종문제:47번)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4인 중 2명 중에서 2명은 이름/학년 미표기) * 4월 7일 경남 창원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최종 3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 * 4월 21일 울산 삼일여고(최종문제:49번)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 * 4월 28일 충북 음성 매괴고(최종문제:45번)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 * 5월 19일 충남 아산 온양용화고(최종문제:49번)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 * 5월 26일 경기 화성 향남고(최종문제:48번) - 최종 4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 * 6월 2일 대구 구암고(◇)(최종문제:49번) - 최종 2인 결정 중 이름 학년 미표기 * 6월 9일 서울 용문고(◇)(126대 임도연)(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126대''') * 6월 16일 경남 산청고(최종문제:49번) * 6월 23일 충북 제천제일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답을 적지 못함) - 최종 2인 중 1명의 이름 학년 미표기 * 6월 30일 경기창조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7월 7일 경기 평택기계공고(◇)(최종문제:47번)(답을 적지 못함) - 최종 4인 중 1명의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4인 중 4명의 학과 미표기 * 7월 21일 강원 속초여고(◇)(최종문제:49번) - 최종 4인 중 2명의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4인 중 2명의 미표기 * 8월 12일 959회 광복 74주년 특집-역사•통일 골든벨(최종문제:47번) (최후의 4인 소개 못함 - 최후의 4인 결정 후 4명 중 2명(홍승혁,김효정)의 각 출신 학교 및 학년 미표기) * 8월 25일 971회 강원 춘천 봉의고(◇)(127대 이휘리)(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127대''') - 최종 3인 중 1명의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3인 중 1명의 미표기 (강서은 아나운서 마지막 여자 MC) * 9월 1일 972회 경북 칠곡 북삼고(◇)(최종문제:48번) - 최종 3인 중 1명의 이름 학년 미표기,최종 3인 중 1명의 미표기 (박지원 아나운서 새 여자 MC) * 9월 15일 974회 2019 추석 특집 - 38개국 외국인 골든벨 - 최종 4인 중 2명의 각 출신 국가의 이름/출신 국가 미표기, 최종 4인 중 2명의 미표기 * 9월 29일 975회 특집 - 어린이 교통안전 골든벨 - 최종 2인 중 2명의 각 지역의 출신 초등하교의 이름/출신 초등학교 미표기, 최종 2인 중 2명의 미표기 == 한 해에서 한 회의 각 참가한 학교와 특집편에서 최후의 1~4인이 소개한 경우(총 10회 기준) ==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8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한 해에서 한 회의 각 참가한 학교와 특집편에서 최후의 1~4인이 소개하지 않은 경우(총 1회 기준) == * 2018년 [* 2018년 3월 4일 12월 23일(이중 3월 4일 ~ 6월 10일, 6월 24일 ~ 9월 16일, 9월 30일 ~ 10월 28일, 11월 11일 ~ 12월 23일) 까지 한 해의 한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이 소개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 한 해에서 한 회의 각 참가한 학교와 특집편에서 최후의 1~4인이 소개하지 않고 있는 경우 == == 한 회의 각 참가한 학교와 특집편에서 MC의 아나운서가 남자,여자 MC가 최후의 1~4인이 소개하지 않은 경우(총 1회 기준) == === 한 회의 각 참가한 학교와 특집편에서 MC의 아나운서가 여자 MC가 최후의 1~4인이 소개하지 않은 경우(총 1회 기준) [* 역대 진행자 중 여자MC 의 아나운서에서만 최후의 1~4인이 소개하지 않은 경우는 최종 진행한 진행기간 기준이다.] === * [[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 아나운서[* 2018년 10월 7일 ~ 2019년 3월 4일 (2018년 이중 10월 7일 ~ 10월 28일, 11월 11일 ~ 12월 23일, 2019년 1월 6일 ~ 1월 27일, 2월 17일 ~ 3월 3일) 까지 진행 기간동안 단 한번도 최후의 1~4인이 소개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 한 회의 각 참가한 학교와 특집편에서 MC의 아나운서가 남자,여자 MC가 최후의 1~4인이 소개하지 않은 경우(총 2회 기준) == === 한 회의 각 참가한 학교와 특집편에서 MC의 아나운서가 남자 MC가 최후의 1~4인이 소개하지 않은 경우(총 2회 기준) [* 역대 진행자 중 남자,여자MC 의 아나운서에서만 최후의 1~4인이 소개하지 않은 경우는 최종 진행한 진행기간 기준이다.] === * [[강성규]] 아나운서 [* 2018년 6월 24일 ~ 9월 16일,9월 30일 ~ 10월 28일, 11월 11일 ~ 12월 23일, 2019년 1월 6일 ~ 1월 27일, 2월 17일 ~ 3월 10일,3월 24일 ~ 4월 7일,4월 21일~4월 28일, 5월 19일~7월 7일,7월 21일 기준의 현재까지 96회 연속의 기간 부터 한 해의 한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이 소개하지 않았다.] * [[강서은]] 아나운서 [* 2019년 3월 10일,3월 24일 ~ 4월 7일, 4월 21일~4월 28일,5월 19일~7월 7일,7월 21일 기준의 15회 연속의 기간 부터 한 해의 한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이 소개하지 않았다.] == 새해 골든벨 문제 도전 == === 새해 첫 방송에서 골든벨에 도전한 사례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 진출자(대수별 수상자) || || 2009 || || [[1월 4일]] || 광주 문성고등학교 || 박광영(3학년) || || 2013 || 653 || [[1월 6일]] || 서울 [[대광고등학교]] || 90대 골든벨 한종현(1학년) || ||<#A6E657> 2014 ||<#A6E657> 704 ||<#A6E657> [[1월 5일]] ||<#A6E657> 경기 성남 [[태원고등학교]] (◇) ||<#A6E657> 98대 골든벨 이지수(3학년) || || 2015 || 750 || [[1월 4일]] || 경기 성남 [[계원예술고등학교]] || 김다영(2학년) || === 새해 첫 방송에서 골든벨을 울린 사례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 진출자(대수별 수상자) || || 2013 || 653 || [[1월 6일]] || 서울 [[대광고등학교]] || 90대 골든벨 한종현(1학년) || ||<#A6E657> 2014 ||<#A6E657> 704 ||<#A6E657> [[1월 5일]] ||<#A6E657> 경기 성남 [[태원고등학교]] (◇) ||<#A6E657> 98대 골든벨 이지수(3학년) || === 새해 첫 회 골든벨에 실패한 사례 === ||<:> 연도 ||<:> 회차 ||<:> 방송일 ||<:>학교명/편성명/특집명|| 진출자 ||<:> 진출문제 || || 2009 || 457 || [[1월 4일]] || 광주 문성고등학교 || 박광영(3학년) || || || 2015 || 750 || [[1월 4일]] || 경기 성남 [[계원예술고등학교]] || 김다영(2학년) || || == 역대 최연소 골든벨 수상자 == * 72대 서울 [[중앙고등학교]] - 이수홍(2학년)([[2009년]] [[1월 11일]]) 16세 1993년생으로 고교시절 이전부터 월반을 거듭해서 2009년 초에 졸업했다.(참고로 93년생은 2009년 3월에 고교에 입학한 세대다.) '''역대 골든벨 달성자 중에서도 최고'''라 할 수 있는 무시무시한 스펙을 자랑하는데, 중학교 1학년 때 한국수학올림피아드 최고상인 고등부 금상을 받고 한국과학영재학교에 합격하고 바로 일반고로 전학하여 고등학교 1학년 때 (중학교 1학년의 다음 해이다)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 한국 대표로 출전해서 금메달을 수상하고, 고등학교 2학년이었던 출연 당시 역대 최연소 [[서울대학교]] 합격자로 기록된 상태였으며, 서울대 수리과학부/통계학과군에 진학하여 1학년 때 전년도에 전국 대학생 수학경시대회 최우수상 수상과 이번에 우수상을 수상한 수리과학부 1년 선배(역시 IMO 금메달리스트 출신)에 이어 대수경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MIT 박사과정 중. --이제 [[필즈상]]만 따내면 된다.-- * 107대 경남 마산여자고등학교 - 전해청(1학년)([[2015년]] [[3월 29일]]) * 109대 전북 [[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 - 이예지(1학년)([[2015년]] [[6월 21일]]) == 역대 최연소 골든벨 실패자 == * [[2015년]] [[4월 5일]] 경기 오산 [[세마고등학교]] - 박희진(1학년) == 연도별 한 해에서 첫 골든벨 에 등극하여 가장 늦은 날짜에서 등극한 경우 == * [[2010년]] * [[3월 21일]] 서울 [[동덕여자고등학교]] - 76대 송정인(2학년)(▣)[* 여학생은 2008년 이후 2009년 한해의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으며,다음 해인 2010년 546일만에 등극하여 76대 등극][* 2010년 왕중왕전 최후의 4인 까지 도전함] * [[2016년]] * [[4월 24일]] 경남 김해가야고등학교 - 113대 신한비(3학년)[* 113대 등극 후 109대 등극 이후 여학생은 308일만에 등극] * [[2018년]] * [[6월 3일]] 충남 계룡고등학교 - 122대 박지호(3학년) [* 남학생은 122대 등극 후 117대 등극 이후 2016년 이후 2017년 한해의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으며,다음 해인 2018년 567일만에 등극,박소현 아나운서 여자MC 진행 이후 첫 여학생 골든벨 등극] * [[2019년]] * [[3월 10일]] 대구 운암고등학교 - 125대 송명(2학년) [* 남학생은 2017년 121대(◇,재도전) 등극 후 125대 등극 이후 2018년 한해의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았으며,다음 해인 630일여(1년 8개월 22일)만에 등극,강서은 아나운서 여자MC 첫 진행시 첫 남학생 등극] == 역대 참가 학교의 남,여학교의 남학교,여학교가 학교에 참가하여 가장 늦은 날짜에 참가한 경우 == 남학교 * 2010년 * 8월 22일 - 충북 충주고 (78대 고건호 -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 * 2012년 * 3월 11일 - 경기 수원 수성고 (최종문제:46번 - 2인 동시 탈락) * 2014년 * 5월 18일 - 경남 양산고 (최종문제:49번) * 2018년 * 2018년 남학교 참가학교 없음(X) * 2018년 * 11월 10일 '''방송예정''' - 참가 남학교 미확정 ?? ??고 (최종문제 : 번 ) 여학교 * 2010년 * 3월 21일 - 서울 동덕여고 (76대 송정인 -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 * 2012년 * 5월 20일 - 경북 문경여고 (최종문제:46번) * 2015년 * 5월 3일 - 충남 아산 온양여고 (최종문제:48번) * 2016년 * 7월 24일 - 경남 의령여고 (최종문제:47번)(답을 적지 못함) * 2017년 * 6월 25일 - 경북 경주 선덕여고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최후의 1인 단독 도전의 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2018년 * 11월 11일 - 경기 평택여고 (123대 이채연 - 최종문제 :'''50번 골든벨 문제 등극''') * 12월 16일 - 울산 성광여고 (최종문제:49번) == 2학교 이상이 한 회에 출연한 경우 == === 참가학교 === ==== 2학교 이상 출연 ==== ||<:> 연도 ||<:> 날짜 ||<:> 출연학교 ||<:> 진출자(대수별 수상자) ||<:> 최종문제 || ||<|2> [[2000년]] || [[7월 28일]] || 전북 [[전주신흥고등학교]] & [[전주기전여자고등학교]] || 송현종(전북 전주신흥고등학교 3학년) [br] 백선애(전북 전주기전여자고등학교 3학년) || 49번 || || [[8월 4일]] || 전북 [[군산제일고등학교]] & [[군산영광여자고등학교]] || 정인성(전북 군산제일고등학교 3학년) || 46번 || || [[2001년]] || [[8월 24일]] || 충남 천안 [[북일고등학교]] & [[북일여자고등학교]] || 김규철([[북일고등학교]] 2학년) || 50번 골든벨 문제 || || [[2006년]] || [[6월 11일]] || 경북 칠곡 순심고등학교 & 순심여자고등학교[* 두 학교가 순심교육재단이다.] || '''{{{#green 56대 골든벨 윤문열}}}'''(경북 칠곡 순심고등학교 1학년)(☆) [br] 최후의 2인 장세원(이상 경북 칠곡 순심고등학교 2학년) || '''50번 골든벨 문제''' [br] 50번 골든벨 문제 || ||<|2> [[2007년]] || [[5월 20일]] || 충남 서천고등학교(◎) & 서천여자고등학교 || 구한민(서천여자고등학교 2학년) || 50번 || || [[7월 15일]] || 경기 안양 [[양명고등학교]] & [[양명여자고등학교]] || 한송이(양명여자고등학교 3학년) || 46번 || || [[2010년]] || [[12월 5일]] || 서울 [[청원고등학교]] & [[청원여자고등학교]][* 두 학교가 학교법인 청원학원인데 청원정보산업고등학교 폐교 후 청원여자고등학교를 개교하였다. 야구부는 청원고등학교로 이관.] || 이전풍(서울 청원고등학교 2학년) || 49번 || || [[2017년]] || [[5월 21일]] [br] [[5월 28일]] || 충북 제천고등학교(◇) & 제천여자고등학교(◆) [* 가정의 날 연합특집. 제천고(42대 골든벨)는 두 번째, 제천여고는 세 번째 도전이다.] || 이요셉(제천고등학교 3학년) || 48번 || ==== 3학교 이상 출연 ==== ||<:> 연도 ||<:> 날짜 ||<:> 출연학교 ||<:> 진출자(대수별 수상자) ||<:> 최종문제 || || 2007년 || 4월 8일 || 부산 [[브니엘학원 사태|브니엘학원]] 연합 [br] ([[브니엘고등학교]], 브니엘여자고등학교, [[브니엘예술고등학교]])[* 역대 세 학교가 동시 출연한 유일한 경우. 게다가 [[일반계 고등학교|성격이]] [[예술고등학교|다른]] 학교가 동시에 출연한 경우로도 이쪽이 유일하다.][* [[브니엘예술고등학교]]의 경우는 골든벨 역사상 최초로 [[예술고등학교]]가 골든벨에 출연한 케이스고 2015년 이전까지만 해도 골든벨에 출연했던 유일한 [[예술고등학교]]였는데, 어째서인지 2015년 1월 4일에 방영된 [[계원예술고등학교]] 편에서는 [[http://www.kbs.co.kr/1tv/sisa/goldenbell/view/preview/index.html?bbs_pr=/mode:0/seq:660808/goto_page:4|골든벨 역사상 최초로 예술고등학교가 골든벨에 도전한다고]] 소개하고 있다.] || 김아영(브니엘여자고등학교 3학년) || 48번 || == 지역 학교 연합 특집으로 출연한 경우 == ||<:> 방송일자 ||<:> 특집명/편성명 ||<:> 진출자(대수별 수상자) ||<:> 최종문제 || ||[[2007년]] [[5월 27일]] || 인천지역 연합 발명 골든벨 || 정진호(인천 연수고등학교 2학년) || 46번 || == 한 학교에서 교명 변경전과 변경후의 학교가 참가 및 변경 후 학교가 재도전한 경우 == * 인천 영일외국어고등학교(현 인천외국어고등학교) 1999년 4월 16일 접속! 