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도전 골든벨]] [include(틀:스포일러)] >현재 방송되지 않은 분량의 결과를 원치 않게 누설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이 틀을 달아둡니다. 또한 향후 방송 진행에 따라 미방영분의 진행 결과가 적혀있는 단락에서는 반드시 [[틀:스포일러]]를 달아두시기 바랍니다. [include(틀:도전 골든벨 방영 목록)] [목차] == 설명 == * 이 프로그램은 연말마다 해당 연도 출연 학교(첫 도전/재도전/3번 이상 및 특집 편) 중 골든벨 수상자 및 골든벨 실패자, 최후의 1 ~ 4인 총 100명이 출전하여 왕중왕전을 벌이며, 50문제를 모두 푸는 방식이 아닌 문제수와 관계없이 최후의 1인이 탄생할 때까지 서바이벌 방식으로 진행한다. * 연말마다 골든벨을 울린 학생과 해당 연도 출연 학교 중 최후의 1 ~ 4인과 그 외의 학생 총 100명이 출전하여 왕중왕전을 벌이며, 50문제를 모두 푸는 방식이 아닌 문젯수와 관계 없이 최후의 1인이 탄생할 때까지 서바이벌 방식으로 진행한다.(남은 도전자들이 모두 탈락하더라도, 탈락 없이 승부가 날 때까지 진행한다.) * 2001년 유일하게 연말에 왕중왕전을 치르지 않은 해이며, 100회 특집 왕중왕전으로 대체되었다. * 1999년과 2000년도에는 상반기, 하반기, 2001년에는 100회 특집으로 진행했으며, 2002년부터는 연말에 왕중왕전을 진행하고 있다. * 2014년, 2016년에는 1, 2부로 나누어서 진행하였다. * 2017년에는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방송되지 않아 진행하지 않았다. * 홈페이지의 이전다시보기( ~ 2015.06.21) 메뉴의 ( ~ [[2015년]] [[6월 21일]] 이전까지) 이후 [[2015년]] [[6월 28일]]부터 다시보기가 가능하다. * 홈페이지의 이전다시보기( ~ 2015.06.21) 메뉴의 2000년 3월 31일부터 2001년 10월 26일 KBS 2TV에서 방영되어 다시보기가 뜨지 않은 이후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이다. * 홈페이지의 역대 참가학교 메뉴는 (2009년 이전의 1999년 ~ 2008년)까지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이다. * 홈페이지의 역대 참가학교 메뉴는 ([[2012년]] [[12월 23일]] 이후 [[2013년]] [[1월 6일]] ~ )부터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이다. * 홈페이지의 역대 참가학교 메뉴는 (2009년 ~ 2010년)까지 리스트가 기록된 상태이다. * 홈페이지의 미리보기의 메뉴는 (2013년 4월 7일 ~ , 전북 전주 전라고)부터 미리보기가 가능하다. * 홈페이지의 다시보기의 메뉴는 (2015년 6월 28일 ~ , 경기 여주 점동고)부터 다시보기가 가능하다. * 홈페이지의 다시보기의 메뉴는 (2015년 6월 28일 ~ , 경기 여주 점동고)부터 예고가 가능하다. * KBS 포토뱅크 홈페이지의 [[2012년]] [[11월 4일]] 이전까지 이후 [[2012년]] [[11월 11일]]부터 촬영되지 않은 상태이다. ||<:><#FFC0CB> 첫 도전 학교 등극자 왕중왕(◎) ||<:><#A6E657> 2번 이상 재도전 학교 등극자 왕중왕(◇) ||<:><#E0FFFF> 3번 이상 재도전 학교 등극자 왕중왕(◆) ||<:><#FFD700> 골든벨 왕중왕 등극자(☆) ||<:><#98FB98> 골든벨 준왕중왕 준우승자(★) ||<:><#0000ff><:> {{{#ffffff 골든벨 출신 학교 최후의 1인 왕중왕/준왕중왕(▣)}}} ||<:><#40E0D0> 골든벨 출신 학교 최후의 2 ~ 4인 왕중왕/준왕중왕 ||<:><#959595> {{{#FFFFFF 골든벨 실패 왕중왕/준왕중왕}}} ||<:><#000080> {{{#FFFFFF 골든벨 각 학교의 참가자}}} || == 역대 왕중왕 도전자 == * 현재까지 왕중왕전은 총 21번 열렸으며, 골든벨 수상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85명, 골든벨 실패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72명, 최후의 1 ~ 4인 출신이 도전한 경우는 0명(최후의 1인 출신 - 0명, 최후의 2인 출신 - 0명, 최후의 3인 출신 - 0명, 최후의 4인 - 0명) - (40번 탈락 - 0명, 46번 탈락 - 0명, 47번 탈락 - 0명, 48번 탈락 - 0명, 49번 탈락 - 0명), 그 외 전체 100명 중 도전자의 학생(출연 학교 중 아닌 경우에 참가한 학생)이 도전한 경우는 총 명 이다. * 2017년 왕중왕전의 왕중왕 등극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방송되지 않아 왕중왕에 등극하지 않았다. === 2003년 === * 골든벨 수상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5명, 골든벨 실패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3명(제주지역 1명), 최후의 1 ~ 4인 출신이 도전한 경우는 8명(최후의 1인 출신 - 15명, 최후의 2인 출신 - 1명, 최후의 3인 출신 - 1명, 최후의 4인 - 1명) - (32번 탈락 - 1명, 40번 탈락 - 0명, 44번 탈락 - 2명, 45번 탈락 - 3명, 46번 탈락 - 1명, 47번 탈락 - 7명, 48번 탈락 - 2명, 49번 탈락 - 2명), 그 외 전체 100명 중 도전자의 학생(출연 학교 중 아닌 경우에 참가한 학생)이 도전한 경우는 총 17명 이다. * 31대에 등극한 학생은 2003년 왕중왕전에 불참했다. === 2004년 === * 골든벨 수상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6명, 골든벨 실패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1명, 최후의 1 ~ 4인 출신이 도전한 경우는 11명(최후의 1인 출신 - 10명, 최후의 2인 출신 - 0명, 최후의 3인 출신 - 1명, 최후의 4인 - 0명) - (42명 탈락 - 1명, 46번 탈락 - 2명, 47번 탈락 - 1명, 48번 탈락 - 2명, 49번 탈락 - 4명 ), 그 외 전체 100명 중 도전자의 학생(출연 학교 중 아닌 경우에 참가한 학생)이 도전한 경우는 총 0명 이다. === 2005년 === * 골든벨 수상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7명(2명 동시 등극으로 2명 동시 참가), 골든벨 실패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4명, 최후의 1 ~ 4인 출신이 도전한 경우는 0명(최후의 1인 출신 - 10명, 최후의 2인 출신 - 0명, 최후의 3인 출신 - 0명, 최후의 4인 - 5명) - (38번 탈락 - 1명, 42명 탈락 - 0명, 46번 탈락 - 0명, 47번 탈락 - 1명, 48번 탈락 - 3명, 49번 탈락 - 6명 ), 그 외 전체 100명 중 도전자의 학생(출연 학교 중 아닌 경우에 참가한 학생)이 도전한 경우는 총 0명 이다. * 