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송 황후)] ||<-2> '''{{{#ece5b6 남송의 황후[br]{{{+1 咸淳太后 | 함순태후}}}}}}''' || || '''[[시호|{{{#ece5b6 시호}}}]]''' ||<(> 없음 || || '''[[성씨|{{{#ece5b6 성}}}]]''' ||<(> 전(全) || ||<|4> '''{{{#ece5b6 재위}}}''' ||<:> '''{{{#fff 남송의 황후}}}''' || ||<:> 1267년 ~ 1274년 || ||<:> '''{{{#fff 남송의 황태후}}}''' || ||<:> 1274년 ~ 1276년 || || '''{{{#ece5b6 배우자}}}''' ||<(> [[도종(송)|도종]] || || '''{{{#ece5b6 아버지}}}''' ||<(> 전소손(全昭孫) ||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남송]]시대의 황후로, [[도종(송)|도종]]의 황후였다. == 상세 == 전씨는 회계 출신으로, [[이종(송)|이종]]의 어머니였던 자헌부인의 종손으로 태어났다. === 이종 재위기 === [[이종(송)|이종]]에게 후사가 없어서 자신의 조카인 조여예의 아들 조맹계를 양자로 들였다. 전씨는 이때 영가군부인으로 봉해졌다가 조맹계(이후 조기)의 황태자비로 들어갔다. === 도종의 황후 === 이종이 죽고 도종이 즉위하면서 전씨는 도종의 황후로 책봉되었다. 이 시기는 [[쿠빌라이 칸]]의 원나라와의 공방이 치열하게 전개되는 시기였다. 남송과 원나라의 치열한 공방전은 6년에 걸친 양양 공방전에서 양양이 함락당하고 원나라에게 승세가 기울어갔다. === 공종 재위기 === 원나라가 임안으로 침공해오는 상황에서 1274년에 도종이 죽고 자신의 소생인 [[공종(송)|조현]]이 3살의 나이에 황제로 즉위하면서 전황후는 황태후로 추앙받았다. 1276년에 원나라가 임안을 함락시키고, 공종이 항복하면서 전태후는 태황태후였던 사태후, 남송의 황족 및 대신들과 함께 원나라의 수도였던 대도로 압송되었다. 한편 남송의 멸망을 인정하지 않은 육수부, 장세걸 등 일부 군인과 대신들은 도종의 남은 두 아들을 데리고 남쪽으로 도망쳐서 원나라에 철저하게 항전하기도 하였다. === 남송 멸망 이후 === 전태후는 대도로 압송된 이후 대도에서 풍토병에 시달렸다. 이에 쿠빌라이 칸의 황후가 전태후에게 남쪽으로 돌아가라고 했지만 전태후는 이를 거절하고 비구니가 되어 생을 마감하였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역대 송 황후)] [include(틀:역대 송 황태후)] [include(틀:송사)] [[분류:송나라의 황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