신세대 코너 - 2대 박찬혁( 과 3학년,11번)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 * 서울 상명여자고등학교(현 상명고등학교) 1999년 9월 3일 독립 편성 이후 - 6대 변보영(3학년,6번)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 * 서울 미림여자전산고등학교 (현 미림여자정보과학고등학교) 1999년 10월 15일 - (최종문제:미확정) * 인천 강화여자종합고등학교(현 강화여자고등학교) 2000년 1월 28일 - (최종문제:미확정) * 서울 동구여자상업고등학교(현 동구마케팅고등학교) 2000년 5월 19일 34회 - 윤효정( 과 3학년) (최종문제:47번) * 경기 김포 양곡종합고등학교(현 양곡고등학교) 2000년 6월 2일 36회 - 윤효정( 과 3학년)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서울 염광여자고등학교(현 염광고등학교) 2000년 6월 9일 37회 - 남경민(3학년)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강원 원주 상지여자종합고등학교(현 상지여자고등학교) 2000년 8월 18일 46회 - 김송이(2학년) (최종문제:48번) * 서울 영동여자고등학교(현 영동일고등학교) 2000년 9월 22일 52회(첫도전,◎) - 김송이(2학년) (최종문제:48번)/2011년 3월 20일 566회(재도전,◇) - 편의열(1학년) (최종문제:46번) * 인천 경인여자상업고등학교 (구 경인여자고등학교) (현 인천보건고등학교) 2000년 11월 24일 61회 - 도명애(학과 미확정 2학년) (최종문제:44번) * 부산보건고등학교 (구 한국테므노과학고등학교) 2001년 9월 7일 회 - 21대 선지원( 학과 미확정 3학년)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 * 서울 풍문고등학교 (구 풍문여자고등학교) 2002년 4월 21일 회 - 이재희(1학년) (최종문제:45번) * 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 (구 경기 동두천정보산업고등학교) 2002년 5월 5일 이지현( 학과 미확정 3학년)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 * 경기 안성 가온고등학교 (구 안성종합고등학교) 2002년 6월 23일 첫도전(◎) - 교명 변경전 첫도전(◎) 홍혜림(3학년) (최종문제:44번)/ 2016년 1월 10일 재도전(◇) - 백지문(3학년) (최종문제:49번) * 인천 문성정보미디어고등학교 (구 한국문화콘텐츠고등학교) (현 인천금융고등학교) - 2002년 11월 10일 150회 이진희( 학과 미확정 3학년) (최종문제:49번) * 경북 울릉고등학교 (구 울릉종합고등학교) - 2004년 6월 27일 231회 이사람(2학년) (최종문제:46번) * 경기 성남 동광고등학교 (구 성일여자고등학교) - 2004년 9월 19일 242회 김하영(3학년) (최종문제:48번) * 경기 파주 문산수억고등학교 (구 문산여자고등학교) - 2004년 11월 7일 회 43대 지관순(3학년) (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 * 인천 진산과학고등학교 (구 인천진산고등학교) - 2012년 11월 18일 회 배윤환( 학년) (최종문제:47번) == 한 학교에서 한 학생이 100명 중 도전자 및 최후의 1~4인에서 1~2번 이상 도전한 사례 == ||<:> 학교 || 진출자 ||<:> 1번째 도전 일자 ||<:> 2 번째 도전 일자 ||<:> 2 번째 도전 간격 ||<:> 비고 || || [[서영여자고등학교|전북 정읍 서영여자고등학교]] || 신경선(3학년) || 2003년 1월 5일(157회 신년특집 오픈골든벨 참가) ||<#FFC0CB> 2003년 7월 6일(180회),최후의 1인,49번 탈락 (◎) || 182일 || [* 전북 정읍 서영여고(◎)의 최후의 1인이였던 신경선(3학년,53번)이 2003년 1월 5일(신년특집 오픈골든벨)에 당시 2학년이 도전하여 참가하여 같은 해 7월 6일 같은 학교로 출연하여 최후의 1인,49번 탈락한 학생으로 3학년과 53번을 달고 도전으로 최후의 1~4인에 두번 도전한 학생이다.] || || [[속초여자고등학교|강원 속초여자고등학교]] || 이수정(3학년) || 2003년 8월 10일(185회 여름방학특집 오픈골든벨) 최후의 4인 || 2004년 4월 25일(2회),최후의 1인,47번 탈락 || 259일 || [* 2003년 8월 10일은 여름방학특집 오픈골든벨 이후 강원 속초여고(최후의 4인 이수정(당시 2학년 학생)에서 도전하였고 2004년 4월 25일 강원 속초여고의 최후의 1인에서 47번 문제에 탈락했다.] || || [[춘천고등학교|강원 춘천고등학교]] || 박용현(2학년) ||<#98FB98> 2003년 8월 10일(185회 여름방학특집 오픈골든벨) 강원 춘천고(37대 박진(☆))(최후의 1인 학생),49번 탈락(★) || 2004년 2월 29일(214회),최후의 4인 || 203일 || [* 2003년 8월 10일은 여름방학특집 오픈골든벨 이후 2003 준왕중왕을 차지하여 같은 학교인 강원 춘천고에서 2004년 2월 29일(241회,37대 박진(☆))에 최후의 4인이 도전하였다.] || || [[경북과학고등학교]] || 최동운(3학년) || 2010년 6월 27일(530회 2010 과학골든벨), 당시 2학년, 경북과학고(최후의 1인 학생),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2012년 2월 12일(611회 과학고 연합 골든벨),당시 3학년, 참가 || 596일 || [* 2010년 6월 27일은 2010년 과학골든벨에서 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이후 2012년 2월 12일 과학고연합에서 2번 이상 도전하였다.] || || [[충주고등학교|충북 충주고등학교]] || 정동해(3학년) || 2010년 8월 22일(538회) 최후의 2인 학생,47번 탈락(★) ||<#98FB98> 2010년 12월 26일(554회),2010년 왕중왕전 준왕중왕 [br] 47번 탈락 및 차석(★) || 126일 || [* 2010년 8월 22일(538)은 충북 충주고(78대 고건호)이후 2010 준왕중왕을 차지하여 같은 학교인 충북 충주고에서 최후의 2인까지 47번 탈락하고 2010년 왕중왕전 최종문제로 같은 문제인 47번 까지 패해 차석으로 도전하였다.] || || [[목포덕인고등학교|전남 목포 덕인고등학교]] || 정영훈(3학년) || 2012년 4월 22일(620회), 최후의 4인 || 2013년 8월 18일(684회 여름방학 특집 - 제3회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이후 3학년 || 483일 || || || [[서대전고등학교]] || 서정인(2학년) ||<#A6E657> 2012년 12월 9일(◇)(650회) 도전자,당시 1학년 || 2013년 8월 18일(684회 여름방학 특집 - 제3회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당시 2학년 || 252일 || [* 2012년 12월 9일(538)은 서대전고(◇,재도전) (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그외 도전에 참가하였으며, 이후 같은 학교인 서대전고에서 참가하여 2013년 8월 18일 684회 여름방학 특집 - 제3회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의 같은 학교에서 2번 이상 참가하여 참가하여 두번 도전했다.] || || [[동래여자고등학교|부산 동래여자고등학교]] || 황선미(3학년) || 2011년 6월 26일(580회 특집 도전 나라사랑 골든벨), 최후의 1인, 명예골든벨 || 2012년 11월 4일(645회 특집 제2회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 3번 탈락 || 497일 || [* 2011년 6월 26일은 580회 도전 나라사랑 골든벨 최후의 1인 및 명예골든벨에 등극한 이후 부산 동래여고에서 2번 도전한 황선미(3학년) 학생이었는데 적은 답은 신문지가 아닌 정답은 껌으로 아쉽게 탈락했다.] || ||<|2> [[포산고등학교|대구 포산고등학교]] || 김현지(2학년) || 2012년 8월 26일(635회 팔도최강전 6부 - 대구, 경북),최후의 4인 || 2013년 2월 17일(659회),최후의 4인 || 175일 || [* 2012년 8월 26일은 635회 팔도최강전 6부 - 대구, 경북 최후의 4인 이후 대구 포산고에서 2번 도전하였다.] || || 손은아(2학년) || 2012년 11월 4일(645회 제2회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최후의 4인 || 2013년 2월 17일(659회),최후의 4인 || 105일 || [* 2012년 11월 4일은 645회 제2회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 최후의 4인 이후 대구 포산고에서 2번 도전하였다.] || || [[진주고등학교|경남 진주고등학교]] || 김민성(1학년) || 2013년 4월 14일(667회 ) 당시 1학년( ,당시 번), 38번 탈락 || 2013년 8월 18일(684회 여름방학 특집 - 제3회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당시 1학년(최후의 3인,당시 번) || 126일 || [* 2013년 4월 14일은 667회 같은 학교 경남 진주고(91대 정찬렬-당시 3학년) 참가하여 도전 이후 2013년 8월 18일 684회 여름방학 특집 - 제3회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의 같은 학교에서 최후의 3인이 최후의 1~4인이 두번 도전했다.] || || [[예산고등학교|충남 예산고등학교]] || 권민재(2학년) || 2016년 8월 14일(831회 광복절 특집 1부-역사통일 골든벨) 당시 1학년(최후의 4인,당시 94번), 번 탈락 ||<#A6E657> 2017년 7월 2일(874회,◇),당시 2학년(최후의 3인,당시 32번) (◇) || 322일 || [* 2016년 8월 14일은 831회 광복절 특집 1부-역사통일 골든벨 이후 2017 7월 2일 충남 예산고(◇,재도전)(최종문제:49번 - 2인 동시 탈락)의 같은 학교에서 최후의 3인이 최후의 1~4인이 두번 도전했다.] || || [[성지고등학교(경기)|경기 용인 성지고등학교]] || 장영준(3학년) || 2016년 10월 23일(841회) 당시 1학년(최후의 1인), 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2018년 6월 10일(900회 특집 역대최강자전 1부) 당시 3학년(도전자) || 595일 || [* 2016년 10월 23일은 841회 경기 용인 성지고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탈락하면서 이후 2018년 6월 10일 900회 특집 역대 최강자전에서의 같은 학교의 학생이 최후의 1~4인이 두번 도전했다.] || || [[홍천여자고등학교|강원 홍천여자고등학교]] || 박세아(3학년) ||<#A6E657> 2016년 11월 20일(845회,(◇)) 당시 1학년(최후의 1인,당시 16번), 47번 탈락 || 2018년 6월 10일(900회 특집 역대최강자전 1부) 당시 3학년(도전자) || 567일 || [* 2016년 11월 20은 845회 강원 홍천여고(◇,재도전)에서 47번 문제에 탈락하면서 이후 2018년 6월 10일 900회 특집 역대 최강자전에서의 같은 학교의 학생이 최후의 1~4인이 두번 도전했다.] || || [[대구상원고등학교]] || 최재완(3학년) || 2017년 1월 8일(849회) 당시 1학년(최후의 1인), 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2018년 6월 10일(900회 특집 역대최강자전 1부) 당시 3학년(도전자) || 518일 || [* 2017년 1월 8일은 849회 대구상원고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탈락하면서 이후 2018년 6월 10일 900회 특집 역대 최강자전에서의 같은 학교의 학생이 최후의 1~4인이 두번 도전했다.] || || [[홍천고등학교(강원)|강원 홍천고등학교]] || 박우선(3학년) || 2017년 4월 23일(863회) 당시 1학년(최후의 2인,120대), '''119대''' || 2018년 6월 10일(900회 특집 역대최강자전 1부) 당시 3학년(도전자) || 413일 || [* 2017년 4월 23일은 863회 강원 홍천고에서 119대에 등극하면서 2명중 1명이 등극하여 이후 2018년 6월 10일 900회 특집 역대 최강자전에서의 같은 학교의 학생이 최후의 1~4인이 두번 도전했다.] || || [[김해외국어고등학교|경남 김해외국어고등학교]] || 박새슬(3학년) || 2016년 11월 20일(885회 4회 특집 한글 골든벨) 당시 2학년(최후의 1인) 도,전,골,든 중 벨 탈락 || 2018년 6월 10일(900회 특집 역대최강자전 1부) 당시 3학년(도전자) || 245일 || || || [[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 ( 학년) || 2018년 4월 1일(890회) 당시 학년( ) || 2018년 10월 7일(917회 특집 한글골든벨 4회) 당시 학년(도전자) || 190일 || || || [[안법고등학교|경기 안성 안법고등학교]] || 박서연(2학년) || 2018년 9월 30일 (916회,◇) 당시 2학년(최후의 1인), 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2018년 12월 9일(926회 세계 반부패의 날 특집 골든벨) 당시 2학년(도전자) || 70일 || || == 한 학교에서 두 번 이상 참가하여 두번 이상 최종문제까지 탈락하여 도전한 사례(첫도전 이후 재도전하며 참가 학교 순)(첫도전,재도전 기준) == ||<:> 학교 ||<:> 첫번째 도전 일자 - 첫도전(최후의 1인) ||<:> 두 번째 도전 일자 - 재도전(최후의 1인) ||<:> 최종문제[br](번) ||<:> 두 번째 도전 간격 ||<:> 비고 || || [[대진고등학교|서울 대진고등학교]] ||<#FFC0CB> 1999년 7월 16일(28(접속 !신세대 37),◎) [br] ???(?학년,최후의 1인) 48번 탈락(◎) ||<#A6E657> 2011년 7월 17일(588회,◇) [br] 한동희(2학년,최후의 1인) 48번 탈락 (◇) || 48번 || 4,384일 || [* 서울 대진고는 4,384일만에 재도전(◇)][*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한 학교의 서울 대진고에서 진출문제의 첫도전(◎)에서 1999년 7월 ??일 이후 재도전의 2011년 7월 17일의 48번에서 재도전하여 두번 이상 실패] || || [[제주중앙여자고등학교]] ||<#FFC0CB> 2000년 1월 7일(16회,◎) [br] 김미리수(1학년,최후의 1인) 49번 탈락(◎) ||<#A6E657> 2010년 1월 3일(508회,◇) [br] 오진서(2학년,최후의 1인) 49번 탈락 (◇) || 49번 || 3,642일 || [* 제주중앙여고는 3,642일만에 재도전(◇)][*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한 학교의 제주중앙여고에서 진출문제의 첫도전(◎)에서 2000년 1월 7일 이후 재도전의 2010년 1월 3일의 49번에서 재도전하여 두번 이상 실패] || || 舊 서울 영동여자고등학교 [br] (현 [[영동일고등학교]]) ||<#FFC0CB> 2000년 9월 22일(52회,◎) [br] 조인혜(3학년,최후의 1인) 46번 탈락(◎) ||<#A6E657> 2011년 3월 20일(566회,◇) [br] 편의열(1학년,최후의 1인) 46번 탈락 (◇) || 46번 || 3,831일 || [* 서울 영동일고(구 영동여고)는 3,831일만에 교명 변경 후의 여학교에서 남녀공학으로 학교성별을 변경하며 재도전(◇)이며,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한 학교의 (서울 영동일고 - 구 영동여고 - 교명 변경전 포함)의 같은 학교에서 진출문제의 첫도전(◎)에서 2011년 3월 20일 이후 재도전의 2011년 3월 20일의 46번에서 재도전하여 두번 이상 실패][* 900회 특집 역대 골든벨 최강전(이하 역대 최강자전)(1부~2부 포함) 최후의 3인 까지 도전한 편의열(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3학년)] || || 경남 거제 해성고등학교 ||<#FFC0CB> 2000년 10월 20일(56회,◎) [br] 김승현(3학년,최후의 1인) 48번 탈락(◎) ||<#A6E657> 2014년 3월 9일(714회,◇) [br] 황유라(1학년,최후의 1인) 48번 탈락 (◇)(▣) || 48번 || 4,880일 || [* 역대 재도전 학교의 같은 학교(경남 거제 해성고)의 2000년 10월 20일 첫도전(◎) 이후 4,880일만에 재도전(◇)하며 2번 이상 최종문제의 48번에서 탈락][* 재도전 학교의 경남 거제 해성고(◇)에서 이미 도전하여 탈락후 1학년에서 2학년에 진급한 상태에서 2014년 왕중왕전에 참가한 최후의 3인 황유라(2학년)양 학생이다.] || || [[광덕고등학교|광주 광덕고등학교]] ||<#FFC0CB> 2002년 3월 3일(124회,◎) [br] 유종은(3학년,최후의 1인) 47번 탈락(◎) ||<#A6E657> 2014년 5월 11일(718회,◇) [br] 정인화(2학년,최후의 1인) 47번 탈락 (◇) || 47번 || 4,452일 || [* 광주 광덕고는 4,452일만에 재도전(◇)][*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한 학교의 광주 광덕고의 같은 학교에서 진출문제의 첫도전(◎)에서 2002년 3월 3일 이후 재도전의 2014년 5월 11일의 47번에서 재도전하여 두번 이상 실패] || || [[고창고등학교|전북 고창고등학교]] ||<#FFC0CB> 2002년 12월 22일(156회,◎) [br] 조동욱(3학년,최후의 1인) 48번 탈락(◎) ||<#E0FFFF> 2019년 3월 3일(937회,◆) [br] 나상혁(2학년,최후의 1인) 48번 탈락 (◆) || 48번 || 5,915일 || [* 역대 재도전 학교의 같은 학교(전북 고창고)의 2002년 12월 22일 첫도전(◎) 이후 3번 이상 재도전(◆)하며 2번 이상 최종문제의 48번에서 탈락][* 여자MC [[이혜성]] 아나운서 마지막 MC][* 여자MC [[이혜성]] 아나운서는 2018년 10월 7일(한글날 특집 골든벨 - 최종문제:49번) ~ 2019년 3월 3일 전북 고창고(◆,3번 이상재도전) - 최종문제:48번) 까지 진행했다.] || || [[우송고등학교|대전 우송고등학교]] ||<#FFC0CB> 2004년 7월 11일(232회,◎) [br] 서유리(3학년, 49번, 최후의 1인) 48번 탈락(◎) ||<#A6E657> 2014년 8월 24일 (733회,◇) [br] 지소현(3학년, 48번, 최후의 1인) 48번 탈락(◇) || 48번 || 3,696일 || [* 대전 우송고는 3,696일만에 재도전(◇)][*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한 학교의 대전 우송고의 같은 학교에서 진출문제의 첫도전(◎)에서 2004년 7월 11일 이후 재도전의 2014년 8월 24일의 48번에서 재도전하여 두번 이상 실패] || || [[칠원고등학교|경남 함안 칠원고등학교]] ||<#FFC0CB> 2008년 2월 24일(413회,◎) [br] 강보드레(3학년,최후의 1인) 48번 탈락(◎) ||<#A6E657> 2015년 3월 1일(774회,◇) [br] 조지수(2학년,최후의 1인) 48번 탈락 (◇) || 48번 || 2,562일 || [* 경남 함안 칠원고는 2,562일만에 재도전(◇)][*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한 학교의 경남 함안 칠원고의 같은 학교에서 진출문제의 첫도전(◎)에서 2008년 2월 24일 이후 재도전의 2015년 3월 1일의 48번에서 재도전하여 두번 이상 실패] || || [[대전중앙고등학교]] ||<#FFC0CB> 2008년 10월 12일(445회,◎) [br] 이창훈(2학년,최후의 1인) 47번 탈락(◎) ||<#A6E657> 2016년 6월 19일(824회,◇) [br] 나종윤(2학년,최후의 1인) 47번 탈락 (◇) || 47번 || 2,807일 || [* 대전중앙고는 2,087일만에 재도전(◇) - 재도전 간격이 경기 군포고,강원 홍천여고의 재도전 간격이 3번 똑같다][*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한 학교의대전중앙고의 같은 학교에서 진출문제의 첫도전(◎)에서 2008년 10월 12일 이후 재도전의 2016년 6월 19일의 47번에서 재도전하여 두번 이상 실패] || || [[신철원고등학교|강원 신철원고등학교]] ||<#FFC0CB> 2013년 5월 26일(672회,◎) [br] 송유성(3학년,최후의 1인) 49번 탈락(◎) ||<#A6E657> 2018년 9월 2일(912회,◇) [br] 이인규(2학년,최후의 1인) 49번 탈락 (◇) || 49번 || 1,925일 || [* 강원 신철원고는 1,925일만에 재도전(◇)이며,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한 학교의 (강원 신철원고)의 같은 학교에서 진출문제의 첫도전(◎)에서 2013년 5월 26일 이후 재도전의 2018년 9월 2일의 49번에서 재도전하여 두번 이상 실패] || || [[정의여자고등학교|서울 정의여자고등학교]] ||<#FFC0CB> 1999년 6월 4일(22(접속 !신세대 31),◎) [br] ???(?