52대에 등극(300회 특집 독서골든벨 특집편)한 학생은 2005년 왕중왕전에 불참했다. === 2006년 === * 골든벨 수상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6명(도전자 2명 중 1명 등극으로 참가), 골든벨 실패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12명, 최후의 1 ~ 4인 출신이 도전한 경우는 0명(최후의 1인 출신 - 15명, 최후의 2인 출신 - 2명, 최후의 3인 출신 - 4명, 최후의 4인 - 7명) - (38번 탈락 - 0명, 42명 탈락 - 0명, 46번 탈락 - 0명, 47번 탈락 - 0명, 48번 탈락 - 0명, 49번 탈락 - 0명 ), 그 외 전체 100명 중 도전자의 학생(출연 학교 중 아닌 경우에 참가한 학생)이 도전한 경우는 총 0명 이다. === 2017년 === * 2017년에는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방송되지 않아 진행하지 않았다. === 2018년 === * 골든벨 수상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2명 중 2017년 ~ 2018년 2년 연속 각 1명, 골든벨 실패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3명, 최후의 1 ~ 4인 출신이 도전한 경우는 0명(최후의 1인 출신 - 11명, 최후의 2인 출신 - 0명, 최후의 3인 출신 - 4명, 최후의 4인 - 2명) - (38번 탈락 - 0명, 42명 탈락 - 0명, 46번 탈락 - 0명, 47번 탈락 - 0명, 48번 탈락 - 0명, 49번 탈락 - 0명 ), 그 외 전체 100명 중 도전자의 학생(출연 학교 중 아닌 경우에 참가한 학생)이 도전한 경우는 총 0명 이다. * 2017 골든벨 수상자 4명 중 1명이 2017년 120대에 2018년 왕중왕전에 참가했다. * 908회 8월 5일 방송분의 경기 안양 근명여자정보고(현 근명고)의 최후의 1인 이유민(당시 2학년) 학생(최종문제:45번) 은 동일범죄 낙퇴죄의 화이트 보드 모자이크 사건으로 인하여 동일범죄 낙퇴죄 사건으로 인하여 유일하게 2018년 왕중왕전 에서만 불참했다. === 2019년 === * 골든벨 수상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4명, 골든벨 실패자가 도전한 경우는 총 4명, 최후의 1 ~ 4인 출신이 도전한 경우는 0명(최후의 1인 출신 - 10명, 최후의 2인 출신 - 0명, 최후의 3인 출신 - 6명, 최후의 4인 - 1명) - (32번 탈락 - 1명, 38번 탈락 - 0명, 42명 탈락 - 0명, 46번 탈락 - 0명, 47번 탈락 - 0명, 48번 탈락 - 1명, 49번 탈락 - 3명 ), 그 외 전체 100명 중 도전자의 학생(출연 학교 중 아닌 경우에 참가한 학생)이 도전한 경우는 총 0명 이다. (1월 6일 ~ 5월 19일 이후 미확정) === 2020년 === == 역대 왕중왕 등극자 == * 현재까지 왕중왕전은 총 21번 열렸으며, 골든벨 수상자가 우승한 경우는 총 9명, 골든벨 실패자가 우승한 경우는 총 2명, 최후의 1 ~ 4인 출신이 우승한 경우는 8명(최후의 1인 출신 - 6명, 최후의 2인 출신 - 2명, 최후의 3인 출신 - 1명, 최후의 4인 - 0명 이 중에서 최후의 4인에서만 0명 없음) - (40번 탈락 - 1명, 46번 탈락 - 없음, 47번 탈락 - 2명, 48번 탈락 - 1명, 49번 탈락 - 3명), 그 외 전체 100명 중 도전자의 학생(출연 학교 중 아닌 경우에 참가한 학생)이 우승한 경우는 총 3명 뿐이다. * 2009년도 왕중왕전에서는 왕중왕에게 100만원 장학금이 수여되었으며, 보너스 3문제를 통해(100, 200, 300만원) 최대 700만원까지 획득할 수 있었다.(글로벌 코리아 문제도 출제되었으며, 최후의 1인은 3문제를 모두 맞혀 상금 전액을 획득했다.) * 현재까지 여학생이 왕중왕에 등극한 경우는 현재까지 단 5명 뿐이다.(여학생 골든벨 수상자가 마지막으로 왕중왕에 등극한 경우는 2015년) * 2017년 왕중왕전의 왕중왕 등극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방송되지 않아 왕중왕에 등극하지 않았다. || 연도 ||<:> 회차 ||<:> 방송일 ||<:><#FFD700> 왕중왕 ||<:> 출신 학교 ||<:> 최종문제(번) ||<:> 비고 || ||<|2> 1999 || 33(접속! 신세대 42) [br] 1999 하반기 왕중왕전 || [[8월 20일]] ||<:><#000080> {{{#FFFFFF 김용범(3학년, 6회(접속! 신세대 15회) 출연)(◎)}}} ||<#FFC0CB> [[신성고등학교|경기 안양 신성고등학교]](◎) || 49번 || [*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 방영][* 1999년 하반기 왕중왕전][* 역대 최초로 왕중왕 가운데서 최후의 1 ~ 4인과 골든벨 출신이 아닌 경우이다.][* 첫 도전 학교가 출연한 김용범(당시 2학년) 학생이 첫 도전 학교 왕중왕 최초로 배출(3학년에서 왕중왕 등극)] || || 1999 왕중왕 특집 || [[12월 31일]] ||<:><#0000ff> {{{#ffffff 윤종훈(2학년, 최후의 1인, 49번 탈락)(접속! 신세대 25회) 출연)}}} || [[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 ??번 || [* 1999년 연말 특집 왕중왕전][* KBS 2TV에서 저녁 6시 45분에서 8시까지 1시간 15분 동안 방영되었다.][* [[1999년]] 연말 특집 왕중왕전 축하공연은 그룹 [[S#ARP]]이 무대를 펼쳤다.][* 독립 편성에서 방송된 1999년 연말 특집 왕중왕전의 최종 왕중왕 문제 미확정] || ||<|2> 2000 || 상반기 왕중왕 특집 || [[8월 18일]] ||<:><#FFD700> 이창순(3학년, '''{{{#green 15대 골든벨}}}''')(☆, 상반기) ||<#FFC0CB> [[이천고등학교|경기 이천고등학교]](◎) || 52번 || [* 마지막 왕중왕 52번 문제에서 이창순(15대 골든벨, 경기 이천고(◎) 3학년) 학생이 쿼바디스(Quo Vadis) 로 2000 특집 왕중왕(전반기) 등극][* 2000 상반기 왕중왕전(전반기)] || || 하반기 왕중왕 특집 || [[12월 29일]] ||<:><#FFD700> 권보원(2학년, '''{{{#green 13대 골든벨}}}''')(☆, 하반기) || [[경북고등학교|대구 경북고등학교]] || 63번 || [* 마지막 왕중왕 63번 문제에서 권보원(13대 골든벨, 대구 경북고 2학년) 학생이 "국제사면위원회(Amnesty International)"로 2000 특집 왕중왕(하반기) 등극][* 2000 하반기 왕중왕전, 63번 문제에서 우승][* [[KBS 2TV]]에서 저녁 6시에서 7시 30분까지 1시간 30분 동안 방영되었다.] || || 2001 || 100(왕중왕 특집) || [[8월 31일]] ||<:><#FFD700> 박장미(3학년, '''{{{#green 17대 골든벨}}}''')(☆) || [[진명여자고등학교|서울 진명여자고등학교]] || 39번 || [* 유일하게 연말에 왕중왕전을 치르지 않은 해이며, 2001 왕중왕전은 100회 특집 왕중왕전으로 대체되었다.][* 