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향가)] [목차] == 개요 == {{{+1 [[禱]][[千]][[手]][[觀]][[音]][[歌]]}}} [[삼국유사]]에 수록된 [[향가]].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 천수대비가라고도 한다. 저자는 [[신라]] [[경덕왕]] 시절의 희명(希明)이라고 한다. 눈 먼 자식의 눈을 고쳐달라고 [[부처님]]께 자비를 구하는 이야기로, 기원의 성향이 강하나 [[혜성가]]나 [[도솔가]]와 같은 다른 [[향가]]들은 [[주술]]적 요소가 강하나, 도천수관음가는 다른 향가와 달리 주술적 요소에 의지하지 않고 신격적 존재에 구원을 구하는 순수한 종교적 신심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다. 서정시의 극치라고도 불리는 [[제망매가]]나 향가의 백미라고 일컬어지는 [[찬기파랑가]]에 비해 향가로서의 문학적 가치가 그리 높게 평가받지는 못하지만, 눈 먼 자식에 대한 애절하고도 간절한 마음이 잘 묻어 나오는 향가이다. == 원문 == >膝肹古召袂 >二尸掌音毛乎支內良 >千手觀音叱前良中 >祈以支白屋尸置內乎多 >千隐手叱千隐目肹 >一等下叱放一等肹除惡支 >二于萬隐吾羅 >一等沙隐賜以古只內乎叱等邪 >阿邪也吾良遺知支賜尸等焉 >於冬矣用屋尸慈悲也根古 == 해석 == === 양주동의 해석 === >무루플 고조며 >둘 소ᇇ바다ᇰ 모호누아 >千手觀音ㅅ 前아ᄒᆡ >비ᄉᆞᆯᄫᆞᆯ 두누오다 >즈믄 소ᇇ 즈믄 눈흘 >둘 업는 내라 >ᄒᆞᄃᆞᆫᅀᆞ 그ᅀᅳᅀᅵ 고티누옷다라 >아으으 나애 기티샬ᄃᆞᆫ >노ᄐᆡ ᄡᅮᆯ 慈悲여 큰고 > >무릎을 곧추며 >두 손바닥 모아 >[[천수관음]] 전에 >비옴을 두노이다 >천 손에 천 눈을 >하나를 놓고 하나를 더옵기에 >둘 없는 내라 >하나야 그윽히 고치오리라 >아으으 내게 끼쳐 주시면 >놓되 쓰올 자비여 얼마나 큰고 === 남풍현의 해석 === >무루플 고조며 >두블 소ᇇᄇᆞᄅᆞᆷ 모도디 아아 >千手觀音ㅅ 前아긔 >비로디 ᄉᆞᆯ볼 두아오다 >즈믄 소낫 즈믄 누늘 >ᄒᆞᄃᆞᆫ핫 노 ᄒᆞᄃᆞ늘 더라디 >두블 우만 나이라 >ᄒᆞᄃᆞᆫ산 주시고 기아옷ᄃᆞ야 >아야야 나아 기디디 주실 ᄃᆞᆫ >어ᄃᆞ의 ᄡᅳ올 慈悲야 근고 > >무릎을 꿇으며 >두 손바닥 꼭 모아 >천수관음의 전에 >간절히 빌어 아뢰옵니다 >천 손의 천 눈을 >하나만큼은 놓고 하나를 덜어서 >둘이 없는 나이니 >하나만은 주실 것이로다 >아아 나에게 남겨 주실 그것은 >어디에 쓸 자비라고 큰 것인가 == 후일담 == [[삼국유사]]에 따르면 결국 희명의 아이는 눈을 떴고, 희명은 다음과 같이 부처님을 찬양했다고 한다. || 원문 || 현대어 번역 || ||竹馬蔥笙戱陌塵 一朝雙碧失瞳人 不因大士廻慈眼 虛度楊花幾社春||[[대나무]] 말 타고 [[피리]] 불며 길에서 놀더니 하루아침에 두 눈을 잃었네. [[보살]]님의 자비로운 눈 주시지 않았다면 몇 번이나 버들꽃 피는 봄을 헛되이 보냈을까.|| [[분류:신라]] [[분류:향가]]