학년,최후의 1인) 49번 탈락(◎) ||<#A6E657> 2019년 3월 17일(939회,◇) [br] 김수민(2학년,최후의 1인) 49번 탈락 (◇) || 49번 || 7,226일 || [* 서울 정의여고는 7,226일만에 재도전(◇)이며,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한 학교의 (서울 정의여고)의 같은 학교에서 진출문제의 첫도전(◎)에서 1999년 6월 4일 이후 재도전의 2019년 3월 17일의 49번에서 재도전하여 두번 이상 실패] || || [[함양고등학교|경남 함양고등학교]] ||<#FFC0CB> 2006년 12월 24일(354회,◎) [br] 박정현(3학년,최후의 1인) 48번 탈락(◎) ||<#A6E657> 2019년 7월 14일(957회,◇) [br] 김요한(3학년,최후의 1인 단도전) 48번 탈락 (◇) || 48번 || 4,585일 || [* 경남 함양고는 4,585일만에 재도전(◇)이며, 역대 재도전 학교에서 한 학교의 (경남 함양고)의 같은 학교에서 진출문제의 첫도전(◎)에서 2006년 12월 24일 이후 재도전의 2019년 7월 14일의 49번에서 재도전하여 최후의 1인 단독 도전으로 답을 적지 못하여 두번 이상 실패] || == 한 학교에서 두 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한 사례 == === 한 학교에서 두 번 이상 골든벨 문제에 도전한 경우 === ||<:> 학교 ||<:> 첫번째 골든벨 도전 일자 ||<:> 두 번째 골든벨 도전 일자 ||<:> 두 번째 골든벨 도전 간격 ||<:> 비고 || || [[중산고등학교(서울)|서울 중산고등학교]] || 1999년 8월 13일(5대 골든벨 장태진) || 2009년 11월 8일(75대 골든벨 김주송) || 3,741일 || [* 2009년 11월 8일은 500회 특집 고교최강전에서 75대가 배출되었다.] || || 경남 통영고등학교 || 2000년 7월 14일(김광진, 2학년) [br] 50번 탈락 [br] (해양소년단 특집) || 2000년 7월 21일(조성준, 2학년) [br] 50번 탈락 || 7일 || || || 경기 이천고등학교 ||<#FFD700> 2000년 8월 18일(15대 골든벨 이창순)(☆-2000년 상반기)(◎) ||<#A6E657> 2013년 1월 27일(김유신, 1학년)(◇)[br] 50번 탈락 || 4,545일 || [* 2000년 8월 18일은 47(◎,첫도전)에 15대에 등극하여 2000년 상반기 왕중왕전에 등극 한 후 2013년 1월 27일 (◇.재도전)에서 같은 학교에서 아쉽게 50번 골든벨 문제에 실패했다.] || || [[북일고등학교|충남 천안 북일고등학교]] || 2001년 8월 24일(김규철, 2학년 번) || 2017년 8월 13일(김민재, 3학년 21번) 광복 72주년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 1~39번 문제 통과(최종문제 5문제 중 1문제 탈락) || 5,833일 || [* 충남 천안 북일고등학교 & 북일여자고등학교 의 2학교 이상 출연학교로 김규철(북일고 2학년)이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 탈락하여 이후 2017년 8월 13일 광복 72주년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 1~39번 문제 통과후 최종문제 5문제 중 1문제 탈락한 경우이다.] || || [[춘천고등학교|강원 춘천고등학교]] ||<#FFD700> 2004년 2월 29일(37대 골든벨 박진)(☆) || 2006년 11월 12일(59대 골든벨 문형범) || 1,016일 || [* 강원 춘천고의 같은 학교에서 2004년 2월 29일 37대에 등극하여 2004년 왕중왕 등극 이후 2006년 11월 12일은 특집 독서골든벨에서 59대가 배출되었다.] || || 경기 군포고등학교 ||<#FFC0CB> 2005년 10월 23일(51대 골든벨 최원녕)(★)(◎) ||<#A6E657> 2013년 7월 7일(이세영, 2학년)(◇) [br] 50번 탈락 || 2,807일 || [* 첫도전(◎)은 2005년 10월 23일 51대에 등극하여 재도전(◇)은 2013년 7월 7일은 (◇.재도전)에서 같은 학교에서 아쉽게 50번 골든벨 문제에 실패했다.] || || 전북 정읍 정주고등학교 ||<#FFC0CB> 2005년 11월 6일(김가연, 2학년)[br] 50번 탈락 (◎) ||<#A6E657> 2010년 7월 18일(함정아, 2학년)[br] 50번 탈락 (◇) || 1,715일 || || || 강원 강릉여자고등학교 || 2006년 4월 2일(한민지, 2학년)[br] 50번 탈락 || 2011년 2월 6일(홍예륜, 2학년)[br] 50번 탈락 || 1,771일 || || || 서울 청량고등학교 ||<#FFC0CB> 2006년 8월 13일(이덕현, 3학년)[br] 50번 탈락 (◎) ||<#A6E657> 2009년 11월 8일(김윤영, 3학년)[br] 50번 탈락 (◇) || 1,813일 || || || 인천 송도고등학교 ||<#A6E657> 2006년 10월 8일(김대혁, 2학년)[br] 50번 탈락 (◇) ||<#E0FFFF> 2016년 5월 8일(박상준, 3학년)[br] 50번 탈락 (◆) || 3,486일 || || || 전남 여수 부영여자고등학교 ||<#FFC0CB> 2009년 5월 31일(류선경, 3학년)[br] 50번 탈락 (◎) ||<#A6E657> 2015년 3월 8일(서지예, 2학년)[br] 50번 탈락 (◇) || 2,107일 || || || [[세종고등학교]][br] (구 충남 연기 조치원고등학교) || 2008년 7월 20일(68대 골든벨 정경식) ) ||<#FFD700> 2013년 6월 30일(93대 골든벨 김진욱)(☆) || 1,806일 || [* 2008년 7월 20일은 [[세종고등학교]]로 이름이 바뀌기 전 조치원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2013년 6월 30일에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1주년 특집에서 배출되어 2013년 왕중왕전에 등극했다.] ||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 || 2011년 4월 24일(81대 골든벨 김유리, 3학년 20번) || 2017년 9월 10일(박연주, 2학년 86번) 제 3회 도전 법원 골든벨!! 1~38번 문제 통과(최종문제 5문제 중 1문제 탈락) || 2,331일 || || || 충남 천안 [[복자여자고등학교]] || 2015년 10월 4일(이선화, 2학년)[br] 50번 탈락 || 2016년 10월 9일 (박장민, 1학년)[br] 50번 탈락 || 371일 || 한글날 특집 [* 한글날 특집에서 2년 연속 50번 골든벨 문제의 탈락으로 여학생이 탈락하여 충남 천안 복자여고는 학교체에 참가하지 않아 특집편의 최후의 1인에서만 도전하였다.] || === 한 학교에서 두 번 이상 골든벨을 울린 경우 === ||<:> 학교 ||<:> 첫번째 골든벨 배출 일자 ||<:> 두 번째 골든벨 배출 일자 ||<:> 두 번째 골든벨 배출 간격 ||<:> 비고 || || [[중산고등학교(서울)|서울 중산고등학교]] || 1999년 8월 13일(5대 골든벨 장태진) || 2009년 11월 8일(75대 골든벨 김주송) [br] (500회 특집 전국고교최강전) || 3,741일 || [* 2009년 11월 8일은 500회 특집 고교최강전에서 75대가 배출되었다.] || || [[춘천고등학교|강원 춘천고등학교]] || 2004년 2월 29일(37대 골든벨 박진)(☆) || 2006년 11월 12일(59대 골든벨 문형범) || 1,016일 || [* 2004년 2월 29일 37대에 등극하여 2004년 왕중왕 등극 이후 2006년 11월 12일은 특집 독서골든벨에서 59대가 배출되었다.] || || [[세종고등학교]][br] (구 충남 연기 조치원고등학교) || 2008년 7월 20일(68대 골든벨 정경식) ) || 2013년 6월 30일(93대 골든벨 김진욱)(☆) || 1,806일 || [* 2008년 7월 20일은 [[세종고등학교]]로 이름이 바뀌기 전 조치원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2013년 6월 30일에는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1주년 특집에서 배출되어 2013년 왕중왕전에 등극했다.] || || [[하남고등학교|경기 하남고등학교]] || 2015년 8월 16일(110대 골든벨 전진웅) [br] (2015 광복절 특집 1부 - 역사통일 골든벨) || 2019년 9월 8일(128대 골든벨 김민석) || 1,484일 || [* 2015년 8월 16일은 2015 광복절 특집 1부 역사통일 골든벨에서 최후의 1인 같은 학교(경기 하남고)소속에 110대에 등극하여, 2019년 9월 8일에는 같은 학교([[경기 하남고등학교|하남고등학교]])에 참가하여 128대에 2번 이상 배출하여 등극했다.] || === 한 학교에서 두 번 이상 골든벨을 실패한 경우 === ||<:> 학교 ||<:> 첫번째 골든벨 실패 일자 ||<:> 두 번째 골든벨 실패 일자 ||<:> 두 번째 골든벨 실패 간격 ||<:> 비고 || || 경남 통영고등학교 || 2000년 7월 14일(김광진, 2학년) [br] (해양소년단 특집) || 2000년 7월 21일(조성준, 2학년) || 7일 || || || [[북일고등학교|충남 천안 북일고등학교]] || 2001년 8월 24일(김규철, 2학년 번) || 2017년 8월 13일(김민재, 3학년 21번) 광복 72주년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 1~39번 문제 통과(최종문제 5문제 중 1문제 탈락) || 5,833일 || || || 전북 정읍 정주고등학교 ||<#FFC0CB> 2005년 11월 6일(김가연, 2학년)(◎) ||<#A6E657> 2010년 7월 18일(함정아, 2학년)(◇) || 1,715일 || || || 강원 강릉여자고등학교 || 2006년 4월 2일(한민지, 2학년) || 2011년 2월 6일(홍예륜, 2학년) || 1,771일 || || || 서울 청량고등학교 ||<#FFC0CB> 2006년 8월 13일(이덕현, 3학년)(◎) ||<#A6E657> 2009년 11월 8일(김윤영, 3학년)(◇) || 1,813일 || || || 인천 송도고등학교 ||<#A6E657> 2006년 10월 8일(김대혁, 2학년)(◇) ||<#E0FFFF> 2016년 5월 8일(박상준, 3학년)(◆) || 3,486일 || || || 전남 여수 부영여자고등학교 ||<#FFC0CB> 2009년 5월 31일(류선경, 3학년)(◎) ||<#A6E657> 2015년 3월 8일(서지예, 2학년)(◇) || 2,107일 || || || 충남 천안 [[복자여자고등학교]] || 2015년 10월 4일(이선화, 2학년) || 2016년 10월 9일 (박장민, 1학년) || 371일 || 한글날 특집 || === 한 학교에서 두 번 이상 (첫도전/재도전)하여 골든벨에 도전하여 등극하여 실패한 경우 === ||<:> 학교 ||<:> 첫번째 골든벨 도전 일자 ||<:> 두 번째 골든벨 도전 일자 ||<:> 두 번째 골든벨 등극/실패 간격 ||<:> 비고 || || 경기 이천고등학교 ||<#FFD700> 2000년 8월 18일(15대 골든벨 이창순)(☆)(◎) ||<#A6E657> 2013년 1월 27일(김유신, 1학년)(◇)[br] 50번 탈락 || 4,545일 || [* 2000년 8월 18일은 47(◎,첫도전)에 15대에 등극하여 2000년 상반기 왕중왕전에 등극 한 후 2013년 1월 27일 (◇.재도전)에서 같은 학교에서 아쉽게 50번 골든벨 문제에 실패했다.] || || [[북일고등학교|충남 천안 북일고등학교]] || 2001년 8월 24일(김규철, 2학년 번) || 2017년 8월 13일(김민재, 3학년 21번) 광복 72주년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 1~39번 문제 통과(최종문제 5문제 중 1문제 탈락) || 5,833일 || [* 충남 천안 북일고등학교 & 북일여자고등학교 의 2학교 이상 출연학교로 김규철(북일고 2학년)이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 탈락하여 이후 2017년 8월 13일 광복 72주년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 1~39번 문제 통과후 최종문제 5문제 중 1문제 탈락하였다.] || || 경기 군포고등학교 ||<#FFC0CB> 2005년 10월 23일(51대 골든벨 최원녕)(★)(◎) ||<#A6E657> 2013년 7월 7일(이세영, 2학년)(◇) [br] 50번 탈락 || 2,807일 || [* 첫도전(◎)은 2005년 10월 23일 51대에 등극하여 재도전(◇)은 2013년 7월 7일은 (◇.재도전)에서 같은 학교에서 아쉽게 50번 골든벨 문제에 실패했다.] || ||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 || 2011년 4월 24일(81대 골든벨 김유리, 3학년 20번) || 2017년 9월 10일(박연주, 2학년 86번) 제 3회 도전 법원 골든벨!! 1~38번 문제 통과(최종문제 5문제 중 1문제 탈락) || 2,331일 || || == 한 방송일 및 방송날짜에서 두 번 골든벨 문제의 참가학교에서 도전한 사례 == === 한 방송일 및 방송날짜에서 두 번 이상 골든벨 문제에 해당 참가학교가 도전한 경우 === ||<:> 방송해당일 ||<:> 첫번째 방송일 [br] 참가학교 골든벨 도전 일자 ||<:> 두 번째 방송일 [br] 참가학교 골든벨 도전 일자 ||<:> 두 번째 방송일 [br] 참가학교 도전 간격 ||<:> 비고 || === 한 방송일 및 방송날짜에서 두 번 이상 골든벨 문제에 해당 참가학교가 울린 경우(총 13회,총 26개 학교 등극 기준) === ||<:> 방송해당일 ||<:> 첫번째 방송일 [br] 참가학교 골든벨 배출 일자 ||<:> 두 번째 방송일 [br] 참가학교 골든벨 배출 일자 ||<:> 두 번째 방송일 [br] 골든벨 배출 간격 ||<:> 비고 || || 1월 15일 || 2006년 1월 15일 [br] 광주 정광고등학교 (53대 골든벨 박나영) ||<#A6E657> 2012년 1월 15일 [br] 대전대신고등학교(◇)(83대 김덕호~84대 서문규) [br] (2인 동시 등극) || 2,192일 || [* 2006년 1월 15일은 광주 정광고(53대 골든벨 박나영)에 53대에 등극하여 이후 2012년 1월 15일 대전대신고(◇)에 재도전하여 (83대 김덕호~84대 서문규)의 2인 동시 등극하여 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중에서 2인 동시 등극하여 3번에 등극했다.] || || 2월 5일 || 2006년 2월 5일 [br] 와이즈 골든벨 [br] &서울과학고등학교 (54대 골든벨 표하림(★)) || 2012년 2월 5일 [br] 충남외국어고등학교(86대 이건희) [br] (2명 중 1명 등극) || 2,192일 || [* 2006년 2월 5일은 와이즈 골든벨 &서울과학고등학교 (54대 골든벨 표하림(★))에 54대에 등극하여 2006 왕중왕전 준왕중왕(★)을 차지하여 이후 2012년 2월 5일 충남외국어고에 (86대 이건희)의 2명 중 1명이 등극하여 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중에서 2인 동시 등극했다.] || || 4월 24일 || 2011년 4월 24일 [br]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여자고등학교 (81대 골든벨 김유리) || 2016년 4월 24일 [br] 경남 김해가야고등학교(113대 신한비) || 1,828일 || [* 2011년 4월 24일은 동국사대부속여고(81대 골든벨 김유리)에 81대에 등극하여 이후 2016년 4월 24일 경남 김해가야고에 참가하여 (113대 신한비) 가 등극하여 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중에서 2인 동시 등극하여 3번에 등극했다.] || || 4월 28일 || 2000년 4월 28일 [br] 인천 인항고등학교 (12대 골든벨 이동섭) || 2013년 4월 28일 [br] 전남 완도고등학교(92대 골든벨 최정서) || 5,113일 || [* 2000년 4월 28일은 KBS 2TV 방송채널의 당시 인천 인항고(12대 골든벨 이동섭)에 12대에 등극하여 2013년 4월 28일 KBS 1TV에서 방송채널의 전남 완도고(92대 골든벨 최정서)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등극했다.] || || 5월 7일 ||<#FFC0CB> 2006년 5월 7일 [br] 충남 예산고등학교(◎) (57대 골든벨 석정완) || 2017년 5월 7일 [br] 경기 남양주 청학고등학교(120대 함태원) || 2,206일 || [* 2006년 5월 7일은 충남 예산고(◎)에 재도전하여(57대 골든벨 석정완)에 57대에 등극하여 이후 2017년 5월 7일 경기 남양주 청학고에 참가하여 (120대 함태원) 학생이 등극하여 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중에서 2인 동시 등극하여 3번에 등극했다.] || || 6월 30일 || 2000년 6월 30일 [br] 경기 성남 이매고등학교 (14대 골든벨 김보석) || 2013년 6월 30일 [br] 팔도최강전 세종시 [br] &세종고등학교(구 조치원고)(63대 골든벨 김진욱) || 4,749일 || [* 2000년 6월 30일은 KBS 2TV 방송채널의 당시 경기 성남 이매고(14대 골든벨 김보석)에 14대에 등극하여 2013년 6월 30일 KBS 1TV에서 방송채널의 팔도최강전 세종시편의 최후의 1인 세종고등학교 소속(구 조치원고)(63대 골든벨 김진욱)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등극했다.] || || 7월 13일 || 2003년 7월 13일 [br] 대구 효성여자고등학교 (33대 골든벨 김세연) || 2014년 7월 13일 [br] 전북여자고등학교(100대 골든벨 김희주) [br] (100대 골든벨 금자탑 달성) || 4,019일 || [* 2003년 7월 14일은 대구 효성여고(33대 골든벨 김세연)에 32대에 등극하여 2014년 7월 13일 전북여자고등학교(100대 골든벨 김희주)(100대 골든벨 금자탑 달성)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등극했다.] || || 7월 17일 || 2005년 7월 17일 [br] 경기 광명 진성고등학교 (50대 골든벨 이덕원) || 2016년 7월 17일 [br] 경기 성남 판교고등학교(114대 골든벨 권민성) || 4,019일 || [* 2005년 7월 17일은 경기 광명 진성고(50대 골든벨 이덕원)에 50대에 등극하여 2016년 7월 17일 경기 성남 판교고등학교(114대 골든벨 권민성)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등극했다.] || || 9월 7일 || 2001년 9월 7일 [br] 한국테크노과학고등학교 [br] (現 부산보건고등학교) (21대 골든벨 선지원) || 2003년 9월 7일 [br] 울산 무룡고등학교(35대 골든벨 김승필) || 731일 || [* 2001년 9월 7일은 KBS 2TV 방송채널의 당시 한국테크노학과(現 부산보건고)(21대 골든벨 선지원)에 22대에 등극하여 2003년 9월 7일 KBS 1TV에서 방송채널의 울산 무룡고등학교(35대 골든벨 김승필)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등극했다.] || || 9월 8일 || 2003년 9월 8일 [br] 경북 포항여자고등학교(94대 골든벨 최지원) || 2019년 9월 8일 [br] 경기 하남고등학교(128대 골든벨 김민석) || 2,191일 || [* 2013년 9월 8일은 경북 포항여고(94대 골든벨 최지원)에 94대에 등극하여 2019년 9월 8일 경기 하남고등학교(128대 골든벨 김민석)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등극했다.] || || 9월 14일 || 2001년 9월 14일 [br] 부산 동아고등학교 (22대 골든벨 이정호) || 2014년 9월 14일 [br] 경기 이천 효양고등학교(102대 골든벨 신명규) || 4,749일 || [* 2001년 9월 14일은 KBS 2TV 방송채널의 당시 부산 동아고(22대 골든벨 이정호)에 22대에 등극하여 2014년 9월 14일 KBS 1TV에서 방송채널의 경기 이천 효양고등학교(102대 골든벨 신명규)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등극했다.] || || 9월 21일 ||<#FFC0CB> 2001년 9월 21일 [br] 경기 구리고등학교(◎) (23대 골든벨 한성식) || 2008년 9월 21일 [br] 대구 현풍고등학교(70대 골든벨 최수진) || 2,558일 || [* 2001년 9월 21일은 KBS 2TV 방송채널의 당시 경기 구리고(◎,첫도전)(23대 골든벨 한성식)에 22대에 등극하여 2008년 9월 21일 KBS 1TV에서 방송채널의 대구 현풍고등학교(70대 골든벨 최수진)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등극했다.] || || 12월 15일 || 2002년 12월 15일 [br] 서울 진선여자고등학교 (30대 골든벨 윤슬기) || 2013년 12월 15일 [br] 광주 빛고을고등학교(97대 골든벨 박승두) || 4,019일 || [* 2002년 12월 15일은 서울 진선여고(30대 골든벨 윤슬기)에 30대에 등극하여 2013년 12월 15일 광주 빛고을고등학교(97대 골든벨 박승두)에서 같은 날짜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등극했다.] || === 한 방송일에서 두 번 이상 골든벨 문제에 해당 참가학교가 실패한 경우(총 21회,총 42개 학교 실패 기준) === ||<:> 방송해당일 ||<:> 첫번째 방송일 [br] 참가학교 골든벨 실패 일자 ||<:> 첫번째 방송일 [br] 참가학교 골든벨 실패 일자 ||<:> 두 번째 방송일 [br] 골든벨 실패 간격 ||<:> 비고 || || 1월 4일 || 2009년 1월 4일 [br] 광주 문성고등학교(박광영,3학년) || 2015년 1월 4일 [br] 경기 성남 계원예술고등학교(김다영, 미술과 3학년) || 2,191일 || || || 1월 8일 || 2012년 1월 8일 [br] 경북 영주 대영고등학교(강산,2학년) || 2017년 1월 8일 [br] 대구상원고등학교(최재완,1학년) || 1,828일 || [* 2012년 1월 8일은 경북 영주 대영고(강산,2학년)에 실패하여 이후 2017년 1월 8일 대구상원고에 참가하여 (최재완,1학년)의 같은 날짜(1월 8일)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실패했다.] || || 2월 5일 || 1999년 2월 5일(접속! 