2001 왕중왕전은 100회 특집 왕중왕전으로 대체][* 39번 문제에서 "인상주의의 아버지라 불리며 "풀밭 위의 점심" "올랭피아" 등을 그린 화가의 이름"을 적는 문제였다.][* 정답은 "에두아르 마네"로 2001 왕중왕 등극][* KBS 2TV에서 저녁 6시 30분에서 7시 30분까지 1시간 동안 방영되었다.] || || 2002 || 2002 왕중왕 특집 || [[12월 29일]] ||<:><#FFD700> 유은영(졸업생, '''{{{#green 25대 골든벨}}}''')(☆) ||<#FFC0CB> [[춘천여자고등학교|강원 춘천여자고등학교]](◎) || 48번 || [* 25대에 등극하여 이미 졸업한 상태에서 2002 왕중왕에 등극했다.][* [[KBS 1TV]]에서 저녁 6시 40분에서 8시까지 1시간 20분 동안 방송되었다.][* 유은영(25대 골든벨, 강원 춘천여고 졸업생)이 왕중왕 문제 48번 지구과학 분야 문제의 정답은 "델린저 현상(Dellinger phenmena)"으로 2002 왕중왕 등극] || || 2003 || 205(왕중왕 특집) || [[12월 28일]] ||<:><#0000ff> {{{#ffffff 박진홍(졸업생, 최후의 1인, 47번 탈락)}}} || [[문창고등학교|경북 문경 문창고등학교]] || 53번 || [* 2003 왕중왕전의 왕중왕 문제 53번의 정답은 "러다이트운동(Luddite Movement)"][* 이미 졸업한 상태에서 2003 왕중왕에 등극했다.][* 2003 왕중왕전은 [[KBS 1TV]]에서 저녁 7시 10분에서 8시까지 50분 동안 방송되었다.] || || 2004 || 255(왕중왕 특집) || [[12월 26일]] ||<:><#FFD700> 박진(3학년, '''{{{#green 37대 골든벨}}}''')(☆) || [[춘천고등학교|강원 춘천고등학교]] || 63번 || [* 2004 왕중왕전은 [[KBS 1TV]]에서 저녁 6시 50분에서 8시까지 1시간 20분 동안 방영되었다.][* 왕중왕 문제 49번 국사 분야 문제의 정답은 "무오사화, 갑자사회, 기묘사회, 을사사화"로 박진(강원 춘천고 3학년)(☆) 군 학생이 2004 왕중왕 등극][* 3년 4개월 만에 명예의 전당 등극자가 왕중왕에 등극][* 900회 특집 - 역대 골든벨 최강자전 우승(1 ~ 2부 포함)] || || 2005[* 2005년 왕중왕전은 서바이벌 방식으로 도전하는데 2명이 도전할때 모두 답을 맞히지 못했기 때문에 다음 문제로 넘어가게 된다.] || 304(왕중왕 특집) || [[12월 25일]] ||<:><#959595> {{{#FFFFFF 이묘진(3학년,최후의 1인,50번 골든벨 문제 실패)}}} || [[과천여자고등학교|경기 과천여자고등학교]] || 48번[* 분야:미술+인물] || [* 2005 왕중왕전은 [[KBS 1TV]]에서 저녁 7시에서 8시까지 1시간에 방영되었다.][* 2005년 왕중왕에 등극한 이묘진(경기 과천여고 3학년,50번 골든벨 문제 실패)의 출신 학교의 학년 미표기][* 왕중왕 문제 48번 (분야:미술+인물) (난이도:★★★★★)에서 이묘진(경기 과천여고 3학년,50번 골든벨 문제 실패)의 적은 답은 피카소,게르니카(O로 2005년 왕중왕 등극][* 50번 골든벨 문제에 실패하여 2005 왕중왕전 우승][* 역대 왕중왕 가운데 50번 골든벨 문제에 실패한 이묘진([[과천여자고등학교|경기 과천여자고등학교]] 3학년)이 등극한 경우이다.] || || 2006 || 355(왕중왕 특집) || [[12월 31일]] ||<:><#FFD700> 윤문열(1학년,'''{{{#green 56대 골든벨,최후의 2인,2명 중 1명 등극}}}''')(☆) || [[순심고등학교|경북 칠곡 순심고등학교]] || 50번 || [* 2006년 왕중왕전에서 윤문열 학생이 칠곡군 지역 미표기][* 경북 칠곡 왜관 순심고&순심여고 연합 2개 이상 학교가 출연하여 2명 중 1명에 등극한 56대 골든벨에 등극(2명 중 1명 중 등극함) - 윤문열(1학년,56대 골든벨-최후의 2인)][* 윤문열(56대 골든벨,경북 칠곡 순심고 1학년)이 적은 답은 "문화다양성 협약"으로 2006 왕중왕 등극] || || 2007 || 405(왕중왕 특집) || [[12월 30일]] ||<:><#000080> {{{#FFFFFF 최승범(3학년,357회 출연,31번 탈락)}}} || [[삼괴고등학교|경기 화성 삼괴고등학교]] || 40번 || [* 최승범(357회 참가,경기 화성 삼괴고등학교 3학년)군 학생이 적은 답은 "아웅 산 수 지(Aung San Suu Kyi)"로 2007년 왕중왕 등극][* 역대 2번째로 왕중왕 가운데서 최후의 1~4인과 골든벨 출신이 아닌 경우이다. 그리고 2015년 6월 28일에 방영한 경기 여주 점동고등학교 편에서 KBS 제42기 신입 PD로 입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그때 101번을 달고 임시로(?) 문제를 풀고 있었다.)] || || 2008 || 456(왕중왕 특집) || [[12월 28일]] ||<:><#40E0D0> 김혜정(2학년,최후의 2인,40번 탈락) || [[석정여자고등학교|인천 석정여자고등학교]] || 42번 || [* [[12월 23일]] [[숙명여자대학교]] 대강당에서 왕중왕을 선발하기 위해 100명의 2008년 참가한 출신 학교의 학생이 도전함][* 2008 왕중왕전의 최후의 3인 모두 참가한 출신 학교의 여학생][* 2008 왕중왕전의 녹화시간 10시간에걸친 대승부][* 역대 왕중왕전 가운데 최후의 2인은 김혜정(2학년)인데 최후의 1인은 박수진(1학년)이다.][* 마지막 왕중왕 42번 문제로 김연아 선수의 경기곡목인 '죽음의 무도'를 맞처 2008 왕중왕 등극] [* 김혜정(2학년,최후의 2인) 학생은 2008 왕중왕전에서 우승한 결과로 장학금과 노트북, 해외역사탐방 기회 등을 획득] || || 2009 || 507(왕중왕 특집) || [[12월 27일]] ||<:><#000080> {{{#FFFFFF 이종선(2학년,500회 특집 전국 고교 최강전 참가)}}} || [[경신고등학교(대구)|대구 경신고등학교]] || 49번 [br] 보너스 문제 || [* 이때는 우승자에게 100만 원의 장학금이 주어졌으며, 보너스 3문제(각각 100, 200, 300만 원)를 통해 최대 700만 원까지 가져갈 수 있었다.][* 100만원의 장학금을 획득한 최후의 1인 이종선(대구 경신고,500회 특집 전국 고교 최강전 참가) 확정][* 1문제 도전 성공(상금 100만원 추가),2문제 도전 성공(상금 200만원 추가),3문제 도전 성공(300만원 추가)][* 윤도련? - 2009 왕중왕 이종선(대구 경신고)의 어머니][* 이종선(대구 경신고 2학년,500회 특집 전국 고교 최강전 참가)이 적은 답은 보너스 문제에서 1. 리스본 조약 2. 포르말린 3. 케플러로 보너스 세 문제 모두 성공과 상금 700원과 노트북 획득!!] [* 역대 4번째로 왕중왕전의 명예의 전당(2009년 4명) 도전자 전원 탈락][* 보너스 1번 문제에서 글로벌 코리아 문제 출제 - 정답 리스본 조약][* 1문제 도전 성공 누적상금 총 200만원][* 2문제 도전 성공 누적상금 총 400만원][* 3문제 도전 성공 누적상금 총 700만원 획득] [* 역대 3번째로 왕중왕 가운데서 최후의 1~4인과 골든벨 출신이 아닌 경우이다. 