신세대 코너) [br] 서울 휘경여자고등학교(윤현진,1학년) ||<#FFD700> 2012년 2월 5일 [br] 충남외국어고등학교(김양원,3학년)(☆) [br] (2명 중 1명 실패) || 4,749일 || [* 1999년 2월 5일(접속!신세대 코너)은 서울 휘경여고(윤현진,1학년)에 실패하여 이후 2012년 2월 5일은 충남외고(김양원,3학년,이후 졸업생)(☆,2012 왕중왕 등극)의 같은 날짜(1월 8일)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실패했다.] || || 2월 17일 || 2002년 2월 17일 [br] 인천고등학교(이준섭,3학년) || 2019년 2월 17일 [br] 국립국악고등학교(권병석,이론작곡가 1학년) || 6,198일 || || || 4월 5일 || 2009년 4월 5일 [br] 충남 금산고등학교(송은한,3학년) || 2015년 4월 5일 [br] 경기 오산 세마고등학교(박희진,2학년) || 2,192일 || || || 4월 19일 || 2009년 4월 19일 [br] 특집 과학골든벨 [br] 광주과학고등학교 소속(전진,2학년) || 2015년 4월 19일 [br] 경북 영천 영동고등학교(유진석,3학년) [br] (최후의 1인 단독도전) || 2,192일 || || || 4월 22일 || 2007년 4월 22일 [br] 전남 순천매산고등학교(노영승,2학년) || 2018년 4월 22일 [br] 경기 수원 청명고등학교(유지혜,3학년) || 4,019일 || || || 4월 23일 || 1999년 4월 23일(접속! 신세대 코너) [br] 서울 여의도여자고등학교(전은주,3학년) || 2017년 4월 23일 [br] 강원 홍천고등학교(이승한,3학년) [br] (2명 중 1명 실패) || 6,576일 || [* 1999년 4월 23일(접속!신세대 코너)은 서울 여의도여고(전은주,3학년)에 실패하여 이후 2012년 4월 23일은 강원 홍천고(이승한,3학년,이후 졸업생)(☆,2012 왕중왕 등극)의 같은 날짜(1월 8일)에서 50번 골든벨 문제에 2번 이상 실패했다.] || || 5월 10일 || 2009년 5월 10일 [br] 경기 김포 풍무고등학교(이미란,3학년) || 2015년 5월 10일 [br] 전북 고창여자고등학교(안신비,3학년) || 2,192일 || || || 5월 11일 ||<#FFC0CB> 2001년 5월 11일 [br] 서울 경동고등학교(◎)(이남우,3학년) || 2008년 5월 11일 [br] 경북 문경 점촌고등학교(윤진섭,3학년) || 2,558일 || || || 5월 22일 || 2005년 5월 22일 [br] 경기 용인고등학교(김상은,3학년) || 2016년 5월 22일 [br] 경기 용인 성복고등학교(김남연,3학년) || 4,019일 || || || 6월 25일 || 2006년 6월 25일 [br] 경북 구미고등학교(이승훈,3학년) || 2017년 6월 25일 [br] 경북 경주 선덕여자고등학교(이채영,3학년) [br] (최후의 1인 단독도전) || 4,019일 || || || 7월 8일 || 2007년 7월 8일 [br] 전남 나주 금성고등학교(김동환,3학년) ||<#A6E657> 2018년 7월 8일 [br] 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정지수,3학년) || 4,019일 || || || 8월 14일 ||<#A6E657> 2011년 8월 14일 [br] 서울 청량고등학교(◇)(김윤영,3학년) || 2016년 8월 14일 [br] 역사통일 골든벨 [br] 충남 서천고등학교 소속(구산하,3학년) || 1,828일 || || || 9월 9일 ||<#FFC0CB> 2007년 9월 9일 [br] 경기 안양 신성고등학교(◇)(진경호,3학년) || 2018년 9월 9일 [br] 특집 - 청소년 참여법정 참여인단 [br]서울국제고등학교 소속(여승우,2학년) || 4,019일 || || || 9월 30일 ||<#FFC0CB> 2007년 9월 30일 [br] 경북 안동 풍산고등학교(◇)(민병룡,3학년) ||<#A6E657> 2018년 9월 30일 [br] 경기 안성 안법고등학교(◇)(박서연,2학년) || 4,019일 || || || 10월 4일 || 2009년 10월 4일 [br] 서울 잠실여자고등학교(김연진,3학년) || 2015년 10월 4일 [br] 제1회 한글골든벨 [br] 충남 천안 복자여자고등학교 소속(이선화,2학년) || 2,192일 || || || 10월 9일 || 2011년 10월 9일 [br] 서울 금옥여자고등학교(최나경,3학년) || 2016년 10월 9일 [br] 제2회 한글골든벨 [br] 충남 천안 복자여자고등학교 소속(박장미,1학년) || 1,828일 || || || 10월 19일 || 2003년 10월 19일 [br] 충남 서산여자고등학교(양지해,3학년) || 2008년 10월 19일 [br] 경기 동두천외국어고등학교(김지현,중국어과? 3학년) || 1,828일 || || || 11월 16일 || 2008년 11월 16일 [br] 서울 잠신고등학교(이영제,2학년) || 2014년 11월 16일 [br] 전북 전주한일고등학교 (윤지원,3학년) || 2,192일 || || || 12월 9일 ||<#A6E657> 2012년 12월 9일 [br] 서대전고등학교(◇)(김엽,3학년) || 2018년 12월 9일 [br] 세계 반부패의 날 특집 골든벨 [br] 서울 구암고등학교 소속(우재린,2학년) || 2,192일 || || === 한 방송일 및 방송날짜에서 두 번 이상 골든벨 문제에 해당 참가학교가 (첫도전/재도전)하여 골든벨에 도전하여 등극하여 실패한 경우 === ||<:> 방송해당일 ||<:> 첫번째 방송일 [br] 참가학교 골든벨 첫도전 일자 ||<:> 첫번째 방송일 [br] 참가학교 골든벨 재도전 일자 ||<:> 두 번째 방송일 [br] 두 번째 골든벨 등극/실패 간격 ||<:> 비고 || === 한 방송일 및 방송날짜에서 두 번 이상 최종문제에 해당 참가학교가 탈락한 경우 === ||<:> 방송해당일 ||<:> 첫번째 방송일 [br] 참가학교 문제 ||<:> 첫번째 방송일 [br] 참가학교 문제 ||<:> 최종문제[br](번) ||<:> 두 번째 방송일 [br] 두 번째 최종문제 간격 ||<:> 비고 || ||<:> 1월 22일 ||<#FFC0CB><:> 1999년 1월 22일(접속! 신세대 코너) [br] 경기 안양고(◎)(윤동욱,2학년) ||<:> 2006년 1월 22일 [br] 대구 경명여고(진민주,2학년) ||<:> 49번 ||<:> 일 ||<:> || ||<:> 4월 6일 ||<:> 2003년 4월 6일 [br] 한국조리과학고(김태욱, 학과 미확정? 3학년) ||<:> 2008년 4월 6일 [br] 전남 광양 중마고(백윤정,2학년) ||<:> 49번 ||<:> 일 ||<:> || ||<:> 6월 4일 ||<#FFC0CB><:> 1999년 6월 4일(접속! 신세대 코너) [br] 서울 정의여고(◎)( , 학년) ||<:> 2006년 6월 4일 [br] 부산 경원고(이시은,3학년) ||<:> 49번 ||<:> 일 ||<:> || ||<:> 8월 6일 ||<:> 1999년 8월 6일(접속! 신세대 코너) [br] 경남 창원경일고(윤덕원,2학년) ||<:> 2006년 8월 6일 [br] 충남 조치원여고(현 세종여고)(성리라,3학년)[br](최후의 1인 단독도전) ||<:> 49번 ||<:> 일 ||<:> || ==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출연한 경우 == === 초등학교 === * [[2009년]] [[5월 3일]] 경남 창원 마산삼계초등학교 * [[2017년]] [[5월 5일]] 경기 김포 운유초등학교 * [[2018년]] [[5월 6일]] 경기 고양 오마초등학교 * [[2019년]] [[5월 5일]] 부산 해원초등학교 === 중학교 === * [[1999년]] [[12월 24일]] 서울 상명여자중학교(현 상명중학교) * [[2017년]] [[5월 14일]] 충남 천안 백석중학교 * [[2019년]] [[5월 12일]] 중학교 == 역대 출연 학교의 최후의 1~4인,최후의 1인이 미확정인 경우 == * 1999년 * 1월 8일 경기 성남 서현고 [* 접속 신세대 코너의 도전 골든벨 첫방송으로 최후의 1~4인,최후의 1인 남학생 미확정이다.] * 1월 15일 경기 고양 백석고 [* 2회 코너의 첫도전 이후 재도전에서 24대 골든벨 수상자가 있었지만 과거 첫도전의 최후의 1~4인, 최후의 1인이 확정되지 않고 있다.] == 도전 골든벨 홈페이지의 역대 참가 학교의 다시보기 서비스가 중단되어 금지된 경우 == * 2001년 * 1월 19일 68회 서울 진명여고(17대 박장미(☆-100회 특집 및 2001년 왕중왕전-2001 왕중왕)) * 2003년 * 10월 12일 194회 서울 은광여고(최종문제:47번) * 2011년 * 1월 30일 559회 경기 부천 부명고(최종문제:46번) * 6월 26일 580회 특집 도전! 나라사랑 골든벨(명예골든벨 황선미&부산 동래여고) * 2013년 * 2월 17일 대구 달성군 포산고(최종문제:48번) * 3월 17일 광주 송원고(최종문제:49번) * 2018년 * 4월 29일 경북 구미 선산고(최종문제:45번) == 특집 편에서 특집 OP를 하지않고 일반 정규OP를 한 경우 == * 2014년 * 7월 27일 도전 수학골든벨(101대 송현서 - 전북 전주 상산고등학교) * 2015년 * 8월 14일 광복절 특집 1부 - 역사통일 골든벨(110대 전진웅 - 경기 하남고등학교) * 8월 21일 광복절 특집 2부 - 재중동포 골든벨 * 9월 13일 제1회 법원의 날 특집 도전 골든벨 * 2016년 * 1월 3일 800회 특집 및 신년특집 <서울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 2월 7일 설특집 <합천군 고등학교 연합 특집> * 9월 11일 제2회 법원의 날 특집 도전 골든벨 * 12월 11일 2016 골든벨 어워즈 * 2017년 * 1월 29일 2017 설특집 국민골든벨 1부 * 2월 5일 2017 설특집 국민골든벨 2부 * 9월 10일 제3회 법원의 날 특집 도전 골든벨 * 2018년 * 11월 4일 소방의 날 특집 - 소방관 특집 골든벨 * 12월 2일 무역의 날 특집 골든벨 * 12월 9일 세계 반부패의 날 특집 골든벨 == <역대 재도전 학교>의 재도전에 예정이었으나 <재도전 학교>가 참가 취소로 아니며 재도전 학교가 참가하지 않고 있는 경우 == 2004년 * 경남 마산 중앙고등학교(2004년 4월 11일 - 39대 김준설) 2006년 * 경기 안산 경안고등학교(2006년 7월 2일 - 최종문제:49번) == 1~2부가 2주 연속 방송 된 경우 == * 2014년 * 12월 21일 ~ 12월 28일 - 2014 왕중왕전 (2014 왕중왕 권영성-경북 안동 경안고(◇)(☆).2014 준왕중왕 권대규(★) * 2015년 * 2월 15일 ~ 2월 22일 - 설특집 안전골든벨 (명예골든벨 노영민)(경기 안양소방서 대원) * 2016년 * 12월 18일 ~ 12월 25일 - 2016 왕중왕전 (2016 왕중왕 전태현 - 충북 옥천고,2016 준왕중왕 구원오-경남 마산고) * 2017년 * 1월 29일 ~ 2월 5일 - 설특집 국민골든벨 (최후의 1인 최해진(경기도 용인시, 별오빠, 58세) - 최종문제:48번) * 5월 21일 ~ 5월 28일 - 충북 제천고(◇)&제천여고(◆,3번 이상 재도전) 2학교 이상 참가학교 -최종문제:48번 - 최후의 1인 충북 제천고(◇)) * 2018년 * 6월 10일 ~ 6월 17일 - 900회 특집 역대 골든벨 최강자전 1~2부 (역대 골든벨 최강자 - 역대 최강전 우승 박진(강원 춘천고 37대 골든벨&2004 왕중왕),경찰청 생활안전국 소속 경찰, 역대최강전 준우승 김태준(서울 한서고 89대 골든벨,졸업생), 경희대학교 회계세무학과 3학년) - 최종문제: 1번 ~ 45번 , 골든벨 최종 문제 == 한 해에서 왕중왕전이 하지 않은 경우 == * 2017년 == 역대 출연 학교의 학교에서 참가 학교의 취소한 경우 == * 부산광역시 * 부산진여자고등학교 * 울산광역시 * 울산중앙고등학교 * 경상북도 * 구미시 * 상모고등학교 == 역대 출연 학교의 한 회에서 참가한 학교에서 학교 홈페이지에 게재되지 않은 경우 == * 2015년 (1개 학교) * 8월 9일 인천 신명여고(최종문제:47번) * 2016년 (14개 학교) * 2월 14일 경기 안산 초지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2월 21일 전남 영암 삼호고(최종문제:49번) * 3월 13일 경기 의정부 송현고(최종문제:46번) * 3월 20일 경기 안산고(50번 탈락) * 5월 8일 인천 송도고(◆)(50번 탈락-2회 연속 같은 학교(인천 송도고)의 2회 연속 50번 탈락) * 5월 15일 경기 안양 성문고(최종문제:47번) * 6월 5일 공군항공과학고(舊 진주공군기술고)(◆)(50번 탈락) * 6월 12일 경기 파주 금촌고(최종문제:43번) * 6월 19일 대전중앙고(◇)(최종문제:47번) * 10월 2일 조선대학교 부속고(◇)(50번 탈락) * 10월 30일 경기 안성여고(최종문제:42번) * 11월 6일 경기 의정부 호원고(50번 탈락) * 11월 13일 경기 이천양정여고(117대 조한희,2학년-2명 중 1명 등극)(50번 탈락-2명 중 1명 탈락) * 11월 20일 강원 홍천여고(◇)(최종문제:47번) * 2017년 (8개 학교) * 1월 8일 대구상원고(최종문제:50번 탈락) * 4월 2일 서울문화고(최종문제:46번) * 4월 9일 경북 경산고(최종문제:49번) * 4월 30일 서울 누원고(최종문제:43번) * 6월 11일 경기 고양 정발고(최종문제:45번) * 7월 16일 충남 금산여고(최종문제:47번) * 7월 23일 인천전자마이스터고(최종문제:46번) * 9월 3일 경남 창원성민여고(최종문제:47번) * 2018년 (11개 학교) * 3월 4일 부산 부경보건고(성인반)(만학도)(최종문제:44번) * 3월 25일 충북 청주 일신여고(◇) (최종문제:46번) * 4월 8일 경북 김천 율곡고(최종문제:36번) * 6월 3일 충남 계룡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122대 박지호''') * 6월 24일 전남 진도고(◆)(최종문제:47번) * 8월 19일 충남 서천고(◇)(최종문제:47번) * 9월 30일 경기 안성 안법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10월 21일 경기 용인 청덕고(최종문제:49번) * 10월 28일 대전 계룡디지텍고등학교(최종문제:47번) * 11월 11일 경기 평택여자고등학교(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123대 이채연''') * 12월 23일 928회 경기 남양주 별내고(최종문제:47번) * 2019년 (19개 학교) * 1월 6일 세종 양지고(최종문제:48번) * 1월 13일 경북 상주여고(최종문제:49번) * 1월 20일 경북 봉화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1월 27일 서울 명덕여고(최종문제:49번) * 2월 17일 서울 국립국악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3월 10일 대구 운암고(125대 송명)(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 * 3월 17일 서울 정의여고(◇)(최종문제:49번) * 3월 24일 서울미술고(최종문제:45번) * 3월 31일 서울관광고(최종문제:47번) * 4월 28일 충북 음성 매괴고(최종문제:45번) * 5월 26일 경기 화성 향남고(최종문제:48번) * 6월 9일 서울 용문고(◇)(126대 임도연)(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 * 6월 23일 충북 제천제일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7월 7일 경기 평택기계공업고(최종문제:47번) * 7월 14일 경남 함양고(◇)(최종문제:48번) * 7월 21일 강원 속초여고(◇)(최종문제:49번) * 8월 18일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 8월 25일 강원 춘천 봉의고(◇)(127대 이휘리)(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 * 9월 8일 경기 하남고(128대 김민석)(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같은 학교의 2번 이상 등극) == 역대 출연 학교의 지역의 시군구에서 참가하지 않고 있는 지역 ==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1999년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만 학교이름이 마포고인데 마포구 소재가 아닌 강서구로 참가했는데 마포구에서만 참가하지 않고 있고, 2007년 서울지역연합 독서골든벨 외, 2011년 6월 26일 호국보훈의 특집 <도전! 나라사랑 골든벨>참가에 상암고등학교(닌진-몽골출신)학생이 도전하여 있었지만 서울지역이 단독으로 학교체에 참가하지 않고 있다.] * 부산광역시 * 강서구(부산) * 수영구 * 연제구 * 동구(부산) [* 2011 (부산컴퓨터과학고 최재호 - 경제골든벨 50번 실패)가 있었지만 단독으로 부산 강서구(부산), 수영구, 연제구, 동구의 학교체로 참여하지 않고 있다.] * 인천광역시 [* 2007년 5월 27일 인천지역 연합 발명골든벨 외 인천지역의 각 자치구의 단독으로 학교체에 참가하지 않고 있다.] * 계양구[* 2016년 8월 14일 8.15 특집 <2016 광복절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참가에 계양고등학교(배규동)학생이 도전하여 있었지만 단독으로 인천광역시의 자치구의 계양구가 단 한번도 참가하지 않고 있다.] * 옹진군[* 인천 옹진군 지역의 섬지역도 단 참가하지 않고 있다.] * 울산광역시 [* 2006년 12월 17일의 울산광역시 지역 고등학교 연합 외 울산광역시의 지역의 단독으로 학교체에 참가하지 않고 있다.] * 동구(울산) * 울주군[* 울산광역시 지역의 군지역도 단 참가하지 않고 있다.] * 경기도 * 의왕시[* 2015 역사통일 골든벨 최후의 4인의 의왕 우성고(이정현,당시 2학년,78번)가 도전하여 있었지만 단독으로 의왕시 지역은 학교체로 참여하지 않고 있다.] * 강원도 * 화천군[* 2010년 광복절 특집 통일 골든벨에 녹화하여 참가한 지역으로 화천군의 단독으로 학교체에 참가하지 않고 있다.] * 양구군 * 양양군 * 고성군(강원도)(이상 강원지역 4개 군지역) * 충청북도 * 괴산군[* 2018 역사통일 골든벨 100명 중 도전자 괴산고(마민혁,현재 2학년,번)가 도전하여 있었지만 단독으로 괴산군 지역은 학교체로 참여하지 않고 있다.] * 영동군[* 2015년 4월 19일 충북 영동고가 아니 경북 영천 영동고로 아쉽게 충북 영동군 지역이 출연할 뻔하여 단독으로 영동군 지역이 참가하지 않고 있다.] * 증평군 * 보은군 * 단양군(이상 충북지역 5개 군지역) * 충청남도 * 서천군[* 충남 서천군 지역에는 유일하게 단독으로 서천군만 참여하지 않고 있는데 2007년 5월 20일 서천여고(2학교 이상 출연학교)([[김보민]] 아나운서 마지막 여자MC)의 이 중 최후의 1인 서천여고 구한민 학생이 50번에 탈락하여 이후 서천고(2016 역사통일 골든벨 - 서천고(◎,첫도전) 50번 골든벨 문제 탈락)의 2학교 이상 출연한 경우이며, 2018년 8월 19일 서천고(◇)(남학교에서)에서 재도전한 경우이다.] * 전라북도 * 완주군[* 전북 완주군의 완주군청 소재지였던 전주시인데 완주군은 단독으로 참가하지 않고 있다.] * 진안군 * 무주군 * 임실군 * 장수군 (이상 전북지역 5개 군지역) * 전라남도 * 보성군 * 고흥군 * 신안군[* 2015년 9월 27일 추석특집 섬마을 골든벨 특집에서만 신안군의 도초고등학교(특집편에서만 학교로 대체한 것에만 기준)가 참여한 것 빼곤 신안군의 단독으로 참여하지 않고 있다.] (이상 전남지역 3개 군지역) * 경상북도 * 성주군 * 고령군 * 영양군 * 청송군(이상 경북지역 4개 군지역) * 경상남도 * 하동군 * 합천군[* 합천군 2016년 설특집 도전 골든벨 지역 연합으로 단독으로 학교체로 참여하지 않고 있다.] (이상 경남지역 2개 군 지역) == 역대 출연 학교의 지역의 시군구에서 학교명의 지역을 표기하지 않은 경우(총 50개 학교 기준) == * 서울특별시 * 한국삼육고 2003년 4월 27일 * 한림연예예술고 2016년 1월 3일 [* 800회 특집 및 신년특집의 서울지역 미표기] (800회 특집 및 신년특집) * 정의여고(◇) 2019년 3월 17일 [* 2019년 3월 17일 의 재도전 학교의 서울지역 미표기] * 부산광역시 * 부경보건고 2018년 3월 4일 [* 2018년 3월 4일 부경보건고(성인반 및 만학도)편 의 부산지역 미표기] * 기장군 * 부산장안고 2010년 7월 11일 * 인천광역시 * 영일외국어고(현 인천외국어고등학교)(2대 박찬혁) 1999년 4월 16일 (접속! 신세대 코너) * 신명여고 2015년 8월 9일 * 대구광역시 * 달성군 * 현풍고 2008년 9월 21일(70대 최수진) * 포산고 2013년 2월 17일 * 대전광역시 * 충남기계공업고 2009년 6월 28일 * 계룡디지텍고 2018년 10월 28일 * 광주광역시 * 전남고 2016년 4월 17일 * 조선대학교 부속고(◇) 2016년 10월 2일 * 세종특별자치시 (구 충청남도 연기군) * 세종여자고 (구 조치원여자고등학교) 2006년 8월 6일 * 세종고 (구 조치원고등학교) 2008년 7월 20일(68대 정경식)/특집편의 팔도최강전 세종특별자치시 편(93대 김진욱 - 2013년 왕중왕 등극) * 경기도 * [[고양시]] [* 역대 출연 학교의 [[고양시]] 8개 학교의 [[고양시]] 지역(24대 수상자 및 1학교 최종 50번 골든벨 문제 실패의 3회 포함(고양시의 참가 학교 외 2006년 과학축전특집편의 [[고양시]] 연합에서 최후의 1인의 소속으로 일산대진고는 학교체에 미참가로 50번 골든벨 문제에 탈락한 경우이다.))은 단 한번도 표기하지 않고 있다.] * 백석고(경기 고양시) 첫도전 1999년 1월 15일(접속! 신세대 코너 - ◎),재도전 2001년 11월 25일(24대 서수연)(◇) * 주엽고 2002년 9월 1일 * 백신고 2004년 1월 11일 * 백양고2007년 8월 19일 * 경기영상과학고 2013년 7월 28일 * 저현고 2015년 6월 14일 * 일산동고 2016년 7월 10일 * 정발고 2017년 6월 11일 * [[성남시]] [* 1999년(2학교 - 2학교 중 1학교는 1대 등극 - 분당고,접속! 신세대 코너 )(접속!신세대 코너 - 1월 8일 ~ 8월 27일,독립 편성 포함 - 9월 3일 부터) ~ 2000년(2학교- 2학교 중 1학교는 14대 등극-이매고), 2005년(4학교), 2007년(1학교), 2014년(재도전(◇) - 98대 등극) , 2015년(2학교)가 성남시 지역이 13개 학교명의 [[성남시]] 지역을 표기하지 않았다.] * 서현고 1999년 1월 8일 (접속! 신세대 코너 - 첫 출연) * 분당고 1999년 2월 19일 (접속! 신세대 코너 - 1대 이병렬 - 초대 골든벨 등극) * 풍생고 2000년 2월 21일 * 이매고 2000년 6월 30일(14대 김보석) * 분당대진고 2004년 3월 14일 * 송림고 2004년 5월 30일 * 태원고 2005년 1월 2일(첫도전,◎)/2014년 1월 5일(재도전 ◇)(98대 이지수) * 야탑고 2005년 6월 12일 * 낙생고 2005년 7월 3일 * 불곡고 2005년 7월 24일 * 늘푸른고 2007년 3월 25일 * 계원예술고 2015년 1월 4일 * 성일정보고 2015년 11월 15일 * 군포시 * 부곡중앙고(現 군포중앙고) 2016년 8월 28일(116대 김민철) * 화성시 * 예당고 2012년 9월 2일 * 향남고 2019년 5월 26일 * 양평군 * 양일고 2011년 6월 12일 * 안성시 * 경기창조고 2014년 2월 9일(◎,첫도전)/2019년 6월 30일(◇,재도전) * 강원도 * 철원군 * 김화고 2005년 12월 11일 * 평창군 * 상지대관령고 2015년 9월 20일 * 충청북도 * 음성군 * 매괴고 2019년 4월 28일 * 충청남도 * 보령시 * 대천여고 2003년 12월 7일 * 대천고 2007년 8월 26일 (64대 김성환) * 당진시 * 합덕제철고 2018년 3월 11일 [* 2018년 3월 11일 합덕제철고(최종문제:43번)의 합덕 제철고(X)가 아니라 당진 합덕제철고(O)가 맞는 표기이다.] * 아산시 * 온양여고 2015년 5월 3일 * 온양용화고(최종문제:49번) 2019년 5월 19일 * 논산시 * 강경고 2012년 5월 13일 (스승의 날 특집) * 전라북도 * 전주시 * 전북여고 2014년 7월 13일 (100대 김희주 - 100대 골든벨 등극 금자탑) [* 100대 김희주(전북여고 소속 당시 3학년) - 100대 골든벨 금자탑의 골든벨 수상자가 있었으나 전주시 지역을 표기하지 않은 경우이다.] * 익산시 * 이리고 2003년 9월 21일(◎)/2011년 5월 15일(◇) * 경상북도 * 칠곡군 * 순심고&순심여고 (2학교 이상 출연 학교) 2006년 6월 11일 56대 윤문열(경북 칠곡 순심고-2명 중 1명 등극) (칠곡군 지역 미표기) * 특집편 * 2015년 광복 70주년 특집 - 1부 역사통일 골든벨 2015년 8월 16일 (110대 전진웅 & 경기 하남고) [* 110대 골든벨 수상자 전진웅&(경기 하남고)가 등극하여 있었으나 2015년 8월 16일 광복 70주년 특집 - 1부 역사통일 골든벨의 100명의 도전자에서 전국의 각 지역(시군) 출신 소속 학교의 지역명을 표기하지 않았으며, 최후의 4인의 출신 학교의 지역(시군)명을 표기하지 않은 경우이다.] == 역대 출연 학교의 지역의 한 회에서 전문계 고등학교의에서 참가한 학교의 전문계에서 100명이 도전하여 문제의 인터뷰와 최후의 1~4인의 학과 표기를 하지 않은 경우 == * 1999년 * <접속! 신세대 코너> * 4월 16일 인천 영일외국어고(2대 박찬혁)(현 인천외국어고) * <독립 편성> * 10월 15일 서울 미림여자전산고 (현 미림여자정보과학고) * 12월 24일 전남 여수정보과학고(9대 김수영 -★1999년 준왕중왕) * 2000년 * 3월 17일 경기 부천정보산업고 * 5월 19일 서울 동구여자상업고(현 동구마케팅고) * 11월 17일 경기 수원농생명과학고 * 11월 24일 인천 경인여자상업고 (구 경인여고) (현 인천보건고등학교) * 2001년 * 3월 2일 부산국제고 * 5월 4일 서울 대원외국어고(19대 조형규) * 5월 18일 서울 대일외국어고 * 7월 27일 서울 덕수정보산업고(◇)(현 덕수고) * 8월 10일 충남 청양여자정보고(현 청양고 로 통합) * 9월 17일 한국테크노과학고(현 부산보건고)(21대 선지원) * 10월 19일 전북 전주 완산외국어정보고 (현 완산여고) * 12월 23일 경기 과천외국어고 * 2002년 * 3월 31일 경북외국어고(2명 중 1명은 2002 준왕중왕 최한나 ★) * 4월 14일 서울외국어고 * 5월 5일 경기 동두천정보산업고(현 한국문화영상고) * 7월 28일 경남 진주 공군기술고◎)(현 공군항공과학고) * 11월 10일 인천 문성정보미디어고 (舊 한국문화콘텐츠고) (현 인천금융고) (윤인구 아나운서 마지막 방송) * 2003년 * 4월 4일 한국조리과학고 * 8월 3일 부산해사고(◎) * 2005년 * 8월 28일 한국관광고 * 12월 4일 대전 동아공업고(현 동아마이스터고) * 2006년 * 1월 29일 설특집 - 서울지역 공업고등학교 연합(최후의 3인 중 지역 출신 학교의 학과 미표기) * 2월 5일 도전 와이즈(WISE) 골든벨(54대 표하림&서울과학고(★))(최후의 4인 중 1명은 지역출신학교의 1명 김진선 학생의 이대병설미디어고의 학과 미표기) * 4월 16일 서울 미래산업과학고 * 11월 12일 특집 도전! 독서 골든벨(최후의 4인 중 1명은 지역출신학교의 김영 부산국제고의 학과 미표기) * 2007년 * 1월 7일 우수실업고 초청 (신년특집) * 4월 8일 부산 브니엘학원 (3학교 이상 (■)) (브니엘고,브니엘여고,브니엘예술고)의 그 외 참가하여 도전한 학교 학생의 부산 브니엘예술고의 학과 미표기 * 10월 21일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 * 11월 25일 400회 특집 - <전국고교최강전>(최후의 4인 중 1명은 김재석 학생의 경기 과천외고의 학과 미표기) * 2008년 * 10월 19일 경기 동두천외국어고 * 12월 14일 제주 영주고 * 2009년 * 6월 28일 대전 충남기계공업고 * 11월 8일 500회 특집 전국고교최강전(75대 김주송 & 서울 중산고) - 최후의 3인 중 1명은 방기원(한국외대부속 용인외고)의 학과 미표기 * 2010년 * 2월 21일 경기 안산공업고 * 4월 25일 서울 덕수고(◇)(구 덕수정보산업고) * 5월 23일 서울방송고 * 11월 28일 부산마케팅고 * 2011년 * 5월 8일 경남 진주 공군항공과학고(◇)(구 공군기술고) * 10월 23일 서울 대동세무고 * 12월 11일 특집 경제골든벨 (최후의 3명 중 학과 미표기) 최후의 1인 최재호(부산컴퓨터과학고 당시 2학년)의 학과 미표기 * 2012년 * 2월 5일 충남외국어고(86대 이건희) * 10월 28일 팔도최강전 7부 - 전라북도 - 팔도최강 송다빈(전북외고 스페인어과)의 학과 미표기 * 2013년 * 7월 28일 경기영상과학고 * 10월 27일 서울 경기기계공업고 * 2014년 * 8월 3일 부산해사고(◇) 학과 표기 미확정? * 10월 5일 관광골든벨 (103대 이정담&서울관광고) - 전국 관광고의 100명의 참가한 출신 관광고 학생의 학과 미표기 * 2015년 * 1월 4일 경기 성남 계원예술고 * 4월 12일 경남항공고 * 11월 15일 경기 성남 성일정보고등학교 * 11월 22일 경북항공고 * 2016년 * 4월 3일 경기자동차과학고(최후의 3인 중 1명은 여학생의 학과 미표기) * 6월 5일 경남 진주 공군항공과학고(◆)(구 공군기술고) * 7월 3일 서울 동일여자상업고 * 7월 31일 울산여자상업고 * 9월 18일 추석특집 - 남인천고(◇) - 성인반 * 10월 9일 2016년 제2회 도전 한글골든벨 - 최후의 4인 중 1명은 김미령(경북외고 일본어과) 학과 미표기 * 2017년 * 4월 2일 서울문화고 * 7월 23일 인천전자마이스터고 * 8월 6일 경남 창원기계공업고 * 10월 9일 2017년 제3회 한글골든벨 - 최후의 1인 박새슬(경남 김해외고 당시 2학년)의 학과 미표기 * 2018년 * 3월 11일 충남 당진 합덕제철고 * 4월 1일 한국외식과학고 * 7월 22일 충남 천안 병천고(최후의 4인 중 2명은 학과 미표기) * 8월 5일 경기 안양 근명여자정보고(최후의 4인 모두 4명은 학과 미표기) * 8월 26일 충북반도체고(최종문제:45번)(최후의 4인 소개 못함 - 최후의 4인 결정 중 2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 * 10월 7일 한글날 특집 제4회 도전 한글골든벨 - 100명 참가자 중 인터뷰에서 김보금(대구농업마이스터고 학과 미확정 1학년,29번) 학과 미표기 * 10월 14일 인천해사고(최종문제:49번)(최후의 3인 소개 못함 - 최후의 3인 결정 중 2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최후의 3인 결정 중 3명은 이름학년/학과 미표기) * 10월 28일 대전 계룡디지텍고(최종문제:47번)(최후의 4인 소개 못함 - 최후의 4인 결정 중 2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최후의 4인 결정 중 4명은 이름/학년/학과 미표기) * 11월 11일 경기 평택여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등극)(최후의 4인 소개 못함 - 최후의 4인 결정 중 2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최후의 4인 결정 중 4명은 이름/학년/학과 미표기) * 11월 25일 경남 진주 선명여고(최종문제:47번)(최후의 3인 소개 못함 - 최후의 3인 결정 중 2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최후의 3인 결정 중 3명은 이름/학년/학과 미표기) * 12월 2일 무역의 날 특집 골든벨 - 100명 중 6명의 인터뷰의 6명 중 전국의 참가한 학교 미표기 - (최후의 2인 소개 못함 - 최후의 2인 결정 중 2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 * 12월 9일 세계 반부패의 날 특집 골든벨 - 100명 중 인터뷰의 10명 중 2명의 전국의 참가한 학교 미표기 * 2019년 * 2월 17일 국립국악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최후의 4인 소개 못함 - 최후의 4인 결정 중 4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최후의 4인 결정 중 3명은 이름/학년/학과 미표기) * 3월 24일 서울미술고(최종문제:45번)(최후의 2인 소개 못함 - 최후의 2인 결정 중 2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최후의 2인 결정 중 2명은 이름/학년/학과 미표기) * 3월 31일 서울관광고(최종문제:47번)(최후의 4인 소개 못함 - 최후의 4인 결정 중 4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최후의 4인 결정 중 3명은 이름/학년/학과 미표기) * 7월 7일 경기 평택기계공고(최종문제:47번)(최후의 4인 소개 못함 - 최후의 4인 결정 중 4명은 이름 학년 미표기/최후의 4인 결정 중 4명은 이름/학년/학과 미표기) == 한 해에서 한 회의 각 참가한 학교와 특집편에서 100명이 도전하여 문제의 인터뷰와 최후의 1~4인의 학과 표기를 하지 않은 경우(총 10회 기준) == * 1999년[* 1999년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 4월 16일, 독립 편성에서 10월 15일,12월 24일 3회 동안 한 해의 한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의 학과 표기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 2000년[* 2000년 3월 17일,5월 19일,11월 17일,11월 23일 까지 한 해의 한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의 학과 표기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 2001년[* 2001년 3월 2일,5월 4일,5월 18일,7월 27일,8월 10일,9월 17일,10월 19일,12월 23일 까지 한 해의 한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의 학과 표기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 2005년[* 2005년 8월 28일,12월 4일 까지 한 해의 한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의 학과 표기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 2007년[* 2007년 1월 7일(특집편),4월 8일,10월 21일,11월 25일(400회 특집 전국고교최강전) 까지 한 해의 한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의 학과 표기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 2008년[* 2008년 10월 19일,12월 14일 까지 한 해의 한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의 학과 표기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 2010년[* 2010년 2월 21일, 4월 25일(◇),5월 23일, 11월 28일 까지 한 해의 한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의 학과 표기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 2017년[* 2017년 4월 2일,7월 23일,8월 6일,10월 9일(한글날 특집 골든벨 3회-최후의 1인 결정) 까지 한 해의 한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의 학과 표기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 2018년[* 2018년 3월 11일,4월 1일,7월 22일,8월 5일(방송일의 참가 학교 변경),10월 7일(한글날 특집 4회,[[이혜성]] 아나운서 여자 새 