그리고 2009년 11월 8일에 방송되어 기준으로 500회 특집에 참가했던 이종선([[경신고등학교(대구)|대구 경신고등학교]] 2학년) 학생이 전국고교최강전에서 참가했다.] || || 2010 || 554(왕중왕 특집) || [[12월 26일]] ||<:><#0000ff> {{{#ffffff 김영도(3학년,최후의 1인,49번 탈락)}}} || [[모계고등학교|경북 청도 모계고등학교]] || 47번 || [* 2010 왕중왕에 등극한 김영도(최후의 1인,49번 탈락,경북 청도 [[모계고등학교]] 3학년)는 답을 적은 '브레인 스토밍'으로 맞춰 정답으로 2010 왕중왕에 등극했다.][* 2010년 왕중왕전은 녹화시간 10시간을 넘어 마침내 탄생한 2010 왕중왕에 등극한 김영도(경북 청도 모계고,최후의 1인,49번 탈락)][* 2005~2010년의 6년간 왕중왕전은 KBS 1TV에서 저녁 7시에서 8시까지 1시간에 방송되었다.] || || 2011 || 604(왕중왕 특집) || [[12월 25일]] ||<:><#FFD700> 김태우(3학년,'''{{{#green 82대 골든벨}}}''')(☆) || [[대창고등학교|경북 예천 대창고등학교]] || 39번 || [* 2011 왕중왕전은 KBS 1TV에서 저녁 7시 10분부터 8시까지 50분 동안 방영되었다.][* 6년 만에 명예의 전당 등극자가 왕중왕에 등극][* 경북지역 2년 연속 왕중왕 등극][* 2011 왕중왕에 등극한 김태우(82대 골든벨,경북 예천 [[대창고등학교]] 3학년)는 답을 적은 '루비콘 강'이라고 맞춰 정답으로 2011 왕중왕에 등극했다.] || || 2012 || 652(왕중왕 특집) || [[12월 23일]] ||<:><#959595> {{{#FFFFFF 김양원(중국어과 졸업생,최후의 2인,50번 골든벨 문제 실패,2명 중 1명 등극 실패,47번)}}} || [[충남외국어고등학교]] || 46번[* 2012 왕중왕전 서바이벌 방식으로 43번 이후 이후 최후의 2인이 틀려 다음 44번 문제로 넘어갔다.] || [* 2012 왕중왕전은 한 주 앞당겨 방송됨][* 김양원의 답은 버킷 리스트(o)로 2012 왕중왕 김양원 탄생][* 이미 졸업한 상태에서 2012 왕중왕에 등극했다.][* 역대 2번째 왕중왕 가운데서 (최후의 2인, 김양원(중국어과 3학년 이후 졸업생) 오답자)의 저주'와 '마의 87대'라고 불려졌으며 방송에서는 해당 말이 나오지 않았다.][* 2012 왕중왕전은 1주 앞당겨 방송 연말 1주 앞당겨 2012 왕중왕전 방송후 다음주 [[12월 30일]] 결방] [* [[가애란]] 아나운서 마지막 여자 MC][* 역대 최단기간 여성 진행자.][* 2012년 12월 23일 2012년 왕중왕전에서 마지막 MC [[가애란]] 아나운서의 교체를 전혀 공지하지 않았다.][* 송년특집《희망을 그리는 학교》 방송 관계로 1주 후 내년 연기] || || 2013 || 703(왕중왕 특집) || [[12월 29일]] ||<:><#FFD700> 김진욱(3학년,'''{{{#green 93대 골든벨}}}''',팔도최강전 - 세종특별자치시 출연)(☆) || [[세종고등학교]] || 47번 || [* 김진욱([[세종고등학교]] 3학년,93대 골든벨)이 적은 정답은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로 2013 왕중왕 등극][* 2년 만에 명예의 전당 왕중왕 등극] || ||<|2> 2014 || 748(왕중왕전 특집 1부) || [[12월 21일]] ||<|2><:><#0000ff> {{{#ffffff 권영성(2학년,최후의 1인,48번 탈락(◇))}}} ||<|2><#A6E657> [[경안고등학교(안동)|경북 안동 경안고등학교]](◇) ||<|2> 45번 || [* 2014 왕중왕전은 1 ~ 2부로 나누어 방영] || || 749(왕중왕전 특집 2부) || [[12월 28일]] || [* 권영성(경북 안동 경안고(◇) 당시 최후의 1인 ,48번 탈락(◇))의 정답은 "양철북"으로 2014 왕중왕 등극][* 재도전 학교가 출연한 권영성 학생이 재도전 학교 왕중왕 최초로 배출][* 대학 면접 관계로 왕중왕전에서는 2014 골든벨 명예의 전당 등극자 가운데서 김희주('''{{{#green 100대 골든벨}}}''', [[전북여자고등학교|전북여고]] 3학년,졸업)가 유일하게도 아쉽게 불참했다.] || || 2015 || 799(왕중왕 특집) || [[12월 27일]] ||<:><#0000ff> {{{#ffffff 권수진(2학년,최후의 1인-784회 2015년 법원의 날 특집,47번 탈락)}}} || [[경복여자고등학교|서울 경복여자고등학교]] || 49번 || [* 특집편에서 최후의 1인으로 2015년 왕중왕 등극][* 7년 만의 여학생 왕중왕 우승자][* 왕중왕 문제 49번에서 아태지역 국방참관들이 참여하는 이 문제인데 지상낙원을 뜻하는 이 '말인' 문제][* 마지막 왕중왕 문제 49번에서 권수진(☆,서울 경복여고 2학년)이 적은 답은 샹그릴라(아시안 안보회의)(O)로 2015년 왕중왕에 등극함][* 역대 왕중왕 가운데 권수진(☆,서울 경복여자고등학교 2학년•최후의 1인,784회 법원의 날 특집에 참가하여 2015년 왕중왕전에 등극한 경우이다.] [* 방송일의 날짜(12월 27일)의 지난 2009년 이종선([[경신고등학교(대구)|대구 경신고등학교]] 2학년,500회 특집 전국 고교 최강전 참가) - 2009 왕중왕에 이어 2번째로 같은 왕중왕 문제 49번 문제에서 왕중왕 등극] || ||<|2> 2016 || 847(왕중왕전 특집 1부) || [[12월 18일]] ||<|2><:><#0000ff> {{{#ffffff 전태현(2학년,최후의 1인,49번 탈락)}}} ||<|2> [[옥천고등학교|충북 옥천고등학교]] ||<|2> 44번 || [* 2016 왕중왕전은 1 ~ 2부로 나누어 방영] || || 848(왕중왕전 특집 2부) || [[12월 25일]] || [* 마지막 왕중왕 문제 44번에서 전태현(최후의 1인, 충북 옥천고등학교 2학년)(☆)이 적은 답은 헤르만 헤세로 2016년 왕중왕에 등극함][* 충북지역 최초로 왕중왕 등극] || || 2017 || 결방 || [[12월 31일]] ||||||<:> 2017년 왕중왕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방송 불가 || [* 2017년은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해 방송되지 않음] || || 2018 || 929 || [[12월 30일]] ||<:><#40E0D0> 박찬(2학년,최후의 3인&2018년 제4회 한글골든벨,47번 탈락)(☆) || [[전일고등학교|전북 전주 전일고등학교]] || 48번 || [* 2년 만에 2018 왕중왕전 도전 및 방송(왕중왕 등극 기준)][* 마지막 왕중왕 문제 48번에서 박찬(전북 전주 전일고 2학년&2018년 제4회 한글골든벨 최후의 3인)(★)이 적은 답은 "아세톤"으로 2018년 왕중왕에 등극][* 전북지역 최초로 왕중왕 등극][* 역대 왕중왕 가운데 전북지역 중에서 골든벨 출신과 최후의 1인,참가학교의 그외 참가자가 아닌 경우와 전북지역은 특집 편의 최후의 2~4인 중에서 최후의 4인까지 도전하면서 단독으로 학교체에 참가하지 않은 경우이다.][* 2년 만의 남학생 왕중왕 등극] || || 2019 || 978(왕중왕 특집) || [[12월 29일]] ||<:><#FFD700> 송명(3학년, '''{{{#green 125대 골든벨}}}''')(☆) || [[운암고등학교(대구)|대구 운암고등학교]] || 38번 || [* 마지막 왕중왕 문제 38번에서 송명(대구 운암고-125대(강서은 아나운서 여자 새 MC 진행 당시)) 학생이 적은 답은 "카이퍼벨트"로 2019 왕중왕 등극][* 6년 만에 명예의 전당 왕중왕 등극][* 2년 연속 남학생 왕중왕 등극][* 3회 연속 남학생 왕중왕 등극함][* 역대 왕중왕 가운데 대구지역 중에서 골든벨 출신의 경우와 대구지역은 125대에 등극하면서 이 중에서 이혜성 아나운서가 여자 MC로 진행할 때 등극하지 않은 경우와 [[강서은]] 아나운서가 여자 MC로 진행한 경우이다.] || || 2020 || 결방 || [[12월 27일]] ||||||<:> 2020년 왕중왕은 《명견만리Q100》 <8회 > 편> 19:10 ~ 20:05 특집 방송의 코로나 바이러스의 관계로 [br] 26주 연속 결방으로 2020 왕중왕전 편성 취소로 인하여 방송 불가 || [* 2020 왕중왕 편성취소로 코로나 감염 여파로 편성 취소][* 《명견만리Q100》 <8회 편> 19:10 ~ 20:05 특집 방송의 코로나 바이러스의 관계로 26주 연속 결방으로 2020 왕중왕전 편성 취소방(2020년 12월 13일)] || || 2021 || || [[12월 26일]] ||<:> ( 학년, ) ||<:> 고등학교 || 번 || || == 역대 왕중왕전 준우승자 == * 현재까지 왕중왕전은 총 21번 열렸으며, 골든벨 수상자가 준우승한 경우는 총 7명(?), 골든벨 실패자가 준우승한 경우는 1명, 최후의 1 ~ 4인 출신이 준우승한 경우는 8명(?)(최후의 1인 출신 - 2명(?), 최후의 2인 출신 - 2명(?), 최후의 3인 - 2명(?), 최후의 4인 - 3명)(?) - (40번 탈락 - 1명(?), 44번 탈락 - 2명(?), 46번 탈락 - 1명(?), 47번 탈락 - 2명(?), 48번 탈락 - 없음(?), 49번 탈락 - 1명(?)), 그 외 전체 100명 중 도전자의 학생(특집 편에서 등극한 학생은 1명(?), 출연 학교 중 아닌 경우에 참가한 학생(?))이 준우승한 경우는 총 2명(?) 있었다. * 현재까지 1999 상반기 준왕중왕의 누구인지 미확정으로 리스트가 기록되지 않은 상태이다. * 현재까지 2015년 명예의 전당 준왕중왕 및 차석 이후 마지막 준왕중왕을 차석하여 이후 침묵한 상태이다. * 현재까지 여학생이 준왕중왕에 차지한 경우는 현재까지 단 7명 뿐이다.(여학생이 최후의 4인이 2008년 마지막으로 준왕중왕에 차지한 경우는 골든벨 수상자의 2015년) * 2017년 왕중왕전의 준왕중왕 등극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방송되지 않아 준왕중왕 및 차석을 기록하지 않았다. || 연도 ||<:> 회차 ||<:> 방송일 ||<:><#98FB98> 준왕중왕 ||<:> 출신 학교 ||<:> 최종문제(번) ||<:> 비고 || ||<|2> 1999 || 33(접속! 신세대 42) || [[8월 20일]] ||<:> 이름 미확정((?)학년 미상,최후의 1~4(?)인/?(1~4대)대 골든벨 || ㅁㅁ ㅁㅁ 고등학교(미확정) || ??번 || [*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 방영][* 1999년 하반기 왕중왕전][* 1999 상반기 준왕중왕의 누구인지 이름 ,출신 학교,학년 미상,등극자 미상,50번 실패 미상][*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 방송된 1999년 상반기 왕중왕전 준왕중왕을 차지한 학생의 의 최종 왕중왕 문제 미확정] || || 1999 왕중왕 특집 || [[12월 31일]] ||<:><#98FB98> [[김수영(기업인)|김수영]]( 과 3학년, '''{{{#green 9대 골든벨}}}''')(★) ||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전남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 || ??번 || [* 독립 편성에서 방송된 1999년 연말 특집 왕중왕전의 준왕중왕을 차지했던 학생의 최종 왕중왕 문제 미확정] || ||<|2> 2000 || 상반기 왕중왕 특집 || [[8월 18일]] ||<:><#98FB98> 권보원(2학년,'''{{{#green 13대 골든벨}}}''')(★, 상반기) || [[경북고등학교|대구 경북고등학교]] || 52번 || [* 2000 상반기 왕중왕전(전반기)] || || 하반기 왕중왕 특집 || [[12월 29일]] ||<:><#98FB98> 박진우(3학년,'''{{{#green 16대 골든벨}}}''')(★) || [[대인고등학교|인천 대인고등학교]] || 63번 || [* 16대 골든벨 박진우(인천 대인고 2학년) 학생이 2000 하반기 왕중왕전, 63번 문제에서 준우승] || || 2001 || 100(왕중왕 특집) || [[8월 31일]] ||<:><#000080> {{{#FFFFFF 이윤아(2학년, 99회 지역연합 특집, 그 외 도전자)}}} ||<#308027> {{{#ffffff [[북일여자고등학교|충남 천안 북일여자고등학교]]}}} || 39번 || [* 2001 왕중왕전은 100회 특집 왕중왕전으로 대체][* 39번 문제에서 인상주의의 아버지라 불리며 "풀밭 위의 점심", "올랭피아" 등을 그린 화가의 이름을 적는 문제였다.][* 이윤아(천안 북일여고-2학교 이상 천안 북일고(□)와 2학교 이상(□) 참가)의 적은 답은 "에두아르 모네"로 한글자 차이로 틀려 2001 준왕중왕] || || 2002 || 2002 왕중왕 특집 || [[12월 29일]] ||<:><#0000ff> {{{#ffffff 최한나(영어과 2학년,최후의 2인,44번 탈락, 185회 특집)}}} || [[경북외국어고등학교]] || 48번 || [* 이때는 경북외고의 최후의 1~2인이었던 최한나(영어과,최후의 2인,44번 탈락,185회에 참가했던 학생이다.][* 2002 준왕중왕으로 외국어고등학교 준왕중왕을 차지][* 이미 참가하여 44번에 탈락한 상태에서 2002 왕중왕전에 참가한 최한나(경북외고 영어과 2학년)이 학과 미표기][* 경북외국어고등학교 최후의 2인인 최후의 1~2인으로 도전한 최한나(영어과 2학년)은 적은 답은 사지 폭풍(X)이 틀려 2002년 준왕중왕을 그쳐 2002년 준왕중왕을 차지했다.] || || 2003 || 205(왕중왕 특집) || [[12월 28일]] ||<:><#40E0D0> 박용현(2학년,최후의 1인,185회 특집 2003 여름방학 특집 오픈 골든벨,49번 탈락)(★, 2003년) || [[춘천고등학교|강원 춘천고등학교]] || 53번 || [* 2003 여름방학 특집 오픈 골든벨에 참가하여 대결한 학생이다.][* 박용현(강원 춘천고 2학년,최후의 1인,185회 2003년 여름방학 특집 오픈 골든벨, 49번 탈락)이 적은 답은 리다이트운동이 틀려 한 글자 차이로 아쉽게 2003년 준왕중왕에 그침][* 그후 같은 학교의 두번 이상 참가한 2004년 2월 29일 같은 학교에서 참가하여 최후의 4인이었다.] || || 2004 || 255(왕중왕 특집) || [[12월 26일]] ||<:><#0000ff> {{{#ffffff 허시녕(3학년,7번,최후의 1인,47번 탈락)}}} || [[남주고등학교|제주 서귀포 남주고등학교]] || 63번 || [* 허시녕(제주 서귀포 남주고 3학년)군 학생은 을사사화,기요사화의 2개 밖에 적지 못하고 2004년 준왕중왕 차석을 차지][* [[제주특별자치도|제주]] 지역 최초로 준왕중왕을 차지한 허시녕(최후의 1인,제주 서귀포 남주고등학교 3학년)][* [[제주특별자치도]]지역 최초로 첫 준왕중왕] || || 2005 || 304(왕중왕 특집) || [[12월 25일]] ||<:><#98FB98> 최원녕(2학년,'''{{{#green 51대 골든벨}}}''')(★)(◎) ||<#FFC0CB> [[군포고등학교|경기 군포고등학교]](◎) || 48번[* (분야 : 미술+인물)] || [* 2005년 준왕중왕을 차지한 경기 군포고(◎),51대 골든벨)의 출신 학교의 학년 미표기][* 왕중왕 문제 48번(분야 : 미술+인물)(난이도 : ★★★★★)에서 최원녕(경기 군포고(◎) 2학년,51대 골든벨)의 적은 답은 피카소 마느리트?