MC),10월 14일,10월 28일,11월 11일,11월 25일,12월 2일(무역의 날 특집-최후의 1인 결정),12월 9일(세계 반부패의 날 특집 골든벨) 까지 한 해의 한회에서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의 학과 표기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 * 2019년[* 2019년 2월 17일,3월 24일 ~ 3월 31일,8월 18일 기준의 각 참가한 학교의 참가 학교 기간동안 단 한번의 최후의 1~4인의 학과 표기를 하지 않고 있다.] == 역대 참가 학교의 한 회에서 각 지역의 참가한 학교에서 남,여학생이 인터뷰를 하지 않은 경우 == === 역대 참가 학교의 한 회에서 각 지역의 참가한 학교에서 남학생이 인터뷰를 하지 않은 경우(총 3회 기준) === * 2015년 * 8월 2일 충남 서산 서일고(◇)[* 2015년 8월 2일 충남 서산 서일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1인 여학생이었으나, 단 한명의 남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2018년 * 7월 22일 충남 천안 병천고[* 2018년 7월 22일 충남 천안 병천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4인 & 최후의 1인 여학생이었으나, 단 한명의 남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2019년 * 3월 24일 서울미술고[* 2019년 3월 24일 서울미술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2인 & 최후의 1인 여학생이었으나, 단 한명의 남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역대 참가 학교의 한 회에서 각 지역의 참가한 학교에서 여학생이 인터뷰를 하지 않은 경우(총 13회 기준) === * 2010년 * 4월 25일 서울 덕수고(◇)(구 덕수정보산업고등학교) (최종문제:49번) [* 2010년 4월 25일 서울 덕수고(◇,재도전)에서 교명 변경전(덕수정보산업고)의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4인은 모두 남학생며,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5월 23일 서울방송고(최종문제:48번) [* 2010년 5월 23일 서울방송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모두 남학생이며,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으나 최후의 2인 중 남학생 1명,여학생 1명으로 최후의 1인 여학생이었다.] * 2011년 * 10월 23일 서울 대동세무고(최종문제:48번) [* 2011년 10월 23일 서울 대동세무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모두 남학생이며,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으나 최후의 4인 중 남학생 2명,여학생 2명으로 최후의 1인 여학생이었다.] * 11월 6일 서울 용산공업고(최종문제:47번) [* 2011년 11월 6일 서울 용산공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4인은 모두 남학생이며,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2012년 * 4월 8일 경기 안양 관양고(최종문제:46번) [* 2012년 4월 8일 경기 안양 관양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는 모두 남학생이며, 최후의 4인 중 남학생 1명,여학생 3명으로 최후의 1인 남학생이었으나,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9월 23일 광주 첨단고(최종문제:46번)[* 2012년 9월 23일 광주 첨단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는 모두 남학생이며, 최후의 4인 중 남학생 2명,여학생 2명으로 최후의 1인 남학생이었으나,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10월 14일 경북 김천생명과학고 [* 2012년 10월 14일 경북 김천생명과학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는 모두 남학생이며, 최후의 3인 중 남학생 1명,여학생 3명으로 최후의 1인 남학생이었으나,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2013년 * 1월 20일 서울 강일고 [* 2013년 1월 20일 서울 강일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는 모두 남학생이며, 최후의 3인 중 남학생 1명,여학생 2명으로 최후의 1인 여학생이었으나,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8월 18일 여름방학 특집 - 제3회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 (최후의 1인 김도훈 &충남 공주 한일고 1학년,최종문제:45번) [* 2013년 8월 18일 제3회 역사·통일 퀴즈 최강전의 인터뷰는 대거탈락 64명(역대 공동 20위)로 전국의 각 출신학교 참가자 및 도전자는 모두 남학생이며,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2014년 * 3월 16일 전남 광양백운고(◇)[* 2014년 3월 16일 전남 광양백운고(◇,재도전)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는 모두 남학생이며, 최후의 4인 중 남학생 2명,여학생 2명으로 최후의 1인 남학생이었으나,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3월 30일 경기 부천 소사고[* 2014년 3월 30일 경기 부천 소사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3인 & 최후의 1인 남학생이었으나,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8월 3일 부산해사고(◇)[* 2014년 8월 3일 부산해사고(◇,재도전)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4인 & 최후의 1인 남학생이었으나,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2015년 * 8월 16일 2015년 광복 70주년 특집 - 1부 역사통일 골든벨(110대 전진웅&경기 하남고) [* 2015년 8월 16일 광복 70주년 특집 - 1부 역사통일 골든벨(110대 전진웅&경기 하남고)의 인터뷰는 대거탈락 65명(역대 공동 25위)로전국의 각 출신학교 참가자 및 도전자의 각 문제의 인터뷰는 모두 남학생이며, 최후의 4인 중 남학생 3명,여학생 1명으로 최후의 1인 남학생이며, 110대 골든벨 수상자가 나왔으며, 단 한명의 여학생의 인터뷰도 없었다.] == 역대 참가 학교의 한 회에서 각 지역의 참가한 학교에서 해당 학년 인터뷰를 하지 않은 경우 == * 2015년 * 12월 14일 경남 통영 충렬여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각 학생의 3학년)[* 2015년 12월 13일 경남 통영 충렬여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각 문제 인터뷰의 최후의 4인,최후의 1인은 3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3학년의 인터뷰도 없었다.] * 2017년 * 4월 9일 경북 경산고(최종문제:49번)(각 학생의 3학년)[* 2017년 4월 9일 경북 경산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각 문제 인터뷰의 최후의 4인,최후의 1인 3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3학년의 인터뷰도 없었다.] * 9월 3일 경남 창원성민여고(최종문제:47번)(각 학생의 3학년)[* 2017년 4월 9일 경북 경산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각 문제 인터뷰의 최후의 4인,최후의 1인 3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3학년의 인터뷰도 없었다.] * 2018년 * 4월 1일 한국외식과학고(최종문제:44번)(각 전공 학생 학생의 2학년)[* 2018년 4월 1일 한국외식과학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각 문제 인터뷰의 최후의 2인,최후의 2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3학년 인터뷰도 없었다.] * 4월 29일 경북 구미 선산고(최종문제:45번)(저작권 문제로 다시보기 불가)( 각 학생의 1학년)[* 2018년 4월 28일 경북 구미 선산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각 문제 인터뷰의 최후의 4인,최후의 1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3학년 인터뷰도 없었다.] * 10월 7일 제4회 도전! 한글 골든벨(이혜성 아나운서 여자 새 MC)(최종문제:49번)(각 지역 출신 학교의 각 지역 출신 학교의 각 학생의 3학년)[* 2018년 10월 7일 제4회 도전! 한글 골든벨(이혜성 아나운서 여자 새 MC)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각 문제 인터뷰의 및 전국의 각 출신 학교의 소속 학교 학년의 최후의 3인 & 최후의 1인이 3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3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12월 9일 세계 반부패의 날 특집 골든벨(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각 지역 출신 학교의 각 지역 출신 학교의 각 학생의 3학년)[* 2018년 12월 9일 세계 반부패의 날 특집 골든벨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각 문제 인터뷰의 최후의 1인 단독도전으로 3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3학년의 인터뷰도 없었다.] * 2019년 * 2월 17일 국립국악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각 전공 학과 학생의 3학년)[* 2019년 2월 17일 국립국악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4인 & 최후의 1인이 3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학과 미확정 3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3월 3일 전북 고창고(◆)(최종문제:48번)(이혜성 아나운서 여자 마지막 MC)(각 학생의 3학년)[* 2019년 3월 3일 전북 고창고(◆)(이혜성 아나운서 여자 마지막 MC)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4인 & 최후의 1인이 3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학과 미확정 3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3월 31일 서울관광고(최종문제:47번)(각 전공 학과 학생의 1학년)[* 2019년 3월 31일 서울관광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4인 & 최후의 1인이 1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학과 미확정 1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4월 7일 경남 창원고(◇)(최종문제:50번 골든벨 문제 탈락)(각 학생의 1학년)[* 2019년 4월 7일 경남 창원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4인 & 최후의 1인이 1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1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4월 21일 울산 삼일여고(최종문제:49번)(각 학생의 1학년)[* 2019년 4월 21일 울산 삼일여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4인 & 최후의 1인이 1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1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4월 28일 충북 음성 매괴고(최종문제:45번)(각 학생의 1학년)[* 2019년 4월 28일 충북 음성 매괴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4인 & 최후의 1인이 1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1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6월 2일 대구 구암고(◇)(최종문제:49번)(각 학생의 1학년)[* 2019년 6월 2일 대구 구암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2인 & 최후의 1인이 1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1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6월 16일 경남 산청고(최종문제:49번)(각 학생의 3학년)[* 2019년 6월 16일 경남 산청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4인 & 최후의 1인이 3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3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7월 7일 경기 평택기계공업고(최종문제:47번)(각 학과 미확정 1학년)[* 2019년 7월 7일 경기 평택기계공업고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4인 & 최후의 1인이 1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1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8월 11일 광복절 74주년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각 지역 출신 학교의 각 지역 출신 학교의 학생의 3학년)[* 2019년 8월 11일 광복절 74주년 특집 -역사통일 골든벨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전국의 각 출신 학교의 소속 학교 학년의 최후의 4인 & 최후의 1인이 3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3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8월 25일 강원 춘천 봉의고(127대 골든벨 이휘리)(강서은 아나운서 여자 마지막 MC)(각 학생의 1학년)[* 2019년 8월 25일 강원 춘천 봉의고(127대 골든벨 이휘리)(강서은 아나운서 여자 마지막 MC)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3인 & 최후의 1인이 1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1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9월 1일 경북 칠곡 북삼고(박지원 아나운서 여자 새 MC)(방송일의 참가 학교명 변경)(각 학생의 2학년)[* 2019년 9월 1일 경북 칠곡 북삼고(박지원 아나운서 여자 새 MC)의 인터뷰는 각 문제의 인터뷰 및 최후의 1인이 단독도전으로 1학년 없음이었으나, 단 한명의 1학년 의 인터뷰도 없었다.] == 역대 참가 학교의 한 회에서 각 지역의 참가한 학교에서 해당 최후의 1인이 학년을 도전 하지 않은 경우 == * 경기도 오산시 - 3학년 * 전라북도 군산시 - 3학년 == 역대 참가 학교의 한 해와 한 회에서 각 과학고등학교가 학교체에 참가한 경우[* 과학고 중 특집편이 있었으나 아직 과학고에서만 <역대참가학교>의 단독으로 학교체에서만 참가하지 않고 있다.][* 과학고 특집편의 <역대 참가학교>는 해당연도 과학골든벨,과학고 연합 특집도 포함된다.] == * 해당연도 - 없음 == 역대 참가 학교의 한 해와 한 회에서 각 체육고등학교가 학교체에 참가한 경우 [* 체육고 중 특집편이 있었으나 아직 체육고에서만 <역대참가학교>의 단독으로 학교체에서만 참가하지 않았으며, 특집편에서만 소속 출신 체육고에 참가하여 도전한 학생이다.] == * 해당연도 - 없음 == 역대 참가 학교의 참가한 학교의 방송일이 변경된 경우 == * 2011년 * 광주 살레시오고(2010년 11월 → 2011년 1월 2일) * 2016년 * 전북 군산여자고(◇)(3월 13일 → 3월 27일)(최종문제:48번) * 의정부 송현고(3월 27일 → 3월 13일) (최종문제:46번) * 2017년 * 경남 함안고(11월 → 2017년 1월 22일(118대 이익찬)) * 2018년 * 경기 오산 세교고(8월 5일 → 7월 23일) (최종문제:49번) * 경기 안양 근명여자정보고(7월 29일 → 8월 5일) (최종문제:45번) == 역대 골든벨 도전자의 49번 문제에서 등극하여/실패하기 전의 2~3명 이상 동시 골든벨 도전 진출에 실패한 경우 == * 2명 이상 동시 골든벨 도전 진출 실패 * 1999년 * 7월 2일 전북 익산 이리남성여고(4대 양선이)(접속! 신세대 코너) - 49번 문제 도전중의 2명이 1명 탈락하여 1명이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여 4대 등극 * 12월 17일 전남 여수정보과학고(9대 김수영)(★,1999년 연말 준왕중왕)(독립편성) - 49번 문제 도전중의 2명이 1명 탈락하여 1명이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여 9대 등극 * 7월 17일 경기 광명 진성고(50대 이덕원) - 49번 문제 도전중의 2명이 1명 탈락하여 1명이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여 50대 등극 * 2009년 * 5월 31일 전남 여수 부영여고(◇) 류선경 - 49번 문제 도전중의 2명이 1명 탈락하여 1명이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여 50번 탈락 * 2016년 * 6월 5일 공군항공과학고(◆) 박근하 - 49번 문제 도전중의 2명이 1명 탈락하여 1명이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여 50번 탈락 * 3명 이상 동시 골든벨 도전 진출 실패 * 2017년 * 1월 22일 경남 함안고(118대 이익찬) - 49번 문제 도전중의 3명이 2명 탈락하여 1명이 마지막 50번 골든벨 문제에 도전하여 118대 등극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홈페이지의 <명예의 전당>에 등극한 학생의 메시지의 작성자 (강민승) 씨는 수상자 메시지를 작성하는 경우 == 2014년 (8명 중 6명 수상자 메시지 작성 - 100대 골든벨 금자탑 달성 포함) * 100대 김희주(전북여고) 100대 골든벨 금자탑 달성 포함 20140713 <도전 골든벨의 역사가 부활한다!!!