(X)가 틀려 아쉽게 2005년 준왕중왕을 차지함][* 이 때는 첫 도전에서 52대 골든벨에 등극한 경기 군포고(◎) 최원녕(2학년)이 아쉽게 준왕중왕에 그침][* 5년 만에 골든벨 수상자가 아쉽게 준왕중왕에 그침] || || 2006 || 355(왕중왕 특집) || [[12월 31일]] ||<:><#98FB98> 표하림(졸업생,'''{{{#green 54대 골든벨}}}''')(★) || [[서울과학고등학교]] || 50번 || [* 표하림(54대 골든벨,서울과학고 졸업생)이 답을 적지 못하고 아쉽게 2007 준왕중왕을 차지함][* 이미 54대에 등극하여 졸업한 상태에서 표하림(서울과학고 졸업생,당시 3학년-54대 골든벨)에서 2006 왕중왕전에서 준왕중왕 및 차석을 차지한 경우이다.][* 54대에 등극한 표하림([[서울과학고등학교]] 3학년이 특집편에서 와이즈 골든벨에 등극하여 아쉽게 2006 준왕중왕][* 4년 만에 여학생 준왕중왕][* 2년 연속 골든벨 명예의 전당 등극자(2005년 51대,2006년 54대)가 아쉽게 준왕중왕에 그침] || || 2007 || 405(왕중왕 특집) || [[12월 30일]] ||<:><#40E0D0> 홍다영(1학년,최후의 3인,44번 탈락) || [[도원고등학교|대구 도원고등학교]] || 40번 || [* 홍다영(최후의 3인,대구 도원고등학교 1학년,19번)양 학생이 적은 답은 아웅산 푸치니(X)가 틀려 2007년 준왕중왕에 그침] || || 2008 || 456(왕중왕 특집) || [[12월 28일]] ||<:><#40E0D0> 국지수(2학년,최후의 4인,40번 탈락) || [[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광주 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 || 42번 || [* 2008 준왕중왕 국지수([[살레시오여자고등학교|광주 살레시오여고]] 2학년,최후의 4인,40번 탈락)이 적은 답은 죽음의 모험(X)이 틀려 2008 준왕중왕을 차지함][* 3년 연속 여학생 준왕중왕] || || 2009 || 507(왕중왕 특집) || [[12월 27일]] ||<:><#0000ff> {{{#ffffff 천기섭(3학년, 500회 특집 전국 고교 최강전 최후의 3인,39번 탈락)}}} || [[협성고등학교|대구 협성고등학교]] || 49번 || [* 49번 문제 까지 적은 답은 당질코르티코이드(X)이 틀려 2009년 준왕중왕 및 차석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500회 특집에 참가했던 천기섭(대구 [[협성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최후의 4인의 전국고교최강전에서 참가하여 2009년 준왕중왕 및 차석을 차지하였다.] || || 2010 || 554(왕중왕 특집) || [[12월 26일]] ||<:><#40E0D0> 정동해(3학년,최후의 4인,47번 탈락) || [[충주고등학교|충북 충주고등학교]] || 47번 || [* 2010 준왕중을 차지한 정동해(최후의 4인 • [[충주고등학교|충북 충주고등학교]] 3학년,47번 탈락)는 답을 적은 '프리토크'가 틀려 오답으로 아쉽게 2010 준왕중왕을 차지했다.][* 역대 준왕중왕 가운데서 최후의 1~4인중에 78대 골든벨에 등극한 고건호와 같은 최후의 4인의 도전자로 47번 문제에서 탈락한 학생이다.] || || 2011 || 604(왕중왕 특집) || [[12월 25일]] ||<:><#000080> {{{#FFFFFF 강동원(3학년,579회 출연)}}} || [[남대전고등학교]] || 39번 || [* 2011 준왕중왕 강동호 (579회 출연, [[남대전고등학교|남대전고]] 학년) 군은 2011년 왕중왕전에서 학년을 표기하지 않았다.][* 강동원(3학년,579회 출연) [[남대전고등학교|남대전고]] 학생이 적은 답은 루비곤 강(x)이 아니므로 2011 준왕중왕][* 역대 2번째로 준왕중왕 가운데 골든벨 출신과 최후의 1~4인이 아닌 경우이다.] || || 2012 || 652(왕중왕 특집) || [[12월 23일]] ||<:><#000080> {{{#FFFFFF 이영남(3학년, 625회 팔도최강전 3부 - [[광주광역시|광주]], [[전라북도|전남]] 편 - 등극자)}}} || [[능주고등학교|전남 화순 능주고등학교]] || 46번 || [* 이영남 학생이 적은 답은 버킷 (x) 밖에 적지 못해 로 2012 준왕중왕 이영남] || || 2013 || 703(왕중왕 특집) || [[12월 29일]] ||<:><#40E0D0> 김완종(2학년,최후의 3인,46번 탈락) || [[남악고등학교|전남 무안 남악고등학교]] || 47번 || [* 김완종(전남 무안 [[남악고등학교]] 2학년, 최후의 3인,51번) 적은 기암 구곡(x)이 아니므로 2013 준왕중왕 그침][* 전남지역 2주 연속 준왕중왕에 그침] || ||<|2> 2014 || 748(왕중왕전 특집 2부) || [[12월 21일]] ||<:><|2><#98FB98> 권대규(1학년, '''{{{#green 105대 골든벨}}}''')(★) ||<|2> [[장기고등학교|경기 김포 장기고등학교]] ||<|2> 45번 || [* 권대규가 적은 답은 "드럼"(x)이 정답이 아니므로 2014 준왕중왕에 그침] || || 749(왕중왕전 특집 2부) || [[12월 28일]] || [* 8년 만의 명예의 전당 골든벨 출신의 준왕중왕] || || 2015 || 799(왕중왕 특집) || [[12월 27일]] ||<:><#98FB98> 이예지(1학년,'''{{{#green 109대 골든벨}}}''') (★) || [[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전북 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 || 49번 || [* 마지막 왕중왕 문제 49번에서 이예지(★, 전북 전주중앙여고 1학년,109대 골든벨)이 적은 답은 유토피아(X)로 아쉽게 틀려 답은 샹그릴라(O)로 2015년 준왕중왕에 그침][* 2년 연속 명예의 전당 등극자가 아쉽게 준왕중왕에 그침][* 역대 준왕중왕 가운데 이예지(★, 전북 전주중앙여고 1학년•109대 명예의 전당)에 등극하여 2015년 왕중왕전에 준왕중왕을 차지한 경우이다.][* 7년만의 여학생 준왕중왕 준우승자][* 방송일의 날짜(12월 27일)의 지난 2009년 천기섭(500회 특집 최후의 3인,[[협성고등학교|대구 협성고]] 3학년,39번 탈락) - 2009 준왕중왕에 이어 2번째로 같은 왕중왕 문제의 49번 문제에서 도전에서 준왕중왕] [* [[2015년]] 명예의 전당 준왕중왕 이후 마지막 준왕중왕 차석 - 현재 2년째 침묵] || ||<|2> 2016 || 847(왕중왕전 특집 2부) || [[12월 18일]] ||<:><|2><#000080> {{{#FFFFFF 구원오(3학년,814회 출연)}}} ||<|2> [[마산고등학교|경남 마산고등학교]] ||<|2> 44번 || || || 848(왕중왕전 특집 2부) || [[12월 25일]] || [* 마지막 왕중왕 문제 44번에서 구원오(814회 참가,경남 마산고등학교 3학년)(★)가 적은 답은 "조앤 롤링, 서명 이름 'J. K. 