> * 101대 송현서(전주 상산고) 특집 수학골든벨 20140727 <101대 골든벨 탄생했습니다.> * 102대 신명규(이천 효양고) 20140914 <드디어 신명규 학생 102대 골든벨 탄생!!!> * 103대 이정담(서울관광고) & 특집 관광골든벨 20141005 <이정담 학생, 축하합니다.> * 104대 문성호(인천 동산고 - 재도전) 20141019 <문성호 학생, 104대 골든벨 등극!!!> * 105대 권대규(김포 장기고 - 2014 준왕중왕) 20141214 <권대규 학생 105대 골든벨 탄생!!!> 2015년 (7명) * 106대 백승호(파주 운정고) 20150201 * 107대 전해청(경남 마산여고 - 재도전) 20150329 * 108대 류지윤(경남 창녕옥야고) 20150607 * 109대 이예지(전주중앙여고 - 2015 준왕중왕) 20150621 * 110대 전진웅(경기 하남고) & 2015 역사통일 골든벨 20150816 * 111대 최준희(경남 밀양고) 20150830 * 112대 서민석(경기 안양 부흥고) 20150906 2016년 (5명) * 113대 신한비(경남 김해가야고) 20160424 * 114대 권민성(경기 성남 판교고) 20160717 * 115대 황미홍(연변제1중학교) 2016 재중동포 골든벨 20180821(해외 학교 최초로 골든벨 배출 - 중국 및 중국 재중동포) * 116대 김민철(군포 부곡중앙고 - 현 부곡중앙고) 20160828 * 117대 조한희(경기 이천양정여고) 2명 중 1명 등극 20161113 2017년 (4명) * 118대 이익찬(경남 함안고) 20170122 * 119대 박우선(강원 홍천고) 2명 중 1명 등극 20170423 * 120대 함태원(경기 남양주 청학고) 20170507 * 121대 윤병희(경기 안양고 - 재도전) 20170618 2018년 (3명) * 122대 박지호(충남 계룡고) 20180603 * 123대 이채연(경기 평택여고) 20181111 * 124대 이가온(충남 청양 정산고) 20181118 초등학교 골든벨 * 어린이날 특집 어린이 골든벨 (경기 고양 오마초등학교) 명예골든벨 황지우(6학년,15번) 20180506 2019년 (2명 '''도전 중''') * 125대 송명(대구 운암고) 20190310 <강서은 아나운서의 첫 진행과 함께 125대 골든벨 주인공이 나왔다!!!(미확정)> * 127대 임도연(서울 용문고(◇)) 20190609 * 127대 여학생 등극 예정( 고등학교 미확정) 201907??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홈페이지의 <명예의 전당>에 등극한 학생의 리스트가 나오지 않고 있는 경우(총 9명 - 남 6명, 여 3명) == * 2016년 [* 2016년 골든벨 수상자 5명 중 4명이 리스트에 나오지 않고 있다.] * 7월 17일 경기 성남 판고교(114대 권민성) * 8월 21일 재중동포 골든벨(115대 황미홍) * 8월 28일 경기 군포 부곡중앙고(116대 김민철) (현 군포중앙고) * 11월 13일 경기 이천양정여고(117대 조한희)(2명 중 1명 등극) * 2017년 [* 2016년 골든벨 수상자 4명 중 단 한번도 리스트에 나오지 않고 있다.] * 1월 22일 경남 함안고(118대 이익찬) * 4월 23일 강원 홍천고(119대 박우선)(2명 중 1명 등극) * 5월 7일 경기 남양주 청학고(120대 함태원) * 6월 18일 경기 안양고(◇)(121대 윤병희) * 2018년 [* 2018년 골든벨 수상자 1명 중 단 한번도 리스트에 나오지 않고 있다.] * 6월 3일 충남 계룡고(122대 박지호) * 11월 11일 경기 평택여고(123대 이채연) * 11월 18일 충남 청양 정산고(124대 이가온) 초등학생 골든벨 - 5월 5일 어린이 골든벨(경기 고양 오마초)(명예골든벨 황지우 - 6학년) * 2019년 * 3월 10일 대구 운암고(125대 송명) * 6월 9일 서울 용문고(◇)(126대 임도연) == 역대 참가 학교에서 홈페이지의 <역대 참가학교>에 연도의 리스트가 나오지 않은 경우[* 해당 연도별 역대 참가학교 중에서 상,하반기로 구성되어 있다.] == * 1999년(접속 신세대 코너,독립 편성 포함)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방송중)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지역에서 각 지역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 == * [[제주특별자치도]] (2003년 신성여고,남녕고 2학교 참가로 50번 골든벨 문제 2번 탈락) [*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3년 전의 제주지역 참가 이후 단 한번도 등극자가 등극하지 않고 있다.] ==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학교 지역에서 각 성별(남자,여자)가 등극하지 않은 경우 == * [[인천광역시]] [* 인천지역 골든벨 수상자 중 5명이 있었으나 아직 인천지역의 외국어고(2대 박찬혁-영일외고,현 인천외고)에서만 남녀공학에서만 남학생 1명(2대)이 등극하여 남녀공학에서 나오지 않고 있다.] * [[울산광역시]] [* 35대 김승필(울산 무룡고 당시 2학년)이 있었으나 아직 울산지역의 남학교, 여학교 & 남녀공학에서의 여학생은 나오지 않고 있다.] * [[부산광역시]] [* 부산지역 골든벨 수상자 중 6명이 있었으나 아직 부산지역의 남녀공학에서 나오지 않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구 [[충청남도]] [[연기군]]) [* 2008년 7월 20일 68대 정경식(충남 연기군 조치원고 -교명 변경전),2013년 6월 30일 93대 김진욱(팔도최강전 세종특별자치시-2013 왕중왕 등극(☆))이 있었으나 [[세종특별자치시]](구 충남 연기군 포함)이 단독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고 있다.] * [[제주특별자치도]](공식 골든벨 수상자 없음) [*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3년 전의 제주지역 참가 이후 단 한번도 수상자가 없었으나 2003년 제주시 소재(5월 4일 신성여고-김은나(답을 적지 못함),5월 18일 남녕고-변성욱)의 50번 골든벨 문제까지 탈락하면서 아직 아무도 등극한 적이 없다.] * [[대전광역시]] [* 10대 최정은(서대전여고(◎)),83대 서문규~84대 김덕호(이상 대전대신고(◇),2인 동시 등극)이 3명 및 3명이 수상자(2인 동시 등극 포함)가 있었으나 아직 대전지역의 남학교,여학교 外 남녀공학에서는 나오지 않고 있다.] * [[광주광역시]] [* 남자 - 79대,97대 & 여자 - 53대,66대 의 각 남,녀 수상자(여학교,남녀공학)가 있었으나 남학교에서는 나오지 않고 있다.] * [[세종특별자치시]] [* 남자 - 68대 정경식(충남 연기군 조치원고 -교명 변경전),93대 김진욱(팔도최강전 세종특별자치시-2013 왕중왕 등극(☆))(구 충남 연기군 조치원고 이후 교명 변경(세종고)의 같은 학교에서만 2번째 등극)까지 남학생 2명의 수상자가 있었으나 아직 여학교, 남녀공학은 없다.] * [[전라북도]] [* 전라북도 지역은 매년 마다 각 학교에 참가하여 남자(남학생)은 101대 송현서(특집 수학골든벨)가 유일하고 남녀공학 및 남학교의 남학생은 없고 이후 나오지 않고 있다. 여학생은 4대 양선이(익산 이리남성여고),18대 박지영(전주성심여고),100대 김희주(전북여고),109대 이예지(전주중앙여고)까지.] * [[전라남도]] [* 전라남도 지역은 매년 마다 각 학교에 남자(남학생)은 87대 김준희(여수화양고) ,95대 진성일(여수 여남고&2013 추석특집 고향골든벨) 총 2회 ,여자(여학생)은 90대 김수영(여수정보과학고),32대 이정주(영광 해룡고),60대 김연재(순천강남여고),77대 김새롬(순천매산여고),92대 최정서(완도고)가 여학생 5회,총7회의 전남지역이 수상자가 있었으나 아직 남학교에서는 나오지 않았다.] * [[경상북도]] [* 전라남도 지역은 매년 마다 각 남자(남학생)은 56대 윤문열(칠곡 순심고(2학교 이상 참가학교,2006 왕중왕(◇)),65대 이규인(김천고),80대 염동호(포항영신고),82대 김태우(예천 대창고(2011왕중왕☆))이 남학교의 남학생 4명이 수상자가 있었으나 아직 남녀공학 소속 남학생은 나오지 않고 있다.]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한 해에서 남,여학교가 등극하지 않은 경우 ==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한 해에서 남학교가 등극하지 않은 경우(총 3회의 한 해에서 남학교 등극하지 않은 경우 기준) === * 2002년(4회 등극,남학교 0명 없음, 여학교 4명 등극) [* 2001년 9월 21일(경기 구리고 23대 한성식) ~ 동안 1년 11개월 10일 넘게 2002년 기간에는 4명(25대(◎,☆2002왕중왕)~26대,28대,30대)이 여학교이며, 2002년에는 단 한명도 남학생이 남학교가 남학교도 없었다.] * 2016년(1회 등극,남학교 0명 없음, 여학교 1명 등극) [* 2015년 8월 30일(경남 밀양고) ~ 2017년 4월 23일(강원 홍천고 119대 박우선-2명 중 1명 등극) 동안 1년 7개월 25일 넘게 2016년 기간에는 1명(117대-2명 중 1명 등극)이 여학교이며, 2016년에는 단 한명도 남학생이 남학교가 남학교도 없었다.] * 2018년(1회 등극,남학교 0명 없음, 여학교 1명 등극) [* 2017년 4월 23일(강원 홍천고 119대 박우선-2명 중 1명 등극) ~ 동안 1년 11개월 25일 넘게 2018년 기간에는 1명(123대)이 여학교이며, 2018년에는 단 한명도 남학생이 남학교가 남학교도 등극하지 않았으며, 다음 해인 2019년에 남학생이 남학교가 등극하지 않고 있다.]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한 해에서 여학교가 등극하지 않은 경우(총 3회의 한 해에서 여학교 등극하지 않은 경우 기준) === * 2009년(2회 등극,남학교 2명,여학교 0명 없음) [* 2008년 4월 20일(67대) ~ 2010년 3월 21일(76대) 까지 1년 11개월 동안 2009년 기간동안 1명은 모두 남학교이며, 단 한명의 여학교도 없었다.] * 2012년(4회 등극-2인 동시 등극 포함,남학교 4명 등극,여학교 0명 없음) [* 2011년 4월 24일(81대) ~ 2013년 9월 8일(94대) 까지 2년 4개월 14일 동안 2012년 기간동안 4명(83대~84대,2인 동시 등극 포함,85대,88대)은 모두 남학교이며,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다. ] * 2017년(1회 등극,남학교 1명 등극,여학교 0명 없음) [* 2016년 11월 13일(117대-2명 중 1명 등극) ~ 2018년 11월 11일(123대) 까지 2년 간 2017년 기간동안 1명(2명 중 1명 등극)은 모두 남학교이며, 단 한명의 여학교도 없었다.]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한 해에서 남,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 ==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한 해에서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총 1회의 한 해에서 남학생 등극하지 않은 경우 기준) === * 2018년(1회 등극,남학생 0명 없음, 여학생 1명 등극) [* 2017년 6월 18일(경기 안양고(◇,재도전) 121대 윤병희) ~ 2019년 3월 10일(대구 운암고 125대 송명)([[강서은]] 아나운서 여자 새 MC) 까지 1년 9개월 13일 동안 현재까지 2018년 기간에는 3명(122대~124대)이 여학생이며, 2018년에는 단 한명의 남학생도 없었다.]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한 해에서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총 3회의 한 해에서 여학생 등극하지 않은 경우 기준) === * 2009년(4회 등극,남학생 4명,여학생 0명 없음) [* 2008년 9월 21일(70대) ~ 2010년 3월 21일(76대) 까지 1년 7개월 동안 2009년 기간동안 4명은 모두 남학생이며, 2009년에는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다.] * 2012년(7회 등극-2인 동시 등극 포함,남학생 7명 등극,여학생 0명 없음) [* 2011년 4월 24일(81대) ~ 2013년 4월 28일(92대) 까지 2년 간 2012년 기간동안 7명(2인 동시 등극 포함)은 모두 남학생이며, 2012년에는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다. ] * 2017년(4회 등극,남학생 4명 등극,여학생 0명 없음) [* 2016년 11월 13일(117대) ~ 2018년 6월 3일(122대) 까지 1년 7개월 간 2017년 기간동안 4명은 모두 남학생이며, 2017년에는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다.] == 역대 골든벨 실패자에서 한 해에서 남학생,여학생이 실패하지 않은 경우 == === 역대 골든벨 실패자에서 한 해에서 남학생이 실패하지 않은 경우 === * 2014년 남학생 실패 없음(여학생 0명 실패,남학생 0명 없음) === 역대 골든벨 실패자에서 한 해에서 여학생이 실패하지 않은 경우 === * 2012년 여학생 실패 없음(남학생 7명 실패,여학생 0명 없음)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한 해와 한 회에서 각 과학고등학교가 학교체에 참가하여 골든벨에 등극한 경우[* 과학고 중 특집편이 (54대,97대)가 있었으나 아직 과학고에서만 역대 참가학교의 골든벨 수상자에서만 학교체에서만 나오지 않고 있다.][* 과학고 특집편의 <골든벨 수상자>는 해당연도 과학골든벨,과학고 연합 특집,수학골든벨 도 포함된다.] == * 해당연도 - 없음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한 해에서 남,여학생이 등극하지 않고 있는 경우 ==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한 해에서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고 있는 경우 ===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한 해에서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고 있는 경우 === == 역대 골든벨 도전자에서 각 지역이 여자 교장선생님을 출제하지 않은 경우 == * [[대전광역시]] [* 역대 골든벨 도전자 중 대전광역시 지역이 단 한번도 여자 교장선생님이 출제하지 않고 있다.] * [[전라북도]] [* 역대 골든벨 도전자 중 전라북도 지역이 단 한번도 여자 교장선생님이 출제하지 않고 있다.] == 역대 골든벨 수상자의 역대 여자MC 중 10명 이상 기록한 경우[* 역대 여자MC의 12명 중 10명을 기록하였으나 단 한번도 10명 이상의 기록을 했다.] == === 역대 골든벨 명예의전당 등극자의 MC의 아나운서가 남자 MC가 남학교가 참가하지 않고 있는 경우(총 1명 KBS 남자 아나운서의 남학교 미확정 기준) [* 역대 진행자 중 남자MC 의 아나운서에서만 남학교가 역대 참가학교>에 참가하지 않고 있는 경우는 최종 진행한 진행기간 기준이다.] === * [[강성규]] 아나운서[* 2018년 6월 24일 ~ '''현재''' 까지 1년 3개월 넘게 진행 기간동안 단 한 학교의 남학교가 참가하지 않고 있다.] === 역대 골든벨 명예의전당 등극자의 MC의 아나운서가 남자 MC가 남학교가 참가하지 않은 경우(총 1명 KBS 여자 아나운서의 남학교 미확정 기준) [* 역대 진행자 중 여자MC 의 아나운서에서만 남학교가 역대 참가학교>에 참가하지 않은 경우는 최종 진행한 진행기간 기준이다.] === * [[박지원(아나운서)|박지원]] 아나운서 [* 2019년 9월 1일 ~ '''현재''' 까지 1개월 넘게 진행 기간동안 단 한 학교의 남학교가 참가하지 않고 있다.] === 역대 골든벨 명예의전당 등극자의 MC의 아나운서가 남자 MC가 남학교가 참가하지 않은 경우(총 2명 KBS 여자 아나운서의 남학교 무참가 기준) [* 역대 진행자 중 여자MC 의 아나운서에서만 남학교가 역대 참가학교>에 참가하지 않은 경우는 최종 진행한 진행기간 기준이다.] === * [[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 아나운서[* 2018년 10월 7일 ~ 2019년 3월 3일 까지 진행 기간동안 단 한 학교의 남학교도 참가하지 않았다.] * [[강서은]] 아나운서 [* 2019년 3월 10일 ~ 2019년 8월 25일 까지 5개월 18일 까지 진행 기간동안 단 한 학교의 남학교가 참가하지 않았다.] == 역대 참가학교 에서 한 해의 MC의 아나운서가 남자,여자 MC가 남,여학교가 참가하지 않고 있 경우 == ==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서 한 해에서 여학교가 등극하지 않은 경우(총 3회의 한 해에서 여학교 등극하지 않은 경우 기준) == * 2009년(2회 등극,남학교 2명,여학교 0명 없음) [* 2008년 4월 20일(67대) ~ 2010년 3월 21일(76대) 까지 1년 11개월 동안 2009년 기간동안 1명은 모두 남학교이며, 단 한명의 여학교도 없었다.] * 2012년(4회 등극-2인 동시 등극 포함,남학교 4명 등극,여학교 0명 없음) [* 2011년 4월 24일(81대) ~ 2013년 9월 8일(94대) 까지 2년 4개월 14일 동안 2012년 기간동안 4명(83대~84대,2인 동시 등극 포함,85대,88대)은 모두 남학교이며,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다. ] * 2017년(1회 등극,남학교 1명 등극,여학교 0명 없음)[* 2016년 11월 13일(117대-2명 중 1명 등극) ~ 2018년 11월 11일(123대) 까지 2년 간 2017년 기간동안 1명(2명 중 1명 등극)은 모두 남학교이며, 단 한명의 여학교도 없었다.] == 역대 골든벨 명예의전당 등극자의 MC의 아나운서가 남자,여자 MC가 남학생,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 == === 역대 골든벨 명예의전당 등극자의 MC의 아나운서가 남자 MC가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 [* 역대 진행자 중 남자MC 의 아나운서에서만 남학생이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 울리지 않은 경우는 최종 진행한 진행기간 기준이다.] === === 역대 골든벨 명예의전당 등극자의 MC의 아나운서가 여자 MC가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총 1명 KBS 여자 아나운서의 남학생 실패 기준) [* 역대 진행자 중 여자MC 의 아나운서에서만 남학생이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 울리지 않은 경우는 최종 진행한 진행기간 기준이다.] === * [[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 아나운서[* 2018년 10월 7일 ~ 2019년 3월 3일 까지 진행 기간동안 단 한명의 남학생도 없었다. 역대 최단 6개월 미만 진행기간.] === 역대 골든벨 명예의전당 등극자의 MC의 아나운서가 여자 MC가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총 3명 KBS 여자 아나운서의 여학생 실패 기준)[* 역대 진행자 중 여자MC 의 아나운서에서만 여학생이 <역대 골든벨 수상자>에 울리지 않은 경우는 최종 진행한 진행기간 기준이다.] === * [[박은영(아나운서)|박은영]] 아나운서[* 2008년 12월 14일 ~ 2009년 11월 29일까지 진행 기간동안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다.] * [[차다혜]] 前 아나운서[* 2011년 12월 11일 ~ 2012년 9월 30일, 2012년 10월 7일까지 진행 기간동안 단 한 명의 여학생도 없었다.] * [[가애란]] 아나운서[* 2011년 10월 14일 ~ 2012년 12월 16일 까지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았고 실패하지 않았다. [[가애란]] 아나운서가 진행할 때 여학생이 단 한명도 없었다, 역대 최단 기간 진행기간.] == 역대 골든벨 명예의전당 등극자의 MC의 아나운서가 남자,여자 MC가 한 해에서 남학생,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 == === 역대 골든벨 명예의전당 등극자의 MC의 아나운서가 남자 MC가 한 해에서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총 3명 KBS 남자 아나운서 한 해의 남학생 실패 기준) === * [[김홍성]] 아나운서([[2001년]])[* 1999년 1월 8일 ~ 1999년 8월 27일(접속! 신세대 코너), 1999년 9월 3일 ~ 2001년 3월 30일(독립 편성)(첫진행)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이후 다음 해인 2001년 남학생이 단 한명의 남학생은 없었다.] * [[오승원(아나운서)|오승원]] 아나운서([[2018년]])[* 2016년 1월 10일 ~ 2018년 6월 17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6년 한해의 남학생이 2명, 2017년 한해의 남학생이 4명 총 6명이 울렸으나 이후 다음 해인 2018년 남학생이 단 한명의 남학생은 없었다.] * [[강성규]] 아나운서([[2018년]])[* 2018년 6월 24일 ~ '''현재'''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8년 한해의 단 한명의 남학생도 없었으며, 다음 해인 2019년 남학생이 3명 등극하고 있다.(125대~126대,128대,2019년 3월 10일([[강서은]] 여자 아나운서 새MC)~2019년 6월 9일(◇,재도전),2018년 9월 1일)] === 역대 골든벨 명예의전당 등극자의 MC의 아나운서가 남자 MC가 한 해에서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총 4명 KBS 남자 아나운서 한 해의 여학생 실패 기준) === * [[김현욱(방송인)|김현욱]] 前 아나운서([[2011년]])[* 2005년 9월 25일 ~ 2011년 2월 20일(패자부활전에서 남성 MC 물러남)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이후 다음 해인 2011년 여학생이 단 한명의 여학생은 없었다.] * [[김승휘]] 아나운서([[2012년]])[* 2011년 2월 20일(패자부활전에서 남성 MC 교체) ~ 2012년 3월 18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1년 한해의 여학생이 1명 울렸으나 다음 해인 2012년 여학생이 단 한명의 여학생은 없었다.] * [[박태원(아나운서)|박태원]] 아나운서([[2012년]],[[2016년]])[* 2012년 3월 25일 ~ 2016년 1월 3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2년,2016년 한해의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으며, 다음 해인 2013년 여학생이 2명,2014년 3명,2015년 3명이 총 8명이 등극했다.] * [[오승원(아나운서)|오승원]] 아나운서([[2017년]])[* 2016년 1월 10일 ~ 2018년 6월 17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6년 한해의 여학생이 3명, 2018년 한해의 여학생이 1명 총 4명이 울렸으나 이 중에서 이후 2017년 여학생이 단 한명의 여학생은 없었다.] === 역대 골든벨 명예의전당 등극자의 MC의 아나운서가 여자 MC가 한 해에서 남학생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총 6명 KBS 여자 아나운서 한 해의 남학생 실패 기준) === * [[김보민]] 아나운서([[2007년]])[* 2004년 5월 2일 ~ 2007년 5월 20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04년 남학생이 총 2명, 2005년 남학생이 총 5명, 2006년 남학생이 총 5명이 등극했으나다음 해인 2007년 단 한명의 남학생도 없었다.(2004년 - 41대,42대, 2005년 - 44대~45대,49대~51대, 2006년 - 57대 ~ 59대)] * [[박은영(아나운서)|박은영]] 아나운서([[2008년]])[* 2008년 12월 14일 ~ 2009년 11월 29일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다음 해인 2009년 남학생이 총 4명 등극했다..(2009년 - 1월 11일,7월 12일,9월 20일,11월 8일)] * [[정다은(아나운서)|정다은]] 아나운서([[2009년]])[* 2009년 12월 6일 ~ 2011년 12월 4일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09년 한해의 단 한명의 남학생도 없었으나 다음 해인 2010년 남학생이 총 2명, 2011년 남학생이 총 2명 총 4명이 등극했다.(2010년 - 8월 22일,12월 19일,2011년 - 1월 23일,7월 31일(☆-2011 왕중왕))] * [[차다혜]] 아나운서([[2011년]])[* 2011년 12월 11일 ~ 2012년 10월 7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1년 한해의 단 한명의 남학생도 없었으나 다음 해인 2012년 남학생이 총 6명 등극했다.(2012년 2인 동시 등극 포함(83대~84대)(83대~88대,2012년-1월 15일(2인 동시 등극),1월 29일~2월 5일,9월 9일~9월 16일)] *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아나운서([[2018년]])[* 2017년 6월 4일 ~ 2018년 9월 30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7년 6월 18일 한해의 남학생이 1명 울렸으나 다음 해인 2018년 단 한명의 남학생은 없었다.] * [[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 아나운서([[2018년]],[[2019년]])[* 2018년 10월 7일 ~ 2019년 3월 3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8년 한해의 단 한명이 남학생도 없었으나 다음 해인 2019년 단 한명의 남학생은 없었다. 역대 최단 6개월 미만 진행기간.] === 역대 골든벨 명예의전당 등극자의 MC의 아나운서가 여자 MC가 한 해에서 여학생이 등극하지 않은 경우(총 10명 KBS 여자 아나운서 한 해의 여학생 실패 기준) === * [[최원정]] 아나운서([[2004년]])[* 2001년 5월 25일(KBS 2TV) ~ 2004년 5월 2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01년 한해의 여학생이 2명, 다음 해인 2002년 한해의 여학생이 4명, 2003년 한해의 여학생이 3명이 울렸으나 다음 해인 2004년 단 한명의 여학생은 없었다.] * [[오정연]] 前 아나운서([[2007년]])[* 2007년 5월 27일 ~ 2008년 12월 7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07년 한해의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으나 다음 해인 2008년 여학생이 4명 등극했다.(66대~67대,69대~70대,2008년 - 2월 17일,4월 19일,8월 24일,9월 21일)] * [[박은영(아나운서)|박은영]] 아나운서([[2008년]],[[2009년]]) [* 2008년 12월 14일 ~ 2009년 11월 29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08년 한해의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으나 다음 해인 2009년 한해의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다.(2009년 여학생 등극 없음)] * [[정다은(아나운서)|정다은]] 아나운서([[2009년]])[* 2009년 12월 6일 ~ 2011년 12월 4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09년 한해의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으나 다음 해인 2010년 여학생이 2명, 2011년 1명이 총 3회 등극했다. (76대~77대,81대,2010년 - 3월 21일,4월18일,2011년 - 4월 24일)] * [[차다혜]] 前 아나운서([[2011년]],[[2012년]])[* 2011년 12월 11일 ~ 2012년 10월 7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1년 한해의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으나 다음 해인 2012년 한해의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다.(2012년 여학생 등극 없음)] * [[가애란]] 아나운서([[2012년]])[* 2012년 10월 14일 ~ 2012년 12월 16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2년 한해의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다. 역대 최단 기간 진행 기간(2012년 여학생 등극 없음)] * [[전주리]] 아나운서([[2013년]])[* 2013년 11월 3일 ~ 2015년 3월 29일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3년 한해의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으나 다음 해인 2014년 여학생이 3명 등극했다.(참고 - 2015년 107대 등극,3월 29일)(98대~'''100대(금자탑)''',2014년 - 1월 5일,3월 23일,7월 13일] * [[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 아나운서([[2017년]])[* 2015년 4월 5일 ~ 2017년 5월 28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5년 한해의 여학생 3명, 2016년 한해의 여학생이 3명이 2년 연속 3회 여학생이 등극하였으나 다음 해인 2017년 한해의 단 한명의 여학생은 없었다.] *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아나운서([[2017년]])[* 2017년 6월 4일 ~ 2018년 9월 30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7년 한해의 단 한명의 여학생도 없었으나 다음 해인 2018년 여학생이 1명 등극했다.(122대,2018년 6월 3일)] * [[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 아나운서([[2019년]])[* 2018년 10월 7일 ~ 2019년 3월 3일 까지 진행 기간 중에서 2018년 한해의 여학생이 2명(123대~124대) 울렸으나 다음 해인 2019년 여학생이 단 한명의 여학생은 없었다. 역대 최단 6개월 미만 진행기간.] * [[박지원(아나운서)|박지원]] 아나운서([[2019년]])[* 2019년 9월 1일 ~ '''현재'' 까지 진행하는 기간 중에서 2019년 한해의 여학생이 1명(127대)(여자MC [[강서은]] 아나운서 진행 당시 이후 울림) 이후 2019년 여학생이 단 한명의 등극하지 않고 있다.] == 역대 [[도전 골든벨]] MC(KBS 아나운서에서만 MC로 진행)에서 성씨 중 성별을 진행하지 않은 경우 == * 남성 [* 역대 진행자 중 아나운서의 이씨 남성이 진행하지 않고 있다.] == 역대 [[도전 골든벨]] 진행자(KBS 아나운서들만 MC로 진행)에서 성별(남성,여성)의 역대 진행자수가 많은 경우 == * 여성 - [[손미나]],[[최원정]],[[김보민]],[[오정연]],[[박은영(아나운서)|박은영]],[[정다은(아나운서)|정다은]],[[차다혜]],[[가애란]],[[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전주리]],[[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강서은]] - 13명 * 남성 - [[김홍성]],[[윤인구(아나운서)|윤인구]],[[김현욱(방송인)|김현욱]],[[김승휘]],[[박태원(아나운서)|박태원]],[[오승원(아나운서)|오승원]],[[강성규]] - 7명 == 역대 [[도전 골든벨]] 진행자들이 마지막 MC의 작별인사를 하지 않은 경우 == * [[차다혜]] 前 아나운서([[2012년]] [[10월 7일]] 641회 한국 - 중국 수교 20주년 기념 베이징 골든벨 최종문제:50번 탈락(1팀)(이용인( 학년,7번)-천진진(베이징대학교 무용과 학년,8번 1팀)) [* [[2012년]] [[10월 7일]] 641회 한국 - 중국 수교 20주년 기념 베이징 골든벨 최종문제:50번 탈락(1팀)(이용인( 학년,7번)-천진진(베이징대학교 무용과 학년,8번 1팀)이 [[차다혜]] 아나운서의 마지막 방송인데도 작별인사를 하지 않았다.] * [[가애란]] 아나운서 ([[2012년]] [[12월 23일]] 652회 2012 왕중왕전 2012 왕중왕전 김양원(최후의 2인 충남외고 중국어과 졸업생,47번), 2012 준왕중왕 이영남(전남 화순 능주고 3학년,팔도최강,80번)) [* ([[2012년]] [[12월 23일]] 652회 2012 왕중왕전 2012 왕중왕전 김양원(최후의 2인 충남외고 중국어과 졸업생,47번) , 2012 준왕중왕 이영남(전남 화순 능주고 3학년,팔도최강,80번)이 [[가애란]] 아나운서의 마지막 방송인데도 작별인사를 하지 않았다.] * [[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 아나운서 ([[2013년]] [[10월 27일]] 694회 서울 경기기계공업고 - 최종문제:49번) [* ([[2013년]] [[10월 27일]] 694회 서울 경기기계공업고 - 최종문제:49번)의 [[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 아나운서의 마지막 방송인데도 작별인사를 하지 않았다.] == 역대 [[도전 골든벨]] 진행자 중 MC가 새MC일때 멘트의 이름을 부르지 않은 경우 == 남성 * [[김승휘]] 아나운서[* 2011년 2월 20일 [[김현욱]]의 패자부활전에서 물러나고, 패자부활전에서 교체하여 새 남자일때 이름을 부른 적이 없었다.] 여성 * [[김보민]] 아나운서[* 2004년 5월 9일 ~ 2007년 5월 20일까지 진행 기간동안 새 여자 MC일때 이름을 부른 적이 없었다.] * [[오정연]] 前 아나운서[* 2007년 5월 20일 ~ 2008년 12월 7일까지 진행 기간동안 새 여자 MC일때 이름을 부른 적이 없었다.] * [[정지원(아나운서)|정지원]] 아나운서[* 2013년 1월 6일 ~ 2013년 10월 27일까지 진행 기간동안 새 여자 MC일때 이름을 부른 적이 없었다.] * [[김지원(아나운서)|김지원]] 아나운서[* 2015년 4월 5일 ~ 2017년 5월 28일까지 진행 기간동안 새 여자 MC일때 이름을 부른 적이 없었다.] * [[강서은]] 아나운서[* 2019년 3월 10일 ~ 부터 진행 기간 동안 새 여자 MC일때 이름을 부른 적이 없었다.] == 역대 [[도전 골든벨]] 진행자 중 MC가 대신 임시MC로 진행한 경우 == 남성 * [[신영일(방송인)|신영일]] 前 아나운서[* 2000년 4월 14일 수원 동원고등학교, 2000년 4월 21일 명일여자고등학교 방송분에서는 2주 연속으로 건강 문제로 인해 불참하면서 [[신영일]] 前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을 했다.] * [[한상권]] 아나운서[* [[오승원(아나운서)|오승원]] 아나운서의 [[2017년 KBS 총파업]]으로 인해 9월 10일까지 방송 후 출연을 중단한 2017년 10월 8일 방송분은 오승원 아나운서 대신 남성 한상권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기도 했다.] * [[박태원(아나운서)|박태원]] 아나운서[* 2019년 5월 5일 어린이날 특집 부산 해원초(최종문제:27번 통과,3문제 중 2문제 통과) 편의 방송분은 [[강성규]] 아나운서의 사정으로 인하여 대신 남자MC로 진행했던 [[박태원(아나운서)|박태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했으나 2012년 3월 25일 ~ 2016년 1월 3일 까지 남자MC로 진행했다.] 여성 * [[신성원]] 아나운서[* 1999년 [[손미나]] 前 아나운서의 노조 파업으로 인해 서울 [[신일고등학교]] 편에서는 [[신성원]]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기도 했다.] * [[김성은(아나운서)|김성은]] 아나운서[* [[박소현(아나운서)|박소현]] 아나운서의 [[2017년 KBS 총파업]]으로 인해 9월 10일까지 방송 후 출연을 중단한 상황의 2017년 10월 8일 제3회 한글날 특집 편 방송분은 박소현 아나운서 대신 여성 [[김성은(아나운서)|김성은]]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하기도 했다.] * [[박지원(아나운서)|박지원]] 아나운서('''현재 여자MC 진행중''')[* 2019년 1월 13일 경북 상주여고(최종문제:49번) 편의 방송분은 [[이혜성(아나운서)|이혜성]] 아나운서의 해외 출장으로 인하여 대신 [[박지원(아나운서)|박지원]] 아나운서('''현재 여자MC 진행중''')가 대신 진행했다.] [[분류:도전 골든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