롤링(Joanne Kathleen Rowling)' "(X)이 아쉽게 틀려 2016년 준왕중왕에 그침][* 이때는 [[2016년]] [[4월 10일]]에 방송된 경남 [[마산고등학교]]편의 최후의 1인 이수한(2학년)이 마지막 골든벨 문제에서 아쉽게 탈락한 학생이다.][* 역대 3번째로 준왕중왕 가운데 골든벨 출신과 최후의 1~4인이 아닌 경우이다.] || || 2017 || 결방 || [[12월 31일]] ||||||<:> 2017년 준왕중왕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하여 방송 불가 || [* 2017년 준왕중왕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인해 방송되지 않음] || || 2018 || 929 || [[12월 30일]] ||<:><#40E0D0> 박채린(3학년,최후의 4인,44번 탈락) ||<#E0FFFF> 전남 진도고등학교(◆) || 48번 || [* 2년 만에 2018 왕중왕전 도전 및 방송(준왕중왕 차석 기준)][* 마지막 왕중왕 문제 48번에서 박채린(최후의 4인,44번 탈락,전남 진도고(◆ 3번 이상 재도전) 참가 3학년)(☆)이 적은 답은 "알콜"(O) 으로 아쉽게 탈락으로 2018년 준왕중왕 및 차석에 그침][* 2018년 왕중왕전의 여학생이 아쉽게 2018년 왕중왕에 등극할 뻔했다.][* 2018 왕중왕전의 준왕중왕의 3번 이상(◆) 재도전한 학교의 최후의 4인][* 전남 지역 준왕중왕 4회 기록] [* 지금까지 전남지역은 단 한 번도 왕중왕에 등극하지 않아 준왕중왕 차석의 4번 기록한 경우이다.] || || 2019 || 978 || [[12월 29일]] ||<:><#959595> {{{#FFFFFF 문준석(2학년,최후의 1인,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A6E657> 광주제일고등학교(◇) || 38번 || [* 문준석(광주제일고(◇, 2번 이상 재도전), 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학생이 쓴 답은 헤일로가 틀려 2019 준왕중왕 차석을 기록함][* 광주광역시 지역 준왕중왕 2회 기록][* 지금까지 광주지역은 단 한 번도 왕중왕에 등극하지 않아 준왕중왕 차석의 2번 기록한 경우이다.][* 이혜성 아나운서 여자 MC 진행 이후 작년 2018년 10월 7일 ~ 2019년 3월 3일이며 아쉽게 여자 MC 첫 진행 이후 진행한 참가학교 내에서 2019년 왕중왕에 나올 뻔했다.][* 박지원 아나운서 여자 MC 진행 이후 9월 1일이며 아쉽게 여자 MC 첫 진행 이후 진행한 참가학교 내에서 2019년 왕중왕에 나올 뻔했다.] [* <50번 골든벨 문제> 탈락 왕중왕(2005년, 2012년(2명 중 1명 탈락))이 3번째로 나올 뻔했다.] || || 2020 || 결방 || [[12월 27일]] ||||||<:> 2020년 준왕중왕은 《명견만리Q100》 <8회 > 편> 19:10 ~ 20:05 특집 방송의 코로나 바이러스의 관계로 [br] 26주 연속 결방으로 2020 왕중왕전 편성 취소로 인하여 방송 불가 || [* 2020 준왕중왕 편성취소로 코로나 감염 여파로 편성 취소][* 《명견만리Q100》 <8회 편> 19:10 ~ 20:05 특집 방송의 코로나 바이러스의 관계로 26주 연속 결방으로 2020 왕중왕전 편성 취소방(2020년 12월 13일)] || || 2021 || || [[12월 26일]] ||<:> ( 학년, ) ||<:> 고등학교 || 번 || || == 지역 == === 왕중왕 우승자 지역 === ||<:> 순위 ||<:> 지역 ||<:> 남 ||<:> 여 ||<:> 우승자 || || 1 || [[경상북도]] || 5 || 0 || 5 || || 2 || [[경기도]] || 3 || 1 || 4 || ||<|2> 3 || [[서울특별시]] || 1 || 2 ||<|2> 3 || || [[대구광역시]] || 3 || 0 || || 4 || [[강원도]] || 1 || 1 || 2 || ||<|5> 5 || [[인천광역시]] || 0 || 1 ||<|5> 1 || || [[충청남도]] || 1 || 0 || || [[세종특별자치시]] || 1 || 0 || || [[충청북도]] || 1 || 0 || || [[전라북도]] || 1 || 0 || ||<|6> - || [[부산광역시]] || 0 || 0 ||<|6> 0 || || [[울산광역시]] || 0 || 0 || || [[광주광역시]] || 0 || 0 || || [[대전광역시]] || 0 || 0 || || [[경상남도]] || 0 || 0 || || [[제주특별자치도]] || 0 || 0 || || 합계 || 16개 지역 || 17 || 5 || 22 || === 준왕중왕 준우승자 지역 === ||<:> 순위 ||<:> 지역 ||<:> 남 ||<:> 여 ||<:> 준우승자 || || 1 || [[전라남도]] || 2 || 2 || 4 || || 2 || [[대구광역시]] || 2 || 1 || 3 || ||<|2> 3 || [[경기도]] || 2 || 0 ||<|2> 2 || || [[광주광역시]] || 1 || 1 || ||<|10> 4 || [[인천광역시]] || 1 || 0 ||<|10> 1 || || [[충청남도]] || 0 || 1 || || [[경상북도]] || 0 || 1 || || [[강원도]] || 1 || 0 || || [[제주특별자치도]] || 1 || 0 || || [[서울특별시]] || 0 || 1 || || [[충청북도]] || 1 || 0 || || [[대전광역시]] || 1 || 0 || || [[전라북도]] || 0 || 1 || || [[경상남도]] || 1 || 0 || ||<|3> - || [[부산광역시]] || 0 || 0 ||<|3> 0 || || [[울산광역시]] || 0 || 0 || || [[세종특별자치시]] || 0 || 0 || || 합계 || 16개 지역 || 13 || 8 || 21 || == 연도별 == === 왕중왕 === ||<:> 연도 ||<:> 남 ||<:> 여 ||<:> 명예의 [br] 전당 ||<:> 골든벨 [br] 실패 ||<:> 최후의 [br] 1 ~ 4인 ||<:> 그 외 [br] 참가자 ||<:> 비고 || ||<|2> 1999 || 0 || 0 || 0 || 0 || 0 || 1 || 접속! 신세대 코너[* 접속! 신세대에서 5명 배출][* 1999년 상반기 왕중왕전의 1999년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 명예의 전당 등극자 5명의 대거 전원 탈락('''1대(초대)''' ~ 5대)] || || 1 || 0 || 0 || 0 || 0 || 0 || 독립 편성[* 1999년 준왕중왕 - 9대 김수영(전남 여수정보과학고)][* 독립 편성에서 4명 배출] || ||<|2> 2000 || 1 || 0 || 1 || 0 || 0 || 0 || 2000년 전반기 왕중왕전 || || 1 || 0 || 1 || 0 || 0 || 0 || 2000년 하반기 및 왕중왕전 || || 2001 || 0 || 1 || 1 || 0 || 0 || 0 || 100회 특집 2001년 왕중왕전 || || 2002 || 0 || 1 || 1 || 0 || 0 || 0 || || || 2003 || 1 || 0 || 0 || 0 || 1 || 0 || || || 2004 || 1 || 0 || 1 || 0 || 0 || 0 || || || 2005 || 0 || 1 || 0 || 1 || 0 || 0 || || || 2006 || 1 || 0 || 1 || 0 || 0 || 0 || || || 2007 || 1 || 0 || 0 || 0 || 0 || 1 || || || 2008 || 0 || 1 || 0 || 0 || 1 || 0 || || || 2009 || 1 || 0 || 0 || 0 || 0 || 1 || || || 2010 || 1 || 0 || 0 || 0 || 1 || 0 || || || 2011 || 1 || 0 || 1 || 0 || 0 || 0 || || || 2012 || 1 || 0 || 0 || 1 || 0 || 0 || 2012년 왕중왕전은 1주 앞당겨 [br] 12월 23일 방송 이후 다음 주 결방 || || 2013 || 1 || 0 || 1 || 0 || 0 || 0 || || || 2014 || 1 || 0 || 0 || 0 || 1 || 0 || 2014년 왕중왕전은 [br] 1부 ~ 2부씩 2주간 나누어 방영 || || 2015 || 0 || 1 || 0 || 0 || 1 || 0 || || || 2016 || 1 || 0 || 0 || 0 || 1 || 0 || 2016년 왕중왕전은 [br] 1부 ~ 2부씩 2주간 나누어 방영 || || 2017 |||||||||||| 2017년 왕중왕전의 왕중왕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방송되지 않아 참가 불가 || || || 2018 || 1 || 0 || 0 || 0 || 1 || 0 || 2018년 왕중왕전은 [br] 2년 만에 방영 및 참가 || || 2019 || 1 || 0 || 1 || 0 || 0 || 0 || || || 2020 || 0 || 0 || 0 || 0 || 0 || 0 || || || 2021 || || || || || || || || || 왕중왕 [br] 통산 || 17 || 5 || 9 || 2 || 7 || 3 || || === 준왕중왕 === ||<:> 연도 ||<:> 남 ||<:> 여 ||<:> 명예의 [br] 전당 ||<:> 골든벨 [br] 실패 ||<:> 최후의 [br] 1 ~ 4인 ||<:> 그 외 [br] 참가자 ||<:> 비고 || ||<|2> 1999 || 0 || 0 || 0 || 0 || 0 || 0 || 접속! 신세대 코너[* 접속! 신세대에서 5명 배출][* 1999년 상반기 왕중왕전의 1999년 접속! 신세대 코너에서 명예의 전당 등극자 5명의 대거 전원 탈락('''1대(초대)''' ~ 5대)] || || 0 || 1 || 1 || 0 || 0 || 0 || 독립 편성[* 1999년 준왕중왕 - 9대 김수영(전남 여수정보과학고)][* 독립 편성에서 4명 배출] || ||<|2> 2000 || 1 || 0 || 1 || 0 || 0 || 0 || 2000년 전반기 왕중왕전 || || 1 || 0 || 1 || 0 || 0 || 0 || 2000년 하반기 및 왕중왕전 || || 2001 || 0 || 1 || 0 || 0 || 0 || 1 || 100회 특집 2001년 왕중왕전 || || 2002 || 0 || 1 || 0 || 0 || 1 || 0 || || || 2003 || 1 || 0 || 0 || 0 || 1 || 0 || || || 2004 || 1 || 0 || 0 || 0 || 1 || 0 || || || 2005 || 1 || 0 || 1 || 0 || 0 || 0 || || || 2006 || 0 || 1 || 1 || 0 || 0 || 0 || || || 2007 || 0 || 1 || 0 || 0 || 1 || 0 || || || 2008 || 0 || 1 || 0 || 0 || 1 || 0 || || || 2009 || 1 || 0 || 0 || 0 || 1 || 0 || || || 2010 || 1 || 0 || 0 || 0 || 1 || 0 || || || 2011 || 1 || 0 || 0 || 0 || 0 || 1 || || || 2012 || 1 || 0 || 0 || 0 || 1 || 0 || 2012년 왕중왕전은 1주 앞당겨 [br] 12월 23일 방송 이후 다음 주 결방 || || 2013 || 1 || 0 || 0 || 0 || 1 || 0 || || || 2014 || 1 || 0 || 1 || 0 || 0 || 0 || 2014년 왕중왕전은 [br] 1부 ~ 2부씩 2주간 나누어 방영 || || 2015 || 0 || 1 || 1 || 0 || 0 || 0 || || || 2016 || 1 || 0 || 0 || 0 || 0 || 1 || 2016년 왕중왕전은 [br] 1부 ~ 2부씩 2주간 나누어 방영 || || 2017 |||||||||||| 2017년 왕중왕전의 준왕중왕은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으로 방송되지 않아 참가 불가 || || || 2018 || 0 || 1 || 0 || 0 || 1 || 0 || 2018년 왕중왕전은 [br] 2년 만에 방영 및 참가 || || 2019 || 1 || 0 || 0 || 1 || 0 || 0 || || || 2020 || 0 || 0 || 0 || 0 || 0 || 0 || || || 2021 || || || || || || || || || 준왕중왕 [br] 통산 || 13 || 8 || 7 || 1 || 11 || 2 || || == 성별 == === 왕중왕 우승자 성별 === ||<:> 순위 ||<:> 성별 ||<:> 우승자 || || 1 || 남자 || 17 || || 2 || 여자 || 5 || |||| 합계 || 22 || === 준왕중왕 준우승자 성별 === ||<:> 순위 ||<:> 지역 ||<:> 준우승자 || || 1 || 남자 || 13(?) || || 2 || 여자 || 8(?) || |||| 합계 || 21(?) || == 출신 유형 == === 왕중왕 우승자 출신 유형 === ||<:> 순위 ||<:> 성별 ||<:> 우승자 || || 1 || [[도전 골든벨/골든벨 수상자|명예의 전당]] || 9 || || 2 || 최후의 1 ~ 4인 || 8 || || 3 || 그 외 참가자 || 3 || || 4 || [[도전 골든벨/골든벨 실패 목록|골든벨 실패 목록]] || 2 || |||| 합계 || 22 || === 준왕중왕 준우승자 출신 유형 === ||<:> 순위 ||<:> 지역 ||<:> 준우승자 || || 1 || 최후의 1 ~ 4인 || 11 || || 2 || [[도전 골든벨/골든벨 수상자|명예의 전당]] || 7 || || 3 || 그 외 참가자 || 2 || |||| 합계 || 20 ||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도전 골든벨/각종 기록들,version=678)] [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도전 골든벨/골든벨 수상자,version=179)] [